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자고황후 (청나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효자고황후는 청나라 태종 홍타이지의 어머니이자 후금의 초대 황제 누르하치의 측실이다. 해서여진 예허부의 국주 양기누의 딸로, 1588년 누르하치에게 시집와 홍타이지를 낳았다. 1603년 29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누르하치는 그녀를 위해 순장과 제사를 지냈다. 1636년 홍타이지가 청나라를 건국하고 황제로 즉위하면서 효자무황후로 추존되었으며, 이후 효자고황후로 개칭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명제 - 순치제
청나라의 제3대 황제인 순치제는 6세에 즉위하여 도르곤의 섭정을 받다가 친정 후 명나라 잔존 세력을 평정했으나, 24세에 천연두로 사망했다. - 천명제 - 탁시
탁시는 건주좌위지휘사 맹특목의 아들이자 누르하치의 아버지로, 부족 통합과 세력 확장을 통해 자립적인 세력 기반을 구축하려 했으며 사후 청나라 현조 선황제로 추존되었다. - 여허나라 할라 - 서태후
서태후는 함풍제의 후궁으로 동치제를 낳았으며, 수렴청정을 통해 청나라 말기 정치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했고, 양무 운동 추진 및 의화단 지원 등 다양한 정치적 행보를 보였다. - 여허나라 할라 - 예허나라 완전
예허나라 완전은 청나라 말기의 인물로, 순현친왕 혁현의 부인이자 광서제의 생모이며, 서태후의 동생으로서 황실과의 복잡한 인척 관계를 통해 가문의 권력 확대에 기여하다가 1896년에 사망했다. - 청나라의 추존황후 - 서태후
서태후는 함풍제의 후궁으로 동치제를 낳았으며, 수렴청정을 통해 청나라 말기 정치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했고, 양무 운동 추진 및 의화단 지원 등 다양한 정치적 행보를 보였다. - 청나라의 추존황후 - 효강장황후
효강장황후는 청나라 순치제의 후궁이자 강희제의 어머니이며, 강희제를 낳은 후 황태후가 되었으나 젊은 나이에 사망하여 효릉에 부장되었다.
효자고황후 (청나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효자고황후 |
원어 이름 | 孝慈高皇后 |
한국어 | 효자고황후 |
만주어 | }} |
만주어 로마자 표기 | hiyoošungga gosin dergi hūwangheo |
출생 이름 | 예허나라 몽고저저 (葉赫那拉·孟古哲哲) |
사후 시호 | 효자소헌경순인휘의덕경현승천보성고황후(孝慈昭憲敬順仁徽懿德慶顯承天輔聖高皇后) |
가문 | 예허나라 가문 (출생) 아이신 교로 가문 (혼인) |
생애 | |
출생일 | 1575년 (만력 3년) |
사망일 | 1603년 10월 31일 (만력 31년 음력 9월 27일) |
사망 나이 | 28-29세 |
배우자 | 누르하치 (1588년 결혼, 1603년 사망) |
자녀 | 홍타이지 |
아버지 | 양기누 |
능묘 | 복릉 |
통치 정보 | |
직위 | 대금의 카툰 (추존) |
기타 |
2. 생애
해서여진 예허(葉赫部)의 국주(國主) 양기누(楊吉砮)의 딸로 태어났다. 누르하치는 정책적인 면에서 예허부의 명성을 이용할 필요가 있었기에 1588년(만력 16년) 14세[3]의 어린 몽고저저를 측실로 맞이하였다.[12] 양기누는 누르가치의 방문을 받았을때 누르가치를 보고 "범상치 않은 사람"임을 간파하고 당시 어렸던 딸 몽고 제제를 혼인 적령기가 되면 아내로 삼게 하겠다고 제안했고, 누르가치는 이를 승낙했다.[4] 1584년(만력 12년)에 양기누는 이성량이 이끄는 명나라 군대의 토벌을 받아 살해당했고, 몽고저저의 혼인 이야기는 그의 형 나림불이 이어받게 되었다. 누르가치가 만주국을 건국한 1587년(만력 15년)의 다음해, 몽고저저는 형 나림불에게 이끌려 만주에 귀순했고, 누르가치는 여러 베일러들을 거느리고 환영하며, 성대한 술자리를 열었다.[4]
누르가치는 몽고저저와의 혼인을 반대한 장남 아이신기오로 추연(愛新覺羅褚英)을 숙청하여 처형하였다.[12] 1592년(만력 20년) 음력 10월 25일 신시 (오후 4시 전후), 몽고 제제는 아들 홍타이지를 낳았다.[5] 이는 몽고 제제의 유일한 자녀였다.
몽고저저의 얼굴은 보름달과 같았고, 풍모는 곱고 아름다웠으며, 기량은 너그럽고 넓었다고 한다. 또한, 단정하고 진중하고, 공손하고 겸손하였고, 폭언을 듣고도 안색이 불변하지 않았고, 입으로는 폭언하지 않았으며, 귀로는 망령된 말을 듣지 않았다고 한다.
2. 1. 초기 생애 및 혼인
해서여진 예허(葉赫部)의 국주(國主) 양기누(楊吉砮)의 딸로 태어났다. 누르하치는 정책적인 면에서 예허부의 명성을 이용할 필요가 있었기에 1588년(만력 16년) 14세[3]의 어린 몽고저저를 측실로 맞이하였다.[12] 양기누는 누르가치의 방문을 받았을때 누르가치를 보고 "범상치 않은 사람"임을 간파하고 당시 어렸던 딸 몽고 제제를 혼인 적령기가 되면 아내로 삼게 하겠다고 제안했고, 누르가치는 이를 승낙했다.[4] 1584년(만력 12년)에 양기누는 이성량이 이끄는 명나라 군대의 토벌을 받아 살해당했고, 몽고저저의 혼인 이야기는 그의 형 나림불이 이어받게 되었다. 누르가치가 만주국을 건국한 1587년(만력 15년)의 다음해, 몽고저저는 형 나림불에게 이끌려 만주에 귀순했고, 누르가치는 여러 베일러들을 거느리고 환영하며, 성대한 술자리를 열었다.[4]누르가치는 몽고저저와의 혼인을 반대한 장남 아이신기오로 추연(愛新覺羅褚英)을 숙청하여 처형하였다.[12] 1592년(만력 20년) 음력 10월 25일 신시 (오후 4시 전후), 몽고 제제는 아들 홍타이지를 낳았다.[5] 이는 몽고 제제의 유일한 자녀였다.
몽고저저의 얼굴은 보름달과 같았고, 풍모는 곱고 아름다웠으며, 기량은 너그럽고 넓었다고 한다. 또한, 단정하고 진중하고, 공손하고 겸손하였고, 폭언을 듣고도 안색이 불변하지 않았고, 입으로는 폭언하지 않았으며, 귀로는 망령된 말을 듣지 않았다고 한다.
2. 2. 성품 및 외모
2. 3. 죽음과 순장
1603년(만력 31년), 예허나라 몽고저저는 29세의 젊은 나이로 사망하였다.[3] 누르하치는 몽고저저의 죽음을 애도하며 시녀 4명을 순장시키고, 소와 말 각 100마리를 도살하여 제사를 지냈으며, 한 달 넘게 제사를 지내며 밤낮으로 울부짖었다.[3] 몽고저저의 영구는 3년 동안 궁 안에 안치되었다.[3] 몽고저저는 죽기 전 친정어머니를 만나고 싶어 했으나, 예허부의 수장이었던 오빠 나림불은 이를 거절했다.[6] 누르하치는 예허부의 이러한 태도에 분노하여 이듬해인 1604년 군사를 이끌고 예허를 공격하여 두 성을 함락시키고 2,000여 명의 인원과 가축을 만주로 귀환시켰다.[3]몽고저저의 아들 숭덕제는 어머니의 죽음이 누르하치의 대복진(大福晉)인 우라나라 아바하이가 누르하치의 총애를 독차지했기 때문이라고 여겼다.[13] 1626년 누르하치 사후, 숭덕제는 여러 부족 버이러들과 연합하여 한에 오른 뒤, 아바하이와 누르하치의 다른 총희(寵姬) 2명을 압박하여 자결하게 하고 누르하치의 무덤에 순장시켰다.[14]
2. 4. 추존
1636년(숭덕 원년), 숭덕제가 청나라를 건국하고 황제로 즉위하면서 여허나라 씨는 효자무황후(孝慈武皇后)로 추존되었다.[2] 이후 강희제 때 효자고황후(孝慈高皇后)로 개칭되었으며, 옹정, 건륭 연간을 거치며 시호가 추가되었다. 청나라 태종은 어머니의 지위는 자식에 의해 결정된다는 관습에 따라, 몽고저저를 효자소헌순덕정순승천육성무황후로 추시하였다. 강희 원년에는 고황후로 개칭되었고, 옹정 연간과 건륭 연간을 거쳐 시호가 추가되어, 최종적으로 효자소헌경순인휘의덕경현승천보성고황후로 개칭되었다.3. 시호
홍타이지가 즉위하여 청나라 태종이 된 1636년에 몽고저저는 효자소헌순덕정순승천육성무황후(孝慈昭憲純德貞順承天育聖武皇后)로 추시되었다.[2] 강희제 원년에는 고황후로 개칭되었고, 옹정제 때 시호를 개시하여 효자소헌경순인휘의덕경현승천보성고황후(孝慈昭憲敬順仁徽懿德慶顯承天輔聖高皇后)로 추존되었다.
4. 가족 관계
4. 1. 친정
효자고황후의 친정아버지 양지누(양지누/楊吉努중국어)는 예허부의 수장이었으며, 3등급 친왕(베勒) 작위를 받았다. 친할아버지는 태저(태저/台杵중국어)이며, 역시 3등급 친왕 작위를 받았다. 아버지의 삼촌은 청가누(청가누/清佳砮중국어)로, 3등급 친왕 작위를 받았으며 부자이의 아버지이다. 효자고황후에게는 두 명의 형이 있었는데, 첫째 형은 나림부록(나림부록/納林布祿중국어)이고, 둘째 형은 긴타이시이다.4. 2. 형제
효자고황후에게는 두 명의 형이 있었다. 첫째 형은 나림부록(納林布祿)으로 3등급 친왕(貝勒) 작위를 받았으며 1609년에 사망했다. 둘째 형은 긴타이시로 3등급 친왕(貝勒) 작위를 받았으며 1619년에 사망했다.4. 3. 남편과 자녀
남편은 후금의 초대 한(汗, 황제)이자 청나라의 추존 황제인 누르하치(努爾哈赤, 1559~1626)이다. 아들 숭덕제(皇太極, 홍타이지, 1592~1643)는 청나라의 제2대 황제이다.5. 기타
5. 1. 묘소
천명 9년(1622년), 누르하치는 부모와 처자의 무덤을 허투알라에서 랴오양성 일대로 이장했고,[7] 몽고저저도 동경 양로산으로 이장되었다. 천총 3년 (1629년)에는 다시 심양의 복릉으로 이장되었다.[7]5. 2. 대중문화
- 1987년 드라마 《청나라의 흥망》에서 배우 추이한이 효자고황후를 연기했다.
- 2005년 드라마 《태조비사》에서 배우 스샤오췬이 효자고황후를 연기했다.
참조
[1]
날짜
[2]
날짜
[3]
서적
滿洲實錄
[4]
서적
太祖高皇帝實錄
[5]
서적
太宗文皇帝實錄
[6]
서적
清史稿
https://zh.wikisourc[...]
[7]
간행물
清太宗出身考
https://www.ixueshu.[...]
河南大学、河南省历史学会
[8]
간행물
《满族早期一夫多妻制及其在清代的遗存》
http://www.cnki.com.[...]
辽宁省作家协会、丹东市文联
[9]
간행물
清太宗出身考
https://www.ixueshu.[...]
河南大学、河南省历史学会
[10]
웹사이트
天命五年后金国的大福晋
http://www.guoxue.co[...]
国学网,原刊《甘肃民族研究》2000年第4期
2002-12-02
[11]
문서
《청사고》(清史稿) 권214 〈열전〉(列傳) 제1 후비(后妃) - 효자고황후(孝慈高皇后)
[12]
서적
雍正帝
中公文庫
[13]
서적
중국사 열전- 황제
달과소
[14]
문서
《청사고(淸史稿)》214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