흘료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흘료드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울부짖음'이라는 뜻의 고대 노르드어 이름이다. 볼숭 사가에 따르면, 흘료드는 흐림니르 요툰의 딸이자 오딘의 '소원 소녀'로 묘사되며, 까마귀의 모습으로 레리르에게 다산을 상징하는 사과를 제공하여 볼숭을 낳게 한다. 이후 볼숭과 결혼하여 시그문드의 어머니가 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툰 - 트롤
트롤은 노르드 신화에서 유래하여 악마, 귀신 등 다양한 의미를 지닌 신화적 존재로, 요툰의 한 종류로 묘사되며 인간에게 적대적인 특징을 갖고, 스칸디나비아 민속에서는 햇빛에 닿으면 돌로 변하는 늙고 어리석은 존재로 나타나며, 대중문화에서는 괴물이나 인기 캐릭터, 온라인에서는 악성 댓글을 다는 사람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 요툰 - 로키
로키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트릭스터, 변신자 등의 별칭으로 불리며 신들에게 골칫거리와 도움을 동시에 주는 이중적인 면모를 보이고, 발드르 살해, 라그나로크에서의 활약 등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볼숭 대계 - 니벨룽의 반지
《니벨룽의 반지》는 리하르트 바그너가 작곡한 4개의 오페라로 구성된 대규모 음악극으로, 라인강의 황금으로 만들어진 마법의 반지를 둘러싸고 신, 영웅, 신화적 존재들이 벌이는 투쟁을 웅장하게 묘사하며, 독일과 스칸디나비아 신화와 민담을 바탕으로 인물들의 운명, 욕망, 권력 투쟁을 탐구한다. - 볼숭 대계 - 파프니르
파프니르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용으로, 원래 인간이었으나 보물을 탐하여 용으로 변했으며, 영웅 시구르드에게 죽임을 당하고 탐욕과 저주의 상징으로 다양한 문화 콘텐츠에 영향을 미친다.
흘료드 | |
---|---|
흘료드 | |
신화 정보 | |
종류 | 여거인 |
성별 | 여성 |
배우자 | 오딘 |
자녀 | 발데르 |
2. 이름
고대 노르드어 이름인 흘료드(Hljóðnon)는 '울부짖음'으로 번역된다.
흘료드에 대한 주요 기록은 볼숭 사가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사가에서 흘료드는 흐림니르 요툰의 딸이자 오딘의 발키리로 묘사되며, 볼숭 가문의 시작과 관련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1]
3. 기록
3. 1. 《볼숭 사가》
《볼숭 사가》(Völsunga saga)의 첫 번째 장에서 흘료드는 흐림니르(Hrímnir) 요툰의 딸이자 오딘(Odin)의 '소원 소녀'로 묘사되는데, 이는 '오딘의 발키리(Valkyrie)'로 해석될 수 있다.[1] 《볼숭 사가》에 따르면, 프리그(Frigg)가 아이를 갖지 못하는 레리르 부부의 기도를 듣고 오딘(Óðinn)에게 그 내용을 전하자, 오딘은 자신의 '소원 소녀', 즉 흐림니르 요툰의 딸인 흘료드를 보냈다고 한다.[1]
흘료드는 이후 까마귀의 모습으로 변하여 아이가 없는 레리르(Rerir)에게 다산을 상징하는 사과를 제공했다. 이 사과 덕분에 레리르는 아들 볼숭(Völsung)을 낳게 된다.[1] 볼숭이 완전히 성인이 되었을 때, 흐림니르 거인은 딸 흘료드를 그에게 보냈다고 전해진다. 이는 흘료드가 이전에 볼숭의 아버지 레리르에게 사과를 가져다주었던 인연과 이어진다.[1]
4. 가계도
'''범례:''' 볼숭 일족, 니플룽 일족
흘료드는 볼숭 왕의 아내이며, 영웅 시그문드와 헬기의 어머니이다. 따라서 볼숭 일족에 속하며, 시그문드의 아들인 영웅 시구르드의 할머니가 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