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아해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흥아해운은 1961년 설립된 해운 회사로, 컨테이너선 및 화학제품운반선 사업을 영위했다. 1960년대부터 일본, 동남아 항로를 개척했으며, 1980년대 법정관리에 들어갔으나 1999년 벗어났다. 2019년 컨테이너 부문을 장금상선에 통합하고 재래선 전문 업체로 전환했다. 2020년 워크아웃을 신청하고 장금상선이 최대주주가 되어 유상증자를 실시하여 상장폐지를 면했다. 2022년 흑자 전환에 성공했으며, 일본, 중국, 동남아 항로를 중심으로 해상 화물 운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운수 기업 - HMM (기업)
HMM은 1976년 아시아상선으로 설립되어 현대그룹에 편입된 후 컨테이너선, 벌크선 등을 운영하는 대한민국의 해운 회사로, 세계 3대 해운 동맹 '디 얼라이언스'의 정회원이며, 현대그룹에서 분리되어 한국산업은행이 최대 주주가 되었고, 2023년 매각 시도가 무산되었다. - 대한민국의 운수 기업 - 동원산업
동원산업은 1969년에 설립되어 수산 및 물류 사업을 영위하며, 1996년 동원그룹 출범 이후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여 현재 수산, 유통, 물류 부문에서 다양한 사업을 펼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해운회사 - HMM (기업)
HMM은 1976년 아시아상선으로 설립되어 현대그룹에 편입된 후 컨테이너선, 벌크선 등을 운영하는 대한민국의 해운 회사로, 세계 3대 해운 동맹 '디 얼라이언스'의 정회원이며, 현대그룹에서 분리되어 한국산업은행이 최대 주주가 되었고, 2023년 매각 시도가 무산되었다. - 대한민국의 해운회사 - 현대글로비스
현대글로비스는 고객 화물 운송, 보관, 하역을 담당하는 종합물류 회사이며, 해상, 항공, 내륙 운송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고 현대자동차그룹의 자회사로서 안정적인 매출 구조를 갖추고 있다. - 1961년 설립된 기업 - 센다이 방송
센다이 방송은 미야기현을 대상으로 1962년 개국한 후지 TV 계열의 텔레비전 방송국으로, FNS 도호쿠 지역 기간국으로서 지역 사회를 위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 1961년 설립된 기업 - 삼양식품
삼양식품은 1961년 설립되어 1963년 국내 최초로 인스턴트 라면을 생산한 대한민국의 식품 회사로, 삼양라면, 불닭볶음면 등을 통해 성장하며 해외 시장에도 진출했으나, 우지 사건, 가격 담합, 경영진 비리, 제품 안전성 논란 등 여러 문제에 직면하여 기업 이미지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2023년 9월 사명을 삼양라운드스퀘어로 변경했다.
흥아해운 - [회사]에 관한 문서 | |
---|---|
회사 정보 | |
이름 | 흥아해운 |
원어 | 興亞海運 |
형태 | 주식회사 |
산업 | 해운 |
시장 정보 | KRX: 003280 |
국가 | 대한민국 |
장소 | 서울특별시 중구 청계천로8, 5층 (무교동, 프리미어플레이스) |
인물 | 대표이사 이환구 |
웹사이트 | 흥아해운 |
2. 역사
1961년 설립된 흥아해운은 1964년 5월 일반화물선 운항을 시작으로, 1973년 일본 항로에 진출하며 컨테이너 운송사업을 시작했다. 1974년 동남아 항로, 1976년 화학제품 운반선 사업 등으로 확장하였고, 1977년 대통령 표창을 수상하기도 했다. 1984년까지 벵골만, 중동, 홍해까지 항로를 넓혔으나, 1985년 무리한 투자로 법정관리에 들어갔다. 1989년부터 실적이 개선되어 1999년 법정관리에서 벗어났다.
이후 컨테이너선과 화학제품운반선 사업에 집중하며, 2007년과 2015년에 관련 회사를 설립했다. 2019년 장금상선에 컨테이너 부문을 통합하고 재래선 전문 업체가 되었다. 2020년 상장폐지 위기를 겪었으나, 2021년 장금상선의 투자로 최대주주가 변경되며 위기를 넘겼다. 2022년 ESG위원회를 설치하고, 2023년 본점 소재지를 변경했다.
2. 1. 설립 초기 (1961년 ~ 1983년)
1961년 흥아해운은 설립 후 1964년 5월 일반화물선 제1, 2, 3 흥아호를 시작으로 1973년까지 제5, 7, 8, 9, 11, 16, 17 흥아호를 대일항로에 취역시키며 성장했다. 같은 해 신조 컨테이너선 비너스호를 대일항로에 취역시키며 컨테이너 운송사업을 시작했다.[1] 1974년 원목선 레인보우호를 취역, 동남아항로 운항을 개시했으며, 1976년 화학제품운반선 여수 파이오니어호를 대일항로에 취역시켰다. 1977년 제1회 해운의 날에 우수 해운사로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고, 1978년 다목적화물선 제1, 2 도남호를 대일항로에 취역시키며 대일항로에서 굳건한 위치를 확보했다.2. 2. 법정관리와 회생 (1984년 ~ 2019년)
1984년까지 항로를 벵갈만, 중동, 홍해까지 넓히며 승승장구하였으나, 1985년 무리한 선박 도입과 계열사에 대한 과도한 지급보증으로 인해 법정관리에 들어가게 되었다. 이후 도쿄, 홍콩, 마산 사무소 폐쇄, 선박 매각, 홍해~벵갈만 서비스 중단, 계열사 매각 등을 통해 1989년부터 실적이 개선되기 시작하였으며, 1999년 법정관리에서 벗어났다.[1]이후 운영 선대를 컨테이너선과 화학제품운반선으로 이원화하여 한국, 중국, 일본 및 동남아 항로에 집중하였다. 2007년 선박관리업체 (주)하스매니지먼트를, 2015년 자사 화학제품운반선대 관리를 위해 (주)파이오니어탱커서비스를 설립하였다.
2019년 대한민국 정부 주도의 해운업계 재편에 따라 컨테이너 부문을 흥아라인(HEUNG-A LINE)으로 분리하였다. 이후 컨테이너 부문은 동종업계인 장금상선에 통합되었으며,[1] 흥아해운은 재래선 전문 업체가 되었다.
2. 3. 장금상선 인수 이후 (2020년 ~ 현재)
2020년 자본잠식으로 상장폐지 직전까지 몰렸으나, 2021년 장금상선이 대주주가 되어 유상증자를 실시해 상장폐지를 모면했다.2021년 6월 22일 장금상선을 투자자로 하는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장금상선으로 최대 주주가 변경되었다.[1]
2022년 6월 29일 이사회 내 ESG위원회를 설치하였다.
2023년 9월 본점소재지를 서울시 중구 청계천로 8, 5층(무교동, 프리미어플레이스)으로 변경하였다.
3. 재무
興亞海運중국어은 2022년에 전기 대비 117.6% 증가한 매출액을 기록했으며, 흑자 전환하여 2980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했다.[1] 2017년부터 5년 연속 영업손실을 겪었으나, 2022년에 흑자로 돌아섰고 2023년에도 이익을 냈다. 순이익은 2021년 장금상선의 인수대금이 유입되면서 흑자 전환에 성공한 뒤 3년 연속 흑자를 이어갔다. 특히 2022년에 이어 2년 연속 40%를 웃도는 높은 성장률을 달성했다.[2]
4. 기업 규모 (2023년 기준)
2023년 기준 기업 규모는 다음과 같다.
5. 주요 항로
6. 운영 선대 목록 (탱커선)
선명 | DWT |
---|---|
NO.3 GREEN PIONEER | 3,999 |
BUSAN PIONEER | 3,497 |
ULSAN PIONEER | 3,497 |
KOBE PIONEER | 3,499 |
YOKOHAMA PIONEER | 3,499 |
HONGKONG PIONEER | 6,524 |
POHANG PIONEER | 6,510 |
DREAM PIONEER | 6,510 |
ASIAN PIONEER | 12,423 |
NO.2 ASIAN PIONEER | 12,421 |
HEUNG-A PIONEER | 12,389 |
NO.2 HEUNG-A PIONEER | 12,335 |
GOLDEN PIONEER | 11,895 |
NO.3 OCEAN PIONEER | 19,991 |
OCEAN PIONEER | 19,984 |
NO.2 OCEAN PIONEER | 19,991 |
7. 사고
발생일 | 발생 위치 | 사고 선박 | 상대 선박 | 피해 상황 | 비고 |
---|---|---|---|---|---|
1994년 9월 5일 | 구루시마 해협 | "글로리아"호, "흥영환" | 화물선 | - | - |
1995년 8월 14일 | 미즈시마항 | "울산 파이오니아"호 | "학등환" (유조선) | - | - |
1998년 9월 9일 | 오키노시마 북방 해역 | "흥아 도쿄"호 | "제38대동환" (어선) | - | - |
2000년 6월 22일 | 마쓰야마항 | "흥아 주피터"호 | 제11금산환 | 양 선박 모두 손상 | - |
2002년 5월 5일 | 이요나다 북서부 | "포판 파이오니아"호 | "밋코마루" (미는 배), "챠파리토" (바지선) | - | - |
2002년 8월 23일 | 스오나다 | "흥아 방콕"호 | "세이후쿠마루" (소형 저인망 어선) | "세이후쿠마루" 선장 사망 | - |
2002년 11월 10일 | 아와시마 | "흥아 울산"호 | - | 컨테이너 유출 | 선장은 현해탄 해난 사고의 선장 |
2003년 7월 2일 | 현해탄 | "흥아 주피터"호 | 제18광양환 | 사망 7명, 중경상 7명 | 현해탄 해난 사고 |
2003년 9월 19일 | 현해탄 | "마산 파이오니아"호 | "제2유구환" (정박 중) | - | - |
2004년 11월 8일 | 하리마나다 | "흥아 방콕"호 | "후쿠쇼마루" (소형 어선) | 1명 사망 | - |
2021년 5월 28일 | 구루시마 해협 | "울산 파이오니아"호 | "백호" (자동차 운반선) | 3명 사망 | 백호 침몰 사고 |
8. 일본 사업
(일본통운 마이즈루해운지점에 의해)
- 1973년 한일 항로에 진입하여 오사카항, 고베항에 기항하였다.
- 1976년 요코하마항에 기항을 시작하였다.
- 1978년 도쿄항, 모지항에 기항을 시작하였다.
- 1986년 나고야항, 하카타항, 도쿠야마항에 기항을 시작하였다.
- 1990년 '''세토내해 항로'''에 진입하여 히로시마항에 기항을 시작하였다.
- 1992년 이마바리항에 기항을 시작하였다.
- 1994년 '''동해 항로'''에 진입하여 마이즈루항, 쓰루가항, 니가타항에 기항을 시작하였다.
- 1995년 도야마항, 가나자와항, 요카이치항, 아키타항에 기항을 시작하였다.
- 1997년 이마리항, 다카마쓰항, 시미즈항에 기항을 시작하였다.
- 1998년 고치항에 기항을 시작하였다.
- 1999년 미즈시마항, 야시로항에 기항을 시작하였다.
- 2001년 센다이항, 나오에쓰항, 와카야마항, 도요하시항에 기항을 시작하였다.
- 2002년 후쿠야마항, 시부시항에 기항을 시작하였다.
- 2003년 이와쿠니항에 기항을 시작하였다.
- 2004년 사쓰마센다이항에 기항을 시작하였다.
- 2005년 사카이미나토항에 기항을 시작하였다.
- 2006년 미이케항에 기항을 시작하였다.
- 2007년 오후나토항에 기항을 시작하였다.
- 2009년 시부시항에 기항을 재개하였다.
- 2019년 컨테이너선 사업을 양도하고 철수하였다. 이후 재래선의 부정기 기항만 이루어지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Shipping Gazette News - Heung-AとSinokorがコンテナ事業統合で基本合意
http://www.japanpres[...]
2021-05-29
[2]
웹사이트
「積み出す船も貨物もない」…新型コロナ拡大で危機を迎えた輸出企業=韓国
https://s.japanese.j[...]
中央日報
2021-05-07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호르무즈 해협 봉쇄 닫힐까…유가·운임 상승에 석유·해운주 급등 [특징주]
호르무즈 해협 봉쇄 우려에 해상운임도 오르나…HMM 3%대 강세
“한숨 돌렸다”…전세계 공포 떨게한 관세전쟁, 휴전 소식에 가장 웃은 종목은
화물운임 반등에도 웃지 못한 해운·항공株
화물 운임 기지개 켜는데…해운·항공주 여전히 ‘울상’
팬오션과 판토스, 코트라가 선택한 물류 플랫폼 – 바이라인네트워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