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스암페타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스암페타민은 중추신경 자극제로, 1888년 일본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1941년 일본 제약회사에서 '필로폰'이라는 상품명으로 출시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인들의 피로 회복을 위해 사용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1960년대 후반 대용 마약으로 퍼지면서 1970년 제조, 유통, 사용, 소지가 금지되었다. 현재는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로 엄격하게 규제 및 처벌받고 있다. 메스암페타민은 강력한 중독성을 가지며, 부작용으로 신경독성, 신체적, 정신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효과적인 약물 치료법은 아직 없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감신경작용제 - 콜린성
    콜린성 약물은 부교감신경을 흥분시키는 약물로, 작용하는 수용체 종류와 작용 기전에 따라 분류되며 알츠하이머병 치료에 사용되는 아세틸콜린 에스터레이스 억제제 등이 있고, 분자 구조 내 특정 원자 배열이 효능에 중요하다.
  • 교감신경작용제 - 아드레날린성
    아드레날린성은 현재 본문 내용이 없어 위키백과 스타일의 요약문을 작성할 수 없다.
  • 심장자극제 - 아드레날린
    아드레날린(에피네프린)은 부신 수질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이자 신경전달물질로, 스트레스 반응인 '투쟁-도피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심박수 증가, 혈압 상승, 기관지 확장, 혈당 증가 등의 효과를 통해 신체가 위협에 대응하도록 돕고 아나필락시스나 심정지 치료에 사용된다.
  • 심장자극제 - 코카인
    코카인은 코카 잎에서 추출되는 강력한 중추신경계 자극제이자 국소 마취제로, 의료용으로 사용되기도 했으나 강력한 중독성으로 인해 현재는 사용이 엄격히 규제되며, 쾌감과 각성 효과를 유발하지만 심각한 건강 및 사회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 암페타민 - 덱스트로암페타민
    덱스트로암페타민은 암페타민의 일종으로, ADHD, 기면증 치료에 사용되는 중추신경계 자극제이지만, 각성 및 인지 능력 향상 효과로 불법적 사용과 부작용, 의존성 위험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며, 다양한 제형과 복합제로 출시된다.
  • 암페타민 - 슈도에페드린
    슈도에페드린은 코막힘 완화제로 널리 쓰이는 교감신경흥분제이며, 비염약 및 감기약 성분으로 사용되고 과다수면증, 기면증 치료 등에도 제한적으로 사용되지만 도핑 문제로 규제받기도 하며 각성 효과와 혈관 수축 작용으로 불면증, 혈압 상승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메스암페타민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약물 정보
라세미 메스암페타민 화합물
라세미 메스암페타민
레보-메스암페타민 화합물 3D 이미지
레보-메스암페타민
덱스트로-메스암페타민 화합물 3D 이미지
덱스트로-메스암페타민
국제 일반 명칭 (INN)메스암페타민
발음IPA: /ˌmɛθæmˈfɛtəmiːn/
로마자 표기: 메탐페타민
상품명데속신, 기타
의약품 닷컴메스암페타민 염산염
임신 범주호주: 해당 없음
의존성 책임신체적: 없음
심리적: 매우 높음
중독 책임매우 높음
투여 경로경구 투여
정맥 주사
근육 주사
피하 주사
흡입
코 흡입
좌약
직장 투여
질 투여
ATC 코드N06
BA03
법적 지위호주: S8
브라질: F2
캐나다: 스케줄 I
독일: Anlage II
뉴질랜드: 클래스 A
영국: 클래스 A
미국: 스케줄 II
유엔: 정신 자극제 스케줄 II
생체 이용률경구: 67%
비강: 79%
흡입: 67–90%
정맥: 100%
단백질 결합광범위하게 다양함
대사CYP2D6, FMO3
대사 산물암페타민
포레드린
N-하이드록시메스암페타민
작용 발현경구: 3시간 (최고 농도)
비강: <15분
흡입: <18분
정맥: <15분
소멸 반감기9–12시간 (범위 5–30시간), 투여 경로 무관
작용 시간8–12시간
배설주로 신장
식별
CAS 등록번호537-46-2
PubChem1206
IUPHAR 리간드4803
DrugBankDB01577
ChemSpider ID1169
UNII44RAL3456C
24GNZ56D62
KEGGD08187
ChEBI6809
ChEMBL1201201
PDB 리간드B40
속성
IUPAC 명칭(RS)-N-메틸-1-페닐프로판-2-아민
분자식C10H15N
SMILESCNC(C)Cc1ccccc1
StdInChI1S/C10H15N/c1-9(11-2)8-10-6-4-3-5-7-10/h3-7,9,11H,8H2,1-2H3
StdInChIKeyMYWUZJCMWCOHBA-UHFFFAOYSA-N
녹는점170 °C
끓는점212 °C (760 mmHg에서)
기타 정보
동의어N-메틸암페타민
N,α-디메틸페네틸아민
데속시에페드린
슬랭메스
스피드
크랭크
샤부 (인도네시아, 필리핀)
크리스탈
크리스탈 메스
글래스
샤드
아이스
P (뉴질랜드)
관련 약물암페타민
일본어 이름メタンフェタミン (메탄페타민)

2. 역사

1888년 일본 도쿄 대학 의학부의 나가이 나가요시(長井長義) 교수가 천식 치료제인 마황(麻黃)으로부터 에페드린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메스암페타민을 최초로 발견하였다.[193] 1893년 세계 최초로 합성에 성공하였고,[193] 1919년 일본의 약리학자 오가타 아키라(緒方章)가 결정화에 성공했다.[193]

한국에서는 일본의 '다이닛폰 제약'(현 스미토모 파마)이 1941년에 출시한 상품명 '''필로폰'''(Philopon) 또는 이를 일본 발음으로 읽은 '''히로뽕'''(ヒロポン|히로폰일본어)으로 잘 알려져 있다.[271] 이 상품명은 '노동을 사랑한다'는 뜻의 그리스어 'philoponos'에서 따온 것이다.[272] 태평양 전쟁 당시 군인들의 피로 회복과 전투 의욕 고취를 위한 군수품으로 대량 생산되었고, 군수공장 노동자들이 작업 중 잠이나 졸음을 쫓는 약으로 쓰였다.[272]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군독일군 등에서 메스암페타민을 군수품으로 대량 생산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부작용, 특히 금단 증상이 너무 심각하여 1940년에 독일군은 사용을 대폭 줄였다.[172]

1960년대 후반 대한민국에서는 필로폰이 대용 마약으로 퍼져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었고,[274] 제약회사에서 이를 만들어 일본에 밀수출하는 일까지 벌어졌다.[275] 1970년 8월 7일 「습관성의약품관리법」이 제정되어 1970년 11월 8일부터 제조·유통·사용·소지가 금지되었다.

2. 1. 발견과 합성

1888년 일본 도쿄 대학 의학부의 나가이 나가요시(長井長義) 교수가 천식 치료제인 마황(麻黃)으로부터 에페드린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최초로 발견하였다.[193] 1893년 세계 최초로 합성에 성공하였고,[193] 1919년 일본의 약리학자 오가타 아키라(緒方章)가 결정화에 성공했다.[193]

각성 작용이나 의존성은 합성에 성공했을 당시에는 발견되지 않았고,[194] 발견 이후에도 주목받지 못했다. 그러나 1938년 나치 독일이 '페르비틴'(Pervitin)이라는 약제로 사용하면서 주목받기 시작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연합군추축국군 양쪽에서 항공기 및 잠수함 승무원을 중심으로 사기 진작 및 피로 회복을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2. 2. 필로폰과 히로뽕

한국에서 흔히 '히로뽕' 또는 '필로폰'으로 알려진 이 명칭은 일본의 '다이닛폰 제약'(大日本製藥, 현 스미토모 파마)이 1941년에 출시한 상품명 '필로폰'(Philopon)에서 유래했다.[271] '필로폰'은 그리스어로 '노동을 사랑한다'는 의미의 'philoponos'에서 따온 것이다.[272]

2. 3. 제2차 세계대전과 각성제

일반적으로 시판되던 메스암페타민 제제 히로퐁의 광고. 피로 방지 및 회복 등의 효과가 강조되어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군독일군 등에서 군인들의 피로 회복과 전투 의욕 고취를 위한 군수품으로 메스암페타민을 대량 생산했다. 군수공장 노동자들은 작업 중 잠이나 졸음을 쫓는 약으로 사용했다.[272]

일본에서는 '각성제'(覚醒剤)라고 불렀는데,[273] 일본 패망 후 1940년대 말에는 필로폰 중독자가 50만 명을 넘었고, 불결한 주사기 사용으로 간염이 확산되면서 1951년 「각성제단속법」(覚醒剤取締法, 각성제취체법)이 시행되었다. 대일본 제국에서도 전시의 근로 상태나 공장의 능률 향상을 위해 메스암페타민을 사용했고[195],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항복 이후, 일본군 보유품인 히로폰 주사제가 시장에 풀리면서 비행 청소년과 매춘부에게 남용이 확산되었다.

나치 통치 하의 독일에서는 1937년에 메스암페타민 제제인 "페르비틴"이 발매되어 독일 국민들에게 퍼져나갔다. 1936년 베를린 올림픽에서 미국의 선수가 사용한 "벤제드린(Benzedrine)"의 효과에 주목한 결과였다.[209] 당시 독일에서는 양과자 프랄린에 메스암페타민을 섞은 "메스암페타민 넣은 프랄린"이 시판되어 "매일의 가사가 더욱 즐거워집니다"등의 선전 문구로 광고되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개전 직전, 독일 국방군에서는 병사의 피로에 대한 연구를 통해 메스암페타민이 카페인 등과 비교해도 각성 효과가 매우 높았고 피로를 극복하는 효과도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그러나 메스암페타민을 투여받은 피험자는 작업 효율이 떨어지거나 판단력이 저하되는 등의 부작용도 있었지만, 군대 입장에서는 병사가 명령에 순종하는 편이 유리했기 때문에 군에서 사용하기에 최적의 약품이라고 결론 내렸다.

메스암페타민 정제 용기.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군인들이 사용한 메스암페타민 브랜드인 페르비틴은 이 정제 용기에 담겨 배포되었다.


결국,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독일군은 전격전으로 순식간에 유럽을 석권했는데, 그 승리의 요인 중 하나가 '페르비틴'이었다. 특히 1940년 5월의 나치 독일의 프랑스 침공에서 아르덴 숲을 불면불휴로 강행 돌파하는 기습 작전 당시 독일군 기갑부대 장병에게 야간에 '페르비틴'을 2정 복용하고, 필요하다면 2~3시간 후에 1~2정을 더 복용하라는 지시가 내려졌다.[214]

독일군 중에서도 가장 '페르비틴'을 활용한 것은 독일 공군이었으며[216], '페르비틴'은 '파일럿의 소금'이라는 별칭으로 불리며 필수품으로 남용되어, 전격전에서의 독일 공군 활약의 원동력이 되었다.[217]

그러나 정신 질환자나 신체 장애인을 학살한 T4 작전을 주도한 국가사회주의 독일 의사 연맹 회장이자, 나치 독일의 보건 장관이었던 레오나르도 콘티 친위대 중장이 메스암페타민의 부작용을 인식하고 규제를 시도했다. 1941년 6월 12일에는 '아편법'을 개정하여 메스암페타민을 규제 약품으로 하는 데 성공했지만, 독소전이 발발하면서 이 규제는 유명무실해졌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연합군추축국군 양쪽에서 항공기 및 잠수함 승무원을 중심으로 사기 진작 및 피로 회복을 목적으로 메스암페타민을 사용했다.

2. 4. 한국에서의 확산과 규제

1960년대 후반 대한민국에서는 필로폰이 대용마약으로 퍼지면서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었고,[274] 제약회사에서 이를 만들어 일본에 밀수출하는 일까지 벌어졌다.[275] 이에 1970년 8월 7일 「습관성의약품관리법」이 제정되어 1970년 11월 8일부터 제조·유통·사용·소지가 금지되었다. 현재는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로 엄격하게 규제·처벌하고 있다. 한국프로야구 삼미 슈퍼스타즈의 선수 장명부는 이 약물로 인해 영구제명되었다.

3. 법령상 명칭의 연혁

1970년 11월 3일, 습관성의약품관리법 시행령이 제정되었을 때에는 메탐페타민이라고 표기했다.[276] 1973년 8월 9일, 해당 시행령이 개정되면서 메스암페타민으로 변경되었다. 이는 향정신성의약품관리법 시행령 시기(1980~2000)와 마약류관리에관한법률 시행령 시기(2000~2012)에도 유지되었다. 이처럼 1973년부터 2012년까지 약 39년간 메스암페타민으로 표기되었는데, 이는 'th'의 국제발음기호 θ를 '스'로 표기하도록 한 외래어 표기법에 따른 것이다.

2012년 6월 7일, 마약류관리에관한법률 시행령이 개정되면서 메트암페타민으로 다시 변경되었다. 이러한 변경의 배경에는 다음 두 가지가 있다. 첫째, 세계보건기구(WHO)의 국제일반명(INN)이 metamfetamine으로 정해졌다.[277] 이는 1986년 Recommended List 26에 따른 것이다.[278] 둘째, 식품의약품안전청(현 식품의약품안전처)이 2003년 제정한 "의약품 명명법 가이드라인"에서 'th'를 '트'로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정했다.[279]

4. 약리 작용

메스암페타민은 뇌 카테콜아민 시스템을 조절하는 G 단백질 연결 수용체 (GPCR)인 트레이스 아민 관련 수용체 1 (TAAR1)의 강력한 완전 효능제이다.[111][112] TAAR1 활성화는 사이클릭 아데노신 일인산 (cAMP) 생성을 증가시키고 도파민 수송체 (DAT), 노르에피네프린 수송체 (NET) 및 세로토닌 수송체 (SERT)의 수송 방향을 완전히 억제하거나 반전시킨다.[111][113]

메스암페타민은 또한 알파-2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및 시그마 수용체의 효능제이며 결합 친화도가 σ1에 대해 σ2보다 높으며 모노아민 산화 효소 A (MAO-A) 및 모노아민 산화 효소 B (MAO-B)를 억제한다.[124][112][125]

모노아민 방출에서의 메스암페타민 및 관련 약물 (nM)
화합물노르에피네프린도파민세로토닌Ref
페네틸아민10.939.5>10,000[103][106][107]
덱스트로암페타민6.6–7.25.8–24.8698–1,765[104][105]
레보암페타민9.527.7[106][107]
덱스트로메스암페타민12.3–13.88.5–24.5736–1,292[104][108]
레보메스암페타민28.54164,640[104]
참고: 값이 작을수록 약물이 신경전달물질을 더 강력하게 방출한다. 더 많은 화합물을 포함하는 더 큰 표는 모노아민 방출제 § 활성 프로필을 참조.[109][110]



덱스트로메스암페타민은 레보메스암페타민보다 더 강력한 정신자극제이지만, 레보메스암페타민은 더 강력한 말초 신경계 효과, 더 긴 반감기를 가진다.[126][127][128]

메스암페타민의 생체이용률은 경구 투여 시 67%, 비강 내 투여 시 79%, 흡입 투여 시 67~90%, 정맥 주사 시 100%이다.[131][130][7] 경구 투여 후 메스암페타민은 혈류로 잘 흡수되며, 투여 후 약 3.13~6.3시간에 혈장 내 메스암페타민 최고 농도에 도달한다.[141] 메스암페타민은 흡입 및 비강 내 투여 후에도 잘 흡수된다.[130] 메틸기에 의한 메스암페타민의 높은 친유성 때문에 다른 자극제보다 빠르게 혈액뇌관문을 통과할 수 있으며, 모노아민 산화 효소에 의한 분해에 더 강하다.[130][141][129]

메스암페타민의 반복 사용은 도파민 수송체(DAT)나 도파민 D1 수용체를 감소시킨다. 항생제 미노사이클린의 사전 투여와 병용하면 DAT의 감소나 D1 수용체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4. 1. 작용 기전

메스암페타민은 혈액뇌관문을 쉽게 통과하여 대뇌중추신경계를 자극하고 각성시키는 작용을 한다.[130][141][129] 신경 종말에서 도파민, 노르아드레날린, 세로토닌 등의 아민류를 유리시켜 간접적으로 신경을 흥분시킨다. 모노아민 산화 효소의 억제 작용으로 시냅스 간극 내 아민류의 농도를 상승시키는 작용도 한다.[124][112][125]

메스암페타민은 뇌 카테콜아민 시스템을 조절하는 G 단백질 연결 수용체 (GPCR)인 트레이스 아민 관련 수용체 1 (TAAR1)의 강력한 완전 효능제이다.[111][112] TAAR1의 활성화는 사이클릭 아데노신 일인산 (cAMP) 생성을 증가시키고 도파민 수송체 (DAT), 노르에피네프린 수송체 (NET) 및 세로토닌 수송체 (SERT)의 수송 방향을 완전히 억제하거나 반전시킨다.[111][113] 메스암페타민이 TAAR1에 결합하면 단백질 인산화 효소 A (PKA) 및 단백질 인산화 효소 C (PKC) 신호를 통해 수송체 인산화를 유발하여 궁극적으로 단일 아민 수송체의 세포내이입 또는 역기능을 초래한다.[111][114]

메스암페타민 약력학 그림
이 그림은 왼쪽의 정상적인 도파민성 말단과 오른쪽의 메스암페타민이 있는 도파민성 말단을 보여준다. 메스암페타민은 TAAR1 (표시되지 않음)을 활성화하여 도파민 수송체(DAT)의 작용을 반전시킨다. TAAR1 활성화는 또한 일부 도파민 수송체가 시냅스 전 뉴런으로 이동하여 수송을 중단하게 한다(표시되지 않음). VMAT2(VMAT로 표시됨)에서 메스암페타민은 도파민 유출(방출)을 유발한다.


메스암페타민은 세포 내 칼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Ca2+/칼모듈린 의존성 단백질 인산화 효소 (CAMK) 의존성 신호 전달 경로를 통해 DAT 인산화와 관련이 있으며, 이는 차례로 도파민 유출을 생성한다.[115][116][117] TAAR1은 활동 전위의 G 단백질 연결 내향 정류 칼륨 채널의 직접적인 활성화를 통해 뉴런의 발화율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118][119][120] 별세포에서 메스암페타민에 의한 TAAR1 활성화는 EAAT2, 즉 글루탐산 수송체의 한 유형의 막 발현 및 기능을 부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보인다.[56]

메스암페타민은 혈장 막 모노아민 수송체에 미치는 영향 외에도 VMAT2를 억제하여 시냅스 소포 기능을 억제하여 모노아민이 소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방출을 촉진한다.[122] 이는 시냅스 소포에서 시냅스 전 뉴런의 세포질 (세포 내액)로 모노아민이 유출되어 인산화된 수송체에 의해 시냅스 틈으로 방출되는 결과를 낳는다.[121] 메스암페타민이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다른 수송체는 SLC22A3 및 SLC22A5이다.[122] SLC22A3은 별세포에 존재하는 엑스트라뉴런 모노아민 수송체이고, SLC22A5는 고친화성 카르니틴 수송체이다.[112][123]

메스암페타민은 또한 알파-2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및 시그마 수용체의 효능제이며 결합 친화도가 σ1에 대해 σ2보다 높으며 모노아민 산화 효소 A (MAO-A) 및 모노아민 산화 효소 B (MAO-B)를 억제한다.[124][112][125] 메스암페타민에 의한 시그마 수용체 활성화는 중추 신경계 자극 효과를 촉진하고 뇌 내 신경독성을 촉진할 수 있다.[124][125]

모노아민 방출에서의 메스암페타민 및 관련 약물 (, nM)
화합물노르에피네프린도파민세로토닌Ref
페네틸아민10.939.5>10,000[103][106][107]
덱스트로암페타민6.6–7.25.8–24.8698–1,765[104][105]
레보암페타민9.527.7[106][107]
덱스트로메스암페타민12.3–13.88.5–24.5736–1,292[104][108]
레보메스암페타민28.54164,640[104]
참고: 값이 작을수록 약물이 신경전달물질을 더 강력하게 방출한다. 더 많은 화합물을 포함하는 더 큰 표는 모노아민 방출제 § 활성 프로필을 참조. [109][110]



덱스트로메스암페타민은 더 강력한 정신자극제이지만, 레보메스암페타민은 더 강력한 말초 신경계 효과, 더 긴 반감기, 그리고 약물 남용자들 사이에서 더 오래 지속되는 것으로 인식되는 효과를 나타낸다.[126][127][128] 고용량에서 메스암페타민의 두 가지 이성질체는 유사한 상동증 및 메스암페타민 정신병을 유도할 수 있지만,[127] 레보메스암페타민은 더 짧은 정신역동적 효과를 나타낸다.[128]

메스암페타민의 반복 사용은 도파민 수송체(DAT)나 도파민 D1 수용체를 감소시킨다. 항생제 미노사이클린의 사전 투여와 병용하면 DAT의 감소나 D1 수용체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4. 2. 효능 및 효과

메스암페타민은 혈액뇌관문을 쉽게 통과하여 대뇌의 중추신경을 자극하고 각성시키는 작용이 있다. 의료용으로는 우울증, 정신병 등의 허탈 상태나 각종 혼수, 기면증 등의 개선 및 회복에 사용된다.[193]

메스암페타민은 소포체의 도파민 저장을 억제하여 시냅스 전 세포의 세포질 내 도파민 농도를 상승시킨다. 동시에 도파민 수송체를 역류시켜 신경 종말에서 도파민, 노르아드레날린, 세로토닌 등의 아민류를 유리시켜 간접적으로 신경을 흥분시킨다. 또한 모노아민 산화 효소의 억제 작용으로 시냅스 간극 내 아민류의 농도를 상승시키는 작용도 한다.

메스암페타민을 반복 사용하면 도파민 수송체(DAT)나 도파민 D1 수용체가 감소한다. 그러나 항생제 미노사이클린을 사전 투여하거나 병용하면 DAT나 D1 수용체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메스암페타민의 구체적인 효능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 기면증, 각종 혼수, 기면, 졸음, 몽롱한 상태, 인슐린 쇼크, 우울증·우울 상태, 정신 분열증의 둔화증 개선
  • 수술 중·수술 후 허탈 상태로부터의 회복 촉진 및 마취로부터의 각성 촉진
  • 마취제 급성 중독, 수면제 급성 중독 개선

5. 부작용 및 중독성

메스암페타민은 약물 사용 장애, 심장 질환 병력이 있거나 심한 흥분 또는 불안을 경험하는 사람, 또는 현재 동맥 경화증, 녹내장, 갑상선 기능 항진증 또는 심각한 고혈압을 겪고 있는 사람에게는 금기이다.[45]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과거에 다른 자극제에 대한 과민성 반응을 경험했거나 현재 모노아민 산화 효소 억제제를 복용하고 있는 사람은 메스암페타민을 복용해서는 안 된다고 명시하고 있다.[45] FDA는 또한 양극성 장애, 우울증, 상승된 혈압, 간 또는 신장 문제, 조증, 정신병, 레이노 현상, 발작, 갑상선 문제, 또는 뚜렛 증후군이 있는 사람은 메스암페타민을 복용하는 동안 증상을 모니터링해야 한다고 조언한다.[45] 성장 억제의 가능성 때문에, FDA는 치료 중 성장하는 아동 및 청소년의 키와 체중을 모니터링할 것을 권고한다.[45]

자동차 타이어에 숨겨진 메스암페타민(멕시코-미국 국경)


메스암페타민의 정신적 부작용으로는 행복감, 불쾌감, 성욕 변화, 각성, 불안, 집중력 변화, 피로감 감소, 불면증 또는 과다 각성, 자신감, 사교성, 과민성, 안절부절못함, 과대망상 및 강박 행동 등이 나타날 수 있다.[45][46][47] 메스암페타민 및 관련 흥분제의 특이한 점은 목표 지향적이지 않은 반복적인 활동인 "펀딩"이다.[48] 메스암페타민 사용은 불안, 주요 우울 장애, 암페타민 정신병, 자살, 폭력적인 행동과도 높은 연관성을 보인다.[49][50]

신체적 부작용으로는 식욕 부진, 과잉 행동, 동공 확대, 피부 홍조, 발한 과다(땀을 많이 흘림), 구강 건조, 이갈이, 두통 등이 나타날 수 있다.[45] 또한 빠른 호흡, 고열, 설사, 변비, 흐린 시야, 현기증, 근육 연축(근육 경련), 무감각, 진전(떨림), 건조한 피부, 여드름, 창백한 모습 등의 증상도 나타날 수 있다.[45]

메스 마우스로 의심되는 사례


메스암페타민 사용자, 특히 과다 복용자에게서는 '메스 마우스'라고 불리는 심각한 치아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39] 미국 치과 협회에 따르면, 메스 마우스는 구강 건조증, 장기간의 불량한 구강 위생, 고칼로리 탄산 음료의 잦은 섭취, 그리고 이갈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39][40] 그러나 일각에서는 메스암페타민 관련 치아 부식이 사용자의 다른 생활 습관과 더 관련이 있으며, 이 부작용이 과장되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41]

불안, 흥분, 두통, 불면, 진전, 심계항진, 다한증, 구갈이 나타나거나, 미각 이상이나 두드러기 등의 과민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각성제 정신병은 용법 용량을 벗어나 각성제 남용으로 생기는 환각, 망상 상태를 주로 하는 정신병이다. 각성제 정신병의 망상은 관계 망상을 중심으로 피해·추적·주찰·질투 망상·플래시백으로 구성되며, 환각은 환청이 주를 이룬다.

기타 부작용(빈도 불명)은 다음과 같다.

종류증상
정신 신경계흥분, 정서 불안, 현기증, 불면, 행복감, 떨림, 두통
순환기심계항진, 빈맥, 혈압 상승
소화기식욕 부진, 구갈, 불쾌한 미각, 설사, 변비
과민증두드러기
생식기계발기 부전, 성욕 변화



남용 시작부터 의존에 이르기까지의 기간은 약 30개월로, 메틸페니데이트의 평균 9.2개월과 비교하면 길다.[201]

물질 의존의 형성은 개인이 처한 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지만, 유전적 요인도 관련이 있다. 메스암페타민의 경우, 쌍둥이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유전적 요인은 약 40~70% 정도라고 생각되며,[202] 메스암페타민 의존과 관련된 유전자를 밝힘으로써 메스암페타민 의존의 분자 신경생물학적 이해를 진전시키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메스암페타민의 정신적 의존은 다른 의존성 약물과 마찬가지로 보상 회로가 큰 역할을 한다. 보상 회로는 중뇌 복측 피개 영역에서 측좌핵 및 전두엽 피질에 투사하는 A10 신경이라고 불리는 중뇌 변연 도파민 신경계로 구성된다. 이 신경의 흥분에 의한 신경 종말에서의 도파민 유리에 이어 측좌핵의 도파민 농도 상승이 일어나, 이것을 쾌락으로 느낀다. 메스암페타민은 여러 기전에 의해 측좌핵 국소에서 작용함으로써, 이 부위의 도파민 농도를 상승시키고 보상 회로를 활성화하여 의존을 형성한다.

항생물질·미노사이클린의 사전 투여로 각성제 특유의 고양감이 억제되어 정신적 의존을 억제했다는 연구 보고가 있다.[203] 그러나 고양감을 느끼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재사용 욕구에 변화가 없었다는 보고도 있어 각성제의 습관성(신체적 의존)이 시사된다.[204] 미노사이클린은 도파민 길항 작용이 나타나지 않아 각성제 등의 다행감·고양감은 도파민과 무관하다는 것을 시사한다.[203] 약제 내성균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어 감염증에서도 항균제의 적정 사용이 강조되며, 감염증도 아닌 상황에서의 항생물질 부적절 사용은 경계해야 한다.[205]

메스암페타민은 만성적인 사용 시 뇌의 특정 부분, 특히 측좌핵에서 유전자 발현 변화를 일으켜 강력한 중독성을 유발한다.[57][65] 이러한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사 인자로는 ΔFosB, cAMP 반응 요소 결합 단백질(CREB), 핵 인자 카파 B(NFκB)가 있다.[65]

메스암페타민 중독은 많은 사람들에게 지속적으로 나타나며, 치료를 받은 사람의 61%가 1년 안에 재발한다.[67] 중독자의 약 절반은 10년 이상 사용을 지속하고, 나머지는 처음 사용 후 약 1년에서 4년 사이에 사용을 줄인다.[68]

정기적인 메스암페타민 사용은 내성을 유발하며, 오락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 내성은 빠르게 발달한다.[80][81] 의존적인 사용자의 경우, 금단 증상은 약물 내성 수준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다.[83] 메스암페타민 금단 증상으로 인한 우울증은 코카인 금단 증상보다 더 오래 지속되고 더 심각하다.[82]

메스암페타민을 오락 목적으로 사용하는 사용자의 약물 의존 및 금단에 관한 최신 코크란 리뷰에 따르면, 만성적인 과다 사용자가 사용을 갑자기 중단할 경우, 많은 사람들이 마지막 투여 후 24시간 이내에 일시적인 금단 증후군을 보고한다.[83] 만성적인 고용량 사용자의 금단 증상은 빈번하게 나타나며(최대 87.6%), 첫 주 동안 현저한 "급락" 단계와 함께 3~4주 동안 지속된다.[83] 금단 증상으로는 불안, 약물 갈망, 불쾌한 기분, 피로, 식욕 증가, 운동 증가 또는 운동 감소, 의욕 부족, 불면 또는 과다 졸음, 생생하거나 자각적인 꿈 등이 있다.[83]

어머니의 혈류에 있는 메스암페타민은 태반을 통과하여 태아에게 전달될 수 있으며, 모유로 분비될 수 있다.[82] 메스암페타민을 남용한 어머니에게서 태어난 영아는 비정상적인 수면 패턴, 수유 불량, 떨림 및 과긴장증을 포함하는 증상이 있는 신생아 금단 증후군을 경험할 수 있다.[82] 이 금단 증후군은 비교적 경미하며 약 4%의 경우에서만 의료적 개입이 필요하다.[82]

5. 1. 신경독성 및 신경면역학



메스암페타민은 실험 동물과 인간 모두에서 도파민성 뉴런에 직접적인 신경독성을 나타낸다.[23][54] 흥분독성, 산화 스트레스, 대사적 손상, UPS 기능 장애, 단백질 질산화, 소포체 스트레스, p53 발현 및 기타 과정이 이러한 신경독성에 기여한다.[23][53][131] 메스암페타민 사용은 파킨슨병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56]

인간에 대한 증거 검토에 따르면 고용량 메스암페타민 사용은 세로토닌성 뉴런에도 신경독성을 나타낼 수 있다.[54] 높은 체온은 메스암페타민의 신경독성 효과 증가와 상관관계가 있다.[55] 의존성 있는 사람의 메스암페타민 금단은 일반적인 금단 기간을 넘어서 수개월 동안 지속되는 급성 후 금단으로 이어질 수 있다.[131]

인간 메스암페타민 사용자에 대한 자기 공명 영상 연구에서도 신경퇴행 또는 뇌 구조와 기능의 부정적인 신경 가소성 변화의 증거가 발견되었다.[54] 특히 메스암페타민은 백색질의 고신호 강도 및 비대, 해마의 현저한 수축, 레크리에이션 메스암페타민 사용자의 대상 피질, 변연계 피질, 변연계 옆 피질의 감소된 회백질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인다.[54]

대사적 완전성 및 합성에 대한 생체 지표 수준의 부정적 변화가 레크리에이션 사용에서 발생한다는 증거가 있으며, 예를 들어 ''N''-아세틸아스파르트산 및 크레아틴 수치의 감소와 콜린 및 미오이노시톨 수치의 증가가 있다.[54]

메스암페타민은 인간 별세포에서 TAAR1을 활성화시키고 그 결과 cAMP를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56] 별세포에 국한된 TAAR1의 활성화는 메스암페타민이 이러한 세포에서 막 결합 EAAT2(SLC1A2) 수준과 기능을 약화시키는 기전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56]

메스암페타민은 시그마 수용체 아형인 σ1 및 σ2 모두에 결합하여 활성화하며, 마이크로몰 농도에서 친화성을 갖는다.[124][125] 시그마 수용체 활성화는 고열증을 촉진하고, 도파민 합성 및 방출을 증가시키며, 미세아교세포 활성에 영향을 미치고, 세포 자멸사 신호 전달 연쇄 반응과 활성 산소 종의 형성을 조절함으로써 메스암페타민으로 유도된 신경독성을 촉진할 수 있다.[124][125]

5. 2. 중독성

메스암페타민은 만성적인 사용 시 뇌의 특정 부분, 특히 측좌핵에서 유전자 발현 변화를 일으켜 강력한 중독성을 유발한다.[57][65] 이러한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사 인자로는 ΔFosB, cAMP 반응 요소 결합 단백질(CREB), 핵 인자 카파 B(NFκB)가 있다.[65]

ΔFosB는 약물 중독 발달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측좌핵의 D1형 중형 가시 뉴런에서 ΔFosB가 과발현되면 중독으로 인한 대부분의 행동 및 신경 적응이 나타난다. 이는 ΔFosB 과발현과 중독 관련 행동 및 신경 적응이 항상 함께 발생하며 결코 단독으로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65][59] ΔFosB가 충분히 과발현되면 중독 상태가 더욱 심해진다.[59] 이는 알코올 중독, 카나비노이드, 코카인, 메틸페니데이트, 니코틴, 아편유사제, 펜사이클리딘, 프로포폴, 치환된 암페타민 등 다양한 중독과 관련이 있다.[65][59][60][61][62]

ΔJunD와 G9a라는 히스톤 메틸전이효소는 측좌핵에서 ΔFosB의 발현 증가를 억제한다.[65][63] 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해 측좌핵에서 ΔJunD를 충분히 과발현시키면 만성적인 약물 사용으로 인한 신경 및 행동 변화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65]

ΔFosB는 맛있는 음식, 성행위, 운동과 같은 자연적 보상에 대한 행동 반응 조절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65][60][64] 자연적 보상과 중독성 약물 모두 ΔFosB의 발현을 유도하므로, 이러한 보상을 만성적으로 얻으면 유사한 병리학적 중독 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65][60] ΔFosB는 암페타민 중독과 암페타민 유도 성 중독 모두에 관여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이는 과도한 성적 활동과 암페타민 사용으로 인한 강박적인 성적 행동이다.[60][66] 이러한 성 중독은 도파민 조절 이상 증후군과 관련이 있다.[60][64][66]

메스암페타민 중독은 많은 사람들에게 지속적으로 나타나며, 치료를 받은 사람의 61%가 1년 안에 재발한다.[67] 중독자의 약 절반은 10년 이상 사용을 지속하고, 나머지는 처음 사용 후 약 1년에서 4년 사이에 사용을 줄인다.[68]

메스암페타민 중독의 지속성은 뇌 특정 부위의 유전자 발현의 장기적인 변화가 중독 표현형에 기여함을 시사한다. 2014년에는 후성 유전 기전이 뇌에서 유전자 발현의 지속적인 변화를 유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63]

2015년 연구[69]에서는 설치류의 만성적인 메스암페타민 사용과 관련된 여러 연구를 요약했다. 배선조 등 뇌 보상 경로를 포함하여 복측 피개 영역, 측좌핵, 배쪽 선조체, 해마, 전전두피질에서 후성 유전적 변화가 관찰되었다. 만성 메스암페타민 사용은 유전자 특이적인 히스톤 아세틸화 및 탈아세틸화, 히스톤 메틸화를 유발했으며, 뇌 특정 부위에서 유전자 특이적 DNA 메틸화도 관찰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중독에 중요한 특정 유전자의 하향 조절 및 상향 조절을 유발했다. 예를 들어, 만성 메스암페타민 사용은 측좌핵(NAc)에서 ''c-fos'' 및 ''C-C 케모카인 수용체 2 (ccr2)'' 유전자의 프로모터에 위치한 히스톤 3의 4번 위치에 있는 라이신의 메틸화를 유발하여 해당 유전자를 활성화시켰다.[69] c-fos는 중독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70] ''ccr2'' 유전자 또한 중독에 중요한데, 이 유전자의 돌연변이 불활성화는 중독을 손상시키기 때문이다.[69]

메스암페타민 중독 쥐의 뇌 선조체 뉴런에서 히스톤 아세틸화 감소를 통한 후성 유전적 조절은 글루탐산 수용체의 전사 감소를 유발했다.[71] 글루탐산 수용체는 중독성 약물의 강화 효과를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72]

설치류에 메스암페타민을 투여하면 뇌, 특히 측좌핵 부위에서 DNA 손상이 발생한다.[73][74] 이러한 DNA 손상 복구 과정에서 DNA 메틸화, 히스톤 아세틸화, 히스톤 메틸화와 같은 염색질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75] 이러한 변화는 메스암페타민 중독에서 발견되는 지속적인 후성 유전적 변화에 기여하는 염색질의 후성 유전적 흉터일 수 있다.

정기적인 메스암페타민 사용은 내성을 유발하며, 오락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 내성은 빠르게 발달한다.[80][81] 의존적인 사용자의 경우, 금단 증상은 약물 내성 수준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다.[83] 메스암페타민 금단 증상으로 인한 우울증은 코카인 금단 증상보다 더 오래 지속되고 더 심각하다.[82]

메스암페타민을 오락 목적으로 사용하는 사용자의 약물 의존 및 금단에 관한 최신 코크란 리뷰에 따르면, 만성적인 과다 사용자가 사용을 갑자기 중단할 경우, 많은 사람들이 마지막 투여 후 24시간 이내에 일시적인 금단 증후군을 보고한다.[83] 만성적인 고용량 사용자의 금단 증상은 빈번하게 나타나며(최대 87.6%), 첫 주 동안 현저한 "급락" 단계와 함께 3~4주 동안 지속된다.[83] 금단 증상으로는 불안, 약물 갈망, 불쾌한 기분, 피로, 식욕 증가, 운동 증가 또는 운동 감소, 의욕 부족, 불면 또는 과다 졸음, 생생하거나 자각적인 꿈 등이 있다.[83]

어머니의 혈류에 있는 메스암페타민은 태반을 통과하여 태아에게 전달될 수 있으며, 모유로 분비될 수 있다.[82] 메스암페타민을 남용한 어머니에게서 태어난 영아는 비정상적인 수면 패턴, 수유 불량, 떨림 및 과긴장증을 포함하는 증상이 있는 신생아 금단 증후군을 경험할 수 있다.[82] 이 금단 증후군은 비교적 경미하며 약 4%의 경우에서만 의료적 개입이 필요하다.[82]

5. 3. 후생유전적 요인

메스암페타민 중독은 뇌 특정 부위의 유전자 발현에 장기적인 변화를 일으키는데, 이는 후생유전학적 메커니즘을 통해 조절될 수 있다.[63]

2015년 한 연구에서는 설치류를 대상으로 만성적인 메스암페타민 사용과 관련된 여러 연구를 검토했다.[69] 그 결과, 뇌 보상 경로 (복측 피개 영역, 측좌핵, 배쪽 선조체, 해마, 전전두피질)에서 후생유전학적 변화가 관찰되었다. 만성적인 메스암페타민 사용은 유전자 특이적인 히스톤 아세틸화 및 탈아세틸화, 히스톤 메틸화를 유발했으며, 뇌 특정 부위에서는 유전자 특이적 DNA 메틸화도 관찰되었다. 이러한 다양한 후생유전적 변화는 중독에 중요한 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향 또는 상향 조절)했다.[69]

예를 들어, 만성적인 메스암페타민 사용은 측좌핵에서 ''c-fos''와 ''C-C 케모카인 수용체 2 (ccr2)'' 유전자의 프로모터에 위치한 히스톤 3의 4번 위치에 있는 라이신의 메틸화를 유발하여 해당 유전자들을 활성화시켰다.[69] c-fos는 중독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70] ccr2 유전자 또한 중독에 중요한데, 이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중독을 억제하기 때문이다.[69]

메스암페타민에 중독된 쥐의 뇌 선조체 뉴런에서는 히스톤 아세틸화 감소를 통한 후생유전적 조절이 글루탐산 수용체의 전사를 감소시켰다.[71] 글루탐산 수용체는 중독성 약물의 강화 효과를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72]

설치류에게 메스암페타민을 투여하면 뇌, 특히 측좌핵 부위에서 DNA 손상이 발생한다.[73][74] 이러한 DNA 손상 복구 과정에서 DNA 메틸화, 히스톤 아세틸화 또는 히스톤 메틸화와 같은 지속적인 염색질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75] 이러한 변화는 메스암페타민 중독에서 나타나는 지속적인 후생유전적 변화에 기여하는 염색질의 후성 유전적 흉터일 수 있다.

5. 4. 신체적 부작용

메스암페타민의 신체적 부작용으로는 식욕 부진, 과잉 행동, 동공 확대, 피부 홍조, 발한 과다(땀을 많이 흘림), 구강 건조, 이갈이, 두통 등이 나타날 수 있다.[45] 또한 빠른 호흡, 고열, 설사, 변비, 흐린 시야, 현기증, 근육 연축(근육 경련), 무감각, 진전(떨림), 건조한 피부, 여드름, 창백한 모습 등의 증상도 나타날 수 있다.[45]

메스암페타민 사용자, 특히 과다 복용자에게서는 '메스 마우스'라고 불리는 심각한 치아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39] 미국 치과 협회에 따르면, 메스 마우스는 구강 건조증, 장기간의 불량한 구강 위생, 고칼로리 탄산 음료의 잦은 섭취, 그리고 이갈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39][40] 그러나 일각에서는 메스암페타민 관련 치아 부식이 사용자의 다른 생활 습관과 더 관련이 있으며, 이 부작용이 과장되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41]

5. 5. 정신적 부작용

메스암페타민의 심리적 효과로는 행복감, 불쾌감, 성욕 변화, 각성, 불안, 집중력 변화, 피로감 감소, 불면증 또는 과다 각성, 자신감, 사교성, 과민성, 안절부절못함, 과대망상 및 강박 행동 등이 나타날 수 있다.[45][46][47] 메스암페타민 및 관련 흥분제의 특이한 점은 목표 지향적이지 않은 반복적인 활동인 "펀딩"이다.[48] 메스암페타민 사용은 불안, 주요 우울 장애, 암페타민 정신병, 자살, 폭력적인 행동과도 높은 연관성을 보인다.[49][50]

6. 치료 및 관리

현재 메스암페타민 중독에 대한 효과적인 약물 치료법은 없다.[84] 인지 행동 치료, 동기 강화 치료, 12단계 촉진 치료 등 심리사회적 치료가 주로 사용된다. 우발성 관리와 지역사회 강화 접근방식을 모두 갖춘 결합 치료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84]

7. 합성

메스암페타민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합성할 수 있는데, 잘 알려진 방법은 슈도에페드린(Psuedoephedrine)이나 에페드린(Ephedrine)을 환원시키는 방법이다. 페닐-2-프로파논(Phenyl-2-Propanone)을 이용한 합성 방법도 있다.[160][161]

슈도에페드린과 에페드린은 서로 이성질체 관계이다. 에페드린은 키랄성을 가지기 때문에 합성 과정에 방해가 될 수 있다. 슈도에페드린의 반응성은 에페드린보다 조금 더 낮다.

라세미 메스암페타민은 페닐아세톤을 시작 물질로 하여 로이카트 반응[160] 또는 환원 아민화[161]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로이카트 반응에서 페닐아세톤 1당량은 ''N''-메틸폼아미드영어 2당량과 반응하여 메스암페타민의 포르밀 아미드와 이산화탄소, 부산물인 메틸아민을 생성한다.[161] 이 반응에서 중간체로 이민늄 양이온이 형성되며, 이는 ''N''-메틸폼아미드영어의 두 번째 당량에 의해 환원된다.[161] 중간체 포르밀 아미드는 산성 수성 조건에서 가수 분해되어 최종 생성물로 메스암페타민을 생성한다.[161] 또는 페닐아세톤은 환원 조건에서 메틸아민과 반응하여 메스암페타민을 생성할 수 있다.[161]

8. 별명, 속칭, 은어

한국에서는 1940년대 상표명인 필로폰 또는 그 일본어 발음인 히로뽕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그 의미가 확장되어 마약이나 중독성 물질 전반을 뽕으로 표현하기도 한다.[280]

메스암페타민의 별명, 속칭, 은어
국가/지역별명, 속칭, 은어
한국히로뽕, 필로폰, 뽕, 백색의 유혹, 백색가루
미국meth, ice (결정체), speed (가루 형태)
중국빙두
필리핀shabu
대만아미타민
일본샤부(シャブ)
기타뽕, 가루, 술, 크리스탈, 물건, 총[280]



최근 인터넷ㆍSNS를 이용한 불법거래가 증가하면서 ‘뽕’, ‘가루’, ‘술’, ‘크리스탈’, ‘물건’ 또는 ‘총’ 등의 은어로도 지칭된다.[280]

참조

[1] 백과사전 Methamphetamine https://web.archive.[...] 2022-04-22
[2] 웹사이트 RDC Nº 804 – Listas de Substâncias Entorpecentes, Psicotrópicas, Precursoras e Outras sob Controle Especial https://www.in.gov.b[...] 2023-07-24
[3] 웹사이트 Amphetamine, Methamphetamine, and Optical Isomers https://archives.fed[...] Bureau of Narcotics and Dangerous Drugs 1971-07-07
[4] 논문 The neuroprotective potential of low-dose methamphetamine in preclinical models of stroke and traumatic brain injury 2016-01
[5] 웹사이트 Methamphetamine: Toxicity https://pubchem.ncbi[...]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2015-01-04
[6] 논문 Mimicking gene defects to treat drug dependence 2000
[7] 논문 Methamphetamine: an update on epidemiology, pharmacology, clinical phenomenology, and treatment literature 2014-10
[8] 웹사이트 Methamphetamine: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https://pubchem.ncbi[...]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2015-01-04
[9] 웹사이트 Methamphetamine http://www.emcdda.eu[...] European Monitoring Centre for Drugs and Drug Addiction 2015-01-08
[10] 웹사이트 Methamphetamine: Identification http://www.drugbank.[...] University of Alberta 2013-02-08
[11] 웹사이트 Methedrine (methamphetamine hydrochloride): Uses, Symptoms, Signs and Addiction Treatment http://addictionlibr[...]
[12] 웹사이트 Polisi Tangkap Bandar Shabu-shabu https://news.detik.c[...]
[13] 웹사이트 P1-M shabu seized from 3 drug pushers https://mb.com.ph/20[...]
[14] 웹사이트 Jadi pengedar sabu seorang IRT di Pidoli Dolok ditangkap Polisi – ANTARA News Sumatera Utara https://sumut.antara[...]
[15] 웹사이트 E-bike driver nabbed in drug bust, shabu worth almost P1 million seized https://www.philstar[...]
[16] 웹사이트 Meth Slang Names http://www.methhelpo[...]
[17] 웹사이트 Methamphetamine and the law http://www.police.go[...]
[18] 웹사이트 Levomethamphetamine https://pubchem.ncbi[...]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19] 논문 Molecular, Behavioral, and Physiological Consequences of Methamphetamine Neurotoxicity: Implications for Treatment 2017-09
[20] 웹사이트 Code of Federal Regulations Title 21: Subchapter D – Drugs for human use, Part 341 – cold, cough, allergy, bronchodilator, and antiasthmatic drug products for over-the-counter human use https://www.accessda[...] 2015-04
[21] 웹사이트 Levomethamphetamine: Identification https://pubchem.ncbi[...]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22] 웹사이트 Meth's aphrodisiac effect adds to drug's allure http://www.nbcnews.c[...] Associated Press 2004-12-03
[23] 논문 Recent advances in methamphetamine neurotoxicity mechanisms and its molecular pathophysiology 2015-03
[24] 논문 Treatment of narcolepsy with methamphetamine
[25] 논문 Practice parameters for the treatment of narcolepsy and other hypersomnias of central origin
[26] 서적 Amphetamine Misuse: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Current Trends https://archive.org/[...] Harwood Academic Publishers 1997
[27] 웹사이트 Adderall- dextroamphetamine saccharate, amphetamine aspartate, dextroamphetamine sulfate, and amphetamine sulfate tablet https://dailymed.nlm[...] Teva Pharmaceuticals USA, Inc. 2024-05-29
[28] 웹사이트 Dextroamphetamine sulfate tablet https://dailymed.nlm[...] 2023-07-10
[29] 웹사이트 Desoxyn Gradumet Side Effects https://www.drugs.co[...] 2022-03-19
[30] 영상매체 San Francisco Meth Zombies https://web.archive.[...] National Geographic Channel 2013-08
[31] 서적 Goldfrank's toxicologic emergencies McGraw-Hill Medical 2011
[32] 논문 Drug harms in the UK: a multicriteria decision analysis 2010-11
[33] 논문 Methamphetamine Use and Cardiovascular Disease 2019-09
[34] 웹사이트 What are the long-term effects of methamphetamine misuse? https://www.drugabu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U.S. Department of Health & Human Services 2019-10
[35] 웹사이트 Meth Sores https://www.drugreha[...] Advanced Recovery Systems 2020-02-27
[36] 웹사이트 Meth Overdose Symptoms, Effects & Treatment | BlueCrest https://www.bluecres[...] 2020-10-08
[37] 웹사이트 Overdose Death Rates https://www.drugabus[...] 2020-10-08
[38] 웹사이트 Accelerated cellular aging caused by methamphetamine use limited in lab https://www.scienced[...] 2024-07-29
[39] 논문 Drug abuse identification and pain management in dental patients: a case study and literature review
[40] 웹사이트 Methamphetamine Use (Meth Mouth) https://web.archive.[...] American Dental Association 2006-12-15
[41] 논문 Is cognitive functioning impaired in methamphetamine users? A critical review 2012-02
[42] 논문 Longitudinal Modeling of Methamphetamine Use and Sexual Risk Behaviors in Gay and Bisexual Men
[43] 웹사이트 We Are Not OK http://www.villagevo[...] VillageVoice 2011-01-15
[44] 웹사이트 Methamphetamine Use and Health {{pipe}} UNSW: Th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 Faculty of Medicine https://web.archive.[...] 2011-01-15
[45] 웹사이트 Desoxyn- methamphetamine hydrochloride tablet https://dailymed.nlm[...] 2024-06-20
[46] 서적 Goodman & Gilman's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McGraw-Hill 2014-01-01
[47] 웹사이트 Amphetamines http://www.merckmanu[...] Merck 2012-05-08
[48] 논문 Neurologic manifestations of chronic methamphetamine abuse 2011
[49] 논문 Major physical and psychological harms of methamphetamine use 2008-05
[50] 뉴스 Missouri sword slay suspect smiles for mug shot after allegedly killing beau https://nypost.com/2[...] 2021-12-26
[51] 서적 Emerging Targets & Therapeutics in the Treatment of Psychostimulant Abuse Academic Press
[52] 서적 Neuroimmune Signaling in Drug Actions and Addictions Academic Press
[52] 논문 Figure 7.1: Neuroimmune mechanisms of methamphetamine-induced CNS toxicity 2014
[53] 논문 Toxicity of amphetamines: an update 2012-08
[54] 논문 Methamphetamine toxicity and messengers of death 2009-05
[55] 논문 Relationship between temperature, dopaminergic neurotoxicity, and plasma drug concentrations in methamphetamine-treated squirrel monkeys 2006-03
[56] 논문 Methamphetamine and HIV-1-induced neurotoxicity: role of trace amine associated receptor 1 cAMP signaling in astrocytes 2014-10
[56] 논문 Trace amine-associated receptor 1: A promising target for the treatment of psychostimulant addiction 2015-08
[57] 논문 Neural mechanisms of addiction: the role of reward-related learning and memory https://pdfs.semanti[...] 2006-07
[58] 서적 Molecular Neuropharmacology: A Foundation for Clinical Neuroscience McGraw-Hill Medical
[59] 논문 Molecular neurobiology of addiction: what's all the (Δ)FosB about? 2014-11
[60] 논문 Natural rewards, neuroplasticity, and non-drug addictions 2011-12
[61] 웹사이트 Alcoholism – Homo sapiens (human) http://www.genome.jp[...] 2014-10-29
[62] 논문 Methylphenidate-induced dendritic spine formation and DeltaFosB expression in nucleus accumbens 2009-02
[63] 논문 Epigenetic mechanisms of drug addiction 2014-01
[64] 논문 Sex, drugs, and rock 'n' roll: hypothesizing common mesolimbic activation as a function of reward gene polymorphisms 2012-03
[65] 논문 Transcriptional and epigenetic mechanisms of addiction 2011-11
[66] 논문 Natural and drug rewards act on common neural plasticity mechanisms with ΔFosB as a key mediator 2013-02
[67] 논문 Time to relapse following treatment for methamphetamine use: a long-term perspective on patterns and predictors 2014-06
[68] 논문 Patterns of treatment utilization and methamphetamine use during first 10 years after methamphetamine initiation 2013
[69] 논문 Epigenetic landscape of amphetamine and methamphetamine addiction in rodents 2015
[70] 논문 Using c-fos to study neuronal ensembles in corticostriatal circuitry of addiction 2015-12
[71] 논문 Methamphetamine downregulates striatal glutamate receptors via diverse epigenetic mechanisms 2014-07-01
[72] 논문 The ups and downs of addiction: role of metabotropic glutamate receptors 2004-05-01
[73] 논문 The peroxidative DNA damage and apoptosis in methamphetamine-treated rat brain 2008-08-01
[74] 논문 Methamphetamine induces DNA damage in specific regions of the female rat brain 2015-06-01
[75] 논문 Epigenome Maintenance in Response to DNA Damage 2016-06-01
[76] 논문 Comparative efficacy and acceptability of psychosocial interventions for individuals with cocaine and amphetamine addiction: A systematic review and network meta-analysis 2018-12-01
[77] 논문 Combination pharmacotherapies for stimulant use disorder: a review of clinical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2014-05-01
[78] 논문 Future pharmacological treatments for substance use disorders 2014-02-01
[79] 논문 Pharmacotherapy for methamphetamine/amphetamine use disorder-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9-12-01
[80] 웹사이트 Amphetamines: Drug Use and Abuse http://www.merckmanu[...] Merck 2013-09-26
[81] 논문 Efficacy of psychostimulant drugs for amphetamine abuse or dependence
[82] 논문 Methamphetamine abuse
[83] 논문 Treatment for amphetamine withdrawal
[84] 웹사이트 Babies born to meth-affected mothers seem well behaved, but their passive nature masks a serious problem https://www.abc.net.[...] 2020-01-03
[85] 논문 Prenatal methamphetamine exposure and childhood behavior problems at 3 and 5 years of age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2012-04-01
[86] 서적 Poisoning & Drug Overdose McGraw-Hill Medical
[87] 웹사이트 Amphetamine Poisoning http://emergency.unb[...] Unbound Medicine 2011-02-11
[88] 논문 Serotonin toxicity: a practical approach to diagnosis and treatment https://www.mja.com.[...] 2007-09-01
[89] 서적 Molecular Neuropharmacology: A Foundation for Clinical Neuroscience McGraw-Hill Medical
[90] 논문 Treatment for amphetamine psychosis
[91] 서적 A Handbook on Drug and Alcohol Abuse: The Biomedical Aspect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92] 논문 Potential adverse effects of amphetamine treatment on brain and behavior: a review 2009-02-01
[93] 논문 Drug Overdose Deaths in the United States, 2001–2021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 (U.S.) 2022-12-01
[94] 논문 Mechanism of death: there's more to it than sudden cardiac arrest 2018-05-01
[95] 논문 Increased rupture risk in small intracranial aneurysms associated with methamphetamine use 2021-02-01
[96] 논문 Recognition of Sympathetic Crashing Acute Pulmonary Edema (SCAPE) and use of high-dose nitroglycerin infusion 2018-08-01
[97] 논문 A Case report of hemodynamic instability, cardiac arrest, and acute severe dyspnea subsequent to inhalation of crystal methamphetamine https://publish.kne-[...] 2023-12-26
[98] 논문 Amphetamines as potential inducers of fatalities: a review in the district of Ghent from 1976-2004 2006-01-01
[99] 논문 Methamphetamine toxicity: treatment with a benzodiazepine versus a butyrophenone 1997-09-01
[100] 웹사이트 Methamphetamine Toxicity: Treatment & Management http://emedicine.med[...] WebMD
[101] 논문 Treatment of toxicity from amphetamines, related derivatives, and analogues: a systematic clinical review 2015-05-01
[102] 웹사이트 Methamphetamine: Enzymes http://www.drugbank.[...] University of Alberta 2013-02-08
[103] 논문 Behavioral, biological, and chemical perspectives on atypical agents targeting the dopamine transporter 2015-02-01
[104] 논문 Amphetamine-type central nervous system stimulants release norepinephrine more potently than they release dopamine and serotonin 2001-01-01
[105] 논문 Powerful cocaine-like actions of 3,4-methylenedioxypyrovalerone (MDPV), a principal constituent of psychoactive 'bath salts' products
[106] 논문 Synthesis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Rigid Analogues of Methamphetamines https://scholarworks[...] 2024-11-04
[107] 서적 Dopamine Transporters: Chemistry, Biology and Pharmacology https://books.google[...] Wiley 2008-07
[108] 논문 The designer methcathinone analogs, mephedrone and methylone, are substrates for monoamine transporters in brain tissue
[109] 논문 Monoamine transporters and psychostimulant drugs 2003-10
[110] 논문 Therapeutic potential of monoamine transporter substrates https://zenodo.org/r[...]
[111] 논문 The emerging role of trace amine-associated receptor 1 in the functional regulation of monoamine transporters and dopaminergic activity 2011-01
[112] 웹사이트 Methamphetamine: Targets http://www.drugbank.[...] University of Alberta 2014-01-04
[113] 논문 Trace amines: identification of a family of mammalian G protein-coupled receptors 2001-07
[114] 논문 A receptor mechanism for methamphetamine action in dopamine transporter regulation in brain 2009-07
[115] 웹사이트 TA1 receptor http://www.iuphar-db[...] International Union of Basic and Clinical Pharmacology 2014-12-02
[116] 논문 Amphetamine modulates excitatory neurotransmission through endocytosis of the glutamate transporter EAAT3 in dopamine neurons 2014-07
[117] 논문 Mechanisms of dopamine transporter regulation in normal and disease states 2013-09
[118] 논문 Electrophysiological effects of trace amines on mesencephalic dopaminergic neurons 2011-07
[119] 웹사이트 TAAR1 http://genatlas.mede[...] University of Paris 2014-05-29
[120] 논문 TAAR1 activation modulates monoaminergic neurotransmission, preventing hyperdopaminergic and hypoglutamatergic activity 2011-05
[121] 논문 VMAT2: a dynamic regulator of brain monoaminergic neuronal function interacting with drugs of abuse 2011-01
[122] 웹사이트 Methamphetamine: Transporters http://www.drugbank.[...] University of Alberta 2014-01-04
[123] 논문 [The role of glial monoamine transporter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2003-08
[124] 논문 Role of sigma receptors in methamphetamine-induced neurotoxicity 2011-03
[125] 논문 Could sigma receptor ligands be a treatment for methamphetamine addiction? 2010-09
[126] 논문 l-methamphetamine pharmacokinetics and pharmacodynamics for assessment of in vivo deprenyl-derived l-methamphetamine 1999-02
[127] 논문 Hippocampus norepinephrine, caudate dopamine and serotonin, and behavioral responses to the stereoisomers of amphetamine and methamphetamine 1995-02
[128] 논문 Human pharmacology of the methamphetamine stereoisomers 2006-10
[129] 논문 Function of complement factor H and imaging of small molecules by MALDI-MSI in a methamphetamine behavioral sensitization model 2019-05
[130] 논문 The clinical toxicology of metamfetamine 2010-08
[131] 논문 A review of the clinical pharmacology of methamphetamine 2009-07
[132] 웹사이트 Adderall XR Prescribing Information http://www.accessdat[...] Shire US Inc 2013-12-30
[133] 논문 Mammalian flavin-containing monooxygenases: structure/function, genetic polymorphisms and role in drug metabolism 2005-06
[133] 논문 Table 5: N-containing drugs and xenobiotics oxygenated by FMO https://www.ncbi.nlm[...] 2005
[134] 논문 N-oxygenation of amphetamine and methamphetamine by the human flavin-containing monooxygenase (form 3): role in bioactivation and detoxication 1999-03
[135] 논문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amphetamine and one of its metabolites by HPLC with electrochemical detection 2002-09
[136] 서적 Foye's principles of medicinal chemistry Wolters Kluwer Health/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7-10-05
[137] 논문 Dopamine-beta-hydroxylase. Stereochemical course of the reaction http://www.jbc.org/c[...] 2014-11-06
[138] 논문 Dopamine-beta-oxidase activity in man, using hydroxyamphetamine as substrate 1963-04
[139] 웹사이트 butyrate-CoA ligase: Substrate/Product http://www.brenda-en[...] Technische Universität Braunschweig. 2017-10-05
[140] 웹사이트 glycine N-acyltransferase: Substrate/Product http://www.brenda-en[...] Technische Universität Braunschweig. 2017-10-05
[141] 웹사이트 Methamphetamine: Pharmacology https://www.drugbank[...] University of Alberta 2017-10-02
[142] 웹사이트 p-Hydroxyamphetamine: Compound Summary https://pubchem.ncbi[...]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2017-09-04
[143] 웹사이트 p-Hydroxynorephedrine: Compound Summary https://pubchem.ncbi[...]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2017-09-04
[144] 웹사이트 Phenylpropanolamine: Compound Summary https://pubchem.ncbi[...]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2017-09-04
[145] 웹사이트 Amphetamine https://pubchem.ncbi[...]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2013-10-12
[146] 논문 Developing a metagenomic view of xenobiotic metabolism 2013-03-01
[146] 논문 Table 2: Xenobiotics metabolized by the human gut microbiota https://www.ncbi.nlm[...] 2013-03-01
[147] 논문 The demethylation of methamphetamine by intestinal microflora 1973-05-01
[148] 논문 Nutritional supplements and ergogenic AIDS 2013-06-01
[149] 논문 Determination of amphetamine, methamphetamine and amphetamine-derived designer drugs or medicaments in blood and urine 1998-08-01
[150] 논문 Bioanalytical procedures for determination of drugs of abuse in blood 2007-08-01
[151] 논문 Confirmatory tests for drugs in the workplace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1994-07-01
[152] 논문 Enantiomeric separation and quantitation of (+/-)-amphetamine, (+/-)-methamphetamine, (+/-)-MDA, (+/-)-MDMA, and (+/-)-MDEA in urine specimens by GC-EI-MS after derivatization with (R)-(−)- or (S)-(+)-alpha-methoxy-alpha-(trifluoromethy)phenylacetyl chloride (MTPA) 2004-09-01
[153] 논문 Clinical pharmacokinetics of amfetamine and related substances: monitoring in conventional and non-conventional matrices
[154] 서적 Disposition of toxic drugs and chemicals in man Biomedical Publications
[155] 논문 Zinc reduces the detection of cocaine, methamphetamine, and THC by ELISA urine testing 2011-07-01
[156] 논문 Redetermination of (+)-methamphetamine hydro-chloride at 90 K 2008-04-01
[157] 웹사이트 Chemical Interaction of Bleach and Methamphetamine: A Study of Degradation and Transformation Effects http://gradworks.umi[...]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2014-10-17
[158] 논문 Biotic and abiotic degradation of illicit drugs, their precursor, and by-products in soil 2011-10-01
[159] 논문 Stereoselective biodegradation of amphetamine and methamphetamine in river microcosms 2013-10-01
[160] 논문 Studies on the Leuckart reaction 1944-11-01
[161] 논문 Characterization of route specific impurities found in methamphetamine synthesized by the Leuckart and reductive amination methods 2009-09-01
[162] 웹사이트 Overdose Death Rates https://www.drugabus[...]
[163] 뉴스 US overdose deaths from fentanyl and synthetic opioids doubled in 2016 https://www.theguard[...] 2017-09-03
[164] 서적 Alcohol and Drug Misuse: A Handbook for Students and Health Professionals Routledge
[165] 웹사이트 Historical overview of methamphetamine http://healthvermont[...] Government of Vermont 2012-01-29
[166] 논문 The pH Levels of Different Methamphetamine Drug Samples on the Street Market in Cape Town
[167] 웹사이트 Historical overview of methamphetamine http://healthvermont[...] Vermont Department of Health 2012-01-15
[168] 웹사이트 Pervitin http://www.chemie.de[...] CHEMIE.DE Information Service GmbH 2015-09-16
[169] 서적 Pharmacology and Abuse of Cocaine, Amphetamines, Ecstasy and Related Designer Drugs Springer
[170] 뉴스 The Nazi Death Machine: Hitler's Drugged Soldiers http://www.spiegel.d[...] Der Spiegel, 6 May 2005 2005-05-06
[171] 논문 Methamphetamine for Hitler's Germany: 1937 to 1945 2011-04-01
[172] 서적 Shooting Up: A Short History of Drugs and War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73] 서적 On Speed: The Many Lives of Amphetamine New York University Press 2008-03-01
[174] 웹사이트 Controlled Substances Act https://www.fda.gov/[...] 2009-06-11
[175] 웹사이트 Desoxyn http://www.lundbeck.[...] Lundbeck: Desoxyn 2012-12-15
[176] 웹사이트 Recordati: Desoxyn http://www.recordati[...] Recordati SP 2013-05-15
[177] 웹사이트 Transnational Organized Crime in Southeast Asia: Evolution, Growth and Challenges https://www.unodc.or[...] 2019-06-01
[178] 웹사이트 The Man Accused of Running the Biggest Drug Trafficking Syndicate in Asia's History has Been Revealed: Here's What Needs To Happen Next https://edition.cnn.[...] CNN 2019-10-24
[179] 뉴스 Drugs investigators close in on Asian 'El Chapo' at centre of vast meth ring https://www.telegrap[...] 2019-10-14
[180] 웹사이트 Inside the hunt for the man known as 'Asia's El Chapo' https://nypost.com/2[...] 2019-10-14
[181] 웹사이트 Notorious drug kingpin executed for trafficking https://www.scmp.com[...] 2009-09-16
[182] 서적 Preventing Amphetamine-type Stimulant Use Among Young People: A Policy and Programming Guide http://www.unodc.org[...] United Nations
[183] 웹사이트 List of psychotropic substances under international control http://www.incb.org/[...] United Nations 2003-08-01
[184] 논문 Treatment with low-dose methamphetamine improves behavioral and cognitive function after severe traumatic brain injury 2012-08-01
[185] 논문 The impact of substance abuse on mortality in patients with severe traumatic brain injury 2008-09-01
[186] 논문 Calcitriol protects against the dopamine- and serotonin-depleting effects of neurotoxic doses of methamphetamine 2006-08-01
[187] 논문 L-Ascorbate Protects Against Methamphetamine-Induced Neurotoxicity of Cortical Cells via Inhibiting Oxidative Stress, Autophagy, and Apoptosis 2017-01-01
[188] 논문 The effects of vitamin B12 on the brain damages caused by methamphetamine in mice 2018-04-01
[189] 논문 Protective effects of vitamin C and E on amygdala of methamphetamine-induced brain disorder on adult male Wistar rats https://wjpr.s3.ap-s[...] 2024-05-01
[190] 웹사이트 Hazardous Substances Data Bank
[191] 웹사이트 ヒロポン/ヒロポン錠 https://web.archive.[...] 医薬品医療機器総合機構
[192] 서적 最新基礎薬理学[第3版] 廣川書店
[193] 논문 世界における覚せい剤の乱用の現状と問題点 https://doi.org/10.1[...] 1990-01-01
[194] 웹사이트 009:覚せい剤を開発したのは日本人? https://www.health.n[...] シミックソリューションズ 2015-01-05
[195] 논문 A review of drug abuse and counter measures in Japan since World War II https://www.unodc.or[...] 1968-01-01
[196] 뉴스 興奮剤の乱造に厳罰 1951-02-01
[197] 서적 覚醒剤大百科 データハウス 2010-01-01
[198] 서적 薬物依存とアディクション精神医学 金剛出版 2012-01-01
[199] 논문 A Practical Guide to the Therapy of Narcolepsy and Hypersomnia Syndromes 2012-01-01
[200] 논문 Protective effects of minocycline on the reduction of dopamine transporters in the striatum after administration of methamphetamine: a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study in conscious monkeys. http://www.biologica[...] 2007-03-01
[201] 논문 2015-01-01
[202] 논문 Illicit psychoactive substance use, heavy use, abuse, and dependence in a US population-based sample of male twins 2000-01-01
[203] 보고서 研究課題名:「依存症のメカニズム解明」 クロス・アディクションの病態生理を担う 脳内ミクログリア活性化機構の解明 https://www.pref.wak[...] 和歌山県
[204] 뉴스 覚せい剤による障害改善 抗生剤ミノサイクリンで http://www.47news.jp[...] 2010-12-14
[205] 보고서 抗微生物薬適正使用の手引き 第一版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17-06-01
[206] 문서 かつてはアンプル(注射液)もあったが現在は廃止されている。
[207] 서적 大日本製薬六十年史 https://dl.ndl.go.jp[...] 大日本製薬六十年史編纂委員会 2023-08-17
[208] 뉴스 Benzedrine Sulfate https://www.addictio[...] 2022-08-24
[209] 뉴스 「ヒトラーは薬物中毒だった」ドイツ人作家が描く新たなナチス像 https://nordot.app/5[...] 2019-06-05
[210] 논문 医学的知識の構成について:「覚せい剤研究」の転換 https://hdl.handle.n[...] 熊本大学
[211] 논문 医学的知識の構成について:「覚せい剤研究」の転換 https://hdl.handle.n[...] 熊本大学
[212] 논문 医学的知識の構成について:「覚せい剤研究」の転換 https://hdl.handle.n[...] 熊本大学
[213] 논문 医学的知識の構成について:「覚せい剤研究」の転換 https://hdl.handle.n[...] 熊本大学
[214] 뉴스 High Hitler: how Nazi drug abuse steered the course of history https://www.spiegel.[...] 2016-10-15
[215] 뉴스 The Nazi Death Machine Hitler's Drugged Soldiers https://www.spiegel.[...] 2005-06-05
[216] 간행물 Methamphetamine A European Union perspective in the global context European Monitoring Centre for Drugs and Drug Addiction 2009
[217] 웹사이트 The Hidden Risk Faced By German Pilots During WWII https://worldwarwing[...]
[218] 뉴스 High Hitler: how Nazi drug abuse steered the course of history https://www.spiegel.[...] 2016-10-15
[219] 뉴스 Nazi-Arzt im falschen Grab https://www.spiegel.[...] 2008-05-31
[220] 뉴스 Hitler's Nazi Troops Took Crystal Meth To Stay Awake, Heinrich Böll's Letters Reveal https://www.huffingt[...] 2013-06-03
[221] 뉴스 High Hitler: how Nazi drug abuse steered the course of history https://www.spiegel.[...] 2016-10-15
[222] 문서 第7回衆議院厚生委員会第11号 1950-03-09
[223] 서적 重い飛行機雲 太平洋戦争日本空軍秘話 文春文庫
[224] 문서 第7回参議院予算委員会議事録10号 1949-11-30
[225] 뉴스 これだけあった〝特攻隊員に覚醒剤〟外道の証拠 「チョコ包むの見た」証言から元教員が追跡 https://nordot.app/7[...] 2021-08-15
[226] 웹사이트 「医学史から見た戦争と軍隊」吉田 裕(一橋大学教授) https://jinkotsu731.[...] 軍医学校跡地で発見された人骨問題を究明する会 2007-07-22
[227] 웹사이트 暴力団ミニ講座 https://www.web-sani[...] 松江地区建設業暴力追放対策協議会
[228] 논문 戦後直後の覚せい剤蔓延から覚せい剤取締法制定に至る政策形成過程の実証研究 https://hdl.handle.n[...] 明治大学社会科学研究所 2018-10-31
[229] 웹사이트 驚異のカフェイン量!噂の眠気覚ましチョコ「ショカコーラ」ってなんだ? https://macaro-ni.jp[...] 2020-04-08
[230] 뉴스 これだけあった〝特攻隊員に覚醒剤〟外道の証拠 「チョコ包むの見た」証言から元教員が追跡 https://www.47news.j[...] 2021-08-15
[231] 서적 島原落穂
[232] 서적
[233] 뉴스 元特攻隊員の証言 https://www.jiji.com[...] 2015-07-10
[234] 서적
[235] 서적 第四章 戦時下の川端康成――自己変革の時代(一)第五節 鹿屋特攻基地
[236] 서적 敗戦のころ
[237] 서적
[238] 서적
[239] 서적
[240] 문서 航空元気酒ラベル
[241] 서적
[242] 웹사이트 SCAPIN-389: CUSTODY AND DISTRIBUTION OF JAPANESE MILITARY MEDICINAL NARCOTIC STOCKS 1945/12/04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243] 논문 ヒロポン禍 戦後作家の生態 世界評論社
[244] 웹사이트 SCAPIN-389: CUSTODY AND DISTRIBUTION OF JAPANESE MILITARY MEDICINAL NARCOTIC STOCKS 1945/12/04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245] 웹사이트 昔は薬局で覚醒剤が買えた? 『サザエさん』でヒロポンを飲んだのは誰だ https://news.infosee[...] 楽天インフォシーク
[246] 간행물 参議院会議録情報 第101回国会 社会労働委員会 第11号 https://kokkai.ndl.g[...]
[247] 뉴스 芸人ヤク中暴露…立川談志、覚せい剤逮捕を見抜いていた!? https://www.zakzak.c[...] 2022-08-26
[248] 웹사이트 『ポン中(ぽんちゅう)』の意味 http://zokugo-dict.c[...] 2022-08-24
[249] 간행물 参議院会議録情報 第6回国会 本会議 第19号 https://kokkai.ndl.g[...] 1949-11-25
[250] 뉴스 戦争が生んだ「浮浪児」は3万5000人 当事者が語る路上生活 https://www.dailyshi[...] 2022-08-26
[251] 간행물 参議院会議録情報 第6回国会 予算委員会 第10号 https://kokkai.ndl.g[...] 1949-11-30
[252] 웹사이트 薬物乱用防止に関する情報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23-10-21
[253] 서적 日本災害史事典 1868-2009 日外アソシエーツ 2010-09-27
[254] 서적 現代世相風俗史年表:1945-2008 河出書房新社 2009-03
[255] 서적 日本災害史事典 1868-2009 日外アソシエーツ 2010-09-27
[256] 뉴스 ヒロポン錠の基本情報 https://medical.nikk[...] 2023-10-21
[257]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ww.historyh[...] 2019-04-04
[258]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ww.historyh[...] 2019-04-04
[259]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ww.historyh[...] 2019-04-04
[260] 서적 Amphetamine legislation 1971: Hearings, Ninety-second Congress, first session, pursuant to S. Res. 32, section 12, investigation of juvenile delinquency in the United States https://web.archive.[...] U.S. Govt. Print. Off. 1972-01-01
[261] 저널 The neuroprotective potential of low-dose methamphetamine in preclinical models of stroke and traumatic brain injury
[262] 백과사전 Methamphetamin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263] 저널 Mimicking gene defects to treat drug dependence 2000
[264] 웹사이트 Adderall XR Prescribing Information http://www.accessdat[...] Shire US Inc 2013-12
[265] 저널 Mammalian flavin-containing monooxygenases: structure/function, genetic polymorphisms and role in drug metabolism 2005-06
[266] 저널 N-oxygenation of amphetamine and methamphetamine by the human flavin-containing monooxygenase (form 3): role in bioactivation and detoxication 1999-03
[267] 저널 The clinical toxicology of metamfetamine 2010-08
[268] 서적 Manual of forensic emergency medicine : a guide for clinicians https://books.google[...]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2010
[269] 백과사전 Methamphetamin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270] 백과사전 Methmphetamine
[271] 웹인용 医療用医薬品 : ヒロポン (商品詳細情報) https://www.kegg.jp/[...] 2021-06-12
[272] 서적 마약류 범죄백서 2020 https://spo.go.kr/si[...] 대검찰청
[273] 뉴스 日, 北 화물선 '히로뽕 밀수 의혹' 강제수색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06-05-13
[274] 뉴스 국민건강 좀먹는 대용마약 환각제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68-04-23
[275] 뉴스 히로뽕 만들어 일본에 밀수출 마약성 각성제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68-04-18
[276] 웹인용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s://law.go.kr/ls[...] 2021-06-12
[277] 웹인용 Details about INN Request 1879 https://extranet.who[...] 2021-06-12
[278] 웹인용 INN Recommended List 26 https://www.who.int/[...] 2021-06-11
[279] 웹인용 안내서/지침 목록 {{!}} 식품의약품안전처 https://www.mfds.go.[...] 2021-06-11
[280] 서적 마약류 범죄백서 2020 https://spo.go.kr/si[...] 대검찰청 2021-06-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