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삼양식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양식품은 1961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식품 회사로, 국내 최초의 인스턴트 라면인 삼양라면을 생산했다. 1960년대에 삼양제유로 시작하여 삼양공업, 삼양식품공업을 거쳐 현재의 삼양식품으로 상호를 변경했다. 1963년 일본 묘조식품과의 기술 제휴를 통해 삼양라면을 출시하며 라면 시장에 진출했고, 이후 불닭볶음면을 개발하여 해외 시장에서도 큰 성공을 거두었다. 1989년 우지 파동, 2012년 라면 가격 담합, 2019년 경영진 횡령 등의 사건을 겪었으며, 2023년 삼양라운드스퀘어로 사명을 변경하고 종합식품기업으로의 도약을 추진하고 있다. 주요 제품으로는 삼양라면, 불닭볶음면, 짱구, 사또밥 등의 스낵과 유제품, 소스 등이 있으며, 일본과 미국에 법인을 설립하여 해외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1년 설립된 기업 - 센다이 방송
    센다이 방송은 미야기현을 대상으로 1962년 개국한 후지 TV 계열의 텔레비전 방송국으로, FNS 도호쿠 지역 기간국으로서 지역 사회를 위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 1961년 설립된 기업 - 나고야 TV 방송
    나고야 TV 방송은 1961년에 설립되어 1962년 개국했으며, 애니메이션 제작에 적극 참여하고 아이치현 등을 대상으로 지역 프로그램과 스포츠 중계를 제공한다.
  • 대한민국의 식품회사 - CJ제일제당
    CJ제일제당은 1953년 삼성그룹의 제일제당 공업주식회사로 설립되어 식품 및 바이오 사업을 영위하는 대한민국의 기업으로, 설탕, 밀가루, 식용유, 조미료 등 다양한 식품을 생산하며 '비비고', '햇반', '백설' 등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고, 1993년 삼성그룹에서 분리 독립 후 CJ그룹을 출범시켜 현재는 해외 시장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식품회사 - 롯데웰푸드
    롯데웰푸드는 1967년 롯데제과로 설립되어 과자와 빙과류 생산으로 성장한 대한민국의 식품 기업으로, 롯데푸드와의 합병 후 2023년 사명을 변경했으며 월드콘, 꼬깔콘, 빼빼로, 가나 초콜릿 등 다양한 브랜드를 보유하고 무설탕 디저트 ZERO 출시 등 사업 확장을 지속하고 있다.
  • 한국거래소 상장 기업 - HDC현대산업개발
    HDC현대산업개발은 1976년 현대그룹의 자회사로 설립되어 주택, 토목, 플랜트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며, 2001년 IPARK 아파트 브랜드를 론칭하고 HDC그룹의 모회사로 성장했으나, 2021년과 2022년 건물 붕괴 사고로 사회적 비판을 받았다.
  • 한국거래소 상장 기업 - 제일기획
    제일기획은 1973년 설립된 삼성그룹의 광고회사로, 하쿠호도와의 제휴를 시작으로 칸 국제광고제 수상 등 여러 국제적 광고상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해외 유수 광고대행사 인수를 통해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있다.
삼양식품 - [회사]에 관한 문서
회사 정보
회사 이름삼양식품
영문 회사 이름Samyang Foods Co., Ltd.
한글 회사 이름삼양식품 주식회사
한자 회사 이름三養食品株式會社
로마자 표기Samyang Sikpum Jusikhoesa
설립일1961년 9월 15일
본사 위치서울특별시 성북구 오패산로3길 104
산업식품 산업
사업 내용가공식품 제조 (면류, 스낵, 유제품 등)
주요 제품라면, 스낵, 우유, 발효유, 음료
웹사이트삼양식품 공식 웹사이트
영문 웹사이트라운드스퀘어
기업 상세 정보
설립 형태주식회사
상장 정보003230
시장한국거래소
대표자김정수 (대표이사 부회장), 김동찬 (대표이사)
직원 수1,826명 (2021년 12월)
자본금37,665,075,000원 (2021년 12월)
매출액1조 1,929억 원(2023년)
영업이익1,475억 1,410만 원(2023년)
순이익1,265억 9,120만 원(2023년)
자산 총액753,080,320,659원 (2021년 12월)
주요 주주삼양라운드스퀘어주식회사 외 특수관계인: 46.14%, 엠디유니콘제일차주식회사: 8.76%
주요 자회사삼양로지스틱스주식회사
주식회사 삼양프루웰
삼양목장주식회사
주식회사 삼양티에이치에스
삼양베이커탱크터미널주식회사
삼양제분주식회사
삼양애니주식회사
수출 지역전 세계
추가 정보
로마자 표기 (영문)Samyang Raundeuseukweeo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 표기법)Samyang Raundŭsŭk'weŏ
창립일 (삼양제유)1961년 9월
창립일 (삼양공업)1961년 10월
창립일 (삼양식품공업㈜)1965년 10월
창립일 (삼양식품㈜)1990년 6월
창립자전중윤
공식 웹사이트 언어한국어, 영어, 중국어 (간체)
지도 정보

2. 연혁

1961년 9월 15일 전중윤이 '''삼양제유'''를 설립하며 시작되었고, 같은 해 10월 '''삼양공업'''으로, 1965년 10월 '''삼양식품공업'''으로 상호를 변경했다. 1963년 9월 15일에는 일본 묘조식품과의 기술 제휴를 통해 대한민국 최초의 인스턴트 라면인 삼양라면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1970년대에는 1973년 대관령목장 건설에 착수하고 익산청주에 공장을 준공하는 등 사업 기반을 확장했다. 1980년대에는 미국 현지 법인 설립, 대구원주 공장 준공 등으로 성장을 이어갔으나, 1989년 11월 우지 파동으로 큰 위기를 맞았다.

1990년 6월 상호명을 '''삼양식품'''으로 변경했으며, 1997년 우지 파동 관련 대법원 무죄 판결을 받았으나 경영난은 지속되어 1998년 IMF 외환 위기 속에서 화의를 신청했다. 화의는 2005년 3월 종결되었다.

2010년대 들어서는 2010년 전인장 회장 취임 이후 2011년 제주우유 인수, 2012년 불닭볶음면 출시 등으로 재도약을 모색했다. 불닭볶음면은 국내외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으나, 같은 해 가격 담합으로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과징금을 부과받기도 했다.[3] 이후 2017년 핵불닭볶음면 출시, 2019년 일본 법인 삼양재팬 설립[5][14], 2022년 밀양시 신공장 준공 등 성장을 지속했다.

2021년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라면 수요 증가로 역대 최고 매출을 기록했으며,[7] 2023년 9월 그룹명을 '''삼양라운드스퀘어'''로 변경하며 새로운 비전을 제시했다.

2. 1. 설립 초기 (1961년 ~ 1970년대)

1961년 9월 15일, 전중윤이 '''삼양제유'''를 설립하며 삼양식품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같은 해 10월, 회사 이름을 '''삼양공업''' 주식회사로 변경했다. 1963년 9월 15일에는 일본 묘조식품과의 기술 제휴를 통해 대한민국 최초의 인스턴트 라면인 삼양라면을 생산하기 시작하며 한국 라면 시장의 문을 열었다.

회사는 성장을 거듭하며 1965년 10월에는 '''삼양식품공업''' 주식회사로 다시 상호를 변경했고, 1967년 11월에는 생산 시설 확충을 위해 공장을 서울특별시 성북구 월곡동에서 도봉구 도봉동으로 이전했다.

1970년대에 들어서는 사업 다각화와 생산 능력 확대에 주력했다. 1969년 1월 삼양유업(주)를 설립하여 유가공 사업에 진출했으며, 1971년 2월에는 익산시공장을 준공했다. 또한 1970년대 초부터 대관령면 일대의 광활한 토지(약 20km2)를 목장으로 개간하여 가축을 사육하기 시작했고,[2] 1973년 11월에는 대관령목장의 공식적인 공사에 착수했다. 1978년에는 1월 삼양유지사료(주) 설립, 10월 의료법인 대화의원 개원을 통해 사업 영역을 넓혔고, 1979년 5월에는 청주시공장을 준공하며 생산 기반을 더욱 강화했다.

이 시기 삼양식품의 주요 발자취는 다음과 같다.

삼양식품 설립 초기 주요 연혁 (1961년 ~ 1979년)
연도내용
1961년9월 15일전중윤이 삼양제유 설립
10월상호명을 삼양공업 주식회사로 변경
1963년9월 15일일본 묘조식품과 기술 제휴, 삼양라면 생산 개시 (대한민국 최초)
1965년10월상호명을 삼양식품공업 주식회사로 변경
1967년11월공장 이전 (서울특별시 성북구 월곡동도봉구 도봉동)
1969년1월삼양유업(주) 설립
1971년2월익산시공장 준공
1973년11월대관령목장 공사 착공
1978년1월삼양유지사료(주) 설립
10월의료법인 대화의원 개원
1979년5월청주시공장 준공


2. 2. 성장과 시련 (1980년대 ~ 1990년대)

1980년대에 들어 삼양식품은 사업 다각화를 모색하며 성장을 지속했다. 1980년 7월에는 미국 현지법인인 삼양USA를 설립하였고, 같은 해 12월에는 원유가공공장을 준공하였다. 1987년 3월에는 삼양양조간장이 간장 업계 최초로 KS마크를 획득하며 품질을 인정받았다. 1989년에는 대구공장(1월)과 원주공장(2월)을 연이어 가동하며 생산 능력을 확충했다.

그러나 1989년 11월, 삼양식품이 라면을 튀기는 데 공업용 우지를 사용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이른바 우지 파동이 발생하면서 큰 시련을 맞게 되었다. 이 사건은 당시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켰고, 삼양식품의 이미지와 시장 점유율에 심각한 타격을 입혔다.

1990년대는 우지 파동의 여파와 IMF 외환 위기라는 악재 속에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이어졌다. 1990년 3월에는 문막 인쇄공장을 착공하였고, 같은 해 6월에는 상호명을 '삼양식품공업'에서 '삼양식품'으로 변경하였다. 1996년 10월에는 1997년 동계 유니버시아드 대회의 공식 후원사로 지정되기도 했다.

1997년 8월, 대법원은 우지 파동에 대해 최종적으로 무죄 판결을 내렸으나, 회사의 경영난은 계속되었다. 결국 1998년 1월, IMF 외환 위기의 여파 속에서 삼양식품은 화의를 신청하였고, 같은 해 9월 법원으로부터 화의 인가를 받았다.

2. 3. 회복과 재도약 (2000년대 ~ 현재)

2001년 7월 대관령 유기질 비료공장을 완공하였고, 2002년 11월에는 본사를 서울특별시 종로구 수송동에서 성북구 하월곡동으로 이전하였다. 1998년 IMF 외환 위기 당시 신청했던 화의는 2005년 3월에 종결되었다.

2009년 12월, 삼양식품은 한국장애인고용공단과 자회사형 표준사업장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2011년 4월 장애인 자회사형 표준사업장인 삼양THS를 설립하였다. 2011년 8월에는 제주우유를 인수하며 사업 다각화를 모색했고, 9월에는 창립 50주년을 맞이했다.

2010년 전인장 회장이 취임했으며, 같은 해 8월 외식업체 호면당을 인수하며 외식 사업에도 진출했다. 2012년에는 불닭볶음면을 출시했는데, 이 제품은 특히 유튜브 등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매운맛 도전 등으로 큰 인기를 끌며 삼양식품의 성장을 견인하는 주요 상품이 되었다.[2] 하지만 같은 해, 농심, 오뚜기, 한국야쿠르트 등 다른 라면 업체들과 함께 2001년부터 2010년까지 라면 가격을 담합한 사실이 드러나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과징금을 부과받기도 했다.[3]

2015년 9월에는 삼양내츄럴스가 냉동식품 전문업체 '새아침'을 인수하였고, 2016년 9월에는 온라인 쇼핑몰 '삼양맛샵'을 열었다. 2017년에는 불닭볶음면 시리즈의 인기에 힘입어 '핵불닭볶음면'과 '삼양라면 매운맛'을 출시했으며, 라면 스프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2017년 8월 삼양제분 주식회사를 설립하고 12월에 공장을 준공했다. 2018년에는 '스리라차 볶음면', '참참참 계란탕면' 등 신제품을 출시하고, 카카오프렌즈와 협업하여 라면과 스낵 상품을 선보였다.

2019년에는 '쉐킷쉐킷', '악어밥' 등 스낵 제품을 출시했으며, 12월에는 경상남도 밀양시,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투자협약을 맺고 밀양 신공장 건립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같은 해, 지분 16.99%를 보유한 대주주 HDC현대산업개발이 전과 기록이 있는 이사진의 해임을 요구하는 등 경영권 관련 이슈가 발생하기도 했다.[4] 또한, 해외 시장 공략을 위해 첫 해외 영업법인인 삼양재팬을 설립하여 약 54억달러 규모의 일본 라면 시장 진출을 본격화했다.[5][14]

2020년 4월에는 과거 인기 제품이었던 '삼양라면골드'(1982년 출시)와 '이백냥'(1987년 출시)을 한정판으로 재출시했으며, 10월에는 밀양 나노융합국가산업단지에 신공장 착공에 들어갔다. 소비자들의 지속적인 요청과 불닭볶음면의 인기에 부응하여 김치 맛 불닭볶음면도 출시했다.[6]

2021년 3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팬데믹으로 인한 라면 수요 증가에 힘입어 매출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21.9% 증가했다고 발표했다.[7] 같은 해 9월에는 창립 60주년을 기념하여 '삼양라면 60주년 에디션' 한정판을 출시했다. 2022년 5월에는 밀양 신공장을 준공하여 생산 능력을 확대했으며, 8월에는 인기 애니메이션 검정고무신과 협업한 '삼양라면 검정고무신 에디션'을 선보였다.

2023년 9월, 삼양식품그룹은 그룹 명칭을 '삼양라운드스퀘어'로 변경하며 새로운 도약을 선언했다. 현재 삼양식품은 한국 라면 시장에서 3~4위권의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으며, 특히 불닭볶음면 시리즈를 중심으로 한 해외 수출 증대가 회사 성장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3. 제품

삼양식품은 라면을 중심으로 다양한 식품을 생산 및 판매하고 있다. 대표적인 라면 제품으로는 오랜 역사를 가진 삼양라면과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는 불닭볶음면 시리즈가 있다.[16][17] 이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봉지면, 컵라면, 용기면 제품과 스낵류를 생산하고 있다. 또한, 정제 설탕 등도 생산 품목에 포함된다.

3. 1. 면류

삼양식품의 면류 제품은 봉지면과 컵라면(보통 크기, 큰 크기) 형태로 출시된다. 봉지면은 일반적으로 약 120g으로, 일본의 인스턴트 라면보다 양이 많은 편인데, 이는 한국 인스턴트 라면 전반의 특징이기도 하다.

삼양라면은 삼양식품 창업 이래 꾸준히 판매되고 있는 스테디셀러 상품이다.

  • 삼양라면 (일본명: 삼양라면 소고기 국물 매콤한 간장맛)
  • 삼양라면 스파이시 (일본명: 삼양라면 소고기 국물 매운 간장맛)


불닭볶음면은 2012년에 처음 출시된[16] '불닭' 시리즈 제품이다. 상품명은 닭고기를 이용한 한국의 매운 요리인 '불닭(불닭한국어)'[17]에서 유래했다. '핫치킨 플레이버'라고도 불리는 강렬한 매운맛이 특징인 볶음면 형태의 라면이다. 제품 포장에는 을 형상화한 마스코트 캐릭터 '호치(Hochi)'가 그려져 있으며, 맛의 종류나 매운 정도에 따라 호치의 의상, 표정, 포즈가 다르게 표현된다. 예를 들어 매운맛 제품에는 부리에서 불을 뿜는 모습이, 더 매운맛 제품에는 폭탄을 들고 있는 모습 등이 그려져 매운맛을 강조한다.

'불닭볶음면(불닭볶음면한국어)'이라는 이름 아래, 소스의 맛과 매운 정도를 다양화한 여러 제품이 출시되었다. 이름은 '볶음면'이지만, 실제 조리 과정은 면을 삶은 뒤 물을 버리고 소스를 비벼 먹는 방식으로, 직접 볶는 과정은 포함되지 않는다.

  • 불닭볶음면 오리지널
  • 핵불닭볶음면 2×Spicy (한국어 명칭: 핵불닭볶음면)
  • 불닭볶음면 3×Spicy
  • 불닭볶음면 짜장
  • 불닭볶음면 마라
  • 불닭볶음면 카레
  • 불닭볶음면 치즈 (한국어 명칭: 치즈불닭볶음면)
  • 불닭볶음면
  • 불닭볶음면 까르보나라 (한국어 명칭: 까르보나라불닭볶음면)
  • 불닭볶음면 크림까르보나라 (한국어 명칭: 크림까르보불닭볶음면)
  • 불닭볶음면 토마토파스타
  • 불닭볶음면 라이트 (저칼로리의 논프라이면)
  • 불닭라면 (국물 있는 면)


불닭볶음면 시리즈는 처음부터 수출 시장을 염두에 두고 개발되었으며, 할랄 인증을 받은 제품도 다수 출시되었다. 할랄 인증 제품의 경우, 원재료 표시에 육류 성분이 포함되지 않으며, 대신 동물 유래 성분이 없는 조미료를 사용한다. 이 때문에 무슬림뿐만 아니라 채식주의자나 비건도 구매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면류 제품이 있다.

3. 2. 스낵

삼양식품은 과자류를 포함한 다양한 스낵 제품을 생산한다. 특히, 불닭볶음면의 맛을 활용한 불닭볶음면 포테이토칩을 출시했으며, 종류로는 오리지널, 4가지 치즈, 하바네로&라임 맛이 있다.

3. 3. 기타


  • '''소스 및 조미료'''
  • * 식품업체를 위해 장 등 조미료를 대용량으로 담은 병을 제조하고 있다.
  • * 고추장
  • * 짜장 소스 (짜장면소스)
  • * 불닭 소스 (불닭 시리즈의 소스 버전으로 오리지널, 카르보나라, ×2Spicy(극한 매운맛)의 3종류)
  • * 간장, 진간장, 한국식 간장

4. 해외 사업

삼양식품은 2010년대부터 수출을 통해 수익을 늘려왔다. 특히 2012년 출시된 불닭볶음면은 해외 시장에서 큰 인기를 얻으며[2] 성장을 이끌었다. 이에 2019년 일본에 첫 해외 법인인 삼양재팬을 설립하는 등[5] 해외 시장 공략을 본격화하고 있다.

4. 1. 일본

이전까지 일본 시장에서는 농심슈퍼마켓, 편의점, 할인점 등에서 불닭볶음면을 폭넓게 판매하고 있었던 반면, 삼양식품은 제조사임에도 불구하고 일본 시장 진출이 늦어 제품 유통 경로가 통신 판매 (EC 사이트)나 한국 식재료를 취급하는 수입 식품점 등에 한정되어 있었다.

2019년 1월 29일, 삼양식품은 일본 판매 법인인 '삼양재팬(SAMYANG JAPAN)' 설립을 발표했다.[14] 이는 불닭볶음면 시리즈가 일본에서 좋은 판매 실적을 보이자, 일본 법인 설립을 통해 본격적으로 시장 확대를 추진하기 위함이었다. 삼양식품 측은 "일본은 인스턴트 라면 소비 규모가 6조에 달하는 세계 3위 규모의 시장"이라며, "삼양재팬을 거점으로 일본 시장에서의 기반을 다져나갈 것"이라고 밝혔다.[14] 이를 위해 일본 내 편의점과 대형 슈퍼마켓 등으로 유통 경로를 확대하고, 일본에서 수요가 높은 컵라면 종류를 강화할 계획임을 알렸다.[14]

이후 2020년 4월부터는 일본 전국의 로손에서 불닭볶음면 시리즈의 오리지널, 치즈, 까르보나라 3종(봉지면, 컵라면 일반 사이즈·빅 사이즈) 판매가 시작되었다.[15] 일본 법인의 정식 명칭은 삼양재팬(三養ジャパン|산요 자판일본어)이다.

4. 2. 미국

1980년대 들어 미국으로 라면 수출이 증가했다. 2018년에는 자회사인 삼양USA(Samyang USA)와의 소송에서 합의했다. 이 합의에 따라 삼양USA는 삼양식품에 409.99999999999994만달러의 배상금을 지급했다.[8]

4. 3. 기타 국가

1980년대부터 일본미국 등지로 라면 수출을 시작했다. 2012년 출시된 불닭볶음면유튜브 등 해외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인기를 얻으며 해외 시장 인지도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2] 2019년에는 약 54억달러 규모의 일본 라면 시장 공략을 위해 첫 해외 영업법인인 삼양재팬을 설립했다.[5] 또한, 할랄 인증을 받은 제품을 출시하여 무슬림 시장을 공략하고 있으며, 이 제품들은 동물 유래 성분이 없어 베지테리언이나 비건 소비자도 구매할 수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인 2021년 3월에는 라면 수요 증가로 매출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21.9% 증가했다.[7]

한편, 해외 시장 확장 과정에서 몇몇 법적 문제도 발생했다. 2018년에는 미국 자회사인 삼양USA(Samyang USA)와의 소송을 해결하기 위해 합의했으며, 삼양USA는 409.99999999999994만달러의 배상금을 지급했다.[8] 2019년에는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주 대법원과 온타리오주 고등법원에서 승인된 두 건의 집단 소송에 대해 합의했으며, 삼양식품은 288586.98CAD의 보상금을 지급했다.[9] 2024년 6월에는 덴마크 식품의약청이 일부 불닭볶음면 제품의 캡사이신(capsaicin) 함량이 너무 높아 소비자에게 급성 중독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고 판단하여 해당 제품들에 대한 리콜을 명령했다.[12]

5. 논란 및 사건사고

삼양식품은 성장 과정에서 여러 논란과 사건사고를 겪었다. 1989년에는 공업용 우지 사용 의혹으로 큰 사회적 파장을 겪었으며, 이는 기업 이미지에 큰 타격을 주었다. 비록 무혐의 처분을 받았으나 이 사건은 삼양식품의 시장 지위에 영향을 미쳤다.

2012년에는 다른 라면 업체들과 함께 가격 담합 행위로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과징금을 부과받았다.[3]

또한, 해외에서도 법적 분쟁에 휘말렸다. 2018년에는 자회사인 삼양USA(Samyang USA)와 관련된 소송에서 합의에 이르러 삼양USA가 409.99999999999994만달러를 배상했다.[8] 2019년에는 캐나다의 브리티시 컬럼비아주 대법원과 온타리오주 고등법원에서 승인된 두 건의 집단 소송 결과, 삼양식품이 288586.98USD의 보상금을 지급하기로 합의했다.[9]

2019년에는 전인장 회장과 김정수 대표이사 부회장이 회사 자금 횡령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는 등 경영진과 관련된 논란도 있었다.[10][11] 같은 해 대주주인 현대산업개발이 전과가 있는 이사진의 해임을 요구하기도 했다.[4]

최근인 2024년 6월에는 덴마크에서 일부 불닭볶음면 제품이 지나치게 높은 캡사이신 함량으로 인해 리콜되는 일이 발생했다.[12]

5. 1. 우지 파동 (1989년)

1989년 11월, 삼양식품이 라면을 튀기는 과정에서 공업용 우지를 사용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어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켰다. 이 사건으로 인해 삼양식품은 기업 이미지와 소비자 신뢰도에 심각한 타격을 입었으며, 오랫동안 유지해 온 라면 시장에서의 우세한 지위를 잃게 되었다. 비록 관련 조사를 거쳐 최종적으로 무혐의 처분을 받았지만, 이른바 '우지 파동'의 여파는 삼양식품에게 오랜 기간 영향을 미쳤다.

5. 2. 가격 담합

2012년, 삼양식품은 농심, 오뚜기, 한국야쿠르트를 포함한 다른 라면 업체들과 함께 2001년부터 2010년까지 라면 가격을 담합한 행위로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과징금을 부과받았다.[3]

5. 3. 경영진 횡령

2019년 1월 25일, 삼양식품 전인장 회장은 회삿돈 50억(443만달러 상당)을 횡령한 혐의로 징역 3년을 선고받았다.[10] 그의 아내이자 당시 삼양식품 CEO였던 김정수 부회장 역시 같은 혐의로 징역 2년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받았다.[11] 전인장 회장이 수감된 이후, 김정수 부회장이 경영 전면에 나서게 되었다.[10] 같은 해, 삼양식품의 주요 주주 중 하나인 현대산업개발은 전과 기록이 있는 이사진의 해임을 요구하기도 했다.[4]

5. 4. 기타

2019년, 삼양식품 지분 16.99%를 보유한 대주주인 현대산업개발은 전과 기록이 있는 이사진의 해임을 촉구했다.[4]

2024년 6월, 덴마크 식품의약청은 삼양 라면 여러 제품에 대해 회수 조치를 내렸다. 이는 한 봉지당 캡사이신 함량이 너무 높아 소비자에게 급성 중독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12]

6. 계열사

7. 본점 및 지점

참조

[1] 웹사이트 Exports of S. Korean instant noodles up 122% over 5 years http://www.ajudaily.[...] 2020-09-08
[2] 웹사이트 South Korean spicy ramen craze continues, halal version to be launched in Indonesia https://www.straitst[...] 2021-09-11
[3] 웹사이트 Nongshim, Samyang Foods, Ottogi and Korea Yakult fined for fixing instant noodle prices https://www.competit[...] 2021-09-04
[4] 웹사이트 HDC seeks to remove Samyang Foods owner couple from board - Pulse by Maeil Business News Korea https://pulsenews.co[...] 2021-09-11
[5] 웹사이트 Ramen expansion: Korea's Samyang Foods ramps up overseas investment https://www.foodnavi[...] 2021-09-11
[6] 웹사이트 Samyang Foods launches new kimchi-flavored Buldak spicy noodles https://www.koreatim[...] 2021-09-04
[7] 웹사이트 Samyang Foods' sales hit new record in 2020 amid pandemic https://en.yna.co.kr[...] 2021-09-04
[8] 웹사이트 Samyang Foods settles legal battle with Samyang USA - Pulse by Maeil Business News Korea https://pulsenews.co[...] 2021-09-04
[9] 웹사이트 Notice of approval of certification and settlement against Samyang Foods Co., Ltd. https://www.newswire[...] 2021-09-11
[10] 웹사이트 Samyang chief gets 3 years in jail for embezzlement http://www.theinvest[...] 2019-08-27
[11] 웹사이트 HDC seeks to remove Samyang Foods owner couple from board - Pulse by Maeil Business News Korea https://pulsenews.co[...] 2019-08-27
[12] 웹사이트 Samyang: Denmark recalls Korean ramen for being too spicy https://www.bbc.com/[...] 2024-06-13
[13] 웹사이트 삼양목장 {{!}} 삼양패밀리 {{!}} 삼양식 https://www.samyangf[...] 2017-11-30
[14] 웹사이트 三養食品 日本に販売法人設立へ http://world.kbs.co.[...] 韓国放送公社 2020-08-21
[15] 웹사이트 ファン待望! 大人気の韓国ラーメン「ブルダック炒め麺」がローソンで販売開始 https://www.syokurak[...] 徳間書店 2020-08-21
[16] 웹사이트 沿革 https://samyangfoods[...] 2020-08-21
[17] 일반
[18] 웹사이트 Samyang Family - Samyang Farm https://www.samyangf[...] SAMYANG FOOD
[19] 웹사이트 Samyang Family- Ho Myeon Dang https://www.samyangf[...] SAMYANG FOOD
[20] 웹사이트 Samyang Family - Samyang SAE A-CHIM https://www.samyangf[...] SAMYANG FOOD
[21] 웹사이트 Samyang Family - Jeju Milk https://www.samyangf[...] SAMYANG FOOD
[22] 웹사이트 会社概要 https://samyangfood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