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즈루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이즈루항은 1901년 마이즈루 진수부 개청 이후 군항으로 발전하였으며, 1922년 지정항만으로 지정되고 일본해 횡단 항로 기항지가 되었다. 이후 국제 무역항으로 성장하여 한국, 중국, 러시아 등과의 정기 항로를 개설했다. 현재는 일본해 측 거점항으로, 국내외 페리 노선과 컨테이너 항로가 운영되고 있으며, 해상자위대 기지 및 해사 기관, 다양한 항만 관련 기업들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어항 - 아키야 어항
아키야 어항은 1952년에 제1종 어항으로 지정되어 가나가와현 요코스카시에서 관리하며, 요코스카 오구스 어업 협동조합이 위치하고 다양한 어종과 어업 활동이 이루어지는 곳으로, 즈시역 또는 즈시·하야마역에서 버스를 이용하여 갈 수 있다. - 긴키 지방의 항구 - 고베항
고베항은 10세기부터 시작된 역사를 가진 일본 효고현 고베시의 주요 국제 무역항으로, 한때 동양 최대의 항구였으나 지진 피해 이후 현재는 국제 컨테이너 전략 항만으로 육성되며 관광 및 문화 도시로 발전 중이다. - 긴키 지방의 항구 - 오사카항
오사카항은 1868년 개항한 일본 오사카부의 주요 항구로, 경제 발전에 기여하며 확장과 컨테이너 항만 기능 강화를 거쳐 덴포잔 하버빌리지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춘 국제 전략항만으로 발전했다. - 마이즈루시의 교통 - 오바마선
오바마선은 후쿠이현 쓰루가역에서 교토부 히가시마이즈루역을 잇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 노선으로, 와카사만 연안을 따라 84.3km를 단선으로 운행하며 지역 주민의 교통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고, 호쿠리쿠 신칸센 개통 이후 연계 방안 모색과 관광 노선으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 마이즈루시의 교통 - DBS크루즈훼리
DBS크루즈훼리는 대한민국, 일본, 러시아를 잇는 외항 정기 여객운송사업을 운영했던 회사로, 폐업 후 두원상선에 인수되어 항로를 재개, 현재 파나마 국적의 이스턴 드림호를 운영하며 동해항을 기점으로 사카이미나토, 블라디보스토크 등을 운항한다.
마이즈루항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항구 이름 | 마이즈루항 |
국가 | 일본 |
소재지 | 교토부 마이즈루시 |
개항 | 1901년 |
관리자 | 교토부 마이즈루항 사무소 해상자위대 마이즈루 지방총감부 해상보안청 제8관구 해상보안본부 |
종류 | 요항구, 특정항 |
공식 웹사이트 | www.port.maizuru.kyoto.jp |
시설 정보 | |
계류 시설 수 | 15 |
부두 수 | 10 |
선창 수 | 10 |
운영 정보 (2019년 기준) | |
물동량 | 1,186만 톤 |
컨테이너 수 | 19,812 TEU (실입 13,146 TEU) |
여객 수 | 82,471 명 (장거리 페리) |
주요 무역 품목 | |
주요 수출품 | 선박류 원동기 자동차 |
주요 수입품 | 석탄 원동기 목재 |
주요 무역 국가 | |
수출 | 러시아 싱가포르 파나마 |
수입 | 오스트레일리아 프랑스 인도네시아 |
기타 정보 | |
크레인 수 | 5기 |
![]() | |
![]() |
2. 역사
- 1901년: 마이즈루 진수부(舞鶴鎮守府) 개청.
- 1922년: 내무성, 마이즈루 서항(舞鶴西港)을 지정항만으로 지정.
- 1923년: 일본해 횡단 항로 기항지로 지정.
- 1945년: 마이즈루 지역 인수 지원국(舞鶴地方引上援護局) 설치.
- 1948년: 국제 무역항으로 지정.
- 1951년: 중요 항만으로 지정.
- 1952년: 마이즈루 동항(舞鶴東港)에 해상경비대(해상자위대) 설치.
- 1958년: 소련 나호토카(ナホトカ) 정기 항로 개설.
- 1970년: 마이즈루~오타루(小樽) 구간에 신일본해 페리(新日本海フェリー) 취항.
- 1985년: 마이즈루 항선(舞鶴港線) 폐지.
- 1986년: 북한 청진항을 경유하는 일중·일본해 정기 항로 개설.
- 1990년: 대한민국 부산항 정기 컨테이너 항로 개설.
- 1995년: FAZ(수입 촉진 지역) 지정.
- 1997년: FAZ 시설로 마이즈루 21(舞鶴21) 개업.
- 1999년: 중국 다롄(大連)~칭다오(青島) 정기 컨테이너 항로 개설.
- 2005년: 항로 재편으로 마이즈루~상하이(上海) 구간 직통화.
- 2007년: 신하라 기선(神原汽船)의 일중 정기 컨테이너 항로 개설.
- 2008년: 신하라 기선이 러시아 향 RORO선 정기 항로 신설.
- 2010년: 마이즈루 국제 부두(舞鶴国際ふ頭) 사용 개시.
- 2011년: 일본해 측 거점 항만으로 지정.
- 2013년: 장금상선(長錦商船)이 마이즈루 기항 개시. 마이즈루-한국 항로가 주 2회로 증편.
- 2015년: DBS 크루즈 페리(DBSクルーズフェリー)가 마이즈루 기항 개시.
- 2019년: 고려해운(高麗海運)이 마이즈루 기항 개시. 마이즈루-한국 항로가 주 4회로 증편.
- 2020년: 두원상선(ドゥウォン商船)에 의해 대한민국 포항(浦項)~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ウラジオストク) 항로 개설.
- 2021년: 일중 정기 컨테이너 항로(신하라 기선) 휴지.
2. 1. 에도 시대 이전
마이즈루만은 일본해 연안이 남쪽으로 깊숙이 들어간 와카사만 서부에 위치하며, 외해에 비해 만의 형태를 띠고 있다. 평균 수심 20m, 만의 입구는 약 700m로 좁아 '미즈나기(みずなぎ)'라고 불릴 정도로 만 안은 매우 고요하다. 또한 지형적 특성으로 만 안의 조수 간만의 차도 거의 없고(최대 30cm), 사방이 약 400m 높이의 산으로 둘러싸여 있어 겨울철 일본해 연안 항만에서도 강풍과 악천후를 피할 수 있는 천혜의 좋은 항구로 알려져 있다.2. 2. 메이지 시대 ~ 제2차 세계 대전
1889년 제국 의회에서 군항으로 지정되면서 정부 주도로 대규모 개발이 진행되었다. 1901년 진수부가 설치되자, 일본 해군은 항만뿐만 아니라 원래 단순한 만(灣)에 불과했던 동마이즈루(東舞鶴) 지역의 토지 조성까지 실시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3]1904년 러일전쟁 당시 동항에서 해군 함대가 출격하여 동해 해전에서 러시아 제국의 발트 함대와 교전하였다. 이후 군수 시설이 건설되고 집적화되면서 군항의 성격이 강해졌고, 상업 및 무역 항구인 서항(西港)과 역할을 분담하게 되었다.[3] 아시아 태평양 전쟁 패전으로 일본 제국 해군은 해체되었지만, 현재는 해상보안청과 해상자위대가 기지를 두고 있으며, 일본 열도의 일본해 쪽 방위와 해상 경비에서 중요한 거점이 되고 있다.[3]
2. 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패전으로 일본 제국 해군은 해체되었지만, 해상보안청과 해상자위대가 마이즈루에 기지를 두면서 일본 해상 방위의 중요 거점이 되었다.[4] 1951년, (준특정) 중요 항만으로 지정되어 다시 상업항으로서 발전하기 시작했다. 1958년, 일본 최초로 소련과의 정기 항로(나홋카 항로)가 개설되었다.[4] 1970년, 신일본해 페리가 취항하여 긴키 지방과 홋카이도를 연결하는 주요 항로가 되었다.1986년, 북한 청진항을 경유하는 일본-중국-일본해 정기 항로가 개설되었다. 1990년, 대한민국 부산항과의 정기 컨테이너 항로가 개설되면서 본격적인 컨테이너 항만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4]
이후의 발전 과정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사건 |
---|---|
1989년 | 요코하마항이나 고베항 등 주요 항구에 취항하고 있던 트랜스 시베리아 컨테이너 항로(TSCS)의 기항지로 선정. |
1997년 | 소련 붕괴와 러시아 경제 혼란으로 일·러 무역 감소, TSCS 항로 운휴. |
1999년 | 중국 대련/상하이로 향하는 정기 컨테이너 항로 개설. |
2007년 | 신하라기선의 일중 정기 컨테이너 항로 개설. |
2007년 이후 | 러시아 정부의 북양재 수출 관세 인상으로 수입량 급감.[4] |
2011년 | 일본해 측 거점항으로 선정. |
2013년 | 장금상선의 마이즈루 기항 시작, 마이즈루-한국 항로 주 2회로 증편. |
2015년 | DBS 크루즈 페리의 마이즈루 기항 시작. |
2019년 | 고려해운의 정기 항로 부활, 마이즈루-한국 항로 주 4회로 증편. |
2020년 | 두원상선의 한국 포항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를 잇는 화객 정기 페리 항로 개설.[5] |
2021년 | 일중 정기 컨테이너 항로(신하라 기선) 휴지. |
동항은 원래 어항으로 번영했으나, 1889년 제국 의회에서 군항으로 지정되면서 정부 주도로 대규모 개발이 진행되었다. 1901년 진수부가 설치되자, 일본 해군은 항만뿐만 아니라 원래 단순한 만(灣)에 불과했던 동마이즈루(東舞鶴) 지역의 토지 조성까지 실시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3. 마이즈루 동항
1904년 러일전쟁 당시 동항에서 해군 함대가 출격하여 일본해 해전에서 러시아 제국 발트 함대와 교전하였다. 이후 군수 시설이 건설되고 집적화되면서 군항의 성격이 강해졌고, 상업 및 무역 항구인 서항(西港)과 역할을 분담하게 되었다. 아시아 태평양 전쟁 패전으로 제국 해군은 해체되었지만, 현재는 해상보안청과 해상자위대가 기지를 두고 있으며, 일본 열도 일본해 쪽 방위와 해상 경비에서 중요한 거점이 되고 있다.
최근 북한의 공작선 사건 등으로 국방상의 중요도가 높아져 마이즈루 비행장이 건설되었고, 공작선 활동에 대비하여 미사일 고속정 2척과 일본해의 전략적 중요성으로 인해 이지스함 2척도 순차적으로 배치되었다. 또한 인접한 오오나미(大波) 연료 저장 시설이 확장되는 등 변화가 있었다. 마이즈루 지방대는 시마네현·야마구치현 경계에서 아키타현·아오모리현 경계까지 광대한 방위 범위를 가지고 있으며, 마이즈루 항은 혼슈 일본해 쪽 바다의 방어를 거의 독점적으로 담당하는 해상자위대의 주요 기지로서 기능 강화가 추진되고 있다.
동항에는 구 제국 해군 마이즈루 공창의 전통을 잇는 조선소가 있으며, 자위대 부두 너머로 조선 도크를 볼 수 있다.
1987년 페리 전용 부두인 마에지마 부두(마이즈루 페리 터미널)가 조성되면서 킨키 지방과 홋카이도를 직결하는 신일본해 페리가 서항에서 이곳으로 옮겨왔다. 현재 마이즈루 항 동항은 해상 경비·국방상의 역할뿐만 아니라 국내 해운의 일본해 쪽 항로 거점으로서도 중요해지고 있다.
조선소 및 해상자위대 기지 주변은 제한 해역으로 되어 있어, 원칙적으로 관계 선박 외에는 출입할 수 없다.
3. 1. 마이즈루 페리 터미널
간사이 지방 및 서일본과 홋카이도를 연결하는 신일본해 페리의 여객 터미널이다. 히가시마이즈루역에서 2.3km 떨어진 마에지마 부두에 있다. 대중교통 접근성은 낮지만, 성수기에는 히가시마이즈루역에서 노선 버스가 운행되고, 신오사카역 출발 연락 버스도 자주 운행되어 비교적 편리하다. 택시로는 히가시마이즈루역까지 약 5분, 자동차로는 마이즈루히가시 인터체인지에서 약 15분 거리이다.
이전에는 서항의 마이즈루 항만 합동청사 부근이 페리 전용 부두였으나, 선박 대형화 및 여객·화물 증가로 동항의 마에지마 부두로 이전하였다.
페리 터미널 내에는 음식점과 매점이 있다. 24시간 편의점은 없으므로 JR 히가시마이즈루역 부근, 시오지 해안 주변, 마이즈루 시청 부근 편의점을 이용해야 한다.
3. 2. 관광 명소 및 유적
마이즈루항 동항(東港)은 메이지 시대부터 군항으로 발전해 온 관계로 많은 구 일본 해군 관련 유적을 가지고 있다. 특히 마이즈루 적벽창고군(舞鶴赤レンガ倉庫群)은 영화 촬영지로도 이용되고 있다. 마이즈루 적벽창고군(舞鶴赤レンガ倉庫群)은 메이지 시대에 건설된 붉은 벽돌 창고 건물들로, 2008년 국가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그 외에도 전 세계의 벽돌을 모아 놓은 적벽돌 박물관(赤れんが博物館), 마이즈루 시의 역사와 풍속을 전시한 마이즈루 시정기념관(舞鶴市政記念館), 마이즈루 지혜창고(まいづる知恵蔵) 등도 정비되어 관광 명소가 되고 있다. 봄에는 인양기념공원, 교락공원, 엔잔공원, 유우시오다이 공원 등의 벚꽃이 시민들에게 친숙하다.
4. 마이즈루 서항
서항은 마이즈루성의 성하 마을로서 발전해 왔기 때문에 에도 시대부터 상업항으로 발전해 왔다. 메이지 시대 이후로는 대륙 무역의 거점 항으로 지정되어 조선과 만주 등에 여러 정기 항로를 가졌으며, 최성기에는 취급 화물량이 63만ton에 달하는 등 일본해 쪽 최고의 무역항이었다. 그러나 태평양 전쟁이 격화되면서 해군의 요청에 따라 상업항으로서의 기능을 정지하고 군항으로 정비되었다. 전후에는 군항 지정이 해제되고 다시 상업항으로서 발전하여, 1951년에 (준특정) 중요항만(重要港湾)으로 지정되었다.
1968년에는 제4부두가 정비되었고, 1975년에는 제3부두가 대개축되었다. 1991년에는 제3부두가 컨테이너 전용화되었다.
1989년에 마이즈루 와카사 자동차도·마이즈루니시IC가 개통됨에 따라 물류의 요충지로 주목받게 되어, 1990년 3월에는 한국의 선박회사에 의해 마이즈루-부산 간 정기 컨테이너 항로가 개설되었고, 2007년 3월에는 마이즈루와 중국의 대련·칭다오를 잇는 정기 컨테이너 항로도 개설되었다.
2010년 4월, 염원이었던 마이즈루 국제 부두가 완공되어 5만 톤급 풀컨테이너선이 취항할 수 있게 되었고, 부두에서 고속도로로 직접 접근할 수 있는 国道27号바이패스 「西舞鶴道路」도 계획 중이며, 국제 물류항으로서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항내에는 마이즈루 항만 합동청사 내에 해상보안청第八管区海上保安本部도 있다.
5. 설비
종류 | 위치 | 면적 |
---|---|---|
상옥 | 제2·제4·마에지마(前島) 3부두, 오오노베(大野辺) 지역 | 14686m2 |
창고(倉庫) | 제2·제3·제4 3부두, 키타스이(北吸) 지역 | 16511m2 |
사일로(사이로) | 오오키미(大君) 지역 | 26891m2 |
목재 야적장(貯木場) | 오오키미(大君)·키타(喜多)·카츠라(加津良)·히라(平) 지역 | 518628m2 |
야적장 | 사와가(佐波賀)·키타(喜多)·시모후쿠이(下福井)·와다(和田)·오오나미시타(大波下)·마에지마(前島) 지역 | 224452m2 |
여객터미널(旅客ターミナル) | 제2·마에지마(前島) 부두 |
마이즈루항에는 갠트리 크레인(마이즈루 국제부두), 다목적 크레인(제2부두), 타워 크레인(키타 부두) 등의 시설이 있다.
5. 1. 부두
부두명 | 총 연장 | 선석 수 | 수심(m) | 주요 취급 화물 및 시설 |
---|---|---|---|---|
제2부두 | 645m | 4 | -10 | 자동차, 벌크화물, 다목적 크레인, 국제크루즈선 여객터미널(바다의 교토역), 입국심사시설, 상품판매점 |
제3부두 | 370m | 2 | -10 | 해상보안청 순시선 |
-- | ||||
제4부두 | 485m | 4 | -10 | 부정기 항로 화물, 여객선 |
키타 부두 | 370m | 2 | -12 | 목재 |
마에지마 부두 | 560m | 3 | -8 | 일본해 페리 여객터미널, 수산청 어업감시선, 낚시배, 장거리 페리 (간사이-홋카이도) |
마이즈루 국제 부두 | 350m | 3 | -14 | 컨테이너선, 벌크선, 갠트리 크레인 2기, 대형 여객선 |
5. 2. 창고 등
종류 | 위치 | 면적 |
---|---|---|
상옥 | 제2·제4·마에지마(前島) 3부두, 오오노베(大野辺) 지역 | 14686m2 |
창고(倉庫) | 제2·제3·제4 3부두, 키타스이(北吸) 지역 | 16511m2 |
사일로(사이로) | 오오키미(大君) 지역 | 26891m2 |
목재 야적장(貯木場) | 오오키미(大君)·키타(喜多)·카츠라(加津良)·히라(平) 지역 | 518628m2 |
야적장 | 사와가(佐波賀)·키타(喜多)·시모후쿠이(下福井)·와다(和田)·오오나미시타(大波下)·마에지마(前島) 지역 | 224452m2 |
여객터미널(旅客ターミナル) | 제2·마에지마(前島) 부두 |
5. 3. 기타
마이즈루항에는 다음과 같은 시설이 있다.- 갠트리 크레인: 마이즈루 국제부두에 있다.
- 다목적 크레인: 제2부두에 있다.
- 타워 크레인: 키타 부두에 있다.
6. 정기 항로
마이즈루항은 국제 항로와 국내 항로를 모두 운영하고 있다.
모든 화물선이 운항하며, 한국 항로는 주 4회, 중국 항로는 주 1회, 러시아 항로는 주 1~2회 운항하고 있다. 1990년 흥아해운과 고려해운에 의해 한국 부산항으로 가는 정기 컨테이너 항로가 개설되면서 컨테이너화가 진행되었다. 1999년에는 중국 선사가 다롄/상하이로 가는 정기 컨테이너 항로를 개설했고, 2007년에는 일본의 신하라기센도 참여했다.
2015년에는 DBS 크루즈 페리가 마이즈루 기항을 시작하여 한국 항로가 주 3회로 증편되었고, 2019년에는 고려해운의 정기 항로가 부활하여 한국 항로가 주 4회가 되었다. 2020년 9월에는 한국의 두원상선이 포항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를 잇는 화객 정기 페리 항로를 개설했다.(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영향으로 당분간은 화물만 운송)[5]
국내 항로는 신일본해훼리(新日本海フェリー)에 의해 여객 및 화물 페리 항로가 운항되고 있다.
6. 1. 국제 항로
모든 화물선이 운항한다. 한국 항로는 주 4회, 중국 항로는 주 1회, 러시아 항로도 주 1~2회 운항하고 있다.
- 한국|한국한국어 항로
운항 경로 | 운항 횟수 | 운항 회사 |
---|---|---|
부산 - 마이즈루 - 가나자와 - 부산 | 주 1회 | 흥아해운 |
부산 - 마이즈루 - 쓰루가 - 사카이항 - 부산 | 주 1회 | 장금상선 |
부산 - 센다이 - 하치노헤 - 도마코마이 - 마이즈루 - 가나자와 - 부산 | 주 1회 | 고려해운 |
포항 - 마이즈루 - 포항 | 주 1회 | 두원상선 |
- 中国|중국중국어 항로
- Россия|러시아ru 항로
운항 경로 | 운항 횟수 | 운항 회사 |
---|---|---|
마이즈루(및 국내 각지) - 나홋카・블라디보스토크 | 수시 운항 | 이이노코운 (재팬・나홋카・라인(JNL) 틀 안에서 운항)[3] |
블라디보스토크 - 마이즈루 - 블라디보스토크 | 주 1회 | 두원상선 |
마이즈루항은 1990년 흥아해운과 고려해운에 의해 한국 부산항으로 향하는 정기 컨테이너 항로가 개설되면서 컨테이너화가 진행되었다. 1999년에는 중국 선사에 의한 중국 다롄/상하이로 향하는 정기 컨테이너 항로가 개설되었고, 2007년에는 일본의 신하라기센도 참여했다.
2015년에는 DBS 크루즈 페리가 마이즈루 기항을 시작하여 한국 항로가 주 3회로 증편되었고, 2019년에는 고려해운의 정기 항로가 부활하여 한국 항로가 주 4회가 되었다. 2020년 9월에는 한국 중견 해운회사인 두원상선에 의해 한국 포항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를 잇는 화객 정기 페리 항로(코로나바이러스의 영향으로 당분간은 화물만)가 개설[5]되는 등, 항로 수 및 취급 화물량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6. 2. 국내 항로
신일본해훼리(新日本海フェリー)에 의해 여객 및 화물 훼리(フェリー) 항로가 운항되고 있다.- '''마이즈루(舞鶴)''' - 오타루 : 매일 운항(휴항일 있음).
- '''마이즈루(舞鶴)''' - 토마코마이 : 부정기 운항.
7. 해사 기관
기관명 |
---|
제8관구 해상보안본부 |
마이즈루 해상보안부 |
제8관구 정보관리센터 (구 마이즈루 정보관리센터) |
마이즈루 해상보안항공지원센터 (북킨키 해상보안항공지원센터) |
국토교통성 마이즈루 해운지국 |
오사카 세관 마이즈루 세관지서 |
오사카 출입국재류관리국 마이즈루항 출장소 |
검역소 오사카 검역소 마이즈루 출장소 |
식물방역소 고베 식물방역소 마이즈루 출장소 |
킨키 지방정비국 마이즈루항만사무소 |
교토부 항만국 |
검수 일본화물검수협회 오사카지부 마이즈루사무소 |
마이즈루 해양기상대 |
8. 항만 관련 기업
마이즈루항과 관련된 기업으로는 항만 하역 및 포장 업체와 주요 이용 기업이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8. 1. 항만 하역 및 포장 업체
8. 2. 주요 이용 기업
구분 | 주요 기업 |
---|---|
컨테이너 화물 | 군제(GUNZE), 히라키(히라키 주식회사), 교세라SLC테크놀로지 아야베 공장, 일본판유리 마이즈루 사업소, 미쓰비시자동차 교토 공장, 칼비 교토 공장, 히타치조선 메카니컬 마이즈루 공장, Hitz하이테크놀로지 마이즈루·와카사 사업소, 닛토코신, 와코산업 아야베 공장, 히엔전공 나가타노 공장 |
재래선 화물 | 간사이전력(関西電力) 마이즈루 화력발전소(舞鶴火力発電所), 일본 마린 유나이티드(ジャパン マリンユナイテッド) 마이즈루 사업소, 히타치 조선(日立造船) 마이즈루 사업소, 츠지이 목재(辻井木材) 마이즈루 공장, 오지 목재 녹화(王子木材緑化) 마이즈루 영업소, 하야시 베니야 산업(林ベニヤ産業) 마이즈루 공장, 마루다마 산업(丸玉産業) 마이즈루 공장, 소지 건재(双日建材) |
9. 공업 단지
- 기타 공업단지
- 구라타니 공업단지
- 히라이 공업단지
- 아야베 공업단지
참조
[1]
웹사이트
日本海両岸交流の主役を目指す舞鶴港
http://www.searchnav[...]
[2]
웹사이트
「舞鶴港インランドデポ」は京都の港です(舞鶴市)
http://www.port.maiz[...]
[3]
웹사이트
飯野港運
http://www.iinotokyo[...]
2014-07-20
[4]
웹사이트
平成20年林業白書 第Ⅳ章林産物需給と木材産業 p111
https://www.rinya.ma[...]
林野庁
2020-03-26
[5]
웹사이트
京都舞鶴港と韓国・ロシアを結ぶ直行フェリー輸送の開始
http://www.pref.kyot[...]
2020-09-06
[6]
간행물
平成15年度 全国輸出入コンテナ貨物流動調査
국토교통성
[7]
회의록
京都府議会平成20年6月定例会(第2号)
2008-07-0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강제징용 우키시마호 유해, 80년만에 고국에 돌아올까
정부, ‘광복 직후 폭침’ 우키시마호 승선자 명부 전부 확보…진상규명 ‘속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