황귀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귀비는 황제의 후궁 작위 중 하나로, 명나라, 청나라, 베트남 응우옌 왕조, 그리고 대한제국에서 사용되었다. 명나라에서는 경태제 시기에 처음 등장했으나, 성화제 때 정식 제도로 정착되었으며, 황후를 대리하여 육궁을 총괄하는 역할을 했다. 청나라에서는 순치제 때부터 황후 다음의 지위로 제도화되었고, 대한제국에서는 고종이 순헌황귀비 엄씨를 황귀비로 책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황귀비 |
|---|
2. 명나라의 황귀비
명의 기본적인 후비 제도는 정궁(正宮)인 황후(皇后) 아래 후궁인 비(妃)를 두는 것이었다. 초기에는 비 중 귀비(貴妃)를 으뜸으로 두었으며[5], 그 외의 비는 정해진 호(號) 없이 숙비, 영비, 현비 등 임의로 선택하였다. 토목의 변으로 포로가 된 정통제를 대신해 황제가 된 경태제는 총애하는 후궁 당씨를 황후로 책봉하려 했으나, 당시 황후가 사망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즉시 황후로 삼을 수 없었다. 이에 경태제는 황후와 귀비 사이의 새로운 작위인 황귀비를 만들어 당씨에게 수여하고 황후 대리로서 육궁을 총괄토록 했다.[6] 그러나 이 작위는 정통제가 복위하면서 폐지되었고, 당씨는 경태제가 친왕(親王)으로 강봉될 때 시첩(侍妾)으로 강봉되었다가 얼마 뒤 순장되었다.
황귀비 작위는 성화제 때 귀비 만씨가 사망하자 황귀비로 추증하면서 다시 쓰이기 시작했다.[6] 가정제는 후궁 소비(昭妃) 왕씨의 아들을 황태자로 책봉하면서 왕씨를 황귀비로 승봉했으며, 다음 해에는 사망한 귀비 염씨를 황귀비로 추증했다.[7] 이러한 배경으로 황귀비 작위는 명나라의 정식 제도로 정착되었다.
2. 1. 명나라 황귀비 목록
| 황제 | 시호 | 성씨 | 비고 |
|---|---|---|---|
| 경태제 | 당씨[8] | 경태 7년 ~ 경태 8년 황귀비 책봉, 황후 예정자로 추정 | |
| 성화제 | 공숙황귀비 | 만씨[9] | 성화 23년 사후 추증 |
| 가정제 | 단화황귀비 | 왕씨[10] | 가정 18년 ~ 황귀비 책봉, 황태자의 생모 자격 |
| 영안황귀비 | 염씨[11] | 가정 19년 사후 추증 | |
| 장순황귀비 | 심씨[12] | 만력 9년 사후 추증 | |
| 만력제 | †공각황귀비 | 정씨[13] | 만력 14년 ~ 황귀비 책봉, 황태자 예정자 생모 자격[14] |
| †공순황귀비 | 이씨[15] | 만력 25년 사후 추증 | |
| †온숙황귀비 | 왕씨[16] | 만력 34년 ~ 황귀비 책봉, 황태자의 생모 자격[17] | |
| 태창제 | 이씨[18] | 태창 즉위년 황귀비 지명[19], 황후 예정자로 추정 | |
| 천계제 | 황귀비 | 범씨[20] | 천계 3년 ~ 황귀비 책봉, 황태자 생모 자격 |
| 황귀비 | 임씨[21] | 천계 5년 황귀비 책봉, 황태자 생모 자격 | |
| 황귀비 | 왕씨[22][23] | 미상 | |
| 숭정제 | 공숙황귀비 | 전씨[24] | 사후 추증 |
청나라에서는 순치제가 총애하던 후궁 동악씨를 황귀비로 책봉하면서 황귀비 제도가 정식으로 도입되었다.[46] 이후 청나라에서 황귀비는 정원이 한 명으로, 황후 바로 아래 지위로 제도화되었다. 황후 후보에게 일시적으로 주어지거나, 황제의 특별한 총애를 받은 후궁이 죽기 직전이나 사후에 봉해지는 경우가 많았다.
※ 봉증 순서로 나열. 굵은 글씨는 생전에 책봉식을 거행한 정식 황귀비. †는 황후·황태후·태황태후 봉증(封增)
3. 청나라의 황귀비
3. 1. 청나라 황귀비 목록
| 황제 | 시호 | 성씨 | 비고 |
|---|---|---|---|
| 순치제 | 황귀비 동악씨 | 동악씨 | 황귀비 책봉 (1656년 ~ 1660년) |
| 강희제 | 황귀비 동가씨 | 동가씨 | 황귀비 책봉 (1682년 ~ 1689년) 황후 대리 |
| 경민황귀비 장가씨 | 장가씨 | 1723년 추숭 | |
| 각혜황귀비 동가씨 | 동가씨 | 1724년 봉숭 효의인황후 여동생 | |
| 돈이황귀비 과이가씨 | 과이가씨 | 1743년 봉숭 | |
| 옹정제 | 돈숙황귀비 연씨 | 연씨 | 1725년 죽기 전 황귀비 특진 |
| 순각황귀비 경씨 | 경씨 | 1778년 봉숭 | |
| 건륭제 | 철민황귀비 부찰씨 | 부찰씨 | 1745년 사후 추증 |
| 혜현황귀비 고가씨 | 고가씨 | 1745년 죽기 전 황귀비 특진 | |
| 황귀비 휘발나랍씨 | 휘발나랍씨 | 1748년 ~ 1750년 황귀비 책봉 황후 예정자 | |
| 숙가황귀비 금가씨 | 금가씨 | 1755년 사후 추증 | |
| 순혜황귀비 소씨 | 소씨 | 1760년 죽기 전 황귀비 특진 | |
| 영의황귀비 위가씨 | 위가씨 | 1765년 ~ 1775년 황귀비 책봉 황후 대리 | |
| 경공황귀비 육씨 | 육씨 | 1798년 추숭 | |
| 가경제 | 황귀비 뉴호록씨 | 뉴호록씨 | 1797년 ~ 1801년 황귀비 책봉 황후 내정자 |
| 화유황귀비 유가씨 | 유가씨 | 1820년 봉숭 | |
| 공순황귀비 뉴호록씨 | 뉴호록씨 | 1846년 봉숭 | |
| 도광제 | 황귀비 뉴호록씨 | 뉴호록씨 | 1833년 ~ 1834년 황귀비 책봉 황후 내정자 |
| 황귀비 박이제길특씨 | 박이제길특씨 | 1841년 황귀비 책봉 황후 내정자[46] | |
| 장순황귀비 오아씨 | 오아씨 | 1861년 봉숭 | |
| 함풍제 | 장정황귀비 타타랍씨 | 타타랍씨 | 1861년 ~ 황귀비 책봉 |
| 황귀비 엽혁나랍씨 | 엽혁나랍씨 | 1874년 봉숭 | |
| 단각황귀비 동가씨 | 동가씨 | 1909년 추숭 | |
| 동치제 | 숙신황귀비 부찰씨 | 부찰씨 | 1874년 ~ 황귀비 책봉 서태후의 총애로 특진 |
| 장화황귀비 아로특씨 | 아로특씨 | 1909년 봉숭 | |
| 경의황귀비 혁사리씨 | 혁사리씨 | 1909년 봉숭 | |
| 영혜황귀비 서림각라씨 | 서림각라씨 | 1913년 봉숭[57] | |
| 광서제 | 각순황귀비 타타랍씨 | 타타랍씨 | 1909년 추숭 |
| 단강황귀비 타타랍씨 | 타타랍씨 | 1922년 봉숭[57] |
4. 베트남의 황귀비
응우옌 왕조에서도 황귀비 작위가 사용되었다.
하위 섹션에 베트남 황귀비 목록이 정리되어 있다.
4. 1. 베트남 황귀비 목록
5. 대한제국의 황귀비
대한제국에서 고종이 순헌황귀비 엄씨에게 황귀비 작위를 내린 것이 유일한 사례이다. 순헌황귀비는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태자인 이은의 생모이다.[63]
5. 1. 대한제국 황귀비 목록
참조
[1]
서적
萬曆野獲編
[2]
서적
明世宗实录
1540-01
[3]
서적
Quốc sử quán triều Nguyễn
2007
[4]
웹사이트
清王室の後宮・皇后・皇貴妃・妃・福晋の順番と違い
https://korea.sseika[...]
[5]
서적
명사(明史)
[6]
서적
명사(明史)
[7]
서적
명사(明史)
[8]
문서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22]
문서
[23]
문서
[24]
문서
[25]
서적
청사고(淸史稿)
[26]
문서
[27]
문서
[28]
문서
[29]
문서
[30]
문서
[31]
문서
[32]
문서
[33]
문서
[34]
문서
[35]
문서
[36]
문서
귀인(貴人)→가빈(嘉嬪, 건륭 2년)→가비(嘉妃, 건륭 6년)→귀비(건륭 13년)→황귀비 추증(건륭 20년)
[37]
문서
금가씨는 조선인으로 본성은 김씨이다.
[38]
문서
[[서복진]](庶福晉)→순빈(純嬪, 건륭 원년)→순비(純妃, 건륭 2년)→순귀비(純貴妃, 건륭 10년)→죽기 직전 황귀비로 진봉(건륭 25년)
[39]
문서
귀인(貴人, 건륭 10년)→영빈(令嬪, 건륭 10년)→영비(令妃, 건륭 14년)→영귀비(令貴妃, 건륭 24년)→황귀비(건륭 30년)→황후 추존(건륭 60년, 가경제 생모 자격)
[40]
문서
귀인(貴人, 건륭 10년)→경빈(慶嬪, 건륭 10년)→경비(慶妃, 건륭 14년)→경귀비(慶貴妃,건륭 33년)→황귀비 추증(가경제 즉위 후)
[41]
문서
측복진(側福晉)→귀비(貴妃, 가경 원년)→황귀비(가경 2년)→황후(가경 6년) 책봉
[42]
문서
측복진(側福晉)→함비(諴妃, 가경 원년)→귀비(貴妃, 가경 13년)→황귀비 봉숭(도광 즉위년)
[43]
문서
귀인(貴人, 가경 초년)→여빈(如嬪, 가경 10년)→여비(如妃, 가경 15년)→귀비(貴妃, 도광 즉위년)→황귀비(도광 26년)
[44]
문서
귀인(貴人, 도광 즉위년)→전빈(全嬪, 도광 2년)→전비(全妃, 도광 3년)→전귀비(全貴妃, 도광 5년)→황귀비(도광 13년)→황후 책립(도광 14년)
[45]
문서
귀인(貴人, 도광 즉위년)→정빈(靜嬪, 도광 6년)→정비(靜妃, 도광 7년)→정귀비(靜貴妃, 도광 14년)→황귀비(皇貴妃, 도광 21년)→황귀태비(康慈皇貴太妃) 존숭(함풍 즉위년)→사망 직전 황태후로 특진(함풍 5년)→사후 황후 추존(함풍 5년)
[46]
문서
[[효정성황후]]의 사후 황귀비로 지명될 당시엔 관례대로 황후 내정자로서 황귀비로 책봉됐으나 상례가 종결된 후에도 황후로 책봉되지 못했고 결국 황후의 위(位)는 도광제가 사망하기까지 6년 간 비어있었다.
[47]
문서
귀인(貴人, 도광 15~16년)→재인(才人)으로 강봉(도광 17년)→귀인 복위(도광 19년)→임빈(琳嬪, 도광 20년)→임비(琳妃, 도광 22년)→임귀비(琳貴妃, 도광 26년)→임귀태비 존숭(함풍 즉위년)→황귀태비 존숭(동치 즉위년)→사후 황귀비 추시(동치 5년)
[48]
문서
귀인(貴人, 함풍 2년)→빈(嬪, 함풍 4년)→비(妃, 함풍 5년)→황귀비(皇貴妃, 함풍 11년)→황귀태비(皇貴太妃, 광서 즉위년)
[49]
문서
귀인(貴人, 함풍 2년)→빈(嬪, 함풍 4년)→비(妃, 함풍 6년)→귀비(貴妃, 함풍 7년)→황귀태비(皇貴太妃, 광서 즉위년)→황태후(皇太后, 광서 즉위년)→태황태후(太皇太后, 선통 즉위년, 선통제 즉위날)→사후 황후 추존
[50]
문서
빈(嬪, 함풍 8년)→비(妃, 동치 즉위년)→귀비 봉숭(광서 즉위년)→황귀태비 봉숭(선통 즉위년)→사후 황귀비 추시(선통 2년)
[51]
문서
혜비(慧妃, 동치 11년)→황귀비(皇貴妃, 동치 13년)→(敦宜皇贵妃) 봉숭(광서 즉위년)→敦宜荣庆皇贵妃(광서 20년)
[52]
문서
입궁 당시 [[서태후]]에게 황후로 지명됐으나 [[동태후]]가 지명한 [[효철의황후]]가 황후로 책봉됨.
[53]
문서
순빈(珣嬪, 동치 11년)→순비(珣妃, 동치 13년)→귀비(貴妃) 봉숭(광서 20년)→황귀비(皇貴妃) 봉숭(선통 즉위년)
[54]
문서
[[효철의황후]]의 고모로 서녀 출신이다.
[55]
문서
유빈(瑜嬪, 동치 11년)→유비(瑜妃, 동치 13년)→귀비(貴妃) 봉숭(광서 20년)→황귀비(皇貴妃) 봉숭(선통 즉위년)
[56]
문서
귀인(貴人, 동치 11년)→진빈(瑨嬪, 동치 13년)→진비(瑨妃, 광서 21년)→귀비(광서 21년)→황귀비 봉숭(1913년)
[57]
문서
1912년에 [[선통제]]가 퇴위했기에 선통제의 연호를 쓸 수 없어 서기로 기록함.
[58]
문서
진빈(珍嬪, 광서 15년)→진비(珍妃, 광서 20년 1월)→귀인 강봉(광서 20년 10월)→진비 복위(광서 21년)→황귀비(皇貴妃) 추증(선통 즉위년)
[59]
문서
근빈(瑾嬪, 광서 14년)→근비(瑾妃, 광서 20년)→귀인 강봉(광서 20년)→근비(瑾妃) 복위(광서 22년)→귀비(瑾貴妃, 광서 34년)→황귀비(端康皇貴妃) 봉숭(1913년)→황귀태비(端康皇貴太妃) 봉숭(1922년)
[60]
문서
궁빈(宫嬪, 사덕 원년) → 2품 근비(勤妃, 사덕 3년) → 1품 순비(純妃, 사덕 13년) → 1품 충비(忠妃, 사덕 14년) → 황귀비 책봉(사덕 23년) → 1품 충비로 강등(사득 35년) → 황태후
[61]
문서
견강군공부인(堅江郡公夫人, 사덕 34년) → 황귀비 책봉(동경 원년) → 황태후([[카이딘 황제|계정]] 원년) → 태황태후([[바오다이|보대]] 8년) → 보천순황후 추존
[62]
문서
입궁으로 3품 무빈(懋嬪) 책봉(성태 5년) → 황귀비(성태 9년)
[63]
문서
나인→상궁→승은상궁(고종 22년)→귀인(고종 34년)→순빈(淳嬪, 광무 4년/고종 37년)→순비(淳妃, 광무 5년/고종 38년)→황귀비(광무 7년/고종 40년)
[64]
간행물
《조선왕조실록》고종 43권, 40년(1903 계묘 / 대한 광무(光武) 7년) 12월 25일(양력) 1번째기사
[65]
간행물
《조선왕조실록》고종 43권, 40년(1903 계묘 / 대한 광무(光武) 7년) 12월 25일(양력) 2번째기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