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죽지꼬마물떼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흰죽지꼬마물떼새는 유라시아와 북극 북동부, 캐나다의 해변이나 갯벌 등 탁 트인 곳에서 번식하는 철새이다. 성체의 크기는 17~19.5cm이며, 회갈색 등과 흰색 배, 검은 목띠가 있는 흰 가슴을 가지고 있고, 짧은 부리와 주황색 다리를 가진다. 곤충, 갑각류, 벌레 등을 먹으며, 위협을 받으면 다친 날개를 흉내 내어 포식자를 유인한다. 아종에 따라 크기와 등 덮개 색깔에 차이가 있으며, 3개의 아종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린란드의 새 - 북방흰뺨오리
북방흰뺨오리(Bucephala islandica)는 오리과에 속하며, 수컷은 물방울 모양의 흰색 점과 자주색 머리를, 암컷은 노란색 부리를 가지며, 알래스카 등지에서 번식하고, 수생 곤충 등을 먹으며, 엑손 발데스호 유류 유출 사고로 개체 수가 감소하는 위협을 받는다. - 아이슬란드의 새 - 원앙
화려한 수컷과 회갈색 암컷 깃털을 가진 원앙은 동아시아 원산의 오리과 조류로, 부부 금슬 상징으로 여겨지나 실제로는 매년 짝을 바꾸며, 서식지 감소와 밀렵으로 한국에서는 천연기념물로 보호받는다. - 아이슬란드의 새 - 아비
붉은목잠수부는 붉은색 멱과 얼룩덜룩한 등을 가진 잠수부과의 조류로, 전 세계에 분포하며 물고기를 주로 먹고 일부일처제 짝짓기 체계를 가지며, 개체수 감소가 보고되지만 국제적인 보호를 받는다. - 러시아의 새 - 황새
황새는 흰색 몸과 검은 날개, 긴 목둘레 깃털을 가진 동아시아 서식 육식성 조류로,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멸종위기에 처해 국제적 보호를 받으며 대한민국에서는 천연기념물 및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지정되어 복원 노력이 진행 중이다. - 러시아의 새 - 원앙
화려한 수컷과 회갈색 암컷 깃털을 가진 원앙은 동아시아 원산의 오리과 조류로, 부부 금슬 상징으로 여겨지나 실제로는 매년 짝을 바꾸며, 서식지 감소와 밀렵으로 한국에서는 천연기념물로 보호받는다.
흰죽지꼬마물떼새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Charadrius hiaticula |
명명자 | Linnaeus, 1758 |
한국어명 | 하Common ringed plover (Charadrius hiaticula) Oppdal지ロコチドリ (Hajirokochidori) |
영어 이름 | Ringed Plover (링깃 플로버) |
분류 정보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강 |
목 | Charadriiformes |
과 | Charadriidae |
속 | Charadrius |
종 | 흰죽지꼬마물떼새 (C. hiaticula) |
보전 상태 | |
IUCN Red List | LC |
분포 | |
![]() |
2. 분포
흰죽지꼬마물떼새의 번식 서식지는 북부 유라시아와 북극 북동부 캐나다의 해변이나 갯벌과 같은 탁 트인 곳이다. 일부는 내륙에서도 번식하며, 서부 유럽에서는 북부 프랑스까지 남쪽으로 둥지를 튼다. 식물이 거의 또는 전혀 자라지 않는 탁 트인 지역의 땅에 둥지를 짓는다.
흰죽지꼬마물떼새 성체의 길이는 17cm~19.5cm이고, 날개 길이는 35cm~41cm이다. 등과 날개는 회갈색이고 배는 흰색이며 검은 목띠가 있는 흰 가슴이 있다. 머리에는 갈색 모자를 쓰고, 이마는 흰색이며, 눈 주위에는 검은색 가면을 쓰고 있다. 부리는 짧고 주황색이며 검은색이다. 다리는 주황색이며 바깥쪽 두 발가락만 약간 물갈퀴가 있다. 어린 새는 성체보다 색상이 덜 선명하며, 회갈색 가슴 띠가 불완전한 경우가 많고, 어두운색 부리와 칙칙한 황갈색 다리를 가지고 있다.
잠재적 포식자가 둥지에 접근하면, 어른 새는 둥지에서 멀리 떨어져 걸어가면서 침입자를 유인하기 위해 울부짖고, 다친 날개를 흉내 낸다. 침입자가 둥지에서 충분히 멀어지면 물떼새는 날아간다.
흰죽지꼬마물떼새는 철새이며, 해안 지역에서 아프리카 남부까지 겨울을 난다. 노르웨이에서는 위치 추적기를 통해 번식하는 어른 새들이 서아프리카로 이동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3] 영국과 북부 프랑스에 있는 많은 새들은 일년 내내 그곳에 머물러 산다. 그린란드에서 스칸디나비아 반도, 유라시아 대륙의 북극권에서 번식하며, 겨울에는 서아시아에서 아프리카 중남부로 이동하여 월동한다.
일본에는 나그네새 또는 겨울새로 도래하지만 드물다. 월동 기록도 있다.
3. 형태
3. 1. 유사종과의 구별
흰죽지꼬마물떼새 성체의 몸길이는 17cm에서 19.5cm이며, 날개 길이는 35cm에서 41cm이다. 회갈색 등과 날개, 흰색 배, 검은색 목띠가 있는 흰색 가슴을 가지고 있다. 머리에는 갈색 모자를 쓰고, 이마는 흰색이며, 눈 주위에는 검은색 가면을 쓰고, 짧은 주황색과 검은색 부리를 가지고 있다. 다리는 주황색이며 바깥쪽 두 발가락만 약간 물갈퀴가 있다.
이는 세가락물떼새와 다른 점인데, 세가락물떼새는 조금 더 작지만 세 발가락 모두에 약간의 물갈퀴가 있으며, 가슴 띠도 약간 더 좁다.
흰죽지꼬마물떼새는 더 작은 검은머리물떼새와 다리 색깔, 머리 무늬, 뚜렷한 노란색 눈 테두리가 없다는 점에서 다르다.
전체 길이는 약 19cm이다. 머리 부분의 흑백 반점 등은 꼬까도요와 비슷하지만, 몸길이는 약간 더 크다. 몸의 윗면 색깔이 짙은 모래갈색이라는 점, 날개 윗면에 흰 띠가 있어(이것이 국명의 유래) 날 때 눈에 띄는 점으로 꼬까도요와 구별할 수 있다.
4. 생태
흰죽지꼬마물떼새는 북부 유라시아와 북극 북동부 캐나다의 해변이나 갯벌과 같이 탁 트인 곳에서 번식한다. 일부는 내륙에서 번식하며, 서부 유럽에서는 북부 프랑스까지 남쪽으로 둥지를 튼다. 식물이 거의 또는 전혀 자라지 않는 탁 트인 땅에 둥지를 짓는다.
철새이며, 해안 지역에서 아프리카 남부까지 겨울을 난다. 노르웨이에서 번식하는 어른 새들은 위치 추적기를 통해 서아프리카로 이동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3] 영국과 북부 프랑스에 있는 많은 새는 일 년 내내 그곳에 머문다.
해변, 갯벌, 들판에서 시각을 이용하여 먹이를 찾으며, 곤충, 갑각류, 벌레를 먹는다. 한국에서는 갯벌, 만, 해안에 인접한 논 등에서 관찰된다. "푸이"와 같은 부드러운 소리로 운다.
4. 1. 위협 대처
잠재적 포식자가 둥지에 접근하면, 어른 새는 둥지에서 멀리 떨어져 걸어가면서 침입자를 유인하기 위해 울부짖고, 다친 날개를 흉내 낸다. 침입자가 둥지에서 충분히 멀어지면 물떼새는 날아간다.[3]5. 아종
3개의 아종이 정의되어 있으며,[4] 아종마다 크기와 색이 조금씩 다르다. 서식지가 만나는 곳에서 서로 교차하기도 한다.
아종 | 학명 | 저자 및 연도 | 분포 지역 및 특징 |
---|---|---|---|
psammodroma | C. h. psammodroma | 핀 살로몬센|살로몬센da, 1930 | 아이슬란드, 그린란드, 캐나다 북동부에서 번식하고 서아프리카에서 겨울을 난다. 크기와 색상이 중간 정도이다. |
hiaticula | C. h. hiaticula | 칼 폰 린네|린네la, 1758 | 온대 서유럽에서 북쪽의 중앙 스칸디나비아까지 번식한다. 서유럽에서 텃새이거나 단거리 이동한다. 가장 크고 색이 옅은 아종이다. |
tundrae | C. h. tundrae | 퍼시 로우|로우영어, 1915 | 북극 스칸디나비아 북부와 러시아의 아시아 지역에서 번식한다. 아프리카와 서남아시아에서 겨울을 난다. 가장 작고 색이 짙은 아종이다. |
''C. h. hiaticula''와 ''C. h. tundrae''는 ''아프리카-유라시아 이동성 물새 보호 협정''(AEWA)이 적용되는 분류군에 속한다.
6. 갤러리
참조
[1]
간행물
"''Charadrius hiaticula''"
2019
[2]
서적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https://archive.org/[...]
Christopher Helm
[3]
논문
Seasonal migration strategies of Common Ringed Plovers ''Charadrius hiaticula''
[4]
웹인용
Grebes, flamingos, buttonquail, plovers, painted-snipes, jacanas, plains-wanderer, seedsnipes
https://www.worldbir[...]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19-06-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