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히말라야긴귀박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말라야긴귀박쥐는 몸길이 40~45mm의 작은 박쥐로, 털이 길고 두꺼우며 부드러운 특징을 지닌다. 인도, 파키스탄, 네팔, 중국, 베트남 등 히말라야 산맥의 해발 2,000~3,938m 산림 지대와 스텝 지대에 서식하며, 곤충을 먹는다. 이전에는 쇠귀박쥐의 아종으로 여겨졌으나, 종 수준으로 분류되었다. 현재는 자료부족종으로 평가되었으며, 서식지 파괴와 기후 변화로 인해 생존에 위협을 받을 수 있어 지속적인 연구와 보호 노력이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토끼박쥐속 - 검은토끼박쥐
    검은토끼박쥐는 침엽수와 활엽수가 혼합된 숲을 선호하며 바위 틈이나 나무 구멍에 은신하고, 중국, 카자흐스탄, 대한민국, 몽골, 러시아 등지에 분포하며 서식지 파편화에 적응하는 능력을 보이는 박쥐의 일종이다.
  • 토끼박쥐속 - 대만큰귀박쥐
    대만큰귀박쥐는 대만 내륙 산악 지대에 분포하는 몸통 길이 66~82mm의 야행성 박쥐로, 짙은 갈색 등과 회색빛 배, 그리고 28~34mm의 긴 귀를 가진다.
  • 1847년 기재된 포유류 - 오소리
    오소리는 족제비과에 속하는 포유류로, 아시아 지역에 주로 분포하며, 굴을 파고 쥐나 두더지를 잡아먹으며, 서식지 파괴와 남획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대한민국에서는 보호 야생 생물 대상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 1847년 기재된 포유류 - 서부고릴라
    서부고릴라는 고릴라속에 속하며, 검은색, 짙은 회색 또는 갈색-회색 털을 가지고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잎, 줄기, 과일 등을 먹고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히말라야긴귀박쥐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학명Plecotus homochrous
명명자Hodgson, 1847
이명Plecotus puck
보전 상태
IUCNDD
IUCN 기준IUCN3.1
IUCN 참고Srinivasulu, C. & Srinivasulu, B. 2019. Plecotus homochrous.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9: e.T85537505A85537516. doi:10.2305/IUCN.UK.2019-3.RLTS.T85537505A85537516.en. 2021년 11월 19일에 다운로드함.
분류학적 정보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박쥐목
애기박쥐과
아과애기박쥐아과
토끼박쥐속

2. 특징

작은 박쥐로 몸길이는 40mm~45mm이고, 전완장은 36.5mm~40.3mm이다. 꼬리 길이는 48mm~50mm, 발 길이는 7mm~8mm, 귀 길이는 39mm~41mm이다.[4] 털은 길고 두꺼우며 양털처럼 부드럽다.

3. 생태

폐가와 동굴, 나무 구멍 속에서 은신한다. 먹이는 곤충이다.

4. 분포 및 서식지

히말라야긴귀박쥐는 인도, 파키스탄, 네팔에서 발견된다. 분포 범위는 파키스탄의 무르리에서 네팔을 거쳐 인도다르질링까지 이어진다. 구체적으로는 파키스탄 동부 펀자브주와 인도 북부 우타라칸드주, 네팔에 널리 분포한다. 또한 중국베트남에서도 서식이 확인되었다.[2]

주요 서식지는 히말라야 산맥의 산림 지대와 스텝 지대로, 해발 2000m에서 3938m 사이의 고도에서 발견된다.[1] 특히 해발 2000m와 3120m 사이의 참나무가 섞인 침엽수림, 아열대 탈락성 숲, 상록수림에서 주로 서식한다.

5. 분류

이전에는 ''쇠귀박쥐''(P. auritus)의 아종으로 여겨졌다. 슈피첸버거에 의해 종 수준으로 격상되었다.[1]

6. 보전

이 종은 종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인해 IUCN에 의해 자료부족종으로 평가되었다. 20000km2가 넘는 범위를 가지고 있지만, 그 중 2000km2만 서식할 수 있다.[1]

참조

[1] 간행물 Plecotus homochrous 2019
[2] 웹사이트 Explore the Database https://www.mammaldi[...] 2021-09-25
[3] 간행물 Plecotus homochrous.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9: e.T85537505A85537516 https://dx.doi.org/1[...] 2019
[4] 논문 A key to the bats (Mammalia: Chiroptera) of South Asia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