힌리히 리히텐슈타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힌리히 리히텐슈타인은 1780년 함부르크에서 태어나 예나 대학교와 헬름슈테트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하고 의사 자격을 취득했다. 그는 남아프리카 지역을 여행하며 희망봉 주지사의 개인 주치의를 지냈고, 베를린 대학교 동물학 교수와 베를린 자연사 박물관 관장을 역임했다. 리히텐슈타인은 베를린 동물원 설립에 기여했으며, 저서로 '남아프리카 여행' 등이 있다. 그는 다양한 동식물 종을 기재했으며, 여러 분류군에 그의 이름이 붙여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세기 독일 동물학자 - 페터 지몬 팔라스
페터 지몬 팔라스는 18세기 독일의 박물학자, 동물학자, 식물학자, 지리학자이자 탐험가로서 러시아 제국에서 자연사 표본을 수집하고 연구했으며, 그의 업적은 운석 연구와 동식물 명명에 기여했다. - 19세기 독일 동물학자 - 마르틴 하인리히 라트케
마르틴 하인리히 라트케는 독일의 해부학자이자 발생학자로, 조류와 포유류 배아 연구, 해양 동물 연구에 기여했으며, 여러 대학교에서 교수를 역임하고 해부학 연구소 설립과 의학 교육 개혁에 힘썼으며 대학 총장과 학회 회원으로 활동하며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 - 독일의 분류학자 - 게오르크 포르스터
게오르크 포르스터는 독일의 박물학자, 민족학자, 여행 작가, 언론인이자 혁명가로서 제임스 쿡의 두 번째 항해에 동행하여 《세계 일주 항해기》를 저술, 근대 여행 문학의 창시자로 평가받았으며 마인츠 공화국 수립에 참여했지만 제국 추방령으로 파리에서 생을 마감했다. - 독일의 분류학자 - 요하네스 페터 뮐러
요하네스 페터 뮐러는 19세기 독일의 생리학자, 해부학자, 동물학자로서 본 대학교와 베를린 대학교에서 교수를 역임하며 감각 생리학 분야에서 특수 감각 에너지 법칙을 정립하고 《인간 생리학 핸드북》을 저술하여 19세기 생리학 분야에 혁명적인 공헌을 했다. - 독일의 조류학자 - 에른스트 마이어
에른스트 마이어는 20세기 후반의 저명한 진화생물학자이자 조류학자로, 생물학적 종 개념을 명확히 제시하고 진화생물학의 환원주의를 거부하며 진화론적 종합에 크게 기여했고, 100세 넘는 나이까지 활발한 연구활동을 하며 다수의 상을 수상하고 그의 업적은 다양한 생물 종의 학명에 그의 이름이 사용되는 것으로 기념되고 있다. - 독일의 조류학자 - 게오르크 포르스터
게오르크 포르스터는 독일의 박물학자, 민족학자, 여행 작가, 언론인이자 혁명가로서 제임스 쿡의 두 번째 항해에 동행하여 《세계 일주 항해기》를 저술, 근대 여행 문학의 창시자로 평가받았으며 마인츠 공화국 수립에 참여했지만 제국 추방령으로 파리에서 생을 마감했다.
힌리히 리히텐슈타인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힌리히 리히텐슈타인 |
출생 | 1780년 1월 10일 |
사망 | 1857년 9월 2일 |
직업 | |
직업 | 의사 탐험가 식물학자 동물학자 |
2. 생애
힌리히 리히텐슈타인은 함부르크에서 요한눔의 수장이자, 동양 언어에 관심이 많아 광범위한 도서관을 세운 안톤 아우구스트 하인리히 리히텐슈타인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어려서부터 자연사와 지리학에 관심을 가졌고, 1797년 요한 센투리우스 폰 호프만세크 백작과 접촉하여 백작의 광범위한 곤충과 새 수집품을 조사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예나 대학교와 헬름슈테트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하고 1802년 4월 26일에 의사 자격을 취득했다. 이후 남아프리카 전역을 광범위하게 여행하며 희망봉 총독의 개인 주치의가 되었고, 1811년 ''남아프리카 여행: 1803, 1804, 1805 및 1806년''을 출판했다. 같은 해 베를린 대학교의 동물학 교수로 임명되었고, 1813년 베를린 자연사 박물관의 관장으로 임명되었다.
카를 마리아 폰 베버의 절친한 친구였으며, 1826년 베버 사후 그의 유작 오베론의 악보 판매를 주선하고, 유족들을 도왔다. 1829년에는 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의 외국인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베를린의 추밀 고문관으로 임명되었다.
코르쇠르에서 킬로 가는 증기선을 타고 항해하던 중 뇌졸중으로 사망했다.[6]
2. 1. 초기 생애와 교육
함부르크에서 태어난 리히텐슈타인은 요한눔의 수장이자, 동양 언어에 관심이 많아 광범위한 도서관을 세운 안톤 아우구스트 하인리히 리히텐슈타인의 아들이었다. 그는 어려서부터 자연사와 지리학에 관심을 가졌고, 1797년 요한 센투리우스 폰 호프만세크 백작과 접촉하여 백작의 광범위한 곤충과 새 수집품을 조사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그 후 예나 대학교와 헬름슈테트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하고 1802년 4월 26일에 의사 자격을 취득했다. 그는 여행을 선택했고, 얀 빌렘 얀센스 케이프 총독이 아들을 위한 독일어 가정교사를 구하면서 직업을 찾았다. 리히텐슈타인은 페터 콜베, 안데르스 스파르만, 칼 페터 툰베르크, 프랑수아 르바얀, 존 바로 경과 같은 여행가들의 기록을 읽으며 준비했다. 그는 또한 아프리카 지역의 동식물에 대한 지식의 격차와 표본 수집 방법에 대한 개요를 제공한 수집가 요한 크리스티안 루드비히 헬비히와 요한 카를 빌헬름 일리거를 만났다. 그는 1802년 12월 23일 케이프타운에 도착했다.[1]
2. 2. 남아프리카 탐험 (1802-1806)
얀 빌렘 얀센스 케이프 총독이 아들을 위한 독일어 가정교사를 구하면서, 리히텐슈타인은 여행을 선택하고 직업을 찾았다. 그는 페터 콜베, 안데르스 스파르만, 칼 페터 툰베르크, 프랑수아 르바얀, 존 바로 경과 같은 여행가들의 기록을 읽으며 준비했다. 그는 또한 아프리카 지역의 동식물에 대한 지식의 격차와 표본 수집 방법에 대한 개요를 제공한 수집가 요한 크리스티안 루드비히 헬비히와 요한 카를 빌헬름 일리거를 만났다.[1]1802년 12월 23일 케이프타운에 도착한 그는 그 시점부터 남아프리카 전역을 광범위하게 여행하며 희망봉 총독의 개인 주치의가 되었다. 1811년 그는 ''남아프리카 여행: 1803, 1804, 1805 및 1806년''을 출판했다.[1]
2. 3. 베를린 대학교 교수 및 동물 박물관장 (1811-1857)
1811년 힌리히 리히텐슈타인은 《남아프리카 여행》(Reisen im südlichen Afrika in den Jahren 1803, 1804, 1805, 1806)을 출판했다.[1] 그 결과, 그는 같은 해 베를린 대학교의 동물학 교수로 임명되었고, 1813년에는 베를린 자연사 박물관 관장으로 임명되었다.[1] 그가 수집한 아프리카 식물은 독일에서 카를 루트비히 빌데노우에 의해 조사되었다.[1] 그는 1819년 베를린 박물관에 전시할 표본을 구입하기 위해 런던을 여행했다.[2]2. 4. 베를린 동물원 설립 기여
1841년, 리히텐슈타인은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 국왕을 설득하여 자신의 꿩 사육장을 기증받아 베를린에 동물원을 설립하는 데 기여했다.[7]2. 5. 사망
1829년 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의 외국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또한 베를린의 추밀원 의원이었다. 코르쇠르에서 킬로 가는 증기선을 타다가 바다에서 뇌졸중으로 사망했다.[6]3. 학문적 업적
리히텐슈타인은 1841년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 국왕을 설득하여 자신의 꿩 사육장을 기증받아 베를린 동물원 설립에 기여했다. 1844년에는 요한 라인홀트 포르스터의 원고인 ''동물 묘사''를 출판했다.
리히텐슈타인은 파충류학 분야에서 많은 새로운 양서류[7] 및 파충류 종을 기재했다.[8]
3. 1. 주요 저서
- Reisen im südlichen Afrika. 1803–1806|남아프리카 여행. 1803–1806de (Wahrhold Drascher 서문, 1811. 2권(재인쇄: Brockhaus Antiquarium, Stuttgart 1967).)
- Nachrichten von Teneriffa. Ein Fragment aus dem Tagebuche des Hrn. Dr. Lichtenstein auf der Reise von Amsterdam nach dem Vorgebirge der guten Hofnung 1802|테네리페에 관한 소식. 1802년 암스테르담에서 희망봉으로 가는 여정에서 리히텐슈타인 박사의 일기에서 발췌한 내용de (Industrie-Comptoirs, Weimar 1806)
- Über die Beetjuanas. Als Nachtrag und Berichtigung zu Barrows Auszug aus Trüters Tagebuch einer Reise zu den Buschwanas. Vom Hrn. Dr. Hinrich Lichtenstein|베트주아나족에 관하여. 부시와나족으로의 여행 일기에서 발췌한 바로우의 요약에 대한 부록 및 수정 사항. 힌리히 리히텐슈타인 박사de (Industrie-Comptoirs, Weimar 1807)
- Darstellung neuer oder wenig bekannter Säugethiere in Abbildungen und Beschreibungen von 65 Arten auf 50 colorirten Steindrucktafeln|베를린 대학교 동물 박물관의 원본을 바탕으로 한 65종의 그림과 설명으로 된 새로운 또는 잘 알려지지 않은 포유류의 묘사, 50개의 채색 석판화de (Lüderitz, Berlin 1827/34)
- Zur Geschichte der Sing-Akademie in Berlin. Nebst einer Nachricht über das Fest am funfzigsten Jahrestage Ihrer Stiftung und einem alphabetischen Verzeichniss aller Personen, die ihr als Mitglieder angehört haben|베를린 싱 아카데미의 역사. 창립 50주년 기념일의 축제에 대한 소식과 회원으로 참여한 모든 사람의 알파벳 순 목록 포함.de (Verlag Trautwein, Berlin 1843)
- ''Reisen im südlichen Afrika in den Jahren 1803, 1804, 1805 und 1806''은 앤 플럼프트리에 의해 영어로 번역되어 1812년에 "Travels in Southern Africa in the years 1803, 1804, 1805 and 1806"으로 출판되었다.[13]
3. 2. 리히텐슈타인의 이름을 딴 분류군
호주왕앵무(''Alisterus scapularis''), 관머리사막꿩(''Pterocles coronatus''), 케이프밤뱀(''Causus rhombeatus'') 등이 리히텐슈타인이 명명한 종이다.[7][8]1826년, 식물학자 샤미소와 슐레히텐달은 남아프리카 원산의 꽃피는 식물 속을 그의 이름을 기려 미나리과에 속하는 ''Lichtensteinia''로 발표했다.[9] 카를 빌데노우도 속명 ''Lichtensteinia''를 명명했지만, 이는 거부된 이름이다.[10]
1856년 요한 야콥 카우프는 해마의 일종인 ''Hippocampus lichtensteinii''를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했다.[11]
1859년 이탈리아의 파충류학자 조르지오 얀은 숲밤뱀(''Causus lichtensteinii'')을 힌리히 리히텐슈타인의 이름을 기려 명명했으며,[12] 네덜란드의 동물학자 코엔라트 야코프 테밍크는 리히텐슈타인사막꿩( ''Pterocles lichtensteinii'')을 명명했다.
참조
[1]
서적
Science, Africa and Europe. Processing Information and Creating Knowledge
Routledge
[2]
간행물
Martin Hinrich Carl Lichtenstein and his ornithological purchases at the auction of William Bullock's museum in 1819
https://www.euppubli[...]
2008
[3]
웹사이트
Brief von Caroline von Weber an Hinrich Lichtenstein vom 21. Juni 1826
https://weber-gesamt[...]
[4]
웹사이트
Hofrath Karl Theodor Winkler zum Vormunde verordnet
https://weber-gesamt[...]
[5]
서적
Alexander von Humboldt: A Concise Biography
Princeton University Press
[6]
문서
Naumannia: Archiv für die Ornithologie Vorzugsweise Europa's : Organ der Deutsche Ornithologen-Gesellschaft
https://www.biodiver[...]
[7]
문서
Lichtenstein
Amphibian Species of the World 5.5. research.amnh.org/vz/herpetology.amphibia
[8]
문서
Lichtenstein
The Reptile Database. www.reptile-database.org
[9]
웹사이트
"Lichtensteinia Cham. & Schltdl. {{!}} Plants of the World Online {{!}} Kew Science"
https://powo.science[...]
2021-05-16
[10]
간행물
Loranthus oleaefolius
https://www.jstor.or[...]
1914
[11]
웹사이트
Order SYNGNATHIFORMES: Families AULOSTOMIDAE, CENTRISCIDAE, FISTULARIIDAE, SOLENOSTOMIDAE and SYNGNATHIDAE
http://www.etyfish.o[...]
Christopher Scharpf and Kenneth J. Lazara
2018-09-22
[12]
서적
The Eponym Dictionary of Reptile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3]
문서
IDREF.fr
http://www.idref.fr/[...]
[14]
문서
Reisen im südlichen Afrika in den Jahren 1803, 1804, 1805 und 1806
http://www.worldcat.[...]
OCLC WorldCat
[15]
문서
Amphibian Species of the World 5.5
research.amnh.org/vz/herpetology.amphibia
[16]
문서
The Eponym Dictionary of Reptile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