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황혜영 (배드민턴 선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혜영은 대한민국의 배드민턴 선수로, 1988년 하계 올림픽 여자 단식 시범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1992년 하계 올림픽 여자 복식에서 정소영과 함께 금메달을 획득하며 대한민국 배드민턴 역사에 기여했다. 세계 선수권 대회, 월드컵, 아시안 게임, 아시아 선수권 대회, 아시안컵, IBF 월드 그랑프리 등 다양한 국제 대회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증평여자중학교 동문 - 김혜정 (1983년)
    김혜정(1983년)은 1997년 등단 후 《하이킹 걸즈》로 블루픽션상을 수상하며 본격적인 작가 활동을 시작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동화 작가로, 청소년 소설에 관심을 갖고 다양한 작품을 발표하며 강연회를 통해 청소년들과 소통하고 있다.
  • 증평초등학교 동문 - 송진우 (야구인)
    송진우는 동국대학교를 졸업하고 한화 이글스에서 선수 생활을 했으며, KBO 리그 통산 최다승, 최다 패전 기록을 보유하고 2000년 노히트 노런을 기록한 야구 선수이자 코치이다.
  • 증평초등학교 동문 - 김혜정 (1983년)
    김혜정(1983년)은 1997년 등단 후 《하이킹 걸즈》로 블루픽션상을 수상하며 본격적인 작가 활동을 시작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동화 작가로, 청소년 소설에 관심을 갖고 다양한 작품을 발표하며 강연회를 통해 청소년들과 소통하고 있다.
황혜영 (배드민턴 선수) - [인물]에 관한 문서
선수 정보
이름황혜영
로마자 표기Hwang Hye-yeong
한글 표기황혜영
한자 표기黃惠英
출생일1966년 7월 16일
출생지충청북도 괴산군 증평군
거주지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신장1.7m
체중48kg
종목여자 복식, 혼합 복식
국가대한민국
잡는 손오른손
코치알 수 없음
최고 랭킹알 수 없음
선수 활동알 수 없음
메달 기록
올림픽금메달, 1992 바르셀로나, 여자 복식
세계 선수권 대회은메달, 1989 자카르타, 여자 복식
동메달, 1987 베이징, 여자 복식
동메달, 1991 코펜하겐, 여자 복식
배드민턴 월드컵금메달, 1991 마카오, 여자 복식
은메달, 1989 광저우, 여자 복식
동메달, 1986 반둥-자카르타, 여자 단식
동메달, 1988 방콕, 여자 단식
동메달, 1986 반둥-자카르타, 여자 복식
동메달, 1987 쿠알라룸푸르, 여자 복식
동메달, 1990 반둥-자카르타, 여자 복식
동메달, 1991 마카오, 혼합 복식
수디르만 컵금메달, 1991 코펜하겐, 혼성 단체전
은메달, 1989 자카르타, 혼성 단체전
우버 컵은메달, 1988 쿠알라룸푸르, 여자 단체전
은메달, 1990 나고야-도쿄, 여자 단체전
은메달, 1992 쿠알라룸푸르, 여자 단체전
아시안 게임동메달, 1986 서울, 여자 단식
동메달, 1986 서울, 여자 단체전
동메달, 1990 베이징, 여자 단체전
아시아 선수권 대회금메달, 1991 쿠알라룸푸르, 여자 복식
은메달, 1985 쿠알라룸푸르, 여자 복식
아시아 컵금메달, 1991 자카르타, 여자 복식
기타 정보
활동 연도알 수 없음
이전 소속팀동일방직, 대전동구청
은퇴1992년

2. 선수 경력

황혜영은 1988년 서울 올림픽 배드민턴 여자 단식 시범 경기와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배드민턴 여자 복식에서 정소영 선수와 함께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세계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 여자 복식에서는 1987년, 1989년, 1991년 대회에 참가하여 각각 동메달, 은메달,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배드민턴 월드컵에서는 1986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월드컵과 1988년 태국 방콕 월드컵 여자 단식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여자 복식에서는 정명희와 함께 1986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1987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월드컵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정소영과는 1989년 중국 광저우 월드컵 은메달, 1990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월드컵 동메달, 1991년 마카오 월드컵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1991년 마카오 월드컵에서는 김학균과 함께 혼합 복식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 배드민턴 여자 단식에서 -- 동메달을 획득했다.[1]

아시아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에서는 정소영과 함께 1985년 여자 복식 은메달, 1991년 여자 복식 금메달을 획득하였다.[1]

1991년 배드민턴 아시안컵 여자 복식에서 정소영과 함께 일본의 모리 히사코, 진나이 기미코 조를 15-13, 15-1로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다.[1]

국제 배드민턴 연맹(IBF)이 1983년부터 2006년까지 주관한 월드 그랑프리 대회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여자 단식에서는 1988년 프랑스 오픈 우승을 포함하여 3번의 준우승을 차지했고, 여자 복식에서는 정명희 선수와 함께 1986년, 1987년, 1990년, 1991년 전영 오픈 우승을 포함하여 총 16번의 우승과 10번의 준우승을 기록했다. 혼합 복식에서는 김학균 선수와 함께 1989년 중국 오픈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2. 1. 올림픽

1988년 서울 올림픽 배드민턴 여자 단식 시범 경기와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배드민턴 여자 복식에서 정소영 선수와 함께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2. 1. 1. 올림픽 여자 단식

서울, 대한민국 한아이핑1–11, 11–8, 11–6
금메달


2. 1. 2. 올림픽 여자 복식

농췬화18–16, 12–15, 15–13-- 금메달


2. 2. 세계 선수권 대회

황혜영은 세계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 여자 복식에서 1987년, 1989년, 1991년 대회에 참가하여 각각 동메달, 은메달,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2. 2. 1. 세계 선수권 대회 여자 복식

리링웨이6–15, 15–6, 11–15
동메달
동메달1989자카르타, 인도네시아정명희관웨이전
린잉1–15, 7–15
은메달
은메달1991코펜하겐, 덴마크정소영관웨이전
눙췬화7–15, 8–15-- 동메달


2. 3. 월드컵

황혜영은 1986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월드컵과 1988년 태국 방콕 월드컵 여자 단식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1986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월드컵 여자 복식에서 정명희와 함께 출전하여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1987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월드컵에서도 정명희와 함께 여자 복식 동메달을 획득했다. 1989년 중국 광저우 월드컵에서는 정소영과 함께 여자 복식 은메달을 획득했다.

1990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월드컵 여자 복식에서 정소영과 함께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1991년 마카오 월드컵에서는 정소영과 함께 여자 복식 금메달을, 김학균과 함께 혼합 복식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2. 3. 1. 월드컵 여자 단식

연도개최지상대점수결과
1986이스토라 세나얀, 자카르타, 인도네시아한아이핑|한애평중국어12–10, 4–11, 4–11-- 동메달
1988국립 경기장, 방콕, 태국한아이핑|한애평중국어11–4, 1–11, 1–11-- 동메달


2. 4. 아시안 게임

황혜영은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 배드민턴 여자 단식에서 -- 동메달을 획득했다.[1]

2. 4. 1. 아시안 게임 여자 단식

여자 단식
년도개최지상대 선수점수결과
1986서울 올림픽 체조 경기장李玲蔚|리링웨이중국어6–11, 7–11-- 동메달


2. 5. 아시아 선수권 대회

황혜영은 1985년과 1991년에 정소영과 함께 아시아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 여자 복식에 출전하여 각각 은메달과 금메달을 획득하였다.[1]

2. 5. 1. 아시아 선수권 대회 여자 복식

여자 복식
연도개최지파트너상대점수결과
1985스타디움 네가라,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정소영김윤자
유상희
5–15, 4–15-- 은메달
1991체라스 실내 경기장,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정소영길영아
심은정
15–2, 13–18, 15–4-- 금메달


2. 6. 아시안컵

황혜영은 1991년 배드민턴 아시안컵 여자 복식에서 정소영과 함께 일본의 모리 히사코, 진나이 기미코 조를 15-13, 15-1로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다.[1]

2. 6. 1. 아시안컵 여자 복식

진나이 기미코15–13, 15–1-- 금메달


2. 7. IBF 월드 그랑프리

황혜영은 국제 배드민턴 연맹(IBF)이 1983년부터 2006년까지 주관한 월드 그랑프리 대회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여자 단식에서는 1988년 프랑스 오픈 우승을 포함하여 3번의 준우승을 차지했고, 여자 복식에서는 정명희 선수와 함께 1986년, 1987년, 1990년, 1991년 전영 오픈 우승을 포함하여 총 16번의 우승과 10번의 준우승을 기록했다. 혼합 복식에서는 김학균 선수와 함께 1989년 중국 오픈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2. 7. 1. IBF 월드 그랑프리 여자 단식

국제 배드민턴 연맹(IBF)이 1983년부터 2006년까지 주관한 월드 배드민턴 그랑프리에서 황혜영 선수가 여자 단식 부문에 참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도대회상대 선수점수결과
1986스칸디나비안 컵첸 핑|陈萍중국어4–11, 7–11-- 준우승
1987일본 오픈리 링웨이|李玲蔚중국어3–11, 6–11-- 준우승
1987인도네시아 오픈리 링웨이|李玲蔚중국어5–11, 6–11-- 준우승
1988프랑스 오픈구 지아밍|顾佳明중국어12–11, 11–8-- 우승


2. 7. 2. IBF 월드 그랑프리 여자 복식

유상희한국어15–5, 6–15, 15–8우승1986독일 오픈정명희한국어김윤자한국어
유상희한국어10–15, 5–15준우승1986월드 그랑프리 파이널스정명희한국어페라와티 파드린id
이바나 리에id15–10, 15–6우승1987전영 오픈정명희한국어관 웨이젠중국어
린 잉중국어15–6, 8–15, 15–11우승1987일본 오픈정명희한국어관 웨이젠중국어
린 잉중국어5–15, 6–15준우승1987중화 타이베이 오픈정명희한국어마리아 벵트손sv
크리스틴 마그누손sv14–17, 15–9, 15–4우승1987프랑스 오픈정명희한국어정소영한국어
김호자한국어4–15, 15–9, 15–7우승1987월드 그랑프리 파이널스정명희한국어관 웨이젠중국어
린 잉중국어6–15, 15–13, 4–15준우승1988전영 오픈정명희한국어정소영한국어
김윤자한국어8–15, 15–9, 기권준우승1988인도네시아 오픈정명희한국어페라와티 파드린id
얀티 쿠스미아티id6–15, 15–6, 8–15준우승1988태국 오픈정명희한국어뤄 윤중국어
스 원중국어15–7, 17–16우승1988프랑스 오픈정명희한국어정소영한국어
김윤자한국어15–9, 18–13우승1988월드 그랑프리 파이널스정명희한국어관 웨이젠중국어
린 잉중국어4–15, 9–15준우승1989스웨덴 오픈이영숙한국어정명희한국어
정소영한국어3–15, 5–15준우승1989말레이시아 오픈정소영한국어관 웨이젠중국어
린 잉중국어4–15, 4–15준우승1989태국 오픈정소영한국어관 웨이젠중국어
린 잉중국어15–5, 17–18, 9–15준우승1989홍콩 오픈정소영한국어관 웨이젠중국어
린 잉중국어4–15, 9–15준우승1990전영 오픈정명희한국어질리언 클라크영어
질리언 가우어스영어6–15, 15–4, 15–4우승1990프랑스 오픈정명희한국어페라와티 파드린id
이바나 리에id15–2, 15–1우승1991코리아 오픈정소영한국어길영아한국어
심은정한국어17–16, 17–14우승1991전영 오픈정소영한국어모리 히사코일본어
진나이 기미코일본어15–5, 15–3우승1991말레이시아 오픈정소영한국어질리언 클라크영어
네티 닐센da15–10, 15–11우승1991인도네시아 오픈정명희한국어정소영한국어
길영아한국어14–18, 15–10, 15–9우승1991태국 오픈길영아한국어엘린 코네nl
에리카 반 데르 헤우벌nl15–10, 15–6우승1991중국 오픈정소영한국어관 웨이젠중국어
농 춘화중국어15–6, 15–2우승1991홍콩 오픈길영아한국어정명희한국어
심은정한국어15–10, 15–4우승1991월드 그랑프리 파이널스정소영한국어에르마 술리스티아닝시id
로시아나 텐데안id18–15, 15–3우승1992일본 오픈정소영한국어길영아한국어
심은정한국어15–5, 15–10우승1992코리아 오픈정소영한국어길영아한국어
심은정한국어15–6, 15–7우승


참조

[1] 웹사이트 Hae-Young Hwang http://www.databaseo[...]
[2] Sports-Reference Hwang Hye-Yeong https://www.sports-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