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성군 (1948년 선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역사
- 3. 역대 국회의원
- 4. 역대 선거 결과
- 4.1.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제헌 국회의원 선거 (1948년)]]
- 4.2.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 4.3.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 4.4.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 4.5. [[1959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1959년 재보궐선거]]
- 4.6.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 4.7.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제6대 국회의원 선거 (1963년)]]
- 4.8.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제7대 국회의원 선거 (1967년)]]
- 4.9. [[1969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1969년 재보궐선거]]
- 4.10.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제8대 국회의원 선거 (1971년)]]
- 참조
1. 개요
보성군 (1948년 선거구)는 1948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보성군 전 지역을 관할했다.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고흥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이정래, 김낙오, 김성복, 안용백, 황성수, 이중재, 양달승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성군의 정치 - 보성군수 선거
보성군수 선거는 전라남도 보성군 군수를 선출하는 선거로, 1995년부터 8번 치러졌으며 민주당계와 무소속 후보 간 경쟁 속에서 다양한 정당 소속 후보들의 당락과 득표율 변화를 보이며 보성군의 정치적 지형 변화를 반영한다. - 보성군의 정치 - 고흥군·보성군 (1973년 선거구)
고흥군·보성군 선거구는 1973년 신설되어 1985년까지 존속하다가 1988년 고흥군과 보성군 선거구로 분리되어 폐지된, 2명의 국회의원을 선출하는 중선거구제 선거구이다. - 1973년 폐지된 대한민국 선거구 - 부여군 (1963년 선거구)
부여군(1963년 선거구)은 1963년 신설되어 1971년 폐지된 선거구로, 제6대와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공화당 김종필이, 제8대 선거에서는 신민당에서 민주공화당으로 당적을 변경한 이상익이 당선되었으며, 1968년 재보궐선거에서는 신민당 이상익이 당선되는 이변이 있었다. - 1973년 폐지된 대한민국 선거구 - 동대문구 을 (1958년 선거구)
동대문구 을 선거구는 1958년 신설되어 1963년 양주군 구리면 일부가 편입되기도 했으나 1973년 동대문구 갑 선거구와 통합되어 폐지되었으며, 이영준, 장준하, 유옥우 등이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 전라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목포시·무안군·신안군
목포시·무안군·신안군은 1973년 신설되어 1988년 분리되기 전까지 민주공화당과 민주정의당 후보가 주로 당선되었으며 야당의 득표율도 높아 정치적 경쟁이 치열했던 선거구로, 선거구 획정의 공정성 문제를 야기하는 사례로 꼽힌다. - 전라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순천시 (2000년 선거구)
순천시 (2000년 선거구)는 2000년 제16대 총선을 앞두고 순천시 갑, 을 선거구가 통합되어 신설된 선거구로, 2000년 김경재, 2004년 서갑원, 2011년 김선동이 당선되었으며, 2012년 순천시·곡성군 선거구로 개편되며 폐지되었다.
보성군 (1948년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선거구 정보 | |
이름 | 보성군 |
의회 | 국회 |
큰 지도 | 전라남도 |
연도 | 1948년 |
폐지 | 1973년 |
유형 | 국회 |
이후 선거구 | 고흥군·보성군 |
의원수 | 1인 |
2. 역사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보성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고흥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고흥군·보성군 선거구를 이루게 되면서 폐지되었다.
2. 1. 설치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보성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2. 2. 폐지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고흥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고흥군·보성군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3. 역대 국회의원
선거 | 정당 | 의원 |
---|---|---|
1948년 | 한국민주당 | 이정래 |
1950년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김낙오 |
1954년 | 무소속 | 김성복 |
1958년 | 자유당 | 안용백 |
1959년 | 자유당 | 황성수 |
1960년 | 민주당 | 이정래 |
1963년 | 민정당 | 이정래 |
1967년 | 민주공화당 | 양달승 |
1969년 | 신민당 | 이중재 |
1971년 | 신민당 | 이중재 |
3. 1. 역대 국회의원 목록
선거 | 정당 | 의원 |
---|---|---|
1948년 | 한국민주당 | 이정래 |
1950년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김낙오 |
1954년 | 무소속 | 김성복 |
1958년 | 자유당 | 안용백 |
1959년 | 자유당 | 황성수 |
1960년 | 민주당 | 이정래 |
1963년 | 민정당 | 이정래 |
1967년 | 민주공화당 | 양달승 |
1969년 | 신민당 | 이중재 |
1971년 | 신민당 | 이중재 |
4. 역대 선거 결과
다음은 보성군 (1948년 선거구)의 역대 선거 결과이다.
선거명 | 당선자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제헌 국회의원 선거 | 이정래 | 한국민주당 | 36.01% | |
제2대 국회의원 선거 | 김낙오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25.34% | |
제3대 국회의원 선거 | 김성복 | 무소속 | 22.99% | |
제4대 국회의원 선거 | 안용백 | 자유당 | 57.00% | |
1959년 재보궐선거 | 황성수 | 자유당 | - | 안용백 의원직 상실 |
제5대 국회의원 선거 | 이정래 | 민주당 | 48.07% | |
제6대 국회의원 선거 | 이정래 | 민정당 | 46.10% | |
제7대 국회의원 선거 | 양달승 | 민주공화당 | 51.66% | |
1969년 재보궐선거 | 이중재 | 신민당 | - | 양달승 의원 당선 무효 |
제8대 국회의원 선거 | 이중재 | 신민당 | 54.22% |
4. 1.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제헌 국회의원 선거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국민주당 이정래 후보가 36.01%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이정래 | 한국민주당 | 17,581 | 36.01 |
김성복 | 한국민주당 | 16,094 | 32.97 |
임병철 | 한국민주당 | 8,996 | 18.42 |
황보익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6,141 | 12.58 |
합계 | 48,812 | 100 |
4. 2.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대한독립촉성국민회 김낙오 후보가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낙오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13,115 | 25.34 |
이정래 | 민주국민당 | 10,798 | 20.87 |
염동두 | 무소속 | 8,601 | 16.62 |
정해룡 | 무소속 | 7,948 | 15.36 |
박종면 | 대한국민당 | 7,225 | 13.96 |
김영관 | 무소속 | 4,052 | 7.83 |
합계 | 51,739 | 100 |
4. 3.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김성복 | 무소속 | 13,272 | 22.99% | 당선 |
임병석 | 자유당 | 12,943 | 22.42% | |
이정래 | 민주국민당 | 8,774 | 15.19% | |
김창권 | 무소속 | 6,250 | 10.82% | |
최갑원 | 무소속 | 3,699 | 6.40% | |
박용주 | 무소속 | 3,602 | 6.23% | |
최동우 | 무소속 | 3,390 | 5.87% | |
김효열 | 무소속 | 2,326 | 4.02% | |
서재홍 | 무소속 | 1,707 | 2.95% | |
김문수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943 | 1.63% | |
안규만 | 무소속 | 820 | 1.42% | |
총합 | 57,726 | 100% |
4. 4.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안용백 후보가 57.00%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4. 5. [[1959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1959년 재보궐선거]]
안용백 의원의 의원직 상실로 인해 치러진 1959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 자유당 황성수 후보가 당선되었다.4. 6.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1960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이정래 후보가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이정래 | 민주당 | 29,499 | 48.07% |
전창권 | 무소속 | 10,221 | 16.65% |
정해용 | 사회대중당 | 9,545 | 15.55% |
김규남 | 무소속 | 6,054 | 9.86% |
김금석 | 무소속 | 6,038 | 9.84% |
합계 | 61,357 | 100% |
4. 7.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제6대 국회의원 선거 (1963년)]]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정당 이정래 후보가 당선되었다.
4. 8.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제7대 국회의원 선거 (1967년)]]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양달승 후보가 당선되었다.
4. 9. [[1969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1969년 재보궐선거]]
일부 투표구의 선거무효로 양달승 의원의 당선이 취소된 뒤 나머지 투표구를 대상으로 시행된 재투표에서 신민당 이중재 후보가 당선되었다.4. 10.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제8대 국회의원 선거 (1971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