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동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동규는 평안남도 숙천 출신의 시인으로, 서울대학교 영문과 및 대학원을 졸업했다. 1958년 《현대문학》에 시를 추천받아 등단하여, 초기에는 서정시를 주로 썼으며, 이후에는 사회 비판적인 시와 모더니즘적 경향을 보였다. 그는 한국문학상, 현대문학상, 대산문학상 등을 수상했으며,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를 역임하고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으로 활동했다. 주요 작품으로 《어떤 개인 날》, 《비가》, 《열하일기》, 《나는 바퀴를 보면 굴리고 싶어진다》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숙천군 출신 - 김응용
김응용은 일제강점기 평안남도 평원군 출신으로, 국가대표 야구 선수와 아마추어 야구팀 감독을 거쳐 KBO 리그 해태, 삼성, 한화 감독을 역임하며 해태 감독 시절 9번의 한국시리즈 우승을 이끈 명장이자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회장이다. - 제안 황씨 - 황태순
황태순은 대한민국의 정치인, 정치평론가로, 여러 정당에서 당직을 맡고 무소속 국회의원 보좌관을 역임했으나 잦은 당적 변경으로 기회주의적이라는 비판을 받는다. - 제안 황씨 - 황순원
황순원은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시인으로, 시로 등단 후 소설로 전향하여 단편 〈소나기〉, 장편 《카인의 후예》 등을 통해 한국인의 삶과 정신, 전통적 가치를 탐구했으며, 간결하고 시적인 문체, 설화적 분위기, 순수성과 동심을 통한 인간 본성 탐구가 특징이다.
| 황동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인물 정보 | |
| 이름 | 황동규 |
| 한글 | 황동규 |
| 한자 | 黃東奎 |
| 로마자 표기 | Hwang Donggyu |
| 출생일 | 1938년 4월 9일 |
| 출생지 | 서울 (당시 일제강점기 조선) |
| 직업 | 교수, 작가 |
| 국적 | 대한민국 |
| 학력 | 서울대학교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석사, University of Edinburgh 영어영문학 박사 |
| 활동 기간 | 1958년 - 현재 |
| 장르 | 시 |
| 가족 | |
| 부 | 황순원 |
| 모 | 양정길 |
| 배우자 | 고정자 |
| 자녀 | 슬하 2남 1녀 (딸 황시내) |
| 형제 | 황남규(남동생), 황진규(남동생), 황선혜(누이동생) |
| 친척 | 황찬영(조부) |
| 경력 | |
| 주요 경력 |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대구대학교 초빙교수 |
| 종교 | |
| 종교 | 개신교 (장로교) |
| 데뷔 작품 | |
| 데뷔 작품 | (즐거운 편지) |
2. 생애 및 활동
1938년 4월 9일 평안남도 숙천에서 태어났다.[4] 어린 시절 평양에서 잠시 자랐으며, 1946년 가족과 함께 서울로 월남하였다. 서울대학교 영문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1958년 《현대문학》에 시 〈10월〉, 〈동백나무〉, 〈즐거운 편지〉 등을 추천받아 문단에 등단했다.[9] 초기에는 서정시를 주로 썼으나, 전통적인 연애시에서 벗어나 신선한 정념을 표현한 독특한 연가로 주목받았다. 두 번째 시집 《비가(悲歌)》에서는 운명적인 비극성을 담담하게 수용하는 성숙한 세계관을 보여주었다.
1960년대 후반에는 시대의 모순을 역사적·고전적 소재를 통해 간접적으로 표현하였고, 1970년대에는 모더니즘 경향을 보이며 사회 비판적인 시를 발표하기도 했다. 1995년에는 1982년부터 14년간 '죽음'을 주제로 쓴 연작시 〈풍장(風葬)〉을 발표하여 문단의 화제가 되었다.
끊임없는 변화를 추구하며 60세가 넘어서도 개성적인 극서정시와 장시를 꾸준히 발표하여 문단의 귀감이 되고 있다.
1968년 현대문학상, 1980년 한국문학상을 수상했다.[10] 그 외에도 연엄문학상(1988), 김종삼문학상(1991), 이산문학상(1991), 대산문학상(1995), 미당문학상(2002), 근정훈장(2003), 만해대상(2006), 구상문학상(2011), 호암상(2016) 등을 수상했다. 2006년부터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이며,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이다. 2006년부터 2009년까지 제4대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부위원장을, 2009년부터 제5대 위원을 역임했다.
2. 1. 초기 생애 및 월남
평안남도 숙천에서 출생하였고[9] 지난날 한때 평안남도 강동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으며, 훗날 평안남도 평양에서 잠시 자랐다. 1946년 가족들과 함께 서울로 월남하였다. 서울대학교 영문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1958년 《현대문학》에 시 〈10월〉, 〈동백나무〉, 〈즐거운 편지〉 등을 추천받아 문단에 데뷔했다.2. 2. 학력 및 학문 활동
| 학교명 | 학과 | 학위 | 비고 |
|---|---|---|---|
| 평양 종로국민학교 | 수료 | ||
| 서울남산초등학교 | 졸업 | ||
| 서울중학교 | 졸업 | ||
| 서울고등학교 | 졸업 | ||
| 서울대학교 | 영어영문학과 | 학사 | |
|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 | 석사 | |
| 아이오와 주립대학교 대학원 | 심리학과 | 석사 | |
| 에든버러 대학교 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문학 석사 | |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문학 박사 |
황동규는 서울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에서 영어영문학 학사 학위를 받았고, 같은 대학교에서 대학원 과정도 마쳤다.[2]
2. 3. 문단 데뷔 및 작품 활동
1958년 현대문학에 시 〈10월〉, 〈동백나무〉, 〈즐거운 편지〉 등을 추천받아 문단에 데뷔했다.[9]이후 〈한밤으로〉, 〈겨울의 노래〉, 〈얼음의 비밀〉 등의 작품을 발표했으며, 이러한 초기 시들은 첫 번째 시집 《어떤 개인 날》에 수록되어 있다. 두 번째 시집 《비가(悲歌)》, 3인 시집 《평균율》을 간행하였고 《사계(四季)》의 동인으로 활약했다. 그 밖의 시집으로 《삼남(三南)에 내리는 눈》, 《나는 바퀴를 보면 굴리고 싶어진다》, 《풍장(風葬)》 등이 있다. 1968년 현대문학신인상, 1980년 한국문학상을 수상했다. 황동규의 시는 전통적인 한국 서정시의 강한 편향성과 서정성에서 벗어나 1950년대 이후의 현대시사 위에 독자적인 맥락을 형성한 것으로 보이며 독특한 양식적인 특성과 기법으로 인해 현대시의 방법적, 인식적 지평을 확대해 놓았다는 점에서 동시대 비평계의 지속적인 관심과 평가를 받아오고 있다.[10]
황동규는 『현대문학』지에 "시월(October)"과 "즐거운 편지" 등의 작품 발표로 문학 경력을 시작하였다. 그의 초기 시는 「시월」과 「즐거운 편지」에서 볼 수 있듯이, 우울한 내면 풍경을 묘사함으로써 갈망과 기대감을 보여준다. 「비가」는 ‘자아’와 현실 사이의 갈등을 보여주기 위해 방랑자나 소외된 자의 언어로 쓰여졌다. 그의 작품인 「태평가」, 「삼남에 내리는 눈」, 「열하일기」는 시적 화자의 서술 방식에 풍자를 사용한 예이다.[2]
초기 황동규의 작품에는 서정시가 많지만, 전통적인 연애시가 아니라 신선한 정념의 분위기를 형상화한 시인 특유의 독특한 연가가 주목을 받았다. 두 번째 시집 『비가(悲歌)』에서는 초기 시에서 보였던 긍정적인 수용의 자세가 아니라, 운명적인 비극성을 담담하게 수용하고 구체화하는 모습을 보임으로써 더욱 성숙한 세계관을 표현하고 있다.
1960년대 후반에는 시대의 모순을 역사적·고전적 소재를 통해 간접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시적 설득력을 얻었다. 이러한 변화는 1970년대까지 이어져 모더니즘으로 이어지며, 1978년에 발표한 시집 『나는 바퀴를 보면 굴리고 싶어진다』에 더욱 명확하게 나타나 있다. 당시 시대 상황을 노래한 「계엄령 속의 눈」 등 사회비판시는, 암시와 간접화의 표현법을 사용함으로써 사회 문제를 높은 수준으로 작품화한 수작으로 평가받았다. 1995년 『현대문학』에 연작시 「풍장(風葬)」을 발표하였는데, 1982년부터 14년간 ‘죽음’이라는 주제로 써 내려간 작품으로 문단의 화제가 되었다.
2. 4. 주요 작품 및 경향
황동규는 1958년 《현대문학》에 〈10월〉, 〈동백나무〉, 〈즐거운 편지〉 등을 추천받아 문단에 등단했다.[9] 초기 시들은 첫 시집 《어떤 개인 날》에 수록되어 있으며, 〈한밤으로〉, 〈겨울의 노래〉, 〈얼음의 비밀〉 등의 작품을 발표했다. 두 번째 시집 《비가(悲歌)》, 3인 시집 《평균율》을 간행했고, 《사계(四季)》의 동인으로도 활동했다.[10]황동규의 초기 시는 〈시월〉과 〈즐거운 편지〉에서처럼 우울한 내면을 묘사하며 갈망과 기대감을 보여준다. 〈비가〉는 ‘자아’와 현실 사이의 갈등을 보여주기 위해 방랑자나 소외된 자의 언어로 쓰였다. 〈태평가〉, 〈삼남에 내리는 눈〉, 〈열하일기〉는 풍자를 사용한 서술 방식이 나타난다.[2]
황동규의 시는 전통적인 한국 서정시의 강한 편향성과 서정성에서 벗어나 1950년대 이후의 현대시사 위에 독자적인 맥락을 형성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독특한 양식과 기법으로 현대시의 방법적, 인식적 지평을 넓혔다는 점에서 비평계의 지속적인 관심과 평가를 받고 있다.[10] 그의 어휘와 시적 미학은 문학 경력 전반에 걸쳐 끊임없이 발전했다. 이미지를 본질적인 핵심으로 벗겨내고 간결하고 순수한 산문체를 사용한다. 이러한 시적 변화는 전통적인 운율을 관습적이고 현실적인 형식으로 혁신하려는 시인의 시도를 보여준다. 〈풍장〉에서는 죽음을 길들이려는 의지를 묘사하며 죽음을 사색하지만, 〈견딜 수 없이 가벼운 존재들〉에서는 시적 언어가 더 유연해진다.[2]
1960년대 후반에는 시대의 모순을 역사적·고전적 소재를 통해 간접적으로 표현하여 시적 설득력을 얻었다. 이러한 변화는 1970년대까지 이어져 모더니즘으로 이어지며, 1978년에 발표한 시집 《나는 바퀴를 보면 굴리고 싶어진다》에 더욱 명확하게 나타나 있다. 당시 시대 상황을 노래한 〈계엄령 속의 눈〉 등 사회 비판 시는, 암시와 간접화의 표현법을 사용함으로써 사회 문제를 높은 수준으로 작품화한 수작으로 평가받았다. 1995년 《현대문학》에 연작시 〈풍장(風葬)〉을 발표하였는데, 1982년부터 14년간 ‘죽음’이라는 주제로 써 내려간 작품으로 문단의 화제가 되었다.
끊임없는 변화를 시적 생명력의 근간으로 삼는 황동규는 60세가 넘도록 개성적인 극서정시와 장시를 꾸준히 발표하며 문단의 귀감이 되고 있다.
'''주요 시집'''
- 1961년 《어떤 개인 날》
- 1965년 《비가》
- 1972년 《열하일기》
- 1975년 《삼남에 내리는 눈》
- 1976년 《사랑의 뿌리》
- 1978년 《나는 바퀴를 보면 굴리고 싶어진다》
- 1979년 《겨울 노래》
- 1988년 《견딜 수 없이 가벼운 존재들》
- 1991년 《몰운대행》
- 1993년 《미시령 큰바람》
- 1994년 《나의 시와 빛과 그늘》
- 1997년 《외계인》
- 2000년 《버클리풍 사랑의 노래》
- 2001년 《시가 태어나는 자리, 젖은 손으로 돌아보라》
3. 수상 경력
| 연도 | 상 이름 |
|---|---|
| 1968년 | 현대문학상 |
| 1980년 | 한국문학상 |
| 1988년 | 연엄문학상 |
| 1991년 | 김종삼문학상, 이산문학상 |
| 1995년 | 대산문학상 |
| 2002년 | 미당문학상 |
| 2003년 | 근정훈장 홍조근정훈장 |
| 2006년 | 만해대상 |
| 2011년 | 구상문학상 본상 |
| 2016년 | 호암상 예술부문 |
4. 가족 관계
| 아버지 | 황순원 |
|---|---|
| 형제 | 3남 1녀 중 장남 |
5. 작품 목록
- 풍장|한국어
- Die Horen. Zeitschrift für Literatur, Kunst und Kritik|Die Horen. Zeitschrift für Literatur, Kunst und Kritikde (독일 문예지 『Die Horen』 - 한국 문학 특집호)
- Windbestattung|풍장한국어
- Posada de nubes y otros poemas|Posada de nubes y otros poemases (황동규 시선집 『몰운대행』)
5. 1. 시집
| 제목 | 출판 연도 |
|---|---|
| 즐거운 편지 | |
| 빛나는 날 | 1961년 |
| 삼남에 내리는 눈 | 1975년 |
| 열하일기 | 1972년 |
| 나는 바위를 보면 굴리고 싶어진다 | 1978년 |
| 모륜대 행 | 1991년 |
| 풍장 | |
| 비가 | 1965년 |
| 사랑의 뿌리 | 1976년 |
| 겨울 노래 | 1979년 |
| 견딜 수 없이 가벼운 존재들 | 1988년 |
| 미시령 큰바람 | 1993년 |
| 나의 시와 빛과 그늘 | 1994년 |
| 외계인 | 1997년 |
| 버클리풍 사랑의 노래 | 2000년 |
| 시가 태어나는 자리, 젖은 손으로 돌아보라 | 2001년 |
참조
[1]
웹사이트
Author Database - Korea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http://klti.or.kr/ke[...]
2013-09-03
[2]
웹사이트
Author Database - Korea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http://klti.or.kr/ke[...]
2013-09-03
[3]
서적
Korean Writers The Poets
Minumsa Press
[4]
웹사이트
인물정보(人物情報)
http://people.search[...]
2014-00-00 # 날짜 정보가 불완전하여 00-00-00으로 처리
[5]
웹사이트
한국문학번역원 문인DB 황동규
http://www.klti.or.k[...]
2014-00-00 # 날짜 정보가 불완전하여 00-00-00으로 처리
[6]
웹사이트
한국현대문학대사전
http://terms.naver.c[...]
2014-00-00 # 날짜 정보가 불완전하여 00-00-00으로 처리
[7]
웹사이트
두산백과
http://terms.naver.c[...]
2014-00-00 # 날짜 정보가 불완전하여 00-00-00으로 처리
[8]
웹사이트
두산백과사전 황동규
https://terms.naver.[...]
2014-00-00 # 날짜 정보가 불완전하여 00-00-00으로 처리
[9]
서적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6(현대시)
휴머니스트
[10]
논문
黃東奎 시의 話者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