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카루GENJI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카루GENJI는 1987년 결성된 일본의 남성 아이돌 그룹으로,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롤러스케이트를 활용한 퍼포먼스로 큰 인기를 얻었다. 그룹은 '빛'과 'GENJI' 두 유닛으로 구성되었으며, '빛'은 우치우미 코지와 오오사와 미키오, 'GENJI'는 모로호시 카즈미, 사토 히로유키, 야마모토 준이치, 아카사카 아키라, 사토 아츠히로로 이루어졌다. 1994년 오오사와 미키오와 사토 히로유키가 탈퇴하고, 1995년 그룹 해산과 함께 모로호시 카즈미가 쟈니스 사무소를 퇴소하면서 히카루GENJI는 해체되었다. 멤버들은 해체 후에도 각자의 활동을 이어갔으며, 일부 멤버는 2020년대에도 유닛 결성 및 음악 활동을 펼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FNS 가요제 - 테라오 아키라
테라오 아키라는 1947년생 일본 배우 겸 가수로, 1966년 밴드 '더 사베지' 베이시스트로 데뷔 후 1968년 배우로 데뷔, 1981년 "루비의 반지"로 큰 성공을 거두고 《절반의 고백》으로 남우주연상을 수상하는 등 음악과 연기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 FNS 가요제 - 나카모리 아키나
1980년대 일본 아이돌 붐을 이끈 대표적인 가수 나카모리 아키나는 1982년 데뷔하여 '소녀A', '세컨드 러브' 등의 히트곡으로 톱스타가 되었고, 청순함과 반항적인 콘셉트를 넘나들며 인기를 얻었으며, 일본 레코드 대상 2년 연속 수상 후 자살 미수 사건, 활동 중단, 복귀, 개인 레이블 설립 등 다양한 활동을 이어갔다. - 자니즈 - 시부가키대
1981년 드라마 출연을 계기로 결성된 시부가키타이는 후카와 토시카즈, 모토키 마사히로, 야쿠마루 히로히데로 구성된 일본의 3인조 아이돌 그룹으로, "NAI・NAI 16" 데뷔 후 큰 인기를 얻었으나 1988년 해체 후 멤버들은 각자 활동 중이다. - 자니즈 - SMAP
SMAP은 1988년 쟈니즈 사무소에서 결성되어 1991년 데뷔한 5인조 아이돌 그룹으로, 가수 활동은 물론 드라마와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등 다방면에서 활약하며 일본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고 "세상에 하나뿐인 꽃" 등 다수의 밀리언 셀러 곡을 발표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으나 2016년 해산했다. - 일본 레코드 대상 수상 음악가 - 아무로 나미에
아무로 나미에는 1992년 슈퍼몽키즈로 데뷔하여 솔로 가수로 전향, "Can You Celebrate?" 등 히트곡을 내며 일본 레코드 대상 그랑프리상을 두 차례 수상하고 3천 6백만 장 이상의 음반 판매고를 기록한 일본 대표 가수로 2018년 은퇴했다. - 일본 레코드 대상 수상 음악가 - 미소라 히바리
미소라 히바리는 8세에 데뷔하여 '캇파 부기우기'로 가수 데뷔 후 수많은 히트곡과 영화 출연으로 일본 가요계의 전설이 되었으며, 여성 최초로 국민영예상을 수상한 가수이자 배우이다.
| 히카루GENJI - [음악 그룹]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그룹명 (한글) | 히카루 겐지 |
| 활동 기간 | 1987년 – 1995년 |
| 장르 | J-POP, 아이돌 가요 |
| 레이블 | 포니캐년 |
| 소속사 | 자니즈 사무소 |
| 이전 구성원 | |
2. 멤버
'''히카루'''는 1987년 결성 당시 10대 후반이었던 멤버들로 구성되었다.[15][16]
해산 후에도 마지막까지 쟈니스 사무소(현: SMILE-UP.)에 소속되어 2024년 4월 이후 다른 SMILE-UP. 소속자들과 함께 STARTO ENTERTAINMENT로 이적한 사람은 우치우미 코지 뿐이다.[15][16] 오오사와 미키오는 1994년 8월 탈퇴하며 쟈니스 사무소를 퇴소했다.[20]
| 이름 | 소속 | 생년월일 | 출신지 | 비고 | 현 소속사 |
|---|---|---|---|---|---|
| 우치우미 코지 (우치우미 코지/内海 光司일본어[15]) | 光 | 1968년 1월 11일[15] | 도쿄도[15] | 리더[18] U&S | STARTO ENTERTAINMENT[15] |
| 오오사와 미키오 (오오사와 미키오/大沢 樹生일본어[19]) | 1969년 4월 20일[19] | 도쿄도분쿄구[19] | 1994년 탈퇴[20] | 미키오 오피스[19] (자영) |
'''겐지'''(GENJI)는 모로호시 카즈미, 사토 히로유키, 야마모토 준이치, 아카사카 아키라, 사토 아츠히로 5명으로 구성되었다.[15][16][19][21][22][24][25] 1987년 결성 당시 10대 초반이었다.[15][16] 모로호시 카즈미는 센터를 맡았다.
| 이름 | 생년월일 | 출신지 | 비고 | 현 소속사 |
|---|---|---|---|---|
| 모로호시 카즈미 (모로호시 카즈미/諸星 和己일본어[21]) | 1970년 8월 12일[21] | 시즈오카현후지시[21] | 光GENJI SUPER 5 | 스타즈 크루[21] |
| 사토 히로유키 (사토 히로유키/佐藤 寛之일본어[22]) | 1970년 11월 2일[22] | 지바현가마가야시[23] | SAY'S 1994년 탈퇴[22] 2023년부터 후타츠노 카제 멤버 | GENJI GURUMA[22] |
| 야마모토 준이치 (야마모토 준이치/山本 淳一일본어[24]) | 1972년 2월 28일[24] | 도쿄도하치오지시[24] | 光GENJI SUPER 5、SAY'S 2023년부터 후타츠노 카제 멤버 | WING RUN[24] |
| 아카사카 아키라 (아카사카 아키라/赤坂 晃일본어[25]) | 1973년 5월 8일[25] | 도쿄도구니타치시[25] | 光GENJI SUPER 5、SAY'S、AKIRA & KOHJI | GOLD STAR[25] |
| 사토 아츠히로 (사토 아츠히로/佐藤 敦啓일본어[16]) | 1973년 8월 30일[16] | 가나가와현후지사와시[16] | 光GENJI SUPER 5、SAY'S U&S 현 예명은 사토 아츠히로 | STARTO ENTERTAINMENT[16] |
모로호시 카즈미는 1995년 9월 그룹 해산과 함께 쟈니스 사무소를 퇴소했다.[21] 야마모토 준이치와 아카사카 아키라는 그룹 해산 후에도 쟈니스 사무소(현: SMILE-UP.)에 소속되어 있었지만, 야마모토 준이치는 2002년 2월에 퇴소했고,[24] 아카사카 아키라는 2007년 10월 각성제 소지 사건으로 체포되어[17] 쟈니스 사무소에서 징계 해고되었다.[25] 사토 히로유키는 1994년 8월에 탈퇴하며 퇴소했다.[22] 사토 아츠히로는 2024년 4월 이후 다른 SMILE-UP. 소속자들과 함께 STARTO ENTERTAINMENT로 이적했다.[16]
초대 GENJI 멤버였던 '''타시로 히데타카'''는 1987년에 GENJI를 탈퇴했으며, 이후 야마모토 준이치와 아카사카 아키라가 합류했다.
2. 1. 히카루
히카루는 1987년 결성 당시 10대 후반이었던 멤버들로 구성되었다.[15][16]해산 후에도 마지막까지 쟈니스 사무소(현: SMILE-UP.)에 소속되어 2024년 4월 이후 다른 SMILE-UP. 소속자들과 함께 STARTO ENTERTAINMENT로 이적한 사람은 우치우미 코지 뿐이다.[15][16] 오오사와 미키오는 1994년 8월 탈퇴하며 쟈니스 사무소를 퇴소했다.[20]
| 이름 | 소속 | 생년월일 | 출신지 | 비고 | 현 소속사 |
|---|---|---|---|---|---|
| 우치우미 코지 (우치우미 코지/内海 光司일본어[15]) | 光 | 1968년 1월 11일[15] | 도쿄도[15] | 리더[18] U&S | STARTO ENTERTAINMENT[15] |
| 오오사와 미키오 (오오사와 미키오/大沢 樹生일본어[19]) | 1969년 4월 20일[19] | 도쿄도분쿄구[19] | 1994년 탈퇴[20] | 미키오 오피스[19] (자영) |
2. 2. GENJI
'''겐지'''(GENJI)는 모로호시 카즈미, 사토 히로유키, 야마모토 준이치, 아카사카 아키라, 사토 아츠히로 5명으로 구성되었다.[15][16][19][21][22][24][25] 1987년 결성 당시 10대 초반이었다.[15][16] 모로호시 카즈미는 센터를 맡았다.| 이름 | 생년월일 | 출신지 | 비고 | 현 소속사 |
|---|---|---|---|---|
| 모로호시 카즈미 (もろほし かずみ[21]) | [21] | 시즈오카현후지시[21] | 光GENJI SUPER 5 | 스타즈 크루[21] |
| 사토 히로유키 (さとう ひろゆき[22]) | [22] | 지바현가마가야시[23] | SAY'S 1994년 탈퇴[22] 2023년부터 후타츠노 카제 멤버 | GENJI GURUMA[22] |
| 야마모토 준이치 (やまもと じゅんいち[24]) | [24] | 도쿄도하치오지시[24] | 光GENJI SUPER 5、SAY'S 2023년부터 후타츠노 카제 멤버 | WING RUN[24] |
| 아카사카 아키라 (あかさか あきら[25]) | [25] | 도쿄도구니타치시[25] | 光GENJI SUPER 5、SAY'S、AKIRA & KOHJI | GOLD STAR[25] |
| 사토 아츠히로 (さとう あつひろ[16]) | [16] | 가나가와현후지사와시[16] | 光GENJI SUPER 5、SAY'S U&S 현 예명은 사토 아츠히로 | STARTO ENTERTAINMENT[16] |
2007년 Hey! Say! 7과 같은 쟈니즈의 또 다른 팝 그룹이 등장하기 전까지, 히카루 겐지는 오리콘 싱글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한 최연소 남성 그룹의 기록을 보유하고 있었다.[1] 1988년, 히카루 겐지는 오리콘 싱글 차트 1위부터 3위까지를 독점한 역대 두 번째 아티스트가 되었고,[2] 차트 1위와 2위를 석권한 역대 세 번째 아티스트가 되었다.[3][4] 그들은 또한 같은 해에 "Paradise Ginga"로 제30회 일본 레코드 대상에서 일본 레코드 대상을 수상하여,[5] 콘도 마사히코에 이어 이 상을 수상한 두 번째 쟈니즈 아티스트가 되었으며, 쟈니즈 사무소가 일본 레코드 대상 및 일본 아카데미상과 같은 단체로부터의 모든 향후 후보 지명을 거부하는 정책을 수립하기 전 마지막 수상자가 되었다.[6]
모로호시 카즈미는 1995년 9월 그룹 해산과 함께 쟈니스 사무소를 퇴소했다.[21] 야마모토 준이치와 아카사카 아키라는 그룹 해산 후에도 쟈니스 사무소(현: SMILE-UP.)에 소속되어 있었지만, 야마모토 준이치는 2002년 2월에 퇴소했고,[24] 아카사카 아키라는 2007년 10월 각성제 소지 사건으로 체포되어[17] 쟈니스 사무소에서 징계 해고되었다.[25] 사토 히로유키는 1994년 8월에 탈퇴하며 퇴소했다.[22] 사토 아츠히로는 2024년 4월 이후 다른 SMILE-UP. 소속자들과 함께 STARTO ENTERTAINMENT로 이적했다.[16]
초대 GENJI 멤버였던 '''타시로 히데타카'''는 1987년에 GENJI를 탈퇴했으며, 이후 야마모토 준이치와 아카사카 아키라가 합류했다.
3. 역사
1994년, 오사와 미키오와 사토 히로유키가 그룹을 탈퇴하고 남은 멤버들은 히카루 겐지 슈퍼 5를 결성했으나 1년 만에 해체되었다.[7] 이 다섯 명 중 모로호시 카즈미와 야마모토 준이치는 이후 쟈니즈 사무소를 떠났다. 아카사카 아키라가 2007년 10월 28일 메스암페타민 소지 혐의로 체포되어 해고됨에 따라,[7][8] 현재 쟈니즈 사무소에는 사토 아츠히로와 우치우미 코지가 남아있다.
3. 1. 결성 및 데뷔 (1987)
1987년 3월 25일, 히카루GENJI의 전신인 "초대 GENJI"가 결성되었고, 멤버는 타시로 히데타카, 모로보시 카즈미, 사토 히로유키, 사토 아츠히로였다.[1]
1987년 4월 5일, "GENJI"는 『전국 가요 선발 사부로·시로의 노래해! 영 웅대방송』(TBS 계열)의 레귤러가 되어, 첫 오리지널 곡 "지금, 너와 노래하고 싶어"를 오프닝에서 매회 선보였다. 그 후, 타시로 히데타카가 탈퇴하고 야마모토 준이치가 합류했으며, 이후 아카사카 아키라가 참가하여 5명이 되었다.[2][3][4]
1987년 6월 25일에 "GENJI"와 우츠미 코지, 오오사와 미키오로 구성된 "빛"이 합체하여 "빛 GENJI"가 결성되었다.[5][6] 2007년 Hey! Say! 7이 등장하기 전까지, 히카루 겐지는 오리콘 싱글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한 최연소 남성 그룹의 기록을 보유하고 있었다.[7]
3. 2. 전성기 (1988-1990)
1987년 8월 19일, CHAGE&ASKA가 악곡을 제공한 「STAR LIGHT」로 레코드 데뷔했다.[28] 캐치프레이즈는 "초신성으로부터의 메시지"였다.[29] 롤러스케이트를 신고 춤을 추며 백턴도 해내는 아크로바틱한 퍼포먼스가 인기를 얻어 데뷔하자마자 인기가 급상승했다.[30] 폭발적인 붐을 일으켜 "마지막 슈퍼 아이돌"이라고 불렸으며, 그 인기는 경제 잡지 등에서도 사회 현상으로 다루어졌다.[30] 같은 해, TV 도쿄 계열의 드라마 『위험한 소년』에서 드라마 첫 주연을 맡았다.[10]
히카루 겐지는 오리콘 싱글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한 최연소 남성 그룹의 기록을 보유하고 있었다.[1] 1988년, 히카루 겐지는 오리콘 싱글 차트 1위부터 3위까지를 독점한 역대 두 번째 아티스트가 되었고,[2] 차트 1위와 2위를 석권한 역대 세 번째 아티스트가 되었다.[3][4] 오리콘 연간 앨범 판매량도 1위와 9위를 획득했다. 1988년 12월 31일, 「파라다이스 은하」로 제30회 일본 레코드 대상을 수상하여, 콘도 마사히코에 이어 이 상을 수상한 두 번째 쟈니즈 아티스트가 되었다.[5]
라디오 프로그램에서도 오는 엽서의 매수가 기록적이어서, 닛폰방송에서 방송되었던 프로그램 『GENJI GENKI 폭발』에서는 매주 10만 장이 넘는 엽서를 모았다.[41] 또한, 후지산케이 그룹이 기획 제작한 비매품 비디오 『아・키・스・토・제・네・코』[42]의 10만 개 증정에는 약 250만 통의 엽서가 모였다.[43][44] 잡지 "묘조(현: Myojo)"의 역사상 최고 판매 부수를 기록한 것은, 히카루GENJI의 절정기에 해당할 무렵이었다.[40]
3. 3. 변화와 해체 (1991-1995)
1992년, 히카루GENJI는 JOC(일본 올림픽 위원회) 홍보 어드바이저로 임명되어 바르셀로나 올림픽 응원가로 「라일락 피는 무렵 바르셀로나로」를 발매했다.[31] 1993년에는 『용기 100%』를 발매, 애니메이션 『닌타마 란타로』의 주제가로 기용되었으며, 이 곡은 후에 Ya-Ya-yah, Hey! Say! JUMP, NYC, Sexy Zone 등의 쟈니즈 그룹에 의해 커버되었다.[31]
1994년 1월, 릴레함메르 올림픽 응원가로 「BRAVO! Nippon ~눈과 얼음의 판타지~」를 발매했다.[31] 같은 해 8월, 오사카성 홀에서의 라이브를 마지막으로 오오사와 미키오와 사토 히로유키가 탈퇴하고 쟈니즈 사무소도 퇴소하면서, 그룹명을 「'''빛GENJI SUPER 5'''」로 변경했다.[31]
1995년 6월, 여름 콘서트 투어를 마지막으로 활동을 종료한다는 것이 발표되었다.[32] 같은 해 9월 1일, 《뮤직 스테이션》에 출연하여 역대 싱글 메들리를 선보였으며, 마지막으로 「Graduation」을 열창했다. 곡이 끝나자 멤버 전원이 롤러스케이트를 벗어 스테이지 중앙에 놓았다.[32] 9월 3일, 나고야 시 종합 체육관·레인보우 홀(현: 일본 가이시 홀)에서의 라이브를 마지막으로 "멤버 전원 졸업"(해산)했다.[10][33] 졸업에 관해 모로호시는 후년에 '''"(마지막에는) 사이가 좋지 않았다", "모두 지쳐 있었다"'''고 말했다.[33] 2015년 11월 야마모토는 당시 아이돌은 '20대 후반이 되면 각자의 길을 간다'는 스타일이 있었고, 연장자 멤버들이 독립을 원했다"는 내막을 밝혔다.[50][31]
히카루GENJI가 단명으로 끝난 이유로 비즈니스 컨설턴트 전문가는 다음과 같은 이유를 제시하며 이후 쟈니즈 사무소의 마케팅 전략에서 과제로 지적했다.[51]
이 외에도, 쟈니즈의 선배인 전 포 리브스(Four Leaves)의 키타 코지가 간행한 저서 『히카루GENJI에게』에 의한 영향도 크다고 여겨지고 있다.[52]
이러한 반성을 살려, SMAP은 코미디를 하는 등 개성을 전면에 내세우는 그룹이 되었고, 2016년까지 존속했다. 그 외에도, TOKIO는 "힘든 일을 하면서 활동하는 그룹", V6는 "연소조와 연장조의 개성을 각각 내는 그룹"과 같이, 쟈니즈 아이돌도 개성을 내는 그룹이 계속 나오게 되었다.
3. 4. 해체 이후
1994년, 오사와 미키오와 사토 히로유키가 그룹을 탈퇴하고 남은 멤버들은 히카루 겐지 슈퍼 5를 결성했으나 1년 만에 해체되었다.[7] 이 다섯 명 중 모로호시 카즈미와 야마모토 준이치는 이후 쟈니즈 사무소를 떠났다.[7] 아카사카 아키라가 2007년 10월 28일 메스암페타민 소지 혐의로 체포되어 해고됨에 따라,[7][8] 현재 쟈니즈 사무소에는 사토 아츠히로와 우치우미 코지가 남아있다. 해산 후, 모로호시 카즈미는 쟈니즈 사무소를 퇴소했고, 2002년 2월 28일에는 야마모토 준이치가 쟈니즈 사무소를 퇴소했다. 2007년 10월 29일에는 아카사카 아키라가 각성제 소지 사건으로 쟈니즈 사무소에서 징계 해고되었다. 이후, 쟈니즈 사무소(이 시점에서 SMILE-UP.으로 개명) 소속자와 함께 STARTO ENTERTAINMENT로 이적한 것은 우츠미 코지, 사토 아츠히로 뿐이다.
2015년 9월 30일 방송된 『나카이의 창』 "전설의 그룹 SP"에 사토 아츠히로가 출연했을때 나카이 마사히로는 "역대 최고, 제일 대단했다", "엄청나네"라고 말했고, 히로미는 "내가 본 중에서는 최고였다"고 소개했다. 2016년 11월 27일, 퀴즈☆스타 명감 내에서 방송된 롤러스케이트 대결 기획에 모로호시 카즈미, 오사와 미키오, 야마모토 준이치, 사토 히로유키 4명이 함께 출연했다.
2017년에 데뷔 30주년을 기념해 재결성을 계획(연내 한정 투어)하고, 멤버 7명이 회합을 가졌으나 소속 사무소 간의 문제로 좌절되어 백지화되었다. 2020년 12월, 우츠미 코지, 사토 아츠히로는 오사카, 도쿄에서 크리스마스 이벤트를 개최했고, 2021년 12월에도 오사카에서 이벤트를 개최했다. 2021년 6월 9일 방송된 『아리요시의 벽』에 우츠미 코지와 사토 아츠히로가 출연하여 해산 이후 처음으로 2명이 TV 프로그램에서 노래를 불렀다. 2022년 3월 30일부터 BS 쇼치쿠 토큐에서 우츠미 코지와 사토 아츠히로의 여행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이런 곳에서 캠퍼즈!』가 방송 시작되었다.
2022년 8월 19일, 광GENJI 데뷔 35주년을 기념하여, 우츠미 코지와 사토 아츠히로가 정식으로 『U&S』를 결성하고, 『U&S UpdateS LOVE TOUR 2022-2023』을 개최하여 신곡 『UpdateS』를 처음 공개했다. 2023년 3월 22일, 『닛테레계 음악의 제전 Premium Music 2023』에서 U&S는 쟈니즈 Jr.의 HiHi Jets와 광GENJI의 명곡 『유리의 10대』로 롤러스케이트 콜라보레이션을 선보였다. 2023년 6월 28일, 『테레토 음악제 2023 여름』에서 U&S와 헤이케 파, HiHi Jets의 콜라보가 실현되어, 광GENJI 시대의 명곡 『유리의 10대』, 『STAR LIGHT』, 『검의 춤』을 선보였다.
2023년 5월 29일, 사토 히로유키 & 야마모토 준이치의 유닛 『두 개의 바람』이 결성되었다. 2023년 8월 25일, 두 개의 바람은 12월 5일에 rock field 레이블에서 데뷔 싱글 『너와 이야기』의 발매를 발표했고 이 곡은 오리콘 주간 랭킹에서 11위에 랭크되었다. 2023년 9월 16일, 두 개의 바람은 2024년 1월에 도쿄, 나고야, 오사카에서 첫 투어를 개최할 것이 발표했다.
2023년 8월 18일, 광GENJI 35주년 이어를 마무리하는 『우츠미 코지와 사토 아츠히로의 올나이트 닛폰 GOLD』 방송에서, U&S의 곡 『UpdateS』의 배포 릴리스가 발표되었다. 2023년 10월 1일, U&S는 10월 5일에 디지털 데뷔 싱글 『UpdateS』의 배포 릴리스를 발표했고, UpdateS는 Billboard Japan download 랭킹에서 38위에 랭크되었다.
2020년 12월 25일, 사토 히로유키는 YouTube 『SATOH HIROYUKI OFFICIAL YouTube CHANNEL "히로 쨩"』을 개설했다. 2022년 2월 28일, 야마모토 준이치는 YouTube 『야마쥰 채널』을 개설했다. 2023년 9월 28일, 오사와 미키오는 YouTube 『스즈란조×오사와 미키오』를 개설했다.
광GENJI의 다큐멘터리 프로그램 "7 S.T.A.R.S. ~7개의 대답~ 사토 아츠히로가 잇는 광GENJI의 현재(지금)"가 2025년 1월 5일부터 WOWOW에서 방송될 〈예정〉이다.
4. 특징
시원하고 씩씩한 롤러 스케이트 퍼포먼스와 아크로바틱을 컨셉으로, 반짝이는 듯한 활기 넘치는 신선함을 전면에 내세웠다.[29][12][13] 『STAR LIGHT』나 『파라다이스 은하』 등, 빛, 별, 은하, 우주 등 판타지를 테마로 한 곡이 두드러졌다.[14]
5. 논란 및 사건사고
데뷔 당시, 아카사카 아키라와 사토 아츠히로는 근로기준법(제61조)에 따라 원칙적으로 밤 8시부터 다음날 오전 5시까지는 텔레비전·라디오 생방송 출연이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다. 처음에는 "노래 부분만 7명이 사전 녹화한다", "멤버 5명이 노래하는 생방송 영상과 출연할 수 없는 2명이 출연한 VTR을 번갈아 내보낸다", "당시 연상으로 백 댄서였던 나카이 마사히로와 기무라 타쿠야가 대신 출연한다" 등의 방법이 고려되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더 베스트텐'이나 '노래 톱텐' 등 생방송 프로그램에 멤버 전원이 출연했을 때도 몇 번 있었고, 밤 8시 이후에 출연하거나 출연하지 않거나 하는 상황이 계속되었다[47]。
당시 14세였던 사토가 심야의 노래 프로그램에 출연한 혐의로, 근로기준감독서가 1988년 6월에 쟈니즈 사무소에 조사에 들어갔다. 조사 결과 "보수 면", "세법상의 취급", "사업소득으로 과세되고 있다" 등의 실태를 확인하고, 멤버는 "노동자로 인정되지 않는다"(=근로기준법은 적용되지 않는다)라는 판단을 내렸다[48]。
히카루GENJI의 출연에 관한 자문이 있어, 국회나 관계 기관에서 논의가 이루어졌고, 연예인에 있어서 일정한 조건 (타인에 의해 대체할 수 없는, "인기" 등 당사자의 개성이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는, 계약 형태가 고용 계약이 아닌 등)을 충족한 자는 "표현자"로 간주하여 근로기준법을 적용하지 않는다는 결론이 났다. 1988년 7월 30일에 통달 (소위 "연예 탤런트 통달" "히카루GENJI 통달" 쇼와 63년 7월 30일, 기수 355호)이 발표되어[49], 그 이후에는 밤 9시 이후라도 멤버 전원이 출연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6. 수상 경력
히카루GENJI는 일본 레코드 협회의 연례 음악 시상식인 일본 골드 디스크 대상에서 15개의 상을 수상했다.[9]
- 1987년 제25회 골든 애로상 최우수신인상
- 1988년 제26회 골든 애로상 화제상
- 1988년 제2회 일본 골드 디스크 대상 The Grand Prix New Artist of the Year
- 1988년 제2회 일본 골드 디스크 대상 The Best New Artist of the Year
- 1988년 제2회 일본 골드 디스크 대상 The Grand Prix Single of the Year - 「ガラスの十代」
- 1988년 제2회 일본 골드 디스크 대상 The Best Single of the Year - 「ガラスの十代」, 「STAR Light」
- 1988년 제2회 일본 골드 디스크 대상 The Best Album of the Year 영아이돌 (그룹)부문 - 「光GENJI」
- 1988년 일본 레코드 세일즈 대상 (오리콘 연간 랭킹)
- 1988년 제30회 일본 레코드 대상 대상 「パラダイス銀河」[5]
- 1989년 제3회 일본 골드 디스크 대상 The Best 5 Artist of the Year
- 1989년 제3회 일본 골드 디스크 대상 Grand Prix Single of the Year - 「パラダイス銀河」
- 1989년 제3회 일본 골드 디스크 대상 The Best5 Single of the Year - 「パラダイス銀河」, 「Diamondハリケーン」, 「剣の舞」
- 1989년 제3회 일본 골드 디스크 대상 The Best Album of the Year 영아이돌 (그룹)부문 - 『Hi!』
- 1989년 제15회 닛폰 TV 음악제 그랑프리
- 1989년 제15회 전일본가요음악제 골든그랑프리
- 1989년 제18회 FNS 가요제 그랑프리 「太陽がいっぱい」
- 1989년 제20회 일본가요대상 대상 「太陽がいっぱい」
- 1989년 제31회 일본 레코드 대상 금상 「太陽がいっぱい」
- 1990년 제4회 일본 골드 디스크 대상 The Best5 Single of the Year - 「太陽がいっぱい」
- 1991년 제5회 일본 골드 디스크 대상 앨범상 아이돌부문 (남성) 『ふりかえって・・・Tomorrow』
- 1992년 제6회 일본 골드 디스크 대상 앨범상 아이돌부문 (남성) 『(333) Thank you』
- 1993년 제7회 일본 골드 디스크 대상 앨범상 아이돌부문 (남성) 『BEST FRIENDS』
7. 음반 목록
7. 1. 싱글
히카루GENJI의 싱글은 대부분 오리지널 앨범에 수록되지 않았다.| # | 발매일 | 제목 | 커플링 | 최고 순위 | ||
|---|---|---|---|---|---|---|
| 1 | 1987년8월 19일 | STAR LIGHT | △○ | ROLLING STOCK | ■ | 1위 |
| 2 | 1987년11월 26일 | 유리의 10대 | △○ | Graduation | △☆ | 1위 |
| 3 | 1988년3월 9일 | 파라다이스 은하 | △☆ | LONG RUN | ■ | 1위 |
| 4 | 1988년6월 21일 | Diamond 허리케인 | △ | Welcome | ■ | 1위 |
| 5 | 1988년10월 10일 | 검의 춤 | △ | 눈물의 반짝임 | △ | 1위 |
| 6 | 1989년3월 6일 | 지구를 찾아서 | △ | NEW! 청춘에는 아직 이르다 | ■ | 1위 |
| 7 | 1989년7월 20일 | 태양이 가득 | △ | 시간을 초월한 페스티벌 | ■ | 1위 |
| 1989년10월 28일 | 시간을 초월한 페스티벌 | - | 태양이 가득 | - | - | |
| 8 | 1990년2월 7일 | 황야의 메갈로폴리스 | ▲● | PLEASE | ▲● | 1위 |
| 9 | 1990년5월 16일 | Little Birthday | △ | 나나나노나노 시간표 | ■ | 2위 |
| 10 | 1990년8월 17일 | CO CO RO | △ | 바라보고 싶어 | ■ | 1위 |
| 11 | 1990년11월 3일 | 웃어줘 | △ | 수채화 | ■ | 1위 |
| 12 | 1991년2월 7일 | 바람 속의 소년 | △ | TV 속의 HERO | ■ | 2위 |
| 13 | 1991년4월 26일 | 기적의 여신 | △ | 좀 더 가까워지고 싶어 | ■ | 2위 |
| 14 | 1991년8월 30일 | WINNING RUN | △○ | 열대야 | △ | 3위 |
| 15 | 1991년11월 7일 | GROWING UP | △ | 젊음의 행방 | ■ | 5위 |
| 16 | 1992년2월 20일 | TAKE OFF | △★ | 너에게 Cheer Up! | ■ | 5위 |
| 17 | 1992년4월 29일 | 라일락이 피는 무렵 바르셀로나로 | △★ | I'LL BE BACK | △ | 2위 |
| 18 | 1992년8월 20일 | Meet Me | △★ | 크레용으로 그린 타임머신(SAY'S) | △ | 6위 |
| 19 | 1992년11월 6일 | 사랑해도 괜찮습니까 | △★ | 꿈에서 만날 수 있으니까 | ■ | 6위 |
| 20 | 1993년2월 19일 | 너와 빠르게 SLOWLY | △★ | 안녕이라고 말할 수 없어서(SAY'S) | △ | 9위 |
| 21 | 1993년5월 13일 | 용기 100% | △★ | 미소를 맡기고 | ■ | 7위 |
| 22 | 1993년8월 4일 | BOYS in August | △★ | 사랑하는 마음 | ■ | 5위 |
| 23 | 1993년10월 27일 | 이 가을‥혼자가 아니야 | △★ | 분명 서로 사랑할 수 있어 | ■ | 5위 |
| 24 | 1994년1월 20일 | BRAVO!Nippon〜눈과 얼음의 판타지〜 | △ | 너는 세계를 꿈꾸며 | ■ | 7위 |
| 25 | 1994년4월 28일 | 요소로! 미래로 잘 부탁해 | △ | 우리들의 REASON | ■ | 10위 |
| 26 | 1994년7월 21일 | TRY TO REMEMBER | △ | LUNAR PARK-GO-ROUND | ■ | 9위 |
☆오리지널 앨범 수록 (★HEART'N HEARTS 내 베스트), ■앨범 미수록, ○●오리지널 앨범에 별도 version으로 수록, △▲빛GENJI 관련 명의 베스트반에 수록 (●▲황야의 메갈로폴리스, PLEASE는 Edit이 꽤 특수하므로 곡명의 항목을 참조)순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