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황야의 결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야의 결투'는 존 포드 감독의 1946년 작품으로, 태평양 전쟁 종결 후 처음 기획된 서부극이다. 헨리 폰다, 빅터 매처 등이 출연하며, 와이어트 어프의 이야기를 각색하여 제작되었다. 영화는 1881년 와이어트 어프가 툼스톤의 보안관이 되어 동생의 복수를 하고, 닥 홀리데이, 클랜턴 일가와의 갈등을 다룬다. 촬영은 모뉴먼트 밸리에서 진행되었으며, 다릴 F. 자눅의 재편집으로 감독판과 극장 개봉판이 존재한다. 작품은 존 포드의 대표작으로 평가받으며, 여러 영화 감독과 평론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2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밀리언 웨이즈
    2014년 개봉한 영화 밀리언 웨이즈는 세스 맥팔레인이 감독, 제작, 각본, 주연을 맡았으며, 1882년 애리조나를 배경으로 소심한 양치기가 무법자의 아내와 사랑에 빠지는 서부 코미디 영화이다.
  • 1882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오픈 레인지
    2003년 개봉한 케빈 코스트너 감독, 주연의 서부 영화 오픈 레인지는 로런 페인의 소설 《The Open Range Men》을 원작으로, 자유로운 삶을 살아가던 개방 목축업자들이 탐욕스러운 목장주의 횡포에 맞서 싸우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 존 포드 감독 영화 - 수색자
    수색자는 1868년 텍사스 서부를 배경으로 남북 전쟁 참전 군인이 조카를 구출하기 위해 여정을 떠나는 내용을 그린 1956년 미국 서부 영화이다.
  • 존 포드 감독 영화 - 존 웨인의 기병대
    존 웨인의 기병대는 남북 전쟁 당시 그리어슨 기습 작전을 배경으로 존 포드 감독이 연출하고 존 웨인이 이끄는 북군 기병대의 활약, 갈등, 로맨스를 그린 1959년 미국 서부 영화이다.
  • 1946년 영화 - 미녀와 야수 (1946년 영화)
    장 콕토가 감독하고 조세트 데이와 장 마레가 출연한 1946년 프랑스 영화 《미녀와 야수》는 잔 마리 르 프랭스 드 보몽의 동화를 각색하여 아버지의 빚을 갚기 위해 야수의 성에 들어간 벨의 이야기를 몽환적인 분위기와 독창적인 영상미로 그려낸 작품이다.
  • 1946년 영화 - 자유만세
    자유만세는 최인규 감독이 연출하고 전창근, 최인규가 각본을 쓴 1948년 대한민국의 영화로, 일제강점기 조국 광복을 위해 헌신하는 독립운동가들의 이야기와 독립을 위한 투쟁, 그 속에서 피어나는 사랑을 감동적으로 묘사하여 장개석 주석의 휘호를 받을 정도로 큰 반향을 일으켰다.
황야의 결투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화
영화 개봉 포스터
원제My Darling Clementine
감독존 포드
각본윈스턴 밀러, 사뮤엘 G. 엥겔
원작스튜어트 N. 레이크의 소설 『와이어트 어프: 프론티어 마샬』
제작사뮤엘 G. 엥겔
제작 총지휘대릴 F. 자눅
주연헨리 폰다
린다 다넬
빅터 머추어
월터 브레넌
촬영조 매크도널드
편집도로시 스펜서, 에드워드 B. 파월
음악시릴 모크리지, 알프레드 뉴먼
제작사20세기 폭스
배급사20세기 폭스, 센트럴 영화사
개봉일
상영 시간97분 (극장 공개 버전)
104분 (비공개 시사회 버전)
언어영어
제작비2백만 달러
흥행 수익275만 달러 (미국 내 대여 수익)

2. 제작 배경

예고편


존 포드 감독의 서부극 영화 중 『역마차』와 함께 최고 걸작으로 꼽힌다. 『역마차』가 동적인 서부극이라면, 『황야의 결투』는 정적인 서부극이라는 평가가 있으며, 특히 평화롭고 한가로운 일요일 아침의 묘사가 뛰어나다는 평을 받는다.

같은 사건을 다룬 다른 영화들과 달리 액션보다는 드라마적 색채가 강하다. 무법의 도시가 평화를 되찾는 과정 속에, 동부에서 온 클레멘타인의 마음, 닥 홀리데이의 심정, 그의 연인 치와와의 답답함, 클레멘타인을 향한 와이어트 어프의 풋풋한 연정 등을 엮어 서부 개척 시대의 모습을 풍부하게 그려냈다.

실존 인물인 와이어트 어프[9]의 회고록을 바탕으로 스튜어트 나다니엘 레이크가 쓴 전기 『Wyatt Earp: Frontier Marshal』을 원작으로 한 세 번째 영화화 작품이다.[10] 존 포드는 신인 시절, 촬영소를 방문한 말년의 어프와 만나 직접 들은 이야기대로 이 작품을 만들었다고 말했지만, 실제 영화의 인물 설정과 이야기 전개는 역사적 사실과 상당한 차이가 있다.[14][15][16][17] (자세한 내용은 #원작과 각색 참고)

영화의 무대는 애리조나주 툼스톤이지만, 실제 촬영은 존 포드 서부극의 단골 촬영지인 모뉴먼트 밸리에서 이루어졌다.[18] (자세한 내용은 #촬영 참고)

『황야의 결투』는 존 포드 감독이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처음으로 기획하여 만든 영화이다.[27][28] (복원 후 첫 개봉작은 『콜레히도르 전기』[26]지만, 이는 전쟁 중에 촬영이 완료된 작품이다.) 영화 개봉 당시 극장에는 주연 배우 헨리 폰다와 빅터 매처의 복귀를 환영하는 현수막이 걸리기도 했다. 제작 과정에서 포드 감독은 소위 "포드 사단"이라 불리는 단골 엑스트라 배우들에게 소집령을 내렸는데, 일부가 응하지 않자 처음에는 불쾌해했지만, 그들이 전쟁 중 전사했거나 부상으로 참여할 수 없다는 사실을 알고 크게 실망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영화는 많은 등장인물이 소중한 사람을 잃는 상실감을 그린다. 동생들을 잃는 와이어트, 연인을 잃는 닥 홀리데이, 아들들을 모두 잃는 올드 맨 클랜턴, 약혼자를 잃는 클레멘타인 등이 그렇다. 이러한 상실감과 함께, 치안이 회복된 것에 감사하는 주민들이나 교회 건설을 위한 댄스 파티에서 환희에 찬 모습 등 밝고 평화로운 장면들도 정성껏 묘사된다. 이 두 가지 측면이 어우러져 "많은 희생을 치르고 얻은 평화"라는 주제를 드러내며, 이는 태평양 전쟁 종결 직후라는 제작 당시의 시대적 배경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2. 1. 원작과 각색

스튜어트 N. 레이크는 와이어트 어프가 사망한 지 2년 후인 1931년에 그의 첫 전기로 알려진 『Wyatt Earp: Frontier Marshal』을 출판했다. 레이크는 1946년에 출판된 『My Darling Clementine』에서 이 이야기를 다시 다루었으며, 존 포드 감독이 이 책의 영화화 권리를 획득했다. 이 두 책은 어프 형제와 O.K. 목장 총격전, 그리고 빌리 클랜턴, 톰 맥로리, 프랭크 맥로리 등 코치스 카운티 무법자들과의 갈등을 다루고 있으나, 대부분 허구적인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총격전 자체도 레이크의 책과 영화가 나오기 전까지는 미국 대중에게 거의 알려지지 않은 사건이었다.

존 포드 감독은 무성영화 시대 초기에 자신이 소품 담당자였을 때, 와이어트 어프가 가끔 촬영장을 방문했으며 그때 O.K. 목장 총격전에 대해 직접 들은 이야기대로 영화를 만들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는 실제 역사적 사실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으며, 포드는 사실 20세기 폭스와의 계약 이행을 위해 마지못해 연출을 맡게 되었다.

한편, 와이어트 어프와 그의 마지막 부인 조세핀 어프는 말년에 조세핀과 조니 비한의 과거 관계나 와이어트와 매티 블레이록의 사실혼 관계 등 특정 사실들을 역사 기록에서 지우려고 노력했다. 그들은 레이크가 쓴 와이어트 전기에서 조세핀의 이름을 성공적으로 삭제했으며, 와이어트 사후 조세핀은 영화 제작자들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면서까지 이러한 노력을 이어갔다. 레이크는 조세핀이 자신의 글에 영향을 미치려 하고 변호사와 상담하는 등 여러 방법으로 자신을 방해하려 했다고 주장했으며, 조세핀 측은 와이어트 어프의 유산을 보호하기 위한 노력이라고 반박했다.

영화의 최종 각본은 역사적 사실과 크게 다르게 각색되어 극적인 갈등과 인물들이 추가되었다. 주요 각색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영화와 역사적 사실 비교
항목영화 속 묘사역사적 사실
클레멘타인 카터주요 인물실존하지 않음 (빅 노즈 케이트와 조세핀 어프의 특징을 합친 허구적 인물로 추정)
어프 형제의 직업명확히 묘사되지 않거나 카우보이처럼 보일 수 있음카우보이, 목동, 목축업자가 아니었음
올드 맨 클랜턴총격전 시점까지 생존하여 등장총격전 이전에 사망했으며, 어프 형제와 만난 기록도 불확실함
닥 홀리데이외과의사로 묘사됨치과의사였으며, 총격전에서 살아남음
제임스 어프막내 동생, 가장 먼저 살해당함실제로는 장남이었으며, 1926년까지 생존
조세핀 어프, 빅 노즈 케이트등장하지 않음각각 와이어트 어프와 닥 홀리데이의 중요한 사실혼 배우자였음
O.K. 목장 총격전 발생 연도1882년으로 제시실제로는 1881년 10월 26일에 발생



이 영화는 스튜어트 N. 레이크의 『Wyatt Earp: Frontier Marshal』을 원작으로 하는 세 번째 영화화 작품이다.[10] 이전에는 1934년 조지 오브라이언 주연의 『Frontier Marshal』[11]과 1939년 랜돌프 스콧 주연의 『Frontier Marshal』[12]이 있었다. 존 포드는 특히 1939년 작품을 보고 『황야의 결투』 제작을 결심했다고 알려져 있다. 1939년 작품과 『황야의 결투』는 모두 스튜어트 N. 레이크의 원작을 바탕으로 샘 헐먼이 쓴 스토리에 기반하고 있어 기본적인 줄거리가 거의 동일하며, 가공의 여성 인물 설정도 유사하다. 따라서 『황야의 결투』는 세 번째 작품이면서도 1939년 작품의 리메이크 성격이 강하다.[13]

2. 2. 촬영

영화의 주요 촬영은 애리조나주유타주의 경계에 걸쳐 있는 모뉴먼트 밸리에서 이루어졌다. 이곳은 다른 존 포드 영화에서도 자주 등장한 곳으로, 영화의 배경인 툼스톤과는 북쪽으로 약 770km 떨어진 곳이다.[3][18] 포드는 25만달러를 들여 이곳 나바호족 보호구역 내에 툼스톤 마을 세트를 건설하고 장기간 촬영을 진행했다.[19] 모뉴먼트 밸리에서의 촬영은 황량한 자연 속에 고립된 마을의 분위기를 효과적으로 담아냈다. 길 건너편이나 건물 사이에 끝없이 펼쳐지는 황야와 기암괴석, 안개나 모래먼지, 구름, 멀리서 다가오는 마차 행렬 등이 자연스럽게 화면에 담겨 현실감과 서정성을 더했다. 포드는 배경 음악 사용을 최소화하고 자연의 소리를 강조하여 이러한 효과를 높였다. 촬영 종료 후 세트는 나바호 부족 회의에 기증되었으나, 1951년에 철거되었다.

20세기 폭스의 사장 다릴 F. 자눅은 영화 시사회 후 포드의 초기 편집본이 너무 길고 약점이 있다고 판단했다. 그는 로이드 베이컨에게 새로운 장면 촬영과 함께 영화를 대폭 편집하도록 지시했으며, 약 30분 분량을 잘라내도록 했다. 이 과정에서 포드는 극장 개봉판 제작에 직접 참여하지 않았다.[29]

포드의 원래 편집본은 남아있지 않지만, "시사회 전"(pre-preview) 편집본이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UCLA) 영화 자료 보관소에서 발견되었다. 이 버전은 극장 개봉판 제작 과정 중 사내 관계자 시사회용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일반적으로는 폐기되지만 보관상의 실수로 남게 되었다. 발견은 1990년대 중반 UCLA 수업에서 학생들이 상영된 필름과 수업 내용의 차이를 발견하면서 이루어졌다.[38] 이 시사회 전 편집본(필름 1권은 소실되어 2권부터 존재)은 추가적인 장면과 대체된 음악, 다른 편집 방식을 포함하고 있어 포드의 원래 의도에 더 가까운 버전으로 여겨진다.[29] UCLA의 영화 보존가 로버트 기트는 이 버전을 바탕으로 일부 내용을 통합한 복원판을 만들기도 했다.

극장 개봉판과 시사회 전 편집본 사이에는 여러 차이점이 존재한다. 시사회 전 편집본은 도시의 치안 회복 과정과 와이어트 어프와 주민들과의 관계에 더 중점을 둔 반면, 극장 개봉판은 클랜턴 일가와의 대결을 강조하여 더 활극적이고 영웅적인 이야기로 편집되었다.[29]

극장 개봉판과 비공개 시사회판의 주요 차이점[29][31][32][33][34][35][36][37]
구분비공개 시사회판 (감독 의도 추정)극장 개봉판 (자눅/베이컨 편집)
음악배경 음악 사용 최소화주요 장면에 극적인 배경 음악 추가
상대적으로 적은 클로즈업클로즈업 컷 추가
등장인물 이름제임스 어프의 약혼자: 낸시제임스 어프의 약혼자: 코리 수
묘비 장면와이어트가 제임스의 묘를 참배 (사망 연령 20세)와이어트 묘 참배 장면 재촬영 (클로즈업 추가, 사망 연령 18세로 변경)
삭제된 장면빌리 클랜턴이 치와와를 유혹하는 장면
주민 관련 에피소드 다수 (내용 미상)
버질 어프가 빌리 클랜턴 추격 중 낙마하는 장면
호텔 앞에서 와이어트와 모건이 주민들과 작별 인사하는 장면
해당 장면들 삭제됨
대화상대적으로 긴 대화여러 장면에서 대화 축약 (예: 와이어트/닥 첫 만남, 극장 안, 클레멘타인/닥 재회, 수술 시작 전 등)
마지막 장면와이어트가 클레멘타인과 악수와이어트가 클레멘타인의 뺨에 키스하는 장면 추가 (스튜디오 추가 촬영)



과거 일본에서는 극장에서 비공개 시사회판이 상영된 적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이로 인해 영화 팬들 사이에서 마지막 장면의 키스 유무나 존 아이얼랜드가 연기한 빌리 클랜턴을 추격하던 버질 어프의 낙마 장면 존재 여부에 대한 기억 차이로 혼란이 있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38]

3. 등장인물



영화의 최종 각본은 역사적 사실과 상당히 다르게 각색되어 추가적인 극적 갈등과 인물을 만들어냈다. 예를 들어, 클레멘타인 카터는 실존 인물이 아니며, 이 각본에서는 빅 노즈 케이트와 조세핀 어프를 합쳐 만든 인물처럼 보인다. 또한 어프 형제는 카우보이나 목축업자가 아니었다. 이처럼 영화의 중요한 줄거리 장치와 주요 등장인물에 대한 개인적인 세부 사항은 자유롭게 각색되었다.

올드 맨 클랜턴은 실제로는 총격전이 일어나기 전에 사망했으며, 어프 형제와 만난 적이 없을 가능성이 높다. 닥 홀리데이는 외과의가 아니라 치과의사였고, 총격전에서 살아남았다. 영화에서 막내 동생으로 그려지며 가장 먼저 죽는 제임스 어프는 실제로는 장남이었으며 1926년까지 생존했다. 와이어트의 사실혼 배우자 조세핀과 닥 홀리데이의 사실혼 배우자 빅 노즈 케이트는 원작 이야기와 영화 모두에서 제외되었다. 영화는 총격전이 1882년에 일어난 것으로 제시하지만, 실제 발생 연도는 1881년이다.

3. 1. 주요 인물


  • 헨리 폰다 - 와이어트 어프 역: 전직 보안관. 동생 제임스가 클랜턴 일가에게 살해당하자 복수를 위해 무법천지인 툼스톤의 보안관직을 맡는다. 마을의 질서를 회복하려 노력하며, 닥 홀리데이와 복잡한 우정을 나눈다. 툼스톤에 온 클레멘타인 카터에게 호감을 느끼고 어색하게 구애한다. 클랜턴 일가와의 최후의 결전인 O.K. 목장 총격전을 이끈다.[9]
  • 빅터 매튜어 - 닥 홀리데이 역: 결핵을 앓고 있는 전직 외과의사이자 도박사, 총잡이. 냉소적이고 성급한 성격이지만 와이어트 어프와는 미묘한 우정을 형성한다. 옛 연인 클레멘타인이 찾아오자 자신의 처지 때문에 그녀를 밀어내려 한다. 치와와와 연인 관계이다. 영화에서는 O.K. 목장 총격전에서 사망하는 것으로 그려진다.
  • 캐시 다운스 - 클레멘타인 카터 역: 닥 홀리데이의 옛 연인으로, 그를 찾아 보스턴에서 툼스톤까지 온다. 단정하고 교양 있는 여성으로, 무법적인 서부 마을과 대조를 이룬다. 닥에게 거절당하지만 마을에 남아 학교 교사로 새로운 삶을 시작하려 하며, 와이어트 어프와 점차 가까워진다. 실제 역사에는 없는, 영화를 위해 창조된 인물이다.
  • 린다 다넬 - 치와와 역: 닥 홀리데이의 현재 연인이자 술집 가수. 열정적이고 다혈질적인 성격으로, 닥을 사이에 두고 클레멘타인과 갈등한다. 와이어트 어프의 동생 제임스가 살해당했을 때 빼앗긴 은십자가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사건의 실마리를 제공한다. 빌리 클랜턴에게 총을 맞고 닥의 수술에도 불구하고 결국 사망한다.
  • 월터 브레넌 - 올드 맨 클랜턴 역: 클랜턴 일가의 가장으로, 소도둑질을 일삼는 무법자. 어프 형제가 소 판매를 거절하자 앙심을 품고 그들의 소를 훔치고 제임스 어프를 살해하는 데 관여한 것으로 보인다. 아들 빌리가 죽자 버질 어프를 등 뒤에서 비겁하게 살해한다. O.K. 목장 총격전에서 아들들과 함께 사망한다. 실제 역사에서는 총격전 이전에 사망했다.
  • 팀 홀트 - 버질 어프 역: 와이어트의 형. 동생들과 함께 툼스톤에 왔다가 보안관이 된 와이어트를 돕는다. 빌리 클랜턴을 추격하다가 올드 맨 클랜턴에게 살해당한다.
  • 워드 본드 - 모건 어프 역: 와이어트의 형. 형제들과 함께하며 와이어트를 돕는다. O.K. 목장 총격전에서 살아남아 서쪽으로 떠난다.
  • 돈 가너 - 제임스 어프 역: 어프 형제의 막내. 형들이 툼스톤에 간 사이 소떼를 지키다가 클랜턴 일가에게 살해당한다. 그의 죽음이 와이어트가 보안관이 되는 계기가 된다. 실제 역사에서는 장남이었고 오래 살았다.
  • 존 아일랜드 - 빌리 클랜턴 역: 올드 맨 클랜턴의 아들. 치와와에게 제임스 어프의 은십자가를 주었으며, 이 사실이 발각되자 치와와를 쏘고 도망치다가 와이어트에게 부상을 입고 결국 사망한다.
  • 그랜트 위더스 - 이크 클랜턴 역: 올드 맨 클랜턴의 아들. O.K. 목장 총격전에서 사망한다.
  • 앨런 모브레이 - 그랜빌 손디크 역: 툼스톤에 순회공연을 온 셰익스피어 배우. 클랜턴 일가에게 붙잡혀 억지로 연기를 하기도 한다.
  • 로이 로버츠 - 시장 역: 툼스톤의 시장. 와이어트 어프에게 보안관직을 제안한다.
  • 제인 다웰 - 케이트 넬슨 역
  • J. 패럴 맥도널드 - 맥 역: 술집 바텐더.
  • 러셀 심슨 - 존 심슨 역: 툼스톤의 주민. 교회 건설을 주도한다.
  • 찰스 스티븐스 - 인디언 찰리 역: 술에 취해 총을 난사하다 와이어트에게 제압당하는 인물. (크레딧에는 미등장)[20]

3. 2. 조연


  • 팀 홀트 - '''버질 어프''' 역: 와이어트 어프의 형. 빌리 클랜턴을 추격하다 클랜턴의 집 앞에서 올드 맨 클랜턴에게 등 뒤에서 총을 맞고 살해당한다. 그의 시신은 클랜턴 일당에 의해 길거리에 버려지며 O.K. 목장 총격전의 직접적인 계기가 된다.
  • 워드 본드 - '''모건 어프''' 역: 와이어트 어프의 형. 형제들과 함께 툼스톤에 정착하여 와이어트를 돕는다. O.K. 목장 총격전에도 참여한다. 총격전 이후 법 집행관직을 그만두고 서쪽으로 떠난다.
  • 돈 가너(Don Garner) - '''제임스 어프''' 역: 와이어트 어프의 막내 동생. 영화 초반, 형들이 툼스톤에 간 사이 홀로 소떼를 지키다가 클랜턴 일당에게 살해당한다. 그가 약혼녀에게 주려던 은십자가 목걸이는 이후 치와와를 통해 발견되어 사건 해결의 중요한 단서가 된다. 실제 역사 속 제임스 어프는 장남이었으며 일찍 사망하지 않았다.
  • 존 아일랜드 - '''빌리 클랜턴''' 역: 클랜턴 가문의 일원. 제임스 어프의 은십자가를 훔쳐 치와와에게 주었다. 이 사실이 와이어트에게 발각되자 치와와를 총으로 쏘고 도망치다가 와이어트에게 부상을 입는다. 버질 어프에게 추격당한 끝에 클랜턴의 집 앞에서 상처로 인해 사망한다.
  • 앨런 모브레이 - '''그랜빌 손다이크''' 역: 툼스톤에 순회공연을 온 셰익스피어 배우. 클랜턴 일당에게 납치되어 술집에서 강제로 햄릿 연기를 하던 중, 닥 홀리데이가 그의 대사를 이어서 읊어주는 도움을 받는다. 마을을 떠날 때 조지프 애디슨의 시 ''캠페인''의 구절을 인용하며 인상적인 작별 인사를 남긴다.

4. 줄거리

1881년 가을, 와이어트, 모건, 버질, 그리고 제임스 어프 네 형제는 소떼를 몰고 캘리포니아로 향하던 중, 황야에서 올드 맨 클랜턴과 그의 아들들을 만난다. 클랜턴은 소를 팔라고 집요하게 권유하지만, 어프 형제는 이를 거절한다. 근처에 툼스톤이라는 마을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된 형제들은 막내 제임스에게 소떼를 맡기고 툼스톤으로 향한다.

왼쪽부터 모건, 와이어트, 버질


밤인데도 소란스러운 툼스톤에 도착한 세 형제는 이발소에 들른다. 그때 총성이 울리며 만취한 인디언 찰리[20]가 총을 난사하며 난동을 부린다. 기존 보안관은 겁을 먹고 사임하고, 와이어트가 나서서 찰리를 제압한다. 마을 시장은 와이어트에게 보안관직을 제안하지만, 그는 거절한다.

형제들이 야영지로 돌아왔을 때, 소떼는 사라지고 막내 제임스는 살해된 채 발견된다. 복수를 다짐한 와이어트는 툼스톤으로 돌아가 보안관직을 수락한다. 그의 형 모건과 버질도 합류한다. 와이어트는 마을 호텔에서 클랜턴 일가와 마주치고, 보안관이 되었음을 알리며 긴장감을 조성한다.

술집에서


보안관이 된 와이어트는 클랜턴 일당을 의심하며 소 도난 사건을 조사하는 한편, 마을의 질서를 유지하려 애쓴다. 이 과정에서 그는 폐병을 앓고 있는 옛 친구이자 악명 높은 도박꾼인 닥 홀리데이와 마주친다. 닥의 연인인 술집 가수 치와와는 와이어트에게 적대감을 드러내지만, 와이어트와 닥은 미묘한 긴장 관계 속에서 서로를 견제한다.

어느 날, 역마차가 도착하고 닥의 옛 연인인 클레멘타인 카터가 보스턴에서 그를 찾아 툼스톤에 온다. 그녀는 와이어트와 닥이 머무는 호텔에 방을 얻는다. 닥은 자신의 병과 어두운 과거 때문에 클레멘타인을 냉담하게 대하며 떠나라고 요구한다. 클레멘타인이 남기를 선택하자, 닥은 애리조나 투손으로 떠나버린다. 클레멘타인에게 호감을 느끼던 와이어트는 그녀에게 서툴게 다가간다.

일요일 아침의 교회


닥이 떠나자 치와와는 클레멘타인에게 분노를 터뜨리며 다투고, 이를 말리던 와이어트는 치와와의 목에 걸린 은십자가 목걸이를 발견한다. 그것은 제임스가 살해당하던 날 가지고 있던 유품이었다. 치와와는 처음에는 닥이 준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와이어트가 투손까지 닥을 쫓아가 추궁하자 결국 빌리 클랜턴에게서 받은 것이라고 실토한다. 그 순간, 창밖에서 빌리가 치와와를 총으로 쏘고 달아난다. 와이어트는 도망치는 빌리에게 총을 쏘아 부상을 입히고, 버질에게 추격을 명령한다.

닥은 클레멘타인의 도움을 받아 중상을 입은 치와와를 응급 수술한다. 한편, 클랜턴의 집까지 빌리를 추격한 버질은 부상으로 숨진 빌리를 발견한다. 버질이 조의를 표하고 돌아서는 순간, 올드 맨 클랜턴이 등 뒤에서 총을 쏘아 버질을 살해한다.

클랜턴 일당은 버질의 시체를 툼스톤 거리로 던지며 OK 목장[24]에서 결투를 벌이겠다고 선언한다. 수술에도 불구하고 치와와는 결국 숨을 거둔다. 모든 것을 잃은 닥은 와이어트, 모건과 함께 클랜턴 일당과의 결투에 나서기로 결심한다.

다음 날 새벽, 와이어트, 모건, 닥 홀리데이는 OK 목장[24]으로 향한다. 치열한 총격전 끝에 클랜턴 일당은 모두 사살되고, 닥 홀리데이 역시 총에 맞아 숨을 거둔다.

결투 후, 와이어트와 모건은 보안관 배지를 내려놓는다. 모건은 마차를 타고 서쪽으로 떠나고, 와이어트는 학교 교사가 된 클레멘타인에게 작별 인사를 한다. 그는 언젠가 돌아오겠다고 약속하며 "부인, 그 이름이 정말 마음에 드네요... 클레멘타인"이라고 말한 뒤 말을 타고 떠난다.

5. OK 목장의 결투

1881년 가을, 애리조나주 툼스톤 근처에서 소떼를 몰고 캘리포니아로 향하던 와이어트 어프와 그의 형제들(모건, 버질, 제임스 어프)은 그 지역을 장악하고 있던 무법자 올드 맨 클랜턴과 그의 아들들과 마주친다. 클랜턴 일당은 어프 형제의 소떼를 노렸으나 거래는 성사되지 않았다. 어프 형제는 잠시 툼스톤을 둘러보기 위해 막내 제임스에게 소떼를 맡기고 마을로 향한다. 보안관도 없이 무법천지인 툼스톤에서 와이어트는 술 취해 총을 쏘는 인디언에게 유일하게 맞서는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형제들이 캠프로 돌아왔을 때, 소떼는 도난당했고 제임스는 살해된 채 발견된다.

동생의 복수를 위해 와이어트는 툼스톤의 보안관직을 맡는다. 그는 폐병을 앓고 있는 친구이자 성급한 성격의 총잡이 닥 홀리데이와 재회하고, 악명 높은 클랜턴 일당과 여러 차례 충돌한다. 이 무렵, 닥의 옛 연인인 클레멘타인 카터가 보스턴에서 그를 찾아 툼스톤에 도착하고, 와이어트와 닥이 머무는 호텔에 방을 얻는다. 닥은 클레멘타인의 등장을 불편해하며 그녀에게 떠나라고 요구하지만, 클레멘타인은 남기를 선택하고 닥은 투손으로 떠나버린다. 한편, 닥의 현재 연인인 라틴계 가수 치와와는 와이어트가 제임스의 시신에서 사라졌던 은십자가를 하고 있는 것을 발견한다. 치와와는 닥에게서 받은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와이어트는 닥을 추궁하기 위해 투손으로 향한다.

와이어트는 닥과 대면하여 총격 끝에 그의 총을 떨어뜨리고 함께 툼스톤으로 돌아온다. 추궁 끝에 치와와는 사실 빌리 클랜턴에게 은십자가를 받았다고 실토한다. 바로 그 순간, 창밖에서 빌리가 쏜 총에 치와와가 맞고 쓰러진다. 빌리는 말을 타고 도망치지만 와이어트의 총에 부상을 입는다. 와이어트는 형 버질에게 빌리를 추격하라고 지시하고, 버질은 클랜턴의 집까지 쫓아가지만 이미 빌리는 상처로 죽어 있었다. 버질이 조의를 표하고 돌아서는 순간, 올드 맨 클랜턴이 등 뒤에서 그를 쏘아 살해한다.

OK 목장의 결투


마을에서는 닥 홀리데이가 마지못해 치와와의 총상을 수술하고, 클레멘타인이 그를 돕는다. 수술은 성공적으로 보였으나, 클랜턴 일당이 버질의 시신을 길에 내던지며 OK 목장(OK Corral)[24]에서 결투를 벌이자는 선언을 하고 사라진다. 얼마 지나지 않아 치와와는 결국 숨을 거둔다. 친구의 죽음과 연인의 죽음을 겪은 닥은 복수를 위해 어프 형제와 함께하기로 결심하며 샷건을 든다.

다음 날 새벽, 와이어트, 모건, 그리고 닥 홀리데이는 OK 목장으로 향한다. 와이어트는 클랜턴 일당에게 자수를 권고하지만 올드 맨 클랜턴은 이를 거부하며 제임스와 버질 모두 자신이 죽였다고 소리친다. 역마차가 지나가며 일으킨 흙먼지를 신호탄 삼아, OK 목장의 결투가 시작된다. 치열한 총격전 끝에 클랜턴의 아들들은 모두 쓰러지고, 닥 홀리데이 역시 기침 발작 중에 총을 맞고 숨을 거둔다. 홀로 남은 올드 맨 클랜턴은 항복하지만, 와이어트는 그를 죽이지 않고 동생들을 잃은 고통을 안고 살아가라며 마을을 떠나라고 명령한다. 그러나 올드 맨 클랜턴이 떠나는 척하다 숨겨둔 총을 꺼내려 하자, 모건이 그를 쏘아 사살한다. 싸움은 끝나고, 울타리 옆에는 닥의 시신만이 남았다.[25]

결투 후, 와이어트와 모건은 보안관직을 사임한다. 모건은 마차를 타고 서쪽으로 떠나고, 와이어트는 학교 선생이 된 클레멘타인에게 작별 인사를 하며 언젠가 돌아올 것을 암시한다. 그는 "부인, 그 이름이 정말 마음에 드네요... 클레멘타인"이라고 중얼거리며 말을 타고 떠난다.

6. 평가 및 영향

존 포드 감독의 대표적인 서부극 중 하나로, 그가 연출한 많은 우수 서부극 중에서도 대전 전의 역마차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걸작으로 꼽힌다. 『역마차』가 (動)적인 서부극이라면, 『황야의 결투』는 (靜)적인 서부극이라는 평가도 있다. 서부 역사상 유명한 OK 목장의 결투를 다루지만, 역사적 사실과는 다르게 자유롭게 구성되었다.

이 영화는 일반적으로 존 포드가 만든 최고의 서부극 중 하나이자 그의 최고 작품 중 하나로 여겨진다. 로튼 토마토에서는 32개의 평론을 바탕으로 100%의 신선도 지수와 평균 8.80/10점을 기록했다. 사이트의 비평가 합의는 "영리하고 차분하게 자신감 있는 '내 사랑 클레멘타인'은 와이어트 어프 전설의 확실한 극화로, 가볍고 산뜻한 스타일로 목표를 명중시킨다."고 요약한다.

개봉 당시 뉴욕 타임스의 보슬리 크로우더는 이 영화를 극찬하며 "저명한 감독 존 포드는 영화계에서 서부극을 다루는 능력이 누구보다 뛰어난 사람"이라며, 7년 전의 스테이지코치에 필적하는 작품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영화의 "훌륭한 감각과 신비롭게 매혹적인 분위기", "예리하고 민감한 눈"으로 포착한 영상미, 특히 광활한 평원에서 느껴지는 그림 같은 권위를 높이 샀다. 반면 ''버라이어티''는 존 포드 특유의 연출 스타일(그림자 같은 조명, 부드럽게 대조되는 분위기, 절제된 속도)이 영화에 명확히 드러나지만, 때때로 예술적 효과를 위해 스타일을 과도하게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시간이 흘러서도 평가는 높다. 영화 평론가 로저 에버트는 개봉 50주년을 맞아 이 영화를 자신의 위대한 영화들 목록에 포함시키며, "모든 서부극 중 가장 달콤하고 선량한 영화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 그는 총격전보다 와이어트 어프(헨리 폰다)와 클레멘타인(캐시 다운스)의 로맨스를 중심으로 다룬 점이 독특하다고 언급했다. 2004년 매트 베일리는 "만약 모든 찬사를 받을 만한 영화가 있다면, 그것은 존 포드의 '내 사랑 클레멘타인'"이라며, "풍부하고 장대한 장르에서 가장 훌륭한 업적"이자 "부인할 수 없는 진정한 고전"이라고 극찬했다. 영국 영화 연구소의 2012년 ''사이트 앤 사운드'' 설문 조사에서는 7명의 평론가와 5명의 감독이 이 영화를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영화 10편 중 하나로 꼽았다.[5]

영화는 액션보다는 드라마적인 색채가 강하며, 무법의 도시가 평화를 찾아가는 과정 속에서 인물들의 심리를 섬세하게 묘사한다. 와이어트 어프와 클레멘타인의 풋풋한 감정, 닥터 홀리데이(빅터 머추어)와 그의 연인 치와와(린다 다넬)의 관계 등이 서부 개척 시대의 풍경과 어우러져 깊이 있는 드라마를 만들어낸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평화롭고 한가로운 '일요일 아침' 장면의 묘사는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는다. 촬영지인 모뉴먼트 밸리의 광활한 풍경을 배경으로[18][19], 절제된 배경 음악과 자연의 소리를 활용하여 서정적이면서도 현실감 있는 분위기를 효과적으로 연출했다는 점도 높이 평가받는다. 또한 작중 인물들이 겪는 상실감(형제를 잃은 와이어트, 연인을 잃은 클레멘타인 등)과 공동체의 회복(교회 건설, 댄스 파티)이라는 주제는 제2차 세계 대전 직후라는 시대적 배경과 맞물려 "희생을 통해 얻어진 평화"라는 메시지를 전달하며 깊은 울림을 준다는 해석도 있다.

많은 영화 감독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샘 페킨파 감독은 이 영화를 가장 좋아하는 서부극으로 꼽았으며, 자신의 작품인 메이저 던디(1965)와 와일드 번치(1969) 등에서 이 영화에 대한 경의를 표했다. 일본의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4][40]구로사와 아키라 감독[8] 역시 이 영화를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영화 중 하나로 언급했다. 구로사와는 "영화의 모범과 같은 작품"이라고 극찬했다.[8] 마이클 만 감독은 2012년 이 영화를 자신의 10대 영화 중 하나로 선정하며 "서부극 장르에서 아마도 가장 훌륭한 드라마"이며 촬영과 편집이 "거의 완벽에 가깝다"고 평했다.[6] 일본의 후카사쿠 긴지 감독은 샘 페킨파의 작품을 더 선호한다고 밝혔음에도 이 영화를 높이 평가했으며,[41] 배우 야마시로 신고는 자신이 죽을 때 관에 넣고 싶은 영화 DVD로 이 작품을 꼽기도 했다.[42]

해리 S. 트루먼 미국 대통령이 가장 좋아했던 영화로도 알려져 있다.[7]

참조

[1] 雑誌 60 Top Grossers of 1946 https://archive.org/[...] Variety 1947-01-08
[2] 書籍 Twentieth Century-Fox: A Corporate and Financial Histor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02
[3] 웹사이트 Google Maps https://www.google.c[...]
[4] 웹사이트 Hayao Miyazaki named his 10 favourite films of all time https://faroutmagazi[...] 2022-11-18
[5] 웹사이트 Votes for My Darling Clementine (1946) http://www.bfi.org.u[...] British Film Institute 2016-02-21
[6] 웹사이트 Michael Mann | BFI https://www2.bfi.org[...]
[7] 잡지 All the Presidents' (Favorite) Movies https://ew.com/artic[...] Meredith Corporation 2019-03-07
[8] 웹사이트 From Stanley Kubrick to Martin Scorsese: Akira Kurosawa once named his top 100 favourite films of all time https://faroutmagazi[...] 2023-01-23
[9] 문서 記録に残っている最初のアープ映画は、ワイアットの死後3年目に作られた、Law and Order(1932)邦題『死の拳銃狩』。
[10] 문서 『荒野の決闘』でモーガン・アープを演じたワード・ボンドは、役柄はそれぞれ違うが3作品全部に出演している。
[11] 문서 ジョゼフィン・アープが実名の使用を禁じたため、役名がマイケル・ワイアット、ドク・ウォーレンなどと変更されている。
[12] 문서 「ワイアット・アープ」という実名が初めて使用された映画。
[13] 문서 Powder River(1953)邦題『パウダーリバーの対決』も、レイクの原作をもとにヘルマンの書いた『荒野の決闘』と同じストーリーによって作られている。
[14] 문서 『荒野の決闘』ではクラントン一家VSアープ兄弟という図式で描かれているが、史実では、本作の敵役のボスであるオールド・マン・クラントンは決闘の二ヶ月前に亡くなっている。
[15] 문서 クライマックスに決闘を持ってくるストーリー形式はジョン・スタージェス監督の『OK牧場の決斗』でも踏襲されているが、史実では順番が逆。
[16] 문서 史実のアープ兄弟は結構な人数である。長男ニュートン(異母兄弟でガンファイトなどとは縁の無い地道な生涯を送った)、次男ジェームズ、三男バージル、長女マーサ、四男ワイアット、五男モーガン、六男ウォーレン、次女バージニア、三女アデリアの順らしい。
[17] 문서 史実のドク・ホリディは歯科医。OKコラル近くの写真館前での撃ちあいでも生き残っている。
[18] 문서 フォードがモニュメントバレーを自作のロケ地に使用し始めたのは『駅馬車』からで『荒野の決闘』はそれに続くモニュメントバレーロケ作品となる。
[19] 문서 フォードが西部劇を作る際、毎回モニュメントバレーで長期ロケを行うのには別の理由もある。彼は、現地のナバホ族をエキストラとして雇うことや、撮影隊自体の消費等で、ネイティブアメリカンの住民たちへ経済的効果をもたらすことを視野に入れていた。
[20] 문서 インディアン・チャーリーは、実在の無法者。決闘の翌年、モーガン・アープがビリヤード中に外の通りから窓越しに散弾銃で撃たれて殺害された事件にも関与したとされている。
[21] 문서 この曲はオープニングのタイトルバックコーラスでも「いとしのクレメンタイン」の間奏曲として使用されている。
[22] 문서 非公開試写版でも劇場公開版でもこの場面が「歩道上に持ち出した椅子」の初登場シーンである。
[23] 문서 このシーンでワイアットが「君が人を追い出すのはこの三日間で二人目だが……」という台詞をいう。
[24] 문서 慣例的に「OK牧場」と訳されているが、coralは牧場ではない。
[25] 문서 非公開試写版ではここでワイアットが"I'll take his boots."と言い、町長とシンプソン氏がカットインしてくる。
[26] 문서 フォードはMGMに対し『コレヒドール戦記』のギャラとして史上最高額を要求し、その全額を自分と共に従軍した人々の為のクラブハウス建設費用に当てた。
[27] 문서 日本が降伏文書に調印したのが、1945年9月2日。フォードがザナックに本作の企画を呈示したのが、1945年11月1日。
[28] 문서 1939年の『駅馬車』以来、7年ぶりの本格西部劇でもあった。
[29] 문서 フォードオリジナルのディレクターズカットは、おそらくこの世に残っていない。劇場公開版は、ディレクターズカットから合計30分に及ぶ映像が削除されている。
[30] 문서 この直後にフォードは製作から抜けている。
[31] 문서 非公開試写版は基本的にBGMを使用していない。
[32] 문서 より西部らしい名前に変えた。
[33] 문서 より幼くして殺害されたことにして悲劇性を強調しようとした。
[34] 문서 これは真犯人判明の時の重要な伏線になるシーンなのだが、劇場公開版ではカットされている。
[35] 문서 このシーンは劇場公開版では削除されているが、劇場用の予告編では使用されている。
[36] 문서 20세기 폭스 특별판 DVD 해설에 대한 반박 및 클레멘타인의 방 추론
[37] 문서 미공개 시사회판 엔딩에 대한 설명
[38] 문서 당시 영화 정보 접근의 어려움
[39] 웹사이트 風と共に去りぬ(MGMリバイバル①) http://ambayassy.blo[...] チラシの手帖 2020-08-12
[40] 서적 2001年映画の旅―ぼくが選んだ20世紀洋画・邦画ベスト200 文藝春秋 2000-12-01
[41] 서적 映画監督 深作欣二 ワイズ出版 2003-07-12
[42] 뉴스 야지우마 플러스 보도 내용 https://web.archive.[...] 2009-08-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