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성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성수는 대한민국의 법조인이자 정치인이다. 숭실전문학교 영문과를 중퇴하고, 도호쿠 제국대학 법문학부를 졸업했다. 이후 도쿄 제국대학, 컬럼비아 대학교,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등에서 연구했으며, 1948년 변호사 시험에 합격했다. 미국 사법성, 전시 정보국, 주한 미 군정청에서 근무했으며, 대한민국 외무부 정보국장, 국회의원, 전라남도지사 등을 역임했다. 제2대, 제3대, 제4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1960년 참의원에 당선되었다. 또한, 한국 법학원 명예원장을 역임하고, 저서와 역서를 출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숭실학당 동문 - 김동인
김동인은 '약한 자의 슬픔'으로 시작하여 '감자'와 같은 작품을 통해 사실주의를 개척하고, 《창조》를 창간했으며, 사후 동인문학상이 제정되었다. - 숭실학당 동문 - 조만식
조만식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 한국의 민족주의 지도자이자 독립운동가로, 간디의 비폭력 저항 사상에 영향을 받아 실력 양성 운동에 참여하고 신탁통치 반대 운동을 주도했으나, 한국 전쟁 중 처형되었다. - 전라남도지사 - 이낙연
이낙연은 1952년 전라남도 영광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동아일보 기자로 활동하다가 4선 국회의원, 전라남도지사, 국무총리를 역임했으며,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지낸 후 새로운미래를 창당하여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낙선했다. - 전라남도지사 - 고건
고건은 1961년 고등고시 합격 후 공직에 입문하여 전라남도지사, 여러 부처 장관, 서울특별시장, 국회의원, 국무총리를 역임하고 노무현 대통령 탄핵 소추 당시 대통령 권한대행을 지냈으며, 사회통합위원회 초대 위원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공무원, 정치인이다. - 창원 황씨 - 황석영
황석영은 만주 출생으로 한국 전쟁을 겪고 성장하여 사회 현실과 시대상을 반영하는 소설을 쓴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 창원 황씨 - 황교안
황교안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변호사로, 검사 시절 공안 사건 담당, 법무부 장관 및 국무총리 역임, 대통령 권한대행 수행, 자유한국당 대표를 지냈으며, 보수 진영의 대표적 인물이자 여러 논란의 중심에 있다.
황성수 | |
---|---|
기본 정보 | |
이름 | 황성수 |
출생 | 1987년 7월 20일 |
출생지 | 대한민국 |
포지션 | 공격수 |
클럽 정보 | |
현재 소속팀 | FC 목포 |
등번호 | 11 |
이전 소속팀 | 전남 드래곤즈 광주 FC 대전 시티즌 경남 FC FC 안양 수원 FC 부천 FC 1995 제주 유나이티드 |
국가대표 정보 | |
국가대표팀 | 대한민국 U-19 |
2. 학력
- 1930년 평양 숭실전문학교 영문과 2년 수업
- 1940년 일본 도호쿠 제국대학 법문학부 졸업(문학사)
- 1940년 일본 동경 제국대학 문학부 대학원에서 연구
- 1941년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 철학과 대학원에서 연구
- 1942년 미국 웨스트민스터 신학교(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수학
- 1944년 미국 빼콜터 침례교 신학교 수업
- 1946년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 정치학부 대학원에서 연구
- 1948년 대한민국 변호사 시험 합격
- 1952년 대한민국 변호사 실무시험 합격
- 1969년 법학박사(J.S.D.) 학위수여
3. 경력
황성수는 1942년 1월부터 9월까지 미국 사법성에서 근무하였고, 1942년 11월부터 1946년 7월까지 미국 전시 정보국에서 근무하였다. 1946년 8월부터 1948년 8월까지 주한 미 군정청 사법부 고문관을 역임하였다. 1948년 9월부터 1950년 4월까지 대한민국 외무부 초대 정보국장 겸 법무부 법무관을 역임하였다.
1950년 5월부터 1954년 5월까지 제2대 국회의원(서울 용산 갑구)을 지냈으며, 1954년 5월부터 1958년 5월까지 제3대 민의원의원(서울 용산 을구) 및 민의원부의장을 역임하였다. 1959년 5월부터 1960년 7월까지 전라남도지사를 지냈다.
1959년 9월부터 1960년 7월까지 제4대 민의원의원(전남 보성구, 자유당)을 지냈고, 1960년 7월부터 1961년 2월까지 참의원의원(전남, 자유당)을 역임하였다. 1964년 5월부터 1969년까지 미 제8군 및 주한 독일 대사관 법률고문을 역임하였다.
1968년부터 한국 법학원 명예원장을 역임하였고, 인도태평양수산회의, 세계적십자총회, UN총회에서 한국대표로 활동하였다.
4. 정치 활동 및 논란
황성수는 1950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서울 용산구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13,239표(43.10%)를 얻어 당선되었다.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소속으로 서울 용산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5,273표(35.42%)를 얻어 당선되었다. 재선에 성공하였다.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자유당 소속으로 서울 용산구 을에 출마하였으나 11,640표(34.19%)를 얻어 2위로 낙선하였다.
1959년 9.12 재보선에서는 자유당 소속으로 전남 보성군에 출마하여 34,258표(65.0%)를 얻어 당선되어 3선에 성공하였다.
1960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자유당 소속으로 참의원 전라남도 선거구에 출마하여 260,181표(20.05%)를 얻어 당선되었다.
1971년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공화당 소속으로 전남 보성군에 출마하였으나 25,907표(43.91%)를 얻어 2위로 낙선하였다.
4. 1. 제2대 국회의원 선거 (무소속)
황성수는 1950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서울 용산구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13,239표(43.10%)를 얻어 당선되었다.4. 2. 제3대 국회의원 선거 (자유당)
황성수는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소속으로 서울 용산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5,273표(35.42%)를 얻어 당선되었다. 재선에 성공하였다.4. 3. 전라남도지사 시절
4. 4. 제4대 국회의원 보궐선거 (자유당)
황성수는 1959년 9월 12일 재보궐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전라남도 보성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34,258표(65.0%)를 얻어 당선되었다. 이는 그의 세 번째 국회의원 당선이었다.4. 5. 제5대 참의원 선거 (자유당)
황성수는 1960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참의원에 전라남도 선거구로 자유당 후보로 출마하여 260,181표를 얻어 1위로 당선되었다.4. 6. 4.19 혁명 이후
5. 저서 및 역서
- 한미행정 협정 연구
- 미국 헌법의 정치 철학적 배경
- 미국 헌법상의 삼권분립
- 정치학 개론
- 구주 외교사
- 옛 세계관과 새 세계관
- 황성수 논설집
- 교회와 국가(재판, 서울: 신망애출판사, 1973)
- 사상의 위기(역서)
6. 평가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관련 사건 타임라인
SK 최신원·삼성 최지성 등 재계 인사 16명…윤 정부서 ‘탄압’ 건설 노조원·농민도 포함
'기업범죄·국정농단' 연루에도…경제인 16명 사면·복권
이재명 정부 첫 특사에 조국 등 2188명···15일 0시 출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