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리그는 '사랑받는'을 의미하는 원시 인도유럽어 어근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게르만 신화에 등장하는 여신이다. 주신 오딘의 아내이자 발드르의 어머니이며, 최고위 여신으로 묘사된다. 예언 능력을 지녔으나 이를 발설하지 않고, 로키의 계략으로 아들 발드르를 잃는 비극을 겪는다. 프레이야와 기원적으로 동일한 여신이었을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하며, 금요일(Friday)의 어원이 되기도 한다. 《고 에다》, 《신 에다》 등의 문헌에서 중요한 역할로 등장하며, 현대 예술 작품의 소재로도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결혼의 여신 - 헤라
헤라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결혼, 여성, 출산의 여신으로, 제우스의 아내이자 자매이며, 질투심 많은 모습으로 묘사되고, 트로이 전쟁에서 그리스 편을 지원하며, 공작새 등을 상징한다. - 결혼의 여신 - 시프
시프는 북유럽 신화에서 토르의 아내이자 울의 어머니로, 아름다운 금발을 가진 여신이며 로키에 의해 머리카락이 잘리는 일화로 유명하고, 다산과 곡물과 관련된 여신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 프리그 - 금요일
금요일은 한 주의 다섯째 날로, 문화권에 따라 금성 관련 이름, 모임, 준비일 등의 다양한 어원을 가지며, 서양에서는 불운, 이슬람에서는 중요, 기독교에서는 성금요일, 힌두교에서는 금성의 날로 여겨지는 등 다양한 의미를 지니고 주말의 시작을 알리는 날이다. - 프리그 - 바프스루드니르가 말하기를
《바프스루드니르가 말하기를》은 《고 에다》에 수록된 서사시로, 오딘이 요툰 바프스루드니르와 지혜를 겨루는 과정을 담고 있으며, 지혜, 권력, 운명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작품이다. - 출산의 신 - 시바
시바는 힌두교의 주요 신으로, 파괴와 창조, 고행과 자비 등 상반된 속성을 지닌 복합적인 신격이며, 다양한 이름과 형태로 숭배받고 여러 종교에 영향을 미쳤다. - 출산의 신 - 메스케네트
메스케네트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출산과 관련된 여신으로, 여성의 머리를 가진 벽돌이나 소의 자궁을 머리에 쓴 여성으로 묘사되며, 인간의 영혼인 카를 창조하여 운명과 연관되었다.
프리그 | |
---|---|
기본 정보 | |
![]() | |
역할 | 사랑과 결혼의 여신, 풍요의 여신 |
옛 노르드어 | Frigg |
고대 고지 독일어 | Frīja |
랑고바르드어 | Frēa |
고대 영어 | Frīg |
고대 작센어 | Frī |
거주지 | 펜사릴 |
세계 | 아스가르드 |
부모 | 피요르귄 |
배우자 | 오딘 |
자녀 | 발드르 |
신화 | |
설명 | 프리그는 노르드 신화에서 애시르 신족의 여신이다. 오딘의 아내이며 발드르의 어머니이다. 사랑, 결혼, 가정, 출산의 여신으로 숭배받았다. 프리그는 미래를 내다볼 수 있는 능력이 있지만, 운명을 바꿀 수는 없다. 그녀는 자신의 지혜와 통찰력을 사용하여 다른 신들과 인간을 돕는다. |
2. 어원 및 명칭
'프리그'라는 이름은 '사랑받는', '사랑하는'을 뜻하는 원시 인도유럽어 어근 *''priH-o-''에서 유래했으며,[2] '자유로운'이라는 뜻의 원시 게르만어 *''Frijjō''와도 관련된다.[3] 이 단어는 씨족 사회에서 '관련된'이라는 의미로 파생되었다.[4]
고대 노르드어로는 'Frigg', 고대 고지 독일어로는 'Frīja', 고대 영어로는 'Frīg' 등 다양한 게르만어파 언어에서 프리그의 이름이 나타난다.[2] 현대에는 여성을 나타내기 위해 라틴어의 -a 접미사를 붙여 'Frigga'라고 쓰기도 한다.[2]
영어 요일 이름인 ''금요일''(Friday)은 '프리그의 날'을 뜻하는 고대 영어 ''Frīġedæġ''에서 유래했다.[3] 이는 로마 신화의 베누스(금성)와 동일시되었기 때문이다.[3]
2. 1. 프레이야와의 관계
프레이야와 프리그는 원시 게르만 시대에 기원이 같았을 가능성이 제기되지만, 학계에서는 여전히 논쟁 중이다(프리그와 프레이야의 공통 기원 가설 참조).[6] 프레이야가 속한 바니르 신족과 마찬가지로 '프레이야'라는 이름은 스칸디나비아 밖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서게르만 민족 사이에서도 여신으로 확인된 '프리그'와 대조적이다. 고대 노르드어 '프레이야'의 기원이 되는 공통 게르만 여신의 존재에 대한 증거는 부족하지만, 학자들은 이것이 단순히 자료 부족 때문일 수 있다고 언급한다.[6]스테판 그런디는 "프리그 또는 프레이야가 원래 단일 여신이었는지 여부는 어려운 문제이며, 바이킹 시대 이전의 게르만 여신에 대한 언급이 부족하고 자료의 질이 다양하여 더욱 어려워진다. 할 수 있는 최선은 그들의 동일성에 대한 찬반 논쟁을 검토하고 각각이 얼마나 잘 뒷받침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라고 썼다.[6]
많은 유사성 때문에 일부 학자들은 프리그와 프레이야가 원시 게르만어 시대의 공통된 존재에서 유래했다고 제안한다.[6]
프리그와 달리 프레이야가 속한 바니르의 이름과 마찬가지로, ''프레이야''라는 이름은 스칸디나비아 밖에서는 언급되지 않는다. 반면 여신 ''프리그''의 이름은 게르만 민족에게 공통적인 여신으로 증명되었으며, 그 이름은 원시 게르만어 *''Frijjō''로 재구성되었다. ''프레이야''가 유래한 공통 게르만 여신의 존재에 대한 유사한 증거는 존재하지 않지만, 학자들은 이것이 단순히 북게르만 기록 외의 증거 부족 때문일 수 있다고 언급했다.[6]

오딘의 아내이자 발드르의 어머니인 프리그[7]는 흘린이라는 별칭으로도 불리는데, 여신 프레이야와 이름이 비슷하고 각자의 남편(오드, 오딘)도 이름이 비슷하여 동일시되기도 한다.
3. 신화 속의 프리그
프리그는 주신 오딘의 아내[6]이자 발드르의 어머니[7]로, 최고위 여신[8]이다. 오딘과 함께 옥좌 흐리드스캬울프에 앉을 권한을 가지며,[9] 피요르귄의 딸[10][11]이다. 뛰어난 예언 능력을 지녔지만 결코 입 밖에 내지 않으며,[12] 로키의 악의로 인해 아들 발드르를 잃는다.[13]
프리그라는 이름은 고대 노르드어 형태이며, 독일어로는 '''프리카'''(''Fricka'''), 고대 영어 형태로는 '''프리그'''(''Frig'')라고 한다. 영어에서 금요일을 의미하는 Friday는 프리그(혹은 프레이야)의 날이라는 의미이다. 이는 프리그가 사랑의 여신이라는 점에서 로마 신화의 베누스와 동일시되었기 때문이다.
『고 에다』의 『무녀의 예언』에서는 프리그의 별칭 "흘린(''Hlín'')"이 나오는데, "프리그의 기쁨(오딘)이 늑대에게 쓰러질 때 흘린에게 두 번째 슬픔(첫 번째는 발드르의 죽음)이 닥쳐온다"고 한다.[14] 여신 프레이야와 흘린은 이름이 비슷하고, 각자의 남편(오드, 오딘)도 이름이 비슷하여 동일시되기도 한다.
프리그는 프레이야처럼 세이드라는 마술에 능하며, 매로 변신 가능한 날개옷을 가지고 있다. 황금에 대한 욕망이 크며,[16][17] 헬이 지배하는 죽은 자의 나라에 들어갈 능력이 없다. 프리그의 열쇠는 가사 노동의 상징이다.
신화 속 프리그는 발드르 보호에 힘쓰는 좋은 어머니로 묘사되지만, 『시의 에다』의 『그림니르의 말』에서는 오딘과 양자를 이간질하거나, 오딘 부재 시 그의 형제들과 관계를 맺는 등 남편과의 갈등이 묘사된다. 『데인인의 사적』에서는 황금 목걸이 제작을 위해 하인과 관계를 맺고, 오딘의 황금 신상을 파괴하여 오딘에게 큰 충격을 주기도 했다.[18]
흘린은 프리그의 시녀로 여겨지기도 하며, 그 외 시녀로는 훌라와 그나가 있다. 프리그의 궁전은 펜사릴이며, 매우 호화롭다고 한다.[19]
3. 1. 《고 에다》
〈무녀의 예언〉에서는 발드르의 죽음을 슬퍼하는 어머니 프리그의 모습이 나타난다. 이 시에서 프리그는 펜살리르에서 아들의 죽음을 슬퍼했다고 묘사된다.[5] 또한, 오딘의 죽음이 예언될 때, 오딘은 "프리가의 사랑하는 자"로 언급되고, 그의 죽음은 "프리가의 두 번째 슬픔"으로 묘사된다. 여기서 "첫 번째 슬픔"은 발드르의 죽음에 대한 슬픔을 의미한다.[5]
〈그림니르의 말〉의 산문 서문에서는 흐라우둥그르 왕의 두 아들 아그나르와 게이로드가 바다에서 배가 난파되어 소작농의 도움을 받게 되고, 그곳에서 겨울을 보내는 이야기가 나온다. 늙은 부부는 두 아이를 따로 키웠는데, 늙은 여인은 아그나르를, 늙은 남자는 게이로드를 키웠다. 봄이 되어 늙은 남자는 게이로드에게 배를 주고 그를 따로 불러 이야기했다. 이후 게이로드는 왕이 되었고, 장면은 오딘과 프리가가 힐리스클잘프에 앉아 "모든 세계"를 바라보는 것으로 바뀐다. 오딘은 프리가에게 자신의 양아들 게이로드가 왕이 된 반면, 프리그의 양아들 아그나르는 동굴에서 거인에게 아이를 낳고 있다고 말한다. 프리가는 게이로드가 손님에게 냉대한다고 반박했고, 둘은 내기를 한다. 프리가는 풀라를 보내 게이로드에게 마법사가 올 것이니 조심하라고 경고하고, 그 마법사는 사나운 개도 공격하지 않을 것이라는 특징을 알려준다. 게이로드는 마법사를 체포하여 고문했고, 그 마법사는 그리니르라는 자신의 이름을 밝힌다. 9일 밤, 게이로드의 아들 아그나르가 그리니르에게 술잔을 가져다주면서 시는 계속된다.
〈로카세나〉에서는 로키가 거의 모든 여성에게 난잡함 및/또는 불성실함을 비난하는 가운데, 로키와 프리가 사이에 언쟁이 벌어진다. 시의 산문 서문에는 에기르가 주최한 연회에 오딘과 "그의 아내" 프리가를 포함한 많은 신들과 여신들이 참석했다고 설명한다.
3. 2. 《신 에다》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신 에다》에서 프리그는 여러 번 언급된다. 《신 에다》 서론에서는 노르드 신들에 대한 에우헤메리즘화된 설명과 함께 프리그가 오딘의 아내이며 예언 능력을 가졌다고 언급된다.[6]《길피의 속임수》에서 하이는 프리그가 피요르그인스도티르 (고대 노르드어 ''Fjörgynsdóttir'')의 딸이며 오딘과 결혼했고 에시르는 그 부부의 후손이라고 말한다.[11] 또한, 프리그는 펜살리르에 거주하며, 이곳은 "매우 훌륭하다"고 묘사된다.[19] 프리그는 시녀들을 거느리고 있는데, 풀라는 프리그의 재 상자를 운반하고 신발을 돌보며 비밀을 공유하고, 로픈은 남자와 여자 사이의 결합을 주선하는 허가를 받았으며, 흘린은 프리그가 위험에서 지켜야 할 사람들을 보호하고, 그나는 프리그의 심부름으로 여러 세계에 파견된다.
《길피의 속임수》 49절에는 프리그의 아들 발드르의 운명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발드르가 자신의 생명이 위험하다는 꿈을 꾸자, 프리그는 모든 종류의 위험으로부터 발드르를 보호하기 위해 맹세를 받는다. 그러나 로키는 여자로 변장하여 프리그에게서 겨우살이가 맹세에서 제외되었다는 사실을 알아내고, 이를 이용해 호드르를 속여 발드르를 죽이게 한다.

프리그는 발드르를 되살리기 위해 헬로 가는 길을 달려 발드르를 찾고 헬에게 대가를 지불할 사람을 찾는다. 헤르모드르가 헬로 가서 발드르와 난나를 만나고, 프리그에게 선물을 받는다. 그러나 요툰족 토크의 방해로 발드르의 귀환은 실패한다.
《스칼드스카파르말》에서 프리그는 아스가르드에서 열린 연회에 참석한 열두 명의 아시뉴르 중 한 명으로 언급된다.
3. 3. 《헤임스크링글라》와 사가
《윙글링 일족의 사가》에서는 오딘이 부재 중일 때 오딘의 형제인 빌리와 베가 오딘의 재산을 관리했다고 한다. 한번은 오딘이 오랫동안 자리를 비우자, 아시르 신들은 그가 돌아오지 않을 것이라고 결론 내렸다. 그의 형제들은 오딘의 유산을 나누었고, 그의 아내 프리그는 그들이 서로 나누어 가졌다. 그러나 얼마 후, 오딘이 돌아와 다시 그의 아내를 차지했다.[6] 이 이야기는 오딘의 부재 시 프리그의 행동을 통해 권력과 여성의 역할을 엿볼 수 있게 한다.볼숭 사가에서 위대한 왕 레리르와 그의 아내(이름 없음)는 아이를 가질 수 없었다. 그들은 그 부족함에 모두 불만을 품었고, 아이를 가질 수 있도록 신들에게 간절히 간청했다. 프리그가 그들의 기도를 듣고 오딘에게 그들이 무엇을 청했는지 말했다.[7] 이를 통해 자식을 원하는 부부의 기도를 들어주는 프리그의 자애로운 면모를 확인할 수 있다.
4. 상징과 의미
프리그는 가정, 결혼, 출산, 육아 등 여성과 관련된 영역을 관장하는 여신으로 여겨진다. 신화 속에서 프리그는 아들 발드르를 보호하고 부활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좋은 어머니로 묘사된다. 프리그의 궁전인 펜사릴은 매우 호화로운 곳으로 묘사되며,[19] 이는 프리그의 권위와 풍요로움을 상징한다. 프리그가 가진 열쇠는 가사 노동의 상징으로 해석된다.
5. 대중문화 속의 프리그
프리그는 현대 예술과 문학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구스타브 3세는 18세기에 스웨덴의 국왕으로, 프리그의 이름을 딴 연극 ''프리그야''를 작곡했다. 1937년에는 H. F. 블록과 한스 프리드리히 블룬크의 ''프라우 프리그 운트 닥터 파우스트''가 출판되었다.
K. 에렌베르크의 ''프리그, 프레이야''(드로잉, 1883), 존 찰스 돌먼의 ''프리가가 구름을 잣는 모습''(그림, c. 1900), 에밀 되플러의 ''보단과 프레아가 하늘 창가에''(그림, 1901), H. 토마의 ''프리카''(드로잉, 날짜 미상) 등 다양한 미술 작품에서 프리그가 묘사되었다.[6]
1862년에 발견된 소행성에는 프리그의 이름을 따서 "프리그(77 Frigga)"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참조
[1]
웹사이트
Frigg
http://www.dictionar[...]
Random House 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
2018-04-30
[2]
서적
Bulfinch
Bulfinch
1913
[3]
서적
Friday, n. and adv.
Oxford English Dictionary Online
[4]
서적
Ordbog over det gamle norske sprog. Omarbeidet, forøget og forbedret udgave
https://play.google.[...]
Johan Fritzner
2023-05-05
[5]
서적
Larrington
Larrington
1999
[6]
서적
ギュルヴィたぶらかし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7]
서적
図解 北欧神話
[8]
서적
ギュルヴィたぶらかし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9]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10]
문서
大地と大気の女神とも。
[11]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12]
서적
ロキの口論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13]
서적
ギュルヴィたぶらかし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14]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15]
서적
知っておきたい 世界の女神・天女・鬼女
西東社
[16]
서적
ビジュアル版 世界の神話百科 ギリシア・ローマ/ケルト/北欧
原書房
[17]
서적
知っておきたい 世界と日本の神々
西東社
[18]
서적
図解 北欧神話
[19]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