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쓰라 다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쓰라 다로는 1848년 일본에서 태어나, 조슈 번의 번사 출신으로 메이지 시대의 군인, 정치가이다. 그는 육군대신, 타이완 총독, 총리대신을 역임하며 일본 근대화에 기여했으나, 군비 확장과 대외 세력 확장에 힘썼다. 1905년 가쓰라-태프트 밀약을 통해 미국의 필리핀 지배와 일본의 대한제국 지배를 상호 인정받았으며, 1910년 대한제국을 강제 병합하여 식민 지배를 시작했다. 3차례에 걸쳐 총리대신을 지냈으나, 1912년 다이쇼 정변으로 사임했다. 그는 1913년 사망했으며, 한국의 주권을 침탈하고 식민 지배를 강행하여 한국인들에게 큰 고통을 안겨주었다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쓰라 다로가 - 이노우에 사부로
    이노우에 사부로는 가쓰라 다로의 아들이자 이노우에 가쓰노스케의 양자로, 일본 제국 육군 소장으로 육군사관학교와 육군대학교를 졸업 후 포병 장교 및 참모본부, 육군성 등에서 근무하다 예비역에 편입되었고, 1946년 공직에서 추방되었다.
  • 가쓰라 다로가 - 가쓰라 고타로
    가쓰라 고타로는 가쓰라 다로의 손자이자 공작 작위 습작자, 도쿄제국대학 약학과 졸업생, 귀족원 의원, 그리고 가쓰라 화학 연구소와 가쓰라 화학 주식회사를 설립하여 경영에 참여한 일본의 공작이자 기업인이다.
  • 동양척식주식회사 관련자 - 데라우치 마사타케
    데라우치 마사타케는 메이지 시대부터 다이쇼 시대까지 활동한 일본의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육군대신, 한국통감, 조선총독,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한국 병합을 주도하고 무단통치를 실시했으며, 시베리아 출병 등 외교 정책을 펼친 일본 제국주의 핵심 인물이다.
  • 동양척식주식회사 관련자 - 와타나베 시노부
    와타나베 시노부는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관료로서, 전라북도 및 경기도 지사를 역임하며 식민 정책을 수행하고 동양척식주식회사 이사로 활동하는 등 일제의 식민 통치와 경제 수탈에 협력한 친일 행적으로 비판받는 인물이다.
  • 메이지 시대의 내각총리대신 - 오쿠마 시게노부
    오쿠마 시게노부는 메이지 시대의 정치가이자 교육자로, 두 차례 총리대신을 역임하며 재정 개혁, 철도 건설, 헌법 제정, 와세다 대학 설립 등에 기여했으나, 제국주의적 정책으로 비판받기도 하는 등 격변의 시대를 살았다.
  • 메이지 시대의 내각총리대신 - 야마가타 아리토모
    야마가타 아리토모는 조슈번 출신의 사무라이 아들로, 일본 육군의 창설과 근대화에 기여하고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을 지휘했으며, 군국주의적 가치 강조와 제국주의적 팽창 정책을 추진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한 인물이다.
가쓰라 다로
기본 정보
정장을 입은 가쓰라
이름가쓰라 다로
원어 이름桂 太郎
출생일1848년 1월 4일
출생지일본 나가토 국아부 군 하기 (현재 야마구치현 하기시)
사망일1913년 10월 10일
사망지일본 제국 도쿄부도쿄시시바구미타 (현재 도쿄도미나토구 미타)
사망 원인위암
안장 장소쇼인 신사, 세타가야구
직업군인, 정치인
소속 정당입헌동지회 (1913년)
기타 소속무소속 (1896–1913년)
배우자가쓰라 가나코 (1875–1940)
서명KatsuraT kao.png
군사 정보
소속대일본제국 육군
복무 기간1870–1901
계급육군 대장
지휘제3사단
참전 전투보신 전쟁
청일 전쟁
훈장공삼급 금치 훈장
정치 경력
작위종1위 공작
훈장대훈위 국화장 경식
대훈위 국화대수장
훈1등 욱일대수장
훈1등 서보장
훈2등 서보장
훈3등 욱일중수장
훈4등 욱일소수장
내각총리대신 (총 3회)제11대: 1901년 6월 2일 – 1906년 1월 7일
제13대: 1908년 7월 14일 – 1911년 8월 30일
제15대: 1912년 12월 21일 – 1913년 2월 20일
외무대신 (총리 겸임)1912년 12월 21일 – 1913년 1월 29일
내대신1912년 8월 21일 – 1912년 12월 21일
시종장1912년 8월 13일 – 1912년 12월 21일
대장대신 (총리 겸임)1908년 7월 14일 – 1911년 8월 30일
문부대신 (총리 겸임)1905년 12월 14일 – 1906년 1월 7일
내무대신 (총리 겸임)1903년 10월 22일 – 1904년 2월 20일
육군대신1898년 1월 12일 – 1900년 12월 23일
타이완 총독1896년 6월 2일 – 1896년 10월 14일
귀족원 의원1907년 9월 21일 – 1911년 4월 20일, 1911년 4월 21일 – 1913년 10월 11일
가족 관계
아버지가쓰라 요이치에몬
외삼촌나카타니 마사아키
사위나가오 가쓰마
나가사키 에이조
나가시마 류지
아마오카 나오요시
이토 분키치
손자가쓰라 고타로
이노우에 미쓰사다
별명
별명니코폰 재상

2. 생애

1848년 나가토국 아부군 하기정(지금의 야마구치현 하기시)에서 조슈번 번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오에노 히로모토와 가쓰라 모토즈미의 후손으로, 어릴 적 이름은 수웅(寿熊) 또는 좌중(左中)이었으며, 호(雅号)는 해성(海城)이다.

1860년 번 정부의 서양식 훈련에 참가하였고, 1868년 보신 전쟁에 참전하여 메이지 유신에 기여하였다. 메이지 유신 이후 1870년부터 1873년까지 요코하마 어학학교를 거쳐 독일로 유학, 국방 과학을 공부했다. 1875년부터 1878년, 1884년부터 1885년에는 독일 주재 일본 대사관 무관으로 복무했다. 귀국 후 야마가타 아리토모 아래에서 군제를 배워 1886년 육군 차관이 되었다.

청일 전쟁(1894~1895)에서는 제3사단장으로 참전하여 잉커우 시를 점령하는 등 공을 세웠다. 1896년에는 제2대 타이완 총독을 역임했고, 1898년부터 1901년까지는 이토 히로부미 내각, 오쿠마 시게노부 내각, 야마가타 내각에서 육군대신을 역임했다.

1901년 6월 2일 총리로 취임하여 사이온지 긴모치와 교대로 총리대신직을 수행하였다. 이 시기를 게이엔 시대(1905~1912)라고 부른다. 1905년 7월 29일에는 미국의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가쓰라-태프트 밀약을 맺었고, 제2차 가쓰라 내각에서는 한일 합방을 성사시켰다.

1913년 제3차 가쓰라 내각이 성립되었으나, 헌정 옹호 운동으로 인해 민중들이 의회를 둘러싸고 어용 신문사와 경찰을 습격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결국 퇴진했다. 이는 일본 역사상 최초로 민중이 내각을 무너뜨린 사례였다.[56]

가쓰라는 퇴진 몇 달 뒤인 1913년 10월 도쿄에서 사망했다.

2. 1. 어린 시절과 보신 전쟁

1848년 나가토국 아부군 하기정(지금의 야마구치현 하기시)에서 조슈번 번사 가쓰라 요이치에몬의 아들로 태어났다. 오에노 히로모토와 가쓰라 모토즈미의 후손이다.[14] 호(雅号)는 '''해성'''(海城)이다.

어린 시절 아부군 가와시마무라(지금의 하기시 가와시마)로 이주하였고, 1860년 번의 서양식 군사 훈련에 참가하여 고타이(鼓隊)에 편입되었다. 1864년 금문의 변 등으로 번이 멸망 위기에 처하자 모리 모토노리의 소성역(小姓役)이 되었다. 제2차 조슈 정벌에서는 석주(石州) 지방에서 싸웠다.

1868년 보신 전쟁에서 도쿠가와 막부를 무너뜨리는 데 활약하였고, 오슈 진무 부총독 사와 타메카즈의 참모 첨역(添役)이나 제2대대 사령으로서 오슈 각지를 전전하며 적정 시찰 및 정찰 임무, 연락 역할 등 후방 지원에 종사했다.[1] 아키타 전투에서는 쇼나이 보신 전쟁 춘정에서 패배하고 오슈 열번 동맹 성립을 허용하였으며, 히로사키 번에 입번하는 것을 거부당하고 도호쿠 제번을 설득하지 못했다. 노다시에서는 자살까지 생각했으나, 구보타 번을 신정부 측으로 돌아서게 하는 데 성공했다. 긴잔 전투에서 센다이 번군에게 궤멸적인 타격을 입히고 신조 번을 신정부 측으로 돌아서게 하는 데 성공했지만, 신조 전투에서 사카이 요시노죠가 이끄는 쇼나이 번군에게 패배하고, 쇼나이 번과 센다이 번을 상대로 신정부군의 증원이 도착할 때까지 구보타 번 내에서 계속 후퇴전을 벌여야 했다. 전후 군공으로 상전록 250석을 받았다. 부하들은 약 200명이었지만 전사자 41명, 부상자 53명이나 되었으나, 가쓰라는 가벼운 상처 하나 입지 않았다고 한다.

조슈 번 시대의 가쓰라

2. 2. 독일 유학과 군 경력

1868년 메이지 유신 이후, 1870년부터 1873년까지 요코하마 어학학교를 거쳐 독일로 자비 유학을 떠나 국방 과학을 수학했다.[2] 유학 생활은 자비 유학이었기에 매우 고달팠으며, 유럽 사절단을 위해 독일을 방문한 기도 다카요시에게 관비 유학으로 전환해 줄 것을 요청하기도 했다. 1875년부터 1878년까지, 그리고 1884년부터 1885년까지 독일 주재 일본 대사관의 무관으로 복무하며 군사 지식을 쌓았다.[2]

귀국 후 야마가타 아리토모 휘하에서 군제를 배우며 1886년 육군 차관에 임명되는 등 군부 내 핵심 인물로 성장했다.[2] 같은 해, 제1차 이토 히로부미 내각의 군제 개혁 당시 경비 절감을 위한 현역 병사 귀휴와 대인료(금납에 의한 징병 면제) 제도 부활에 반대하는 건의서를 제출하기도 했다. 그는 건의서를 통해 1류 국가의 군제를 유지하고 병사의 질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2. 3. 청일 전쟁과 타이완 총독

청일 전쟁(1894년~1895년)에서 가쓰라는 야마가타 아리토모 원수 휘하 제3사단을 지휘했다.[2] 그의 사단은 황해 북동쪽 해안에서 하이청까지 혹독한 겨울철에 행군하여 뉴촨을 점령하고 요동 반도를 따라 진격해 온 제2군과 합류하는 성과를 거두었다.[2]

전쟁 후, 가쓰라는 화족 작위 제도에 따라 자작 작위를 받았다.[2] 1896년 6월 2일부터 1896년 10월까지 제2대 타이완 총독을 역임했다.

2. 4. 육군대신과 총리대신

1898년부터 1901년까지 이토 히로부미 내각, 오쿠마 시게노부 내각, 야마가타 내각에서 육군대신을 역임했다.[2] 이 기간 동안 육군대신의 권한을 강화하며 군부의 정치적 영향력을 키웠다.

1901년 6월 2일 총리대신에 취임하여, 이후 사이온지 긴모치와 번갈아 가며 총리직을 수행하였다. 이 시기를 게이엔 시대 (1905년 ~ 1912년)라고 부른다.[13] 총리 재임 기간은 1901년 6월 ~ 1906년, 1908년 7월 ~ 1911년 8월, 1912년 12월 ~ 1913년 2월로, 총 2,886일이었다. 이는 당시 일본 헌정사상 최장 기록이었다.[13]

가쓰라 다로는 총리 재임 기간 동안, 1902년 영일 동맹을 체결하고, 1904년부터 1905년까지 벌어진 러일 전쟁에서 승리하여 동아시아의 주요 제국주의 열강으로 부상했다. 1905년 7월 29일에는 미국의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가쓰라-태프트 밀약을 맺어 대한제국에 대한 일본의 지배권을 확인받았다.[2] 1906년에는 포츠머스 조약으로 러일 전쟁을 종결지었다.

1910년에는 한일 병합 조약을 체결하여 대한제국을 강제 병합했다.

2. 5. 가쓰라-태프트 밀약과 대한제국 강제 병합

1905년 7월 29일, 가쓰라는 미국의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가쓰라-태프트 밀약을 맺었다.[2] 이 밀약을 통해 미국은 필리핀에 대한 지배권을, 일본은 대한제국에 대한 지배권을 상호 인정받았다.

1910년 가쓰라는 두 번째 총리 재임 기간에 대한제국-일본 제국 병합 조약을 통해 대한제국을 강제로 병합하여 식민지화했다.[2]

2. 6. 다이쇼 정변과 퇴진

1912년 가쓰라 3차 내각이 성립되었다. 그러나 헌정 옹호 운동이 일어나 가쓰라를 비판했고, 1913년 2월 10일에는 민중들이 의회를 둘러싸고 어용 신문사와 경찰을 습격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는 일본 역사상 최초로 민중이 내각을 무너뜨린 사례가 되었다.[56] 가쓰라는 헌정동지회를 창당하여 이에 대항하려 했지만,[3] 불신임안에 직면하고 후원자들의 지지를 잃자 결국 1913년 2월에 사임해야 했다.[3]

이후 병세가 악화되어 1913년 10월 도쿄에서 사망했다. 사인은 복부에 퍼져 있던 과 뇌 동맥 혈전이었다.

3. 평가

가쓰라 다로는 러일 전쟁 승리를 통해 일본을 국제 사회의 주요 강대국으로 부상시킨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군비 확장과 제국주의적 팽창 정책은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57]

가쓰라는 경험 많은 정치인이었지만, 군비 확장과 대외 세력 확대에만 열중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야마가타 아리토모의 오른팔 역할을 하면서 그의 정적 이토 히로부미에게 접근하고, 한편으로는 사이온지 긴모치와도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등, 현대 일본 자민당의 파벌 정치와 정략적 행보의 원형이 되었다는 평가가 있다. 또한 조선 식민화를 주도하여 일본에 큰 화근을 남겼다는 비판도 존재한다.[57]

일러전쟁에서 승리하였으나, 포츠머스 조약의 내용에 대한 불만으로 히비야 방화 사건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가쓰라는 야마가타 아리토모와의 사이에서 미묘한 균열을 보이기 시작한다. 두 차례의 내각에서의 실적을 바탕으로 야마가타 아리토모로부터 자립을 도모하고, 반(反)정우회 세력을 결집시킨 ‘가쓰라 신당’까지 구상했지만, 야마가타 아리토모는 이를 허락하지 않았다. 야마가타 아리토모메이지 천황의 사망으로 급히 해외 시찰에서 귀국한 가쓰라에게 ‘다이쇼 천황 보좌’의 중요성을 설파하고, 내대신 겸 시종장으로서 궁중에 밀어넣음으로써 가쓰라의 정치적 은퇴를 도모했다. 그러나, 가쓰라는 2개 사단 증설 문제를 교묘하게 이용하여, 제2차 사이온지 긴모치 내각의 퇴진 후, 야마가타 아리토모 자신이 가쓰라를 추대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으로 유도하기도 하였다.

3. 1. 긍정적 평가

가쓰라 다로는 뛰어난 군사 전략가이자 정치가로서, 일본의 근대화와 국제적 지위 향상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일영동맹 체결과 일러전쟁 승리를 통해 일본의 외교적 영향력을 강화했다.[13]

메이지 정부는 가쓰라의 뛰어난 재능을 인정하여 1870년 독일로 유학을 보내 군사 과학(Military strategy)을 공부하게 했다. 가쓰라는 독일 주재 일본 대사관의 무관(military attaché)으로 근무한 후, 일본 육군 내 여러 요직을 거쳐 1886년에는 육군성 차관(Ministry of War of Japan|Vice-Minister of War)으로 임명되었다.[2]

청일 전쟁에서 가쓰라는 야마가타 아리토모 휘하 제3사단을 지휘하며 큰 공을 세웠다. 전쟁 후, 그는 자작 작위(shishaku)를 받았다.[2]

1901년 내각총리대신에 취임한 가쓰라는 일영동맹을 체결하고, 일러전쟁을 승리로 이끌었다. 사이온지 킨모치와 번갈아 수상을 역임하며 '''가쓰라 시대'''를 열었다. 가쓰라 내각은 한일 병합을 단행하기도 했다.[13]

가쓰라는 다쿠쇼쿠 대학의 전신인 타이완 협회학교를 설립하고, 독협 중학교·고등학교의 전신인 독일학협회학교의 제2대 교장을 역임하는 등 교육 분야에도 기여했다.

3. 2. 부정적 평가

가쓰라는 군비 확장과 대외 세력 확대에만 열중했으며, 야마가타 아리토모의 파벌 정치를 계승하여 일본 정치 발전을 저해했다는 비판을 받는다.[57] 사이온지 긴모치와 번갈아 수상을 역임하며 '''"가쓰라 시대"'''(桂園時代)를 이끌었으나, 제3차 가쓰라 내각은 1913년 2월 20일에 총사직했다. 그의 내각총리대신 재직 일수는 2,886일로, 100년 이상 일본 헌정사상 최장 기록이었으나 2019년 11월 20일 아베 신조가 2,887일로 경신했다.[13] 또한, 조선 식민화를 주도하고,[57] 제2차 가쓰라 내각 시대에는 한일 병합을 단행하여 한국인들에게 큰 고통을 안겨주었다.

4. 가쓰라 다로와 한국

가쓰라 다로는 한국 근현대사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 대표적인 인물 중 하나로, 야마가타 아리토모의 오른팔 역할을 하며 이토 히로부미, 사이온지 긴모치 등과 교류하며 정치적 입지를 다졌다.[57] 그는 경험 많은 정치인이었지만 군비 확장과 대외 세력 확대에만 열중했으며, 특히 조선식민지화를 주도했다.[57] 제2차 가쓰라 내각 시대에는 한일 병합을 단행하여 대한제국일제강점기로 이끌었다.

4. 1. 대한제국 강제 병합의 주역

가쓰라 다로는 총리대신으로서 대한제국-일본 제국 병합 조약을 통해 대한제국을 강제로 병합하여 한국을 식민지화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57] 이 공로로 1911년 4월 21일 공작 작위를 받았다.[32] 이러한 대한제국 강제 병합은 한국인들에게 큰 상처를 남겼으며, 현재까지도 한일 관계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4. 2. 가쓰라-태프트 밀약

가쓰라는 야마가타 아리토모의 오른팔 역할을 하면서 이토 히로부미, 사이온지 긴모치 등과 교류하며 정치적 입지를 다졌다. 그는 조선 식민화를 주도하여 일본에 큰 화근을 남겼다는 평가를 받는다.[57] 가쓰라-태프트 밀약은 미국의 제국주의적 확장 정책과 일본의 침략적 야욕이 결합된 결과이며, 한국의 주권을 무시한 대표적인 사례로 비판받는다.

4. 3. 한국 독립운동 탄압

가쓰라는 대한제국-일본 제국 병합 조약을 통해 한국을 식민지화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57] 그의 제2차 가쓰라 내각 시대에 한일 병합이 단행되었다. 그의 정책은 한국 내에서 강력한 저항을 불러일으켰으며, 일본은 이를 무력으로 탄압했다. 이는 한국 독립운동의 불씨를 지피는 계기가 되었으며, 수많은 독립운동가들이 희생되는 결과를 낳았다.

5. 가계

모리씨의 중신 가문인 계가 출신이다. 다이에 고겐이나 센고쿠 무장 계겐쵸 등의 후손이다.[14] 본관(本姓)은 대강씨(大江氏)이다. 모리 모토나리(毛利元就)와 동족으로, 사가미국(相模国) 쓰쿠이(津久井)에서 나온 가문이며, 모토나리의 중신으로는 게이 모토스미(桂元澄)가 있다고 한다.

3번 결혼하여 5남 5녀, 총 10명의 자녀를 두었다(그중 1명은 애첩과의 사이에서 낳은 서자임).[50][51]


  • 첫째 부인 가쓰코(歌子)(?–1886)
  • 둘째 부인 사다코(貞子)(?–1890)
  • 셋째 부인 가쓰라 카나코(桂可那子)(1875–1940)[53]
  • 애첩 나카무라 우라코(中村ウラ子)
  • 애첩


자녀들은 다음과 같다.

배우자이름출생-사망비고
가쓰코(歌子)ちょうこ(蝶子)1880–?국광간(国光侃)과 결혼. 후에 엔도 미야스(遠藤美之)의 양녀가 되어 나가오 가쓰마(長雄勝馬)와 결혼.
가쓰라 요이치(桂与一)1882–19131906년 니타 다다스미(新田忠純)의 딸 사다코(貞子)와 결혼, 2남 1녀를 두었으나 아버지보다 먼저 사망.[52]
시게코(繁子)1883–?오데라 토지사부로(尾寺藤三)와 결혼, 후에 나가사키 에이조(長崎英造)와 결혼.
사다코(貞子)이노우에 사부로(井上三郎)1887–1959이노우에 가쓰노스케(井上勝之助)의 양자가 되어 이노우에 가문을 계승.
키요코(潔子)1888–?나가시마 류지(長島隆二)와 결혼.
나카무라 우라코(中村ウラ子)테루코(輝子)1891–?아마오카 나오요시(天岡直嘉)와 결혼.
가쓰라 카나코(桂可那子)시로(四郎)1893–?요절.
고로(五郎)1895–?
코토마코(寿満子)1897–1930붕키치(文吉)와 결혼.
신시치(新七)1899–?



가쓰라 요이치(桂与一)의 장남 가쓰라 고타로(桂広太郎)(1908–2002)는 조부의 사후 작위를 계승했다.[52]

6. 기타

키가 작고 머리가 큰 체형으로 인해 칠복신대흑천을 닮았다고 하여 “대흑천님”, “거두공”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1]

야마구치현 하기시에는 “가쓰라 다로 구택”이, 나가노현 가루이자와정에는 “가쓰라 다로 구별장”이 현존하고 있다.[1]

; 영화[1]


  • 일러전쟁 승리의 비사 적중횡단 300리(1957년, 연기: 아라키 시노부)
  • 메이지 천황과 일러대전쟁(1957년, 연기: 미사키 요이치)
  • 203고지(1980년, 연기: 쿠온 리조)

; 텔레비전 드라마[1]

  • 꽃 지지 않게: 어떤 외교관의 이야기(1969년, 도쿄12채널, 연기: 류자키 이치로)
  • 바다는 되살아난다(1977년, TBS, 연기: 나이토 무토시)
  • 바람이 타올랐다(1978년, TBS, 연기: 요코우치 타다시)
  • 포츠머스의 깃발(1981년, NHK, 연기: 아쓰미 쿠니야스)
  • 봄의 파도(1985년, NHK 대하드라마, 연기: 이리에 마사노리)
  • 큰 보자기 고토 신페이(1989년, 텔레비전 도쿄, 연기: 스가 후지오)
  • 언덕 위의 구름(2009년, NHK, 연기: 아야타 토시키)
  • 경세제민의 사나이 다카하시 고레이(2015년, NHK, 연기: 카자마 토오루)

참조

[1] 웹사이트 明治宰相列伝 : 桂太郎 国立公文書館 http://www.archives.[...] 2022-02-19
[2] 백과사전 Katsura, Taro, Marquess
[3] 백과사전 Katsura, Taro https://archive.org/[...]
[4] 뉴스 Latest intelligence – Japan The Times 1902-02-28
[5] 웹사이트 The London Gazette, 14 July 1905 http://www.london-ga[...]
[6] 서적 貴族院要覧(丙) 貴族院事務局 1947-12
[7] 서적 貴族院要覧(丙) 貴族院事務局 1947-12
[8] 서적 元老―近代日本の真の指導者たち 中央公論新社
[9] 서적 日露戦争を勝利に導いた影のヒーロー 図太き“ニコポン宰相” 桂 太郎 学研 2003-06
[10] 서적 二大政党制を確立した日露戦争時の首相 桂太郎 学研 2003
[11] 웹사이트 桂太郎 かつら たろう (1848〜1913) https://www.ndl.go.j[...] 国立国会図書館 2020-07-13
[12] 웹사이트 桂太郎 1847-1913 https://www.archives[...] 国立公文書館 2020-07-13
[13] 뉴스 安倍首相、在職日数が歴代最長に 106年ぶり更新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19-12-03
[14] 서적 主要陸海軍人の履歴:陸軍:桂太郎
[15] 서적 天皇のリゾート:御用邸をめぐる近代史 図書新聞
[16] 간행물 商業会議所法 https://dl.ndl.go.jp[...] 官報 1901-03-25
[17]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885-07-27
[18]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886-11-01
[19]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890-06-14
[20]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896-10-15
[21]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09-05-22
[22]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13-10-13
[23] 간행물 賞勲叙任 官報 1885-11-20
[24]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889-12-02
[25]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891-05-12
[26]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895-08-21
[27]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01-12-28
[28]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02-02-28
[29]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07-01-28
[30] 간행물 授爵敍任及辞令 官報 1907-09-23
[31]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09-05-24
[32] 간행물 授爵、敍任及辭令 https://dl.ndl.go.jp[...] 官報 1911-04-22
[33] 기록보관소 公文別録・親任官任免・明治二十二年~昭和二十二年・第三巻・明治四十三年~大正六年:依願免本官並兼官 内閣総理大臣兼大蔵大臣 公爵桂太郎(元勲優遇ノ勅書写附ス)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4] 간행물 辞令 官報 1913-04-09
[35] 간행물 https://dl.ndl.go.jp[...] 官報 1913-10-13
[36] 아시아역사자료센터 陸軍大臣子爵桂太郎以下四名露国勲章受領及佩用ノ件
[37] 아시아역사자료센터 陸軍大臣子爵桂太郎以下三名外国勲章受領及佩用ノ件
[38] 아시아역사자료센터 陸軍大臣子爵桂太郎以下十一名外国勲章受領及佩用ノ件
[39]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01-05-24
[40]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05-09-05
[41] 아시아역사자료센터 内閣総理大臣伯爵桂太郎外国勲章受領及佩用ノ件
[42]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06-06-22
[43] 아시아역사자료센터 陸軍大将伯爵桂太郎外二十一名外国勲章受領及佩用ノ件
[44] 아시아역사자료센터 陸軍大将侯爵桂太郎外三十五名外国勲章受領及佩用ノ件
[45] 아시아역사자료센터 陸軍大将侯爵桂太郎外三十二名外国勲章記章受領及佩用ノ件
[46]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10-07-20
[47]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11-11-24
[48] 아시아역사자료센터 陸軍大将公爵桂太郎外一名外国勲章記章受領及佩用ノ件
[49] 아시아역사자료센터 内大臣兼侍従長陸軍大将公爵桂太郎外国勲章記章受領及佩用ノ件
[50] 서적 (제목 없음) 2006
[51] 서적 「家系図」と「お屋敷」で読み解く歴代総理大臣 明治・大正篇 実業之日本社 2017
[52] 간행물 ◯彙報 ◯華族卒去 公爵桂太郎長男正五位桂與一ハ一昨十六日卒去セリ {{NDLDC|2952363/8}} 官報 1913-06-18
[53] CRD
[54] 웹사이트 明治美人伝 https://www.aozora.g[...]
[55] 웹사이트 箕面に足跡をしるした有名人 箕面動物園と内閣総理大臣桂太郎 https://www.city.min[...] 箕面市 2009-03
[56] 서적 일본 총리 열전 다락원
[57] 서적 (제목 없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