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1등 욱일대수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훈1등 욱일대수장은 일본의 훈장으로, 주로 일본의 고위 관료, 군인, 기업 총수, 학자 등에게 수여되었으며, 외국인에게는 국가 간 우호 증진에 기여한 인물에게 수여되었다. 욱일 문양을 중심으로 디자인되었으며, 1875년 메이지 천황을 비롯한 황족들에게 처음 수여된 이후, 메이지 유신의 주역들과 근대 일본의 주요 정치인들이 주로 수훈했다. 1999년에는 김수한 전 대한민국 국회의장이 수훈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훈장 - 욱일대수장
욱일대수장은 1875년에 제정된 일본의 훈장으로, 욱일장의 최상위 훈장이며, 국가나 공공에 기여한 내각총리대신, 국회의장, 대법원장 등 고위 관직 경험자, 여성, 외국인에게 수여한다. - 일본의 훈장 - 감수포장
- 훈1등 욱일대수장 수훈자 - 혼마 마사하루
혼마 마사하루는 일본 제국 육군 군인으로, 필리핀 공략전을 지휘했으나 바탄 죽음의 행진에 대한 책임으로 전범으로 처형되었고, 그의 재판은 지휘자 책임 적용 및 맥아더의 복수심 작용 등의 논란이 있다. - 훈1등 욱일대수장 수훈자 - 도고 시게노리
도고 시게노리는 조선인 도공 후손으로 도쿄 제국대학 졸업 후 외무성에 들어가 만주, 스위스, 독일, 소련 등지에서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소일 중립 조약 체결에 기여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외무대신으로서 미일 관계 개선을 노력했음에도 불구하고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여 전범으로 징역 20년을 선고받았으며, 종전 과정에서 포츠담 선언 수용을 주장하여 일본 항복에 기여한 외교관이자 정치인이다.
| 훈1등 욱일대수장 | |
|---|---|
| 훈장 정보 | |
| 명칭 | 훈1등 욱일대수장 |
| 원어 명칭 | 勲一等旭日大綬章 |
![]() | |
![]() | |
| 리본 색상 | 흰색과 홍색 |
| 수훈 대상 | |
| 수훈 대상 | 국가 또는 공공에 공적이 있는 자 |
| 훈장 체계 | |
| 현재 명칭 | 욱일대수장으로 개칭 |
| 상위 훈장 | 훈1등 욱일동화대수장(현 동화장) |
| 하위 훈장 | 훈2등 욱일중광장 |
| 역사 | |
| 제정 | 1875년 (메이지 8년) 4월 10일 |
| 폐지 | 2003년 |
| 최초 수여 | 1875년 12월 31일 |
| 최종 수여 | 2003년 4월 29일 |
| 설립자 | |
| 설립자 | 메이지 천황 |
2. 훈장의 역사
2. 1. 제정 배경
2. 2. 2003년 훈장 제도 개정
3. 수여 대상 및 기준
3. 1. 수여 대상
3. 2. 주요 수훈자
훈1등 욱일대수장은 주로 일본의 역대 내각총리대신, 국회의장, 장관, 군 고위 장성, 기업 총수, 학자 등에게 수여되었다. 외국인의 경우, 국가 간 우호 증진에 기여한 인물에게 수여되기도 한다. 수상자는 총 1220명(전전 810명, 전후 410명)이며, 서훈 대상자는 남성으로 한정되었다.다음은 주요 수훈자 명단이다.
4. 훈장의 종류 및 디자인
4. 1. 훈장의 종류
4. 2. 훈장의 디자인
욱일(旭日) 문양을 중심으로 디자인되었다. 훈일등 욱일대수장의 대수(大綬)는 오른쪽 어깨에서 왼쪽 옆구리로 드리우고, 부장(副章)은 왼쪽 가슴에 착용한다.5. 주요 수훈자
1875년 12월 31일에 메이지 천황을 비롯한 황족들에게 수여되었고, 이후 이와쿠라 도모미, 산조 사네토미 등 메이지 유신의 주역들에게 수여되었다. 이토 히로부미, 야마가타 아리토모 등 메이지 유신과 관련된 인물들이나, 사이온지 긴모치, 가쓰라 다로 등 근대 일본의 주요 정치인들이 주로 수훈하였다.
러일전쟁에서 활약한 도고 헤이하치로 등의 군인들도 수훈하였다.
1999년에는 제15대 국회의장을 역임한 김수한이 수훈하였다.
5. 1. 한국인 수훈자
5. 1. 1. 김수한
김수한은 1935년 경성부(현 서울특별시 종로구)에서 출생하였으며, 더불어민주당의 전신인 민주당 계열 정당에서 오랜 기간 활동한 정치인이다. 제15대 국회의장을 역임하였다. 1999년에 욱일대수장을 수훈하였다.6. 비판 및 논란
6. 1. 욱일기의 상징성
6. 2. 전범 수훈
6. 3. 한국 내 반발
참조
[1]
아시아역사자료센터
独国外務大臣男爵「フォン、ノイラート」外三十三名叙勲ノ件
[2]
아시아역사자료센터
独国総統幕僚全権公使「ワルター、ヘーベル」外二十二名叙勲ノ件
[3]
아시아역사자료센터
独国総統幕僚全権公使「ワルター、ヘーベル」外二十二名叙勲ノ件
[4]
NHK 뉴스
日本ニュース 第146号
https://www2.nhk.or.[...]
[5]
NHK 뉴스
日本ニュース 第174号
https://www2.nhk.or.[...]
[6]
웹사이트
(外国人叙勲)アメリカ合衆国上院議員ロバート・フランシス・ケネディを勲一等に叙し旭日大綬章を贈与するについて
https://www.archives[...]
국립공문서관
2021-05-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