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효열무황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효열무황후는 후금의 태조 누르하치의 측복진이자, 청나라 태종 홍타이지의 어머니인 효자고황후의 사후 대복진이 된 여성이다. 몽골 울라나라 씨족 출신으로, 누르하치와 결혼하여 아지거, 도르곤, 도도를 낳았다. 누르하치 사후 홍타이지를 비롯한 버일러들의 강요로 순장되었으나, 이후 순치제의 섭정인 도르곤의 요청으로 황후로 추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명제 - 순치제
    청나라의 제3대 황제인 순치제는 6세에 즉위하여 도르곤의 섭정을 받다가 친정 후 명나라 잔존 세력을 평정했으나, 24세에 천연두로 사망했다.
  • 천명제 - 탁시
    탁시는 건주좌위지휘사 맹특목의 아들이자 누르하치의 아버지로, 부족 통합과 세력 확장을 통해 자립적인 세력 기반을 구축하려 했으며 사후 청나라 현조 선황제로 추존되었다.
  • 울라나라 할라 - 압타이
    압타이는 청나라 초기에 누르하치의 딸과 혼인하여 권력을 얻었지만, 홍타이지와의 갈등 및 국상 기간 중 부적절한 행동으로 작위를 박탈당한 인물이다.
  • 울라나라 할라 - 효경헌황후
    효경헌황후 울라나라씨는 옹정제의 원비이자 황후로, 옹정제의 적복진으로 책봉된 후 황후가 되었으며, 요절한 아들 홍휘를 두었고 사망 후 효경헌황후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청서릉 태릉에 안장되었다.
  • 만주 정백기인 - 완룽
    다우르족 출신인 완룽은 청나라 마지막 황제 푸이의 황후였으나, 정략결혼과 불행한 삶, 아편 중독, 수감 생활 끝에 사망했다.
  • 만주 정백기인 - 효숙예황후 (청나라)
    청나라 가경제의 황후 효숙예황후는 도광제의 생모로, 가경제 즉위 후 황후에 책봉되었으나 곧 병사했으며, 황제의 생모가 된 유일한 청나라 황후이다.
효열무황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효열무황후의 초상화
효열무황후의 초상화
칭호하툰(후금)
누르하치
출생명우라나라 아바하이 (烏拉那拉·阿巴亥)
출생일1590년(만력 18년)
출생지지린시
사망일1626년 10월 1일(천명 11년 8월 12일)
사망지무크덴 고궁
매장지푸링 능묘
가문울라나라 씨족 (출생 시)
아이신 교로 씨족 (결혼 후)
아버지만타이
어머니정보 없음
종교정보 없음
결혼 및 칭호 변천사
첫 번째 하툰 임명1616년 2월 17일 – 1620년
두 번째 하툰 임명1622년 늦가을/1623년 초 – 1626년 9월 30일
황태후1626년 9월 30일 - 1626년 10월 1일
자녀
자녀아지게, 잉 친왕
도르곤, 루이 친왕
도도, 위 친왕
사후 칭호
시호효열공민헌철인화찬천여성무황후 (孝烈恭敏獻哲仁和讚天儷聖武皇后) (1653년에 폐지됨)
묘호정보 없음

2. 생애

후금 태조 누르하치의 측복진이었던 여허나라씨의 아들인 태종 홍타이지는 생모가 일찍 죽은 것이 적모(嫡母) 효열무황후가 아버지의 사랑을 독차지했기 때문이라 여겨 원한을 품었다.[9]

1626년 누르하치가 사망하자, 홍타이지는 여러 부족의 버일러들과 연합하여 대비아바하이를 자진하도록 압박해 죽게 한 후 순장시켰다.[9][10] 이후 홍타이지는 제2대 칸에 올랐다.

홍타이지는 청을 건국한 뒤 아버지 누르하치를 초대 황제로 추숭하면서, 생모 여허나라씨를 황후로 추존했다. 그러나 누르가치의 다른 여인들은 후비(后妃)로 봉작하지 않았다.

1650년 순치제의 섭정이자 실질적인 통치자였던 도르곤(아바하이의 아들)의 요청으로 아바하이는 '''효열공민헌철인화찬천여성무황후'''(孝烈恭敏獻哲仁和贊天儷聖武皇后)로 추숭되었다.[11]

2. 1. 가계와 혼인

아바하이는 몽골 부족 울라나라 씨족 출신으로, 아버지 만타이(滿泰)는 버일러(貝勒, 3등 친왕) 작위를 받았다.[2] 할아버지 부간(布干)과 숙부 부잔타이(布占泰) 역시 버일러 작위를 받았다.[3]

명나라 만력 29년(1601년) 11월 또는 12월, 아바하이는 숙부 부잔타이의 주선으로 누르하치와 혼인하여 측복진(側福晉, 측실)이 되었다.[3][2] 당시 아바하이는 11세로, 31세 연상인 누르하치와 혼인하였다. 1603년 효자고황후 여허나라씨가 사망하자 대복진(大福晉, 정실 부인)으로 승격되었다. 1605년에는 아지거를, 1612년에는 도르곤을, 1614년에는 도도를 낳았다.

2. 2. 누르하치의 의심과 폐위

1620년(천명 5년), 아바하이는 누르하치의 장남 다이산과 부적절한 관계를 맺었다는 의심을 받았다. 시녀의 밀고로 누르하치는 아바하이가 다이산에게 음식을 해주고 밤에 몰래 만났다는 사실을 알게 되어 분노했다.[4] 황실의 명예를 지키기 위해, 누르하치는 금과 보석을 훔친 혐의를 들어 아바하이를 질책하고 궁궐에서 쫓아냈으며, 대복진 지위를 박탈했다.[4]

하지만 아바하이에 대한 총애는 여전했고, 그녀의 아들들(아지거, 도르곤, 도도)은 누르하치 직속의 양황기를 상속받았다.[6]

2. 3. 복위와 순장

1626년 9월 30일, 남편 누르하치가 사망하자, 다음 날인 10월 1일 아바하이는 홍타이지를 비롯한 여러 버일러(추장)들의 강요로 순장당했다.[6] 당시 37세였던 아바하이는 "두 어린 아들 도르곤도도를 잘 부탁한다"는 유언을 남겼다고 전해진다.[6]

여진족 사이에서는 순사 풍습이 널리 행해졌으며, 누르하치 사망 당시 아바하이와 2명의 측실이 순사했다.[7] 홍타이지는 순장을 강요하는 것은 금지했지만, 강요 행위만 금지했을 뿐 순장 자체는 부정하지 않았다.[7] 강희제가 재위 중에 순사 금지를 명하면서, 이후에는 종이 인형을 태우는 것으로 바뀌었다.[7]

일본의 동양사학자 마스이 히로야는 여러 문헌 검토를 통해 아바하이가 순사를 자원했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강요에 의한 순장이 아닐 수도 있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6]

2. 4. 사후

순치제 초기, 도르곤이 섭정왕으로 재임하면서 1650년(순치 7년) 아바하이는 '효열무황후'로 추존되었다.[11] 정식 시호는 '''효열공민헌철인화찬천여성무황후'''(孝烈恭敏獻哲仁和贊天儷聖武皇后)이다. 1653년(순치 10년), 도르곤이 사망하자 순치제는 아바하이의 황후 시호를 폐지했다.

3. 자녀

효열무황후는 누르하치와의 사이에서 세 아들을 낳았다.

이름출생사망비고
아지거1605년1651년사사됨
도르곤1612년1650년사냥 중 급사
도도1614년1649년천연두로 사망


3. 1. 아들


  • 영친왕 아지거(1605년 ~ 1651년): 누르하치의 12번째 아들로, 1636년 영군왕, 1644년 영친왕에 봉해졌으나 1651년 사사(賜死)되었다.[9]
  • 예충친왕 도르곤(1612년 ~ 1650년): 누르하치의 14번째 아들로, 1636년 예친왕에 봉해졌고 사후 예충친왕으로 추존되었다. 섭정으로서 어린 순치제를 보좌했으나, 사냥 도중 급사했다.[11]
  • 예통친왕 도도(1614년 ~ 1649년): 누르하치의 15번째 아들로, 1636년 예친왕에 봉해졌고 사후 예통친왕으로 추존되었다. 천연두로 사망했다.[9]

4. 평가 및 대중문화

후금 태조 누르하치의 복진이었던 여허나라씨의 아들인 태종 홍타이지는 생모의 이른 죽음이 적모 효열무황후가 아버지의 총애를 독차지했기 때문이라고 여겨 원한을 품었다.[9] 1626년 누르하치가 사망하자, 홍타이지는 여러 부족의 버일러들과 연합하여 대비인 아바하이를 자진토록 압박해 죽게 한 뒤 제2대 칸에 올랐다.[9][10]

이후 청나라를 건국한 홍타이지는 아버지 누르하치를 청 제국의 초대 황제로 추존하면서, 생모 여허나라씨를 황후로 추존하고 누르하치의 다른 여인들은 후비로 봉작하지 않았다. 1650년에 이르러 순치제의 섭정이었던 도르곤의 요청으로 아바하이도 황후로 추존될 수 있었다.[11]

아바하이의 삶은 여러 드라마와 영화에서 다뤄졌다.

연도영상물 제목배우
1986努尔哈赤 (电视剧)|누르하치중국어傅艺伟|푸이웨이중국어
1987滿清十三皇朝|만청십삼황조중국어黎燕珊|레이옌산중국어
1989庄妃轶事|장비일사중국어차이인주
1992一代皇后大玉儿|일대황후 대옥아중국어쿵란쉰
2003孝庄秘史|효장비사중국어쓰친가오와
2005太祖秘史|태조비사중국어程莉莎|청리샤중국어
2005명말풍운저우위에팡
2005大清风云|대청풍운중국어陶慧敏|타오후이민중국어
2015大玉儿传奇|대옥아전기중국어후이잉훙
2017独步天下 (电视剧)|독보천하중국어陈欣予|천신위중국어


4. 1. 평가

아바하이는 뛰어난 미모와 총명함을 지녔지만, 권력 암투의 희생양이 된 비운의 여인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남편 누르하치 사후 순장당한 사건은 청나라 초기 권력 투쟁의 잔혹함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여겨진다.[9][10]

누르하치가 1626년 사망하자, 홍타이지를 포함한 여러 부족의 버일러들은 아바하이가 홍타이지의 즉위에 위협이 된다고 판단하여 그녀에게 자결을 강요했다.[9][10] 당시 아바하이는 37세였다.[6] 일설에는 아바하이가 누르하치의 사랑을 독차지하여 홍타이지의 생모인 여허나라씨가 일찍 죽었다고 여겨 원한을 품었다고도 한다.[9]

아바하이는 "나는 따르지 않겠다"라고 거절했지만, 여러 버일러들은 "어머니, 당신이 거절하더라도, 우리는 (이 세상에) 남겨두지 않겠다"라고 단호하게 말했다.[6] 결국 아바하이는 조복을 입고 금과 동주로 몸을 장식한 후, "나는 칸이신 남편과 열두 살에 함께 살면서, 진귀한 옷을 입고, 여러 종류의 음식을 먹으며, 26년을 함께 지내 헤어지기 어려우니 순사하겠다. 나의 두 어린 아들 도르곤, 도도를 부디 잘 돌보아주세요"라고 말하며 순사했다.[6]

이후 도르곤의 요청으로 순치제대에 이르러서야 황후로 추존될 수 있었으며, 시호는 효열공민헌철인화찬천여성무황후(孝烈恭敏獻哲仁和贊天儷聖武皇后)이다.[11]

아바하이의 죽음은 당시 여진족 사회에 만연했던 순장 풍습과 권력 투쟁의 결과였다. 강희제대에 이르러 순장 금지령이 내려졌지만, 아바하이의 비극적인 죽음은 권력의 무상함과 인간 존엄성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준다.

4. 2. 대중문화

아바하이의 삶은 여러 드라마와 영화에서 다뤄졌다.

연도영상물 제목배우
1986努尔哈赤 (电视剧)|누르하치중국어傅艺伟|푸이웨이중국어
1987滿清十三皇朝|만청십삼황조중국어黎燕珊|레이옌산중국어
1989庄妃轶事|장비일사중국어차이인주
1992一代皇后大玉儿|일대황후 대옥아중국어쿵란쉰
2003孝庄秘史|효장비사중국어쓰친가오와
2005太祖秘史|태조비사중국어程莉莎|청리샤중국어
2005명말풍운저우위에팡
2006大清风云|대청풍운중국어陶慧敏|타오후이민중국어
2015大玉儿传奇|대옥아전기중국어후이잉훙
2017独步天下 (电视剧)|독보천하중국어陈欣予|천신위중국어


참조

[1] 간행물 清入关前对八旗基层组织的控制——以乌苏氏季思哈、吉普喀达为例 http://qsyj.ruc.edu.[...] 2020-09-15
[2] 서적 大清盛世 https://books.google[...] 飛翔時代
[3] 서적 大清后妃傳奇 https://books.google[...] 大都會文化 2006-09-01
[4] 서적 大清十三钗 https://books.google[...] Beijing Book Co. Inc. 2015-01-01
[5] 문서 萬曆二十九年 十一月
[6] 간행물 ヌルハチ大妃ウラ=ナラ氏〈殉死〉考略 https://hdl.handle.n[...] 立命館東洋史學會 2022-09-25
[7] 문서 李鴻彬・劉小萌(1996)pp.175-180
[8] 문서 《[[청사고]]》(淸史稿) 권214 〈열전〉(列傳) 제1 후비(后妃) - 태조대비(太祖大妃)
[9] 서적 중국사 열전- 황제 달과소 2006
[10] 문서 《청사고(淸史稿)》214권
[11] 문서 《淸史稿》列傳 一 后妃:順治初, 多爾袞攝政, 七年, 上諡孝烈恭敏獻哲仁和讚天儷聖武皇后, 祔太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