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지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라남도지사는 전라남도의 행정 수반으로, 1945년 광복 이후부터 현재까지 역대 도지사 목록이 존재한다. 초기에는 관선으로 임명되었으며,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민선 도지사 제도가 시작되었다. 역대 도지사들은 다양한 정당 소속으로 선출되었으며, 2017년 이낙연 지사가 국무총리로 임명되면서, 김갑섭, 이재영 부지사가 권한대행을 맡기도 했다. 현재는 김영록 지사가 재임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라남도청 - 완도군청
완도군청은 전라남도 완도군의 군정을 총괄하는 지방자치단체로서, 군수를 중심으로 다양한 조직과 소속기관을 갖추어 군민들을 위한 행정 서비스를 제공하며, 지역 사회 기여 활동과 과거 논란도 있었다. - 전라남도청 - 전라남도 부지사
전라남도 부지사는 도지사를 보좌하여 도의 행정을 총괄하고 지휘·감독하는 자리이며, 이 문서는 미군정 시기부터 현재까지 전라남도 부지사, 기획조정관, 제2부지사, 정무부지사, 경제부지사를 역임한 인물들의 목록을 제공한다. - 전라남도지사 - 이낙연
이낙연은 1952년 전라남도 영광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동아일보 기자로 활동하다가 4선 국회의원, 전라남도지사, 국무총리를 역임했으며,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지낸 후 새로운미래를 창당하여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낙선했다. - 전라남도지사 - 고건
고건은 1961년 고등고시 합격 후 공직에 입문하여 전라남도지사, 여러 부처 장관, 서울특별시장, 국회의원, 국무총리를 역임하고 노무현 대통령 탄핵 소추 당시 대통령 권한대행을 지냈으며, 사회통합위원회 초대 위원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공무원,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 - 충청남도지사
충청남도지사는 충청남도의 행정 수반으로, 1945년 미군정 시기부터 존재했으며, 1995년 지방자치제 부활 이후 도민들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는 민선 도지사 체제로 운영된다. - 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 - 대전광역시장
대전광역시장은 대전광역시의 행정을 책임지는 최고 책임자로, 1949년 충청남도 대전시장으로 시작하여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1995년부터 주민 직선으로 선출되는 민선 시장이 운영되고 있다.
전라남도지사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직책 | 전라남도지사 |
로마자 표기 | Jeollanam-do Jisa |
관할 구역 | 전라남도 |
현직 | 김영록 |
취임일 | 2018년 7월 1일 |
임기 | 4년 |
웹사이트 | 전라남도지사 공식 웹사이트 |
역사 | |
설치일 | 1946년 2월 15일 |
초대 지사 | 최영욱 |
권한 및 역할 | |
주요 권한 | 전라남도 행정 총괄 |
이미지 | |
![]() | |
2. 역대 도지사 목록
선출 방법 | 역대 | 성명 | 임기 |
---|---|---|---|
관선 | 1 | 펩케 (D. R. Pepke) | 1945년 9월 2일 - 1945년 9월 22일 |
2 | 길버트 | 1945년 9월 23일 - 1946년 10월 22일 | |
3 | 율리우스 H. 린트너/Julius H. Lintner영어[2] | 1945년 10월 23일 - 1946년 1월 19일 | |
4 | 랄프 F. 갤러지 | 1946년 1월 20일[3] - 1946년 2월 14일 | |
5 | 최영욱 (崔泳旭) | 1946년 2월 15일 - 1946년 10월 15일 | |
6 | 서민호 (徐珉濠) | 1946년 10월 16일 - 1947년 7월 9일 | |
7 | 박건원 (朴乾源) | 1947년 7월 10일 - 1948년 8월 14일 | |
8 | 1948년 8월 15일 - 1948년 10월 17일 | ||
관선 | 9 | 이남규 (李南圭) | 1948년 10월 18일 - 1950년 4월 30일 |
10 | 박철수 (朴哲洙) | 1950년 5월 1일 - 1951년 12월 16일 | |
11 | 이일식 (李乙植) | 1951년 12월 17일 - 1953년 11월 22일 | |
12 | 추규영 (秋圭映) | 1953년 11월 23일 - 1955년 2월 24일 | |
13 | 민병기 (閔丙祺) (1901년생) | 1955년 2월 25일 - 1956년 9월 23일 | |
14 | 이기세 (李埼世) (1903년생) | 1956년 9월 24일 - 1959년 5월 12일 | |
15 | 황성수 (黄聖秀) | 1959년 5월 13일 - 1959년 8월 10일 | |
16 | 이하영 (李夏榮) | 1959년 8월 11일 - 1960년 5월 1일 | |
대리 | 신구영 (申求永) | 1960년 5월 2일 - 1960년 5월 12일 | |
17 | 민영남 (閔泳南) | 1960년 5월 12일 - 1960년 10월 6일 | |
18 | 최의남 (崔義南) | 1960년 10월 7일 - 1960년 12월 30일 | |
민선 | 19 | 민영남 (閔泳南) | 1960년 12월 31일 - 1961년 5월 23일 |
관선 | 20 | 송호림 (宋虎林) | 1961년 5월 24일 - 1963년 7월 22일 |
21 | 김용관 (金容寬) | 1963년 7월 23일 - 1963년 12월 18일 | |
22 | 신용우 (申庸雨) (1912년생) | 1963년 12월 19일 - 1966년 1월 28일 | |
23 | 김보현 (金甫炫) | 1966년 1월 29일 - 1969년 10월 21일 | |
24 | 김재식 (金在植) | 1969년 10월 25일 - 1973년 9월 25일 | |
25 | 허련 (許練) | 1973년 9월 26일 - 1975년 11월 12일 | |
26 | 고건 (高建) | 1975년 11월 13일 - 1979년 1월 9일 | |
27 | 장형태 (張炯泰) | 1979년 1월 10일 - 1980년 5월 27일 | |
28 | 김종호 (金宗鎬) | 1980년 5월 28일 - 1982년 1월 4일 | |
29 | 김창식 (金昶植) | 1982년 1월 5일 - 1984년 10월 9일 | |
30 | 전석홍 (全錫洪) | 1984년 10월 10일 - 1988년 2월 25일 | |
31 | 문창수 (文昌洙) | 1988년 2월 29일 - 1988년 10월 3일 | |
32 | 송언종 (宋彦鐘) | 1988년 10월 4일 - 1990년 6월 20일 | |
33 | 최인기 (崔仁基) | 1990년 6월 21일 - 1991년 2월 18일 | |
34 | 백형조 (白亨祚) | 1991년 2월 19일 - 1992년 4월 20일 | |
35 | 이효계 (李孝桂) | 1992년 4월 21일 - 1993년 3월 3일 | |
36 | 이균범 (李鈞範) | 1993년 3월 4일 - 1993년 12월 27일 | |
37 | 구용상 (具龍相) | 1993년 12월 28일 - 1994년 9월 23일 | |
38 | 조규하 (曹圭河) | 1994년 9월 24일 - 1995년 6월 30일 | |
민선 | 39 | 허경만 (許京萬) |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
40 |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 ||
41 | 박태영 (朴泰榮) | 2002년 7월 1일 - 2004년 4월 29일 | |
대리 | 송광운 (宋光運) | 2004년 4월 30일 - 2004년 6월 5일 | |
42 | 박준영 (朴晙瑩) (1946년생) | 2004년 6월 6일 - 2006년 6월 30일 | |
43 |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 ||
44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
45 | 이낙연 (李洛淵) | 2014년 7월 1일 - 2017년 5월 12일 | |
대리 | 김갑섭 (金甲燮) | 2017년 5월 13일 - 2017년 9월 11일 | |
대리 | 이재영 (李在榮) | 2017년 9월 12일 - 2018년 6월 30일 | |
46 | 김영록 (金瑛錄) |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 |
47 | 2022년 7월 1일 - |
2. 1. 광복 이전
선출 방법 | 역대 | 성명 | 임기 |
---|---|---|---|
관선 | 1 | 펩케 (D. R. Pepke) | 1945년 9월 2일 - 1945년 9월 22일 |
관선 | 2 | 길버트 | 1945년 9월 23일 - 1946년 10월 22일 |
관선 | 3 | 율리우스 H. 린트너[2] | 1945년 10월 23일 - 1946년 1월 19일 |
관선 | 4 | 랄프 F. 갤러지 | 1946년 1월 20일[3] - 1946년 2월 14일 |
관선 | 5 | 최영욱 (崔泳旭) | 1946년 2월 15일 - 1946년 10월 15일 |
관선 | 6 | 서민호 (徐珉濠) | 1946년 10월 16일 - 1947년 7월 9일 |
관선 | 7, 8 | 박건원 (朴乾源) | 1947년 7월 10일 - 1948년 10월 17일 |
야기 노부오(야기 노부오/八木信雄일본어)는 1945년 8월 15일부터 1945년 9월 1일까지 재임한 조선총독부 최후의 전라남도지사였다.
2. 1. 1. 조선총독부 전라남도지사
야기 노부오(야기 노부오/八木信雄일본어)는 1945년 8월 15일부터 1945년 9월 1일까지 재임한 조선총독부 최후의 전라남도지사였다.2. 2. 광복 후
1945년 광복 이후부터 1995년 민선 전라남도지사가 선출되기 전까지의 역대 관선 전라남도지사 목록은 다음과 같다.== 미군정 시기 전라남도지사 ==
펩크(D. R. Pepke)는 1945년 9월 2일부터 1945년 9월 22일까지 재임한 미국 육군 대령이다.[4] 길버트는 1945년 9월 23일부터 1946년 10월 22일까지 재임한 미국 육군 소령이다. 율리우스 린트너(율리우스 H. 린트너/Julius H. Lintner영어)는 1945년 10월 23일부터 1946년 1월 19일까지 재임한 미국 육군 중령이다.[4] 최영욱은 1945년 12월 3일부터 1946년 1월 19일까지 대리로 있었다. 랄프 F. 갤러기(Ralph F. Gallogy)는 1946년 1월 20일부터 1946년 2월 14일까지 재임한 미국 육군 중령이다.[5]
== 관선 도지사 (1946년 ~ 1960년) ==
- 최영욱 (崔泳旭): 1946년 2월 15일 ~ 1946년 10월 15일
- 서민호 (徐珉濠): 1946년 10월 16일 ~ 1947년 7월 9일
- 박건원 (朴乾源): 1947년 7월 10일 ~ 1948년 10월 17일
- 이남규 (李南圭): 1948년 10월 18일 ~ 1950년 4월 30일
- 박철수 (朴哲洙): 1950년 5월 1일 ~ 1951년 12월 16일
- 이을식 (李乙植): 1951년 12월 17일 ~ 1953년 11월 22일
- 추규영 (秋圭映): 1953년 11월 23일 ~ 1955년 2월 24일
- 민병기 (閔丙祺): 1955년 2월 25일 ~ 1956년 9월 23일
- 이기세 (李埼世): 1956년 9월 24일 ~ 1959년 5월 12일
- 황성수 (黃聖秀): 1959년 5월 13일 ~ 1959년 8월 10일
- 이하영 (李夏榮): 1959년 8월 11일 ~ 1960년 5월 1일
- 신구영 (申求永): 1960년 5월 2일 ~ 1960년 5월 12일 (권한대행)
- 민영남 (閔泳南): 1960년 5월 12일 ~ 1960년 10월 6일
- 최의남 (崔義南): 1960년 10월 7일 ~ 1960년 12월 30일
== 민선 도지사 (1960년) ==
민영남(閔泳南)은 1960년 12월 31일부터 1961년 5월 23일까지 신민당 소속으로 제11대 전라남도지사를 역임했다.
== 관선 도지사 (1961년 ~ 1995년) ==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 지방자치가 중단되면서 대통령이 임명하는 관선 도지사가 임명되었다.
- 12대 송호림(宋虎林): 1961년 5월 24일 ~ 1963년 7월 22일
- 13대 김용관(金容寬): 1963년 7월 23일 ~ 1963년 12월 18일
- 14대 신용우(申庸雨): 1963년 12월 19일 ~ 1966년 1월 28일
- 15대 김보현(金甫炫): 1966년 1월 29일 ~ 1969년 10월 21일 (*김대중 납치 사건 당시 전라남도지사*)
- 16대 김재식(金在植): 1969년 10월 25일 ~ 1973년 9월 25일
- 17대 허련(許鍊): 1973년 9월 26일 ~ 1975년 11월 12일
- 18대 고건(高建): 1975년 11월 13일 ~ 1979년 1월 9일 (*최초의 전라남도 출신 도지사*)
- 19대 장형태(張炯泰): 1979년 1월 10일 ~ 1980년 5월 27일 (*5·18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전라남도지사*)
- 20대 김종호(金宗鎬): 1980년 5월 28일 ~ 1982년 1월 4일
- 21대 김창식(金昶植): 1982년 1월 5일 ~ 1984년 10월 9일
- 22대 전석홍(全錫洪): 1984년 10월 10일 ~ 1988년 2월 25일
- 직무대리 이병내(李炳奈): 1988년 2월 25일 ~ 1988년 2월 28일
- 23대 문창수(文昌洙): 1988년 2월 29일 ~ 1988년 10월 3일
- 24대 송언종(宋彦鐘): 1988년 10월 4일 ~ 1990년 6월 20일
- 25대 최인기(崔仁基): 1990년 6월 21일 ~ 1991년 2월 18일
- 26대 백형조(白亨祚): 1991년 2월 19일 ~ 1992년 4월 20일
- 27대 이효계(李孝桂): 1992년 4월 21일 ~ 1993년 3월 3일
- 28대 이균범(李鈞範): 1993년 3월 4일 ~ 1993년 12월 27일
- 29대 구용상(具龍相): 1993년 12월 28일 ~ 1994년 9월 23일
- 30대 조규하(曺圭河): 1994년 9월 24일 ~ 1995년 6월 30일
== 민선 도지사 (1995년 ~ 현재)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당선된 허경만 지사는 민주당 소속으로 1995년 7월 1일부터 1998년 6월 30일까지, 이어서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재선되어 1998년 7월 1일부터 2002년 6월 30일까지 전라남도지사를 역임했다. 재임 기간 동안 새정치국민회의를 거쳐 새천년민주당으로 당적이 변경되었다.[6]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소속 박태영 후보가 당선되어 2002년 7월 1일부터 2004년 4월 29일까지 전라남도지사직을 수행했다. 박태영 지사는 재임 중 사망하였다.[6]
박태영 지사의 사망으로 송광운 부지사가 2004년 4월 30일부터 2004년 6월 5일까지 도지사 권한대행을 맡았다.[6]
2004년 재보궐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출마한 박준영 후보가 당선되어, 2004년 6월 6일부터 2006년 6월 30일까지,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재선되어 2006년 7월 1일부터 2010년 6월 30일까지,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3선에 성공하여 2010년 7월 1일부터 2014년 6월 30일까지 총 3번의 임기를 역임했다. 박준영 지사는 재임 기간 동안 민주당, 중도통합민주당, 민주당, 통합민주당, 민주당, 민주통합당, 민주당, 새정치민주연합으로 당적이 변경되었다.[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정치민주연합 후보로 출마한 이낙연 후보가 당선되어 2014년 7월 1일부터 2017년 5월 12일까지 전라남도지사를 역임했다. 이낙연 지사는 이후 더불어민주당으로 당적을 옮겼으며, 문재인 정부에서 최초의 호남 출신 국무총리로 임명되면서 지사직을 사퇴했다.[7]
이낙연 지사의 사퇴로 김갑섭 행정부지사가 2017년 5월 13일부터 2017년 9월 11일까지 도지사 권한대행을 맡았고,[7] 이후 이재영 정무부지사가 2017년 9월 12일부터 2018년 6월 30일까지 권한대행을 이어받았다.[8]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와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김영록 후보가 연이어 당선되어, 2018년 7월 1일부터 현재까지 전라남도지사직을 수행하고 있다.
2. 2. 1. 미군정 시기 전라남도지사
펩크(D. R. Pepke)는 1945년 9월 2일부터 1945년 9월 22일까지 재임한 미국 육군 대령이다.[4] 길버트는 1945년 9월 23일부터 1946년 10월 22일까지 재임한 미국 육군 소령이다. 율리우스 린트너(율리우스 H. 린트너/Julius H. Lintner영어)는 1945년 10월 23일부터 1946년 1월 19일까지 재임한 미국 육군 중령이다.[4] 최영욱은 1945년 12월 3일부터 1946년 1월 19일까지 대리로 있었다. 랄프 F. 갤러기(Ralph F. Gallogy)는 1946년 1월 20일부터 1946년 2월 14일까지 재임한 미국 육군 중령이다.[5]2. 2. 2. 관선 도지사 (1946년 ~ 1960년)
- 최영욱 (崔泳旭): 1946년 2월 15일 ~ 1946년 10월 15일
- 서민호 (徐珉濠): 1946년 10월 16일 ~ 1947년 7월 9일
- 박건원 (朴乾源): 1947년 7월 10일 ~ 1948년 10월 17일
- 이남규 (李南圭): 1948년 10월 18일 ~ 1950년 4월 30일
- 박철수 (朴哲洙): 1950년 5월 1일 ~ 1951년 12월 16일
- 이을식 (李乙植): 1951년 12월 17일 ~ 1953년 11월 22일
- 추규영 (秋圭映): 1953년 11월 23일 ~ 1955년 2월 24일
- 민병기 (閔丙祺): 1955년 2월 25일 ~ 1956년 9월 23일
- 이기세 (李埼世): 1956년 9월 24일 ~ 1959년 5월 12일
- 황성수 (黃聖秀): 1959년 5월 13일 ~ 1959년 8월 10일
- 이하영 (李夏榮): 1959년 8월 11일 ~ 1960년 5월 1일
- 신구영 (申求永): 1960년 5월 2일 ~ 1960년 5월 12일 (권한대행)
- 민영남 (閔泳南): 1960년 5월 12일 ~ 1960년 10월 6일
- 최의남 (崔義南): 1960년 10월 7일 ~ 1960년 12월 30일
2. 2. 3. 민선 도지사 (1960년)
민영남(閔泳南)은 1960년 12월 31일부터 1961년 5월 23일까지 신민당 소속으로 제11대 전라남도지사를 역임했다.2. 2. 4. 관선 도지사 (1961년 ~ 1995년)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 지방자치가 중단되면서 대통령이 임명하는 관선 도지사가 임명되었다.- 12대 송호림(宋虎林): 1961년 5월 24일 ~ 1963년 7월 22일
- 13대 김용관(金容寬): 1963년 7월 23일 ~ 1963년 12월 18일
- 14대 신용우(申庸雨): 1963년 12월 19일 ~ 1966년 1월 28일
- 15대 김보현(金甫炫): 1966년 1월 29일 ~ 1969년 10월 21일 (*김대중 납치 사건 당시 전라남도지사*)
- 16대 김재식(金在植): 1969년 10월 25일 ~ 1973년 9월 25일
- 17대 허련(許鍊): 1973년 9월 26일 ~ 1975년 11월 12일
- 18대 고건(高建): 1975년 11월 13일 ~ 1979년 1월 9일 (*최초의 전라남도 출신 도지사*)
- 19대 장형태(張炯泰): 1979년 1월 10일 ~ 1980년 5월 27일 (*5·18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전라남도지사*)
- 20대 김종호(金宗鎬): 1980년 5월 28일 ~ 1982년 1월 4일
- 21대 김창식(金昶植): 1982년 1월 5일 ~ 1984년 10월 9일
- 22대 전석홍(全錫洪): 1984년 10월 10일 ~ 1988년 2월 25일
- 직무대리 이병내(李炳奈): 1988년 2월 25일 ~ 1988년 2월 28일
- 23대 문창수(文昌洙): 1988년 2월 29일 ~ 1988년 10월 3일
- 24대 송언종(宋彦鐘): 1988년 10월 4일 ~ 1990년 6월 20일
- 25대 최인기(崔仁基): 1990년 6월 21일 ~ 1991년 2월 18일
- 26대 백형조(白亨祚): 1991년 2월 19일 ~ 1992년 4월 20일
- 27대 이효계(李孝桂): 1992년 4월 21일 ~ 1993년 3월 3일
- 28대 이균범(李鈞範): 1993년 3월 4일 ~ 1993년 12월 27일
- 29대 구용상(具龍相): 1993년 12월 28일 ~ 1994년 9월 23일
- 30대 조규하(曺圭河): 1994년 9월 24일 ~ 1995년 6월 30일
2. 2. 5. 민선 도지사 (1995년 ~ 현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당선된 허경만 지사는 민주당 소속으로 1995년 7월 1일부터 1998년 6월 30일까지, 이어서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재선되어 1998년 7월 1일부터 2002년 6월 30일까지 전라남도지사를 역임했다. 재임 기간 동안 새정치국민회의를 거쳐 새천년민주당으로 당적이 변경되었다.[6]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소속 박태영 후보가 당선되어 2002년 7월 1일부터 2004년 4월 29일까지 전라남도지사직을 수행했다. 박태영 지사는 재임 중 사망하였다.[6]
박태영 지사의 사망으로 송광운 부지사가 2004년 4월 30일부터 2004년 6월 5일까지 도지사 권한대행을 맡았다.[6]
2004년 재보궐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출마한 박준영 후보가 당선되어, 2004년 6월 6일부터 2006년 6월 30일까지,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재선되어 2006년 7월 1일부터 2010년 6월 30일까지,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3선에 성공하여 2010년 7월 1일부터 2014년 6월 30일까지 총 3번의 임기를 역임했다. 박준영 지사는 재임 기간 동안 민주당, 중도통합민주당, 민주당, 통합민주당, 민주당, 민주통합당, 민주당, 새정치민주연합으로 당적이 변경되었다.[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정치민주연합 후보로 출마한 이낙연 후보가 당선되어 2014년 7월 1일부터 2017년 5월 12일까지 전라남도지사를 역임했다. 이낙연 지사는 이후 더불어민주당으로 당적을 옮겼으며, 문재인 정부에서 최초의 호남 출신 국무총리로 임명되면서 지사직을 사퇴했다.[7]
이낙연 지사의 사퇴로 김갑섭 행정부지사가 2017년 5월 13일부터 2017년 9월 11일까지 도지사 권한대행을 맡았고,[7] 이후 이재영 정무부지사가 2017년 9월 12일부터 2018년 6월 30일까지 권한대행을 이어받았다.[8]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와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김영록 후보가 연이어 당선되어, 2018년 7월 1일부터 현재까지 전라남도지사직을 수행하고 있다.
3. 전라남도지사 선거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주당 허경만 후보가 민주자유당 천석홍 후보를 누르고 전라남도지사에 당선되었다. 허경만 후보는 73.50%를 득표하였고, 천석홍 후보는 26.49%를 득표하였다.
1995년 전라남도지사 선거 | ||||||
---|---|---|---|---|---|---|
정당 | 번호 | 후보자 | 득표수 | 득표율 | ||
bgcolor=""| | 민주당 | 2 | 허경만 | 769,538 | 73.50% | align=right| |
bgcolor=""| | 민주자유당 | 1 | 천석홍 | 277,386 | 26.49% | align=right| |
합계 | 1,046,924 | 100.00% | ||||
투표율 | 76.06% |
3. 1. 1995년 전라남도지사 선거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주당 허경만 후보가 민주자유당 천석홍 후보를 누르고 전라남도지사에 당선되었다. 허경만 후보는 73.50%를 득표하였고, 천석홍 후보는 26.49%를 득표하였다.1995년 전라남도지사 선거 | ||||||
---|---|---|---|---|---|---|
정당 | 번호 | 후보자 | 득표수 | 득표율 | ||
bgcolor=""| | 민주당 | 2 | 허경만 | 769,538 | 73.50% | align=right| |
bgcolor=""| | 민주자유당 | 1 | 천석홍 | 277,386 | 26.49% | align=right| |
합계 | 1,046,924 | 100.00% | ||||
투표율 | 76.06% |
3. 2. 1998년 전라남도지사 선거
1998년 전라남도지사 선거는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일환으로 1998년 6월 4일에 실시되었다. 이 선거에서 새정치국민회의 허경만 후보가 단독 출마하여 100.0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투표율은 68.22%였다. 허경만은 1995년 7월 1일부터 1998년 6월 30일까지 전라남도지사를 역임하였고, 1998년 선거에서 재선되어 2002년 6월 30일까지 재임하였다.1998년 전라남도지사 선거 | ||||||
---|---|---|---|---|---|---|
정당 | 순위 | 후보자 | 득표수 | 득표율 | ||
bgcolor=""| | 새정치국민회의 | 1 | 허경만 | 918,300 | 100.00% | }} |
합계 | 918,300 | 100.00% | ||||
투표율 | 68.22% |
3. 3. 2002년 전라남도지사 선거
2002년 전라남도지사 선거는 새천년민주당의 박태영 후보가 57.76%의 득표율로 당선된 선거이다. 무소속 송재구 후보는 24.24%, 무소속 송하성 후보는 9.17%를 득표했다. 한나라당 황수윤 후보는 5.27%, 무소속 안수원 후보는 3.53%를 득표했다.2002년 전라남도지사 선거 | ||||||
---|---|---|---|---|---|---|
정당 | 번호 | 후보자 | 득표수 | 득표율 | ||
bgcolor=""| | 새천년민주당 | 2 | 박태영 | 563,545 | 57.76% | }} |
bgcolor=""| | 무소속 | 3 | 송재구 | 236,558 | 24.24% | |
bgcolor=""| | 무소속 | 4 | 송하성 | 89,487 | 9.17% | |
bgcolor=""| | 한나라당 (Grand National Party (1997)) | 1 | 황수윤 | 51,504 | 5.27% | }} |
bgcolor=""| | 무소속 | 5 | 안수원 | 34,439 | 3.53% | |
합계 | 975,533 | 100.00% | ||||
투표율 | 65.63% |
3. 4. 2004년 전라남도지사 보궐선거
2004년 전라남도지사 보궐선거는 박태영 전라남도지사의 사망으로 인해 치러졌다. 이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박준영 후보가 57.6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열린우리당 민화식 후보는 35.00%, 민주노동당 김선동 후보는 7.43%를 득표했다.2004년 전라남도지사 보궐선거 | ||||||
---|---|---|---|---|---|---|
정당 | 후보 번호 | 후보자 | 득표수 | 득표율 | ||
bgcolor=""| | 새천년민주당 | 4 | 박준영 | 308,299 | 57.60% | align=right| |
bgcolor=""| | 열린우리당 | 1 | 민화식 | 187,168 | 35.00% | align=right| |
bgcolor=""| | 민주노동당 | 3 | 김선동 | 39,774 | 7.43% | align=right| |
합계 | 535,241 | 100.00% | ||||
투표율 | 36.29% |
박준영은 2004년 6월 6일부터 2014년 6월 30일까지 3선 전라남도지사를 역임했다.
3. 5. 2006년 전라남도지사 선거
2006년 전라남도지사 선거는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일환으로 2006년 5월 31일에 실시되었다. 선거 결과, 민주당 박준영 후보가 67.6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열린우리당 서범석 후보는 19.19%, 민주노동당 박웅두 후보는 7.25%, 한나라당 박재순 후보는 5.85%를 득표했다.2006년 전라남도지사 선거 | ||||||
---|---|---|---|---|---|---|
정당 | 번호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bgcolor=""| | 민주당 | 3 | 박준영 | 640,894 | 67.69% | align=right| |
bgcolor=""| | 열린우리당 | 1 | 서범석 | 181,756 | 19.19% | align=right| |
bgcolor=""| | 민주노동당 | 4 | 박웅두 | 68,702 | 7.25% | align=right| |
bgcolor=""| | 한나라당 | 2 | 박재순 | 55,444 | 5.85% | align=right| |
합계 | 946,796 | 100.00% | ||||
투표율 | 64.33% |
3. 6. 2010년 전라남도지사 선거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전라남도지사 선거에서는 민주당 박준영 후보가 68.3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한나라당 김대식 후보는 13.39%, 민주노동당 박웅두 후보는 10.90%, 평화민주당 김경재 후보는 7.39%를 득표했다.2010년 전라남도지사 선거 | ||||||
---|---|---|---|---|---|---|
정당 | 번호 | 후보자 | 득표수 | 득표율 | ||
bgcolor=""| | 민주당 | 2 | 박준영 | 629,984 | 68.30% | align=right| |
bgcolor=""| | 한나라당 | 1 | 김대식 | 123,548 | 13.39% | align=right| |
bgcolor=""| | 민주노동당 | 5 | 박웅두 | 100,581 | 10.90% | align=right| |
평화민주당 | 7 | 김경재 | 68,220 | 7.39% | align=right| | |
합계 | 922,333 | 100.00% | ||||
투표율 | 64.28% |
이 선거로 3선에 성공한 박준영 지사는 2014년까지 재임하였다.
3. 7. 2014년 전라남도지사 선거
2014년에 치러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전라남도지사 선거는 새정치민주연합 이낙연 후보가 77.9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통합진보당 이성수 후보는 12.47%, 새누리당 이종효 후보는 9.55%를 득표했다.2014년 전라남도지사 선거 | ||||||
---|---|---|---|---|---|---|
정당 | 번호 | 후보자 | 득표수 | 득표율 | ||
bgcolor=""| | 새정치민주연합 | 2 | 이낙연 | 755,233 | 77.96% | }} |
bgcolor=""| | 통합진보당 | 3 | 이성수 | 120,868 | 12.47% | }} |
bgcolor=""| | 새누리당 | 1 | 이종효 | 92,549 | 9.55% | }} |
합계 | 968,650 | 100.00% | ||||
투표율 | 65.55% |
이 선거로 당선된 이낙연은 37대 전라남도지사에 취임하여 2014년 7월 1일부터 2017년 5월 12일까지 재임하였다.
3. 8. 2018년 전라남도지사 선거
2018년 전라남도지사 선거는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일환으로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되었다. 선거 결과 더불어민주당 김영록 후보가 77.0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민주평화당 민영삼 후보는 10.58%를 득표하였고, 민중당 이성수 후보는 4.90%, 바른미래당 박매호 후보는 3.84%, 정의당 노형태 후보는 3.57%를 득표하는 데 그쳤다.2018년 전라남도지사 선거 | ||||||
---|---|---|---|---|---|---|
정당 | 번호 | 후보자 | 득표수 | 득표율 | ||
bgcolor=""| | 더불어민주당 | 1 | 김영록 | 807,902 | 77.08% | align=right| |
bgcolor=""| | 민주평화당 | 4 | 민영삼 | 110,973 | 10.58% | align=right| |
bgcolor=""| | 민중당 | 6 | 이성수 | 51,410 | 4.90% | align=right| |
bgcolor=""| | 바른미래당 | 3 | 박매호 | 40,287 | 3.84% | align=right| |
bgcolor=""| | 정의당 | 5 | 노형태 | 37,433 | 3.57% | align=right| |
합계 | 1,048,005 | 100.00% | ||||
투표율 | 69.24% |
3. 9. 2022년 전라남도지사 선거
2022년 7월 1일에 실시된 제39대 전라남도지사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김영록 후보가 75.7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국민의힘 이정현 후보는 18.81%를 득표하였고, 정의당 민점기 후보는 5.44%를 득표했다.2022년 전라남도지사 선거 | ||||||
---|---|---|---|---|---|---|
정당 | 순위 | 후보자 | 득표수 | 득표율 | ||
bgcolor=""| | 더불어민주당 | 1 | 김영록 | 672,433 | 75.74% | }} |
bgcolor=""| | 국민의힘 | 2 | 이정현 | 167,020 | 18.81% | }} |
bgcolor=""| | 정의당 | 4 | 민점기 | 48,336 | 5.44% | }} |
총계 | 887,789 | 100.00% | ||||
투표율 | 58.44% |
참조
[1]
웹사이트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http://info.nec.go.k[...]
2019-10-05
[2]
서적
한국 분단 보고서 1
풀빛
1992
[3]
서적
한국 분단 보고서 1
풀빛
1992
[4]
서적
한국 분단 보고서 1
풀빛
1992
[5]
서적
한국 분단 보고서 1
풀빛
1992
[6]
설명
[7]
설명
[8]
설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