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지와라노 스가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지와라노 스가네는 헤이안 시대 초기의 관료이자 학자였다. 884년 문장생에 임명된 후, 이나바 국의 국사를 거쳐 890년 대책에 급제했다. 893년 스가와라노 미치자네의 추천으로 아쓰히토 친왕의 시독이 되었으며, 897년 다이고 천황 즉위 후 종5위하에 서작되었다. 901년 쇼타이의 변 당시 후지와라노 사다쿠니와 함께 천황에게 미치자네의 실각을 상주하고 우다 천황의 입궐을 막는 데 관여했다. 이후 다자이후로 좌천되었으나 곧 복귀하여 승진을 거듭, 908년 참의에 임명되었으나 벼락을 맞아 사망했다. 최종 관위는 참의 식부대보 종4위상이며, 사후 종3위가 추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856년 출생 - 이극용
이극용은 당나라 말기 오대십국 시대의 사타족 출신 군벌로, 황소의 난 진압에 공을 세워 하동절도사에 임명되고 진왕에 봉해졌으며, 후량에 굴복하지 않고 독자 세력을 유지하다 그의 아들 이존욱이 후당을 건국했다. - 낙뢰로 죽은 사람 - 에르난 가비리아
에르난 가비리아는 콜롬비아의 축구 선수로, 공격형 미드필더로 활약하며 콜롬비아 리그와 일본 J2리그에서 선수 생활을 했고, 콜롬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월드컵과 코파 아메리카에 출전했으나 훈련 중 번개에 맞아 사망했다. - 낙뢰로 죽은 사람 - 미나모토노 쓰네미쓰
미나모토노 쓰네미쓰는 헤이안 시대 말기의 인물로, 벼락을 쫓으려다 감전사했으며, 그가 소지했던 나기나타가 최초로 기록되어 그의 죽음은 타케베 대신사에서의 불법 행위에 대한 신벌이라는 소문이 돌았다. - 908년 사망 - 당 애제
당 애제는 당나라의 마지막 황제이며, 주전충에 의해 옹립되어 황위에 올랐으나 선양을 강요당해 당나라가 멸망하고 독살되어 사후 애황제로 추시되었다. - 908년 사망 - 이극용
이극용은 당나라 말기 오대십국 시대의 사타족 출신 군벌로, 황소의 난 진압에 공을 세워 하동절도사에 임명되고 진왕에 봉해졌으며, 후량에 굴복하지 않고 독자 세력을 유지하다 그의 아들 이존욱이 후당을 건국했다.
후지와라노 스가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씨명 | 후지와라 씨 |
가문 | 후지와라 남가거세마로류 |
이름 | 후지와라노 스가네 |
자 (字) | 우쇼 (右生) |
시대 | 헤이안 시대 전기 |
출생 | 856년 |
사망 | 908년 11월 3일 |
묘소 | 알 수 없음 |
관직 | |
관위 | 종4위상, 참의, 증종3위 |
주군 | 요제이 천황→고코 천황→우다 천황→다이고 천황 |
가족 관계 | |
아버지 | 후지와라노 요시히사 |
어머니 | 스가노 다카토시의 딸 |
형제 | 스가네, 도모카네, 마요, 아키사다, 마노모리, 기타 |
배우자 | 후지와라 씨의 딸, 기타 |
자녀 | 스에카타, 모토카타, 슈쿠히메, 모토히메 |
기타 | |
특기 사항 | 알 수 없음 |
2. 경력
스가네는 원경(元慶) 8년(884년) 문장생에 임명된 것을 시작으로 여러 관직을 거쳤다. 관평(寛平) 2년(890년) 이나바국의 이나바 권을 거쳐, 관평 3년(891년) 대책(対策)에 급제하여 소내기(少内記)에 임명되었다.
관평 9년(897년) 아쓰히토 친왕이 즉위하면서 종5위하에 서작되었고, 승전(昇殿)이 허락되어 감해유 차관 겸 식부소보에 임명되었다. 같은 해 11월에는 스가와라노 미치자네의 추천으로 종5위상으로 승진했다. 쇼타이(昌泰) 2년(899년) 문장박사가 되었고, 쇼타이 3년(900년)에는 장인두 겸 좌근위소장이 되었다.
쇼타이(昌泰) 4년(901년) 쇼타이의 변 이후, 엔기(延喜) 2년(902년) 정5위하, 엔기(延喜) 3년(903년) 종4위하・식부권대보, 엔기 6년(906년) 종4위상으로 빠르게 승진하였다. 엔기 4년(904년) 야스아키라 친왕이 황태자로 책봉되자 춘궁료를 겸하였고, 엔기 5년(905년) 엔기식 편찬에 참여하였다.
엔기 8년(908년) 정월 참의에 임명되어 공경의 반열에 들었으나, 같은 해 10월 7일 뇌(雷)에 맞아 졸(卒)하였다. 사후 종3위가 추증되었다.
다음은 스가네의 경력을 정리한 표이다.
시기 | 관직 및 사건 |
---|---|
원경(元慶) 8년(884년) | 문장생 임명 |
관평(寛平) 2년(890년) | 이나바 권 |
관평 3년(891년) | 대책(対策) 급제, 소내기(少内記) 임명 |
관평 5년(893년) | 스가와라노 미치자네의 추천으로 아쓰히토 친왕(훗날 다이고 천황)의 춘궁 시독(侍読) 임명 |
관평 9년(897년) | 다이고 천황 즉위, 종5위하 서작, 승전(昇殿) 허락, 감해유 차관 겸 식부소보 임명, 스가와라노 미치자네 추천으로 종5위상 승진 |
쇼타이(昌泰) 2년(899년) | 문장박사 임명 |
쇼타이 3년(900년) | 장인두 겸 좌근위소장 임명 |
쇼타이(昌泰) 4년(901년) | 쇼타이의 변 발생, 장인두 해임, 다자이 대이 좌천, 이후 장인두 겸 식부소보 재임명, 권좌중변 겸임 |
엔기(延喜) 2년(902년) | 정5위하 |
엔기 3년(903년) | 종4위하 식부권대보 |
엔기 4년(904년) | 야스아키라 친왕 황태자 책봉, 춘궁료 겸임, 비전수 겸임, 식부대보 임명 |
엔기 6년(906년) | 종4위상 |
엔기 7년(907년) | 시종 겸임 |
엔기 8년(908년) | 참의 임명, 뇌(雷)에 맞아 졸(卒), 종3위 추증 |
2. 1. 초기 생애
원경(元慶) 8년(884년) 문장생에 임명되었고, 이나바국의 국사를 거쳐, 관평(寛平) 2년(890년) 대책(対策)에 급제하였다.[2]2. 2. 관직 진출
관평(寛平) 3년(891년) 스가네는 소내기(少内記)에 임명되었다. 관평(寛平) 5년(893년) 아쓰히토 친왕(훗날 다이고 천황)이 황태자가 될 때, 스가와라노 미치자네의 추천으로 춘궁 시독(侍読)이 되어 친왕에게 『곡례』, 『논어』, 『후한서』 등을 강의하였다.[2]2. 3. 다이고 천황 즉위 후
897년 아쓰히토 친왕이 즉위함에 따라 종5위하에 서작되었다. 승전(昇殿)이 허락되어 감해유 차관 겸 식부소보에 임명되었고, 같은 해 11월 스가와라노 미치자네의 추천으로 종5위상으로 승진했다. 쇼타이(昌泰) 2년(899년)에는 문장박사가 되어 천황 앞에서 『사기』를 진강하였다. 쇼타이 3년(900년) 장인두 겸 좌근위소장이 되었다.[4]2. 4. 쇼타이의 변 (901년)
쇼타이(昌泰) 4년(901년) 쇼타이의 변이 일어났을 때, 다이고 천황의 외척인 중납언 후지와라노 사다쿠니와 함께 천황에게 "천하의 세무를 이치에 맞지 않게 한다(天下之世務以非為理)"라고 주상(奏上)하여 스가와라노 미치자네가 실각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더 나아가 미치자네의 좌천을 간하기 위해 입궐하려던 우다 천황을 내리(内裏)의 문 앞에서 막았다고 한다.[4]이에 대해서는 과거 궁중에서 있었던 경신어유 때 미치자네에게 뭇 사람들 앞에서 뺨을 맞은 굴욕을 풀려고 했던 것이라는 설이 있으며,[5] 훗날 스가네가 미치자네의 재앙을 받아 죽었다고 하는 이야기의 복선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스가네뿐만 아니라, 미치자네의 맹우였던 좌대변 겸 시종 기노 나가쓰구도 상황의 입궐을 저지했고,[6] 우다 상황이 과거 재위 중에 천황의 허락을 얻지 않은 상황의 입궐을 금지했다고도 하여,[7] 좌대신 후지와라노 도키히라 혹은 다이고 천황의 명령에 따라 스가네는 그 직책을 다했을 뿐이라는 견해도 있다.
스가네는 상황의 입궐 저지에 대한 책임을 지고, 일단 장인두에서 해임되어 다자이 대이로 좌천되지만, 다음 달 규슈로 출발하지 않고 장인두 겸 식부소보에 재임명되었으며, 3월에는 권좌중변을 겸임하였다.
2. 5. 쇼타이의 변 이후
쇼타이의 변 이후, 엔기(延喜) 2년(902년) 정5위하에 올랐고, 엔기(延喜) 3년(903년) 종4위하 식부권대보, 엔기 6년(906년) 종4위상으로 빠르게 승진하였다. 엔기 4년(904년) 야스아키라 친왕이 황태자로 책봉되자 춘궁료를 겸임하였고, 엔기 5년(905년) 엔기식 편찬에도 참여하였다.[4]2. 6. 사망
엔기 8년(908년) 정월에 참의에 임명되어 공경 반열에 올랐으나, 같은 해 10월 7일에 뇌(雷)에 맞아 졸(卒)하였다.[4] 향년 53세. 최종 관위는 참의 식부대보 종4위상. 같은 달 17일, 종3위가 추증되었다.[5]3. 인물
학문에 정진하여 경서, 사서 및 여러 학자들의 서적에 널리 통달했다.[8] 칙찬(勅撰) 가인으로서 『고금와카집』에 와카 1수가 수록되어 있다.[9]
4. 가계
항목 | 내용 |
---|---|
아버지 | 후지와라노 요시나오 |
어머니 | 간노노 타카토시의 딸 |
아내 | 후지와라 북가 우마카이 계 출신 후지와라 씨의 딸 |
자녀 | |
차남 | 후지와라노 모토카타 (888-953) |
장녀 | 후지와라노 토시히메 (?-948) - 다이고 천황의 코이, 카네아키라 친왕 등의 어머니 |
장남 | 후지와라노 스에카타 (생모 불명) |
차녀 | 후지와라노 모토히메 - 타이라노 토키모치의 부인 (생모 불명) |
5. 후손
스가네의 자손은 아들 후지와라노 모토카타가 문장생에서 대납언까지 승진했고, 모토카타의 아들 후지와라노 카이츄도 대납언, 카이츄의 아들 후지와라노 시게타다가 권중납언으로 승진하는 등 3대에 걸쳐 공경을 배출했다. 후지와라 남가에서 문장박사를 배출하는 선구자가 되었다. 스가네의 증손이자 모토카타의 손자에 도둑으로 유명한 후지와라노 야스스케가 있다.
6. 기타
스가네는 쇼타이의 변 당시 스가와라노 미치자네를 모함하고, 우다 상황의 입궐을 저지하는 등 권력 투쟁에 적극적으로 가담했다.[4] 과거 궁중에서의 경신어유 때 미치자네에게 뭇 사람들 앞에서 뺨을 맞은 것에 대한 보복이라고 하며[5], 훗날 스가네가 미치자네의 재앙을 받아 죽었다고 하는 복선이 되는 이야기이다. 그러나 스가네뿐만 아니라, 미치자네의 맹우였던 좌대변 겸 시종・기노 나가쓰구도 상황의 입궐을 저지했고[6], 우다 상왕이 과거 재위 중에 천황의 허락을 얻지 않은 상왕의 입궐을 금지했기에[7], 좌대신・후지와라노 도키히라 혹은 다이고 천황의 명령에 따라, 스가네는 그 직책을 다했을 뿐이라는 견해도 있다.
참조
[1]
서적
日本紀略
[2]
서적
朝野群載
[3]
서적
角川日本地名大辞典 12 千葉県
[4]
서적
大鏡
[5]
서적
北野天神縁起
[6]
서적
扶桑略記
[7]
서적
長秋記
[8]
서적
日本三代実録
0877-04-22
[9]
서적
勅撰作者部類
[10]
논문
橘広相考 四
奈良大学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