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 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힐 권(Hill sphere)은 두 천체 문제에서 더 무거운 천체의 중력적 지배 범위를 나타내는 근사적인 한계이다. 힐 권은 덜 무거운 천체가 주 천체를 공전할 때, 그 궤도를 유지할 수 있는 최대 거리를 의미하며, 궤도 이심률과 두 천체의 질량 및 거리에 따라 달라진다. 힐 권은 궤도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며, 태양계 내 행성들의 궤도 안정성 분석에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석 - 조석 가속
조석 가속은 지구와 달의 중력 상호작용으로 달이 지구에서 멀어지고 지구 자전 속도가 느려지는 현상으로, 지구 자전 에너지가 달 궤도 에너지로 전환되어 달의 공전 궤도를 확장시키고 지구의 자전 주기를 늘린다. - 조석 - 게류
게류 또는 정조는 조류 흐름이 약해지는 시기로, 다이버의 안전과 선박의 안전 항해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조류는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고 특정 지역에서는 특이한 정조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 궤도 - 궤도면
궤도면은 인공위성과 발사체의 궤도를 결정하는 중요 요소로, 지구 중력의 비구형성으로 인해 회전하며, 발사 시점은 목표 궤도면과 발사 기지의 교차 시간에 따라 결정된다. - 궤도 - 다체 문제
다체 문제는 상호작용하는 여러 물체의 운동을 다루는 문제로, 특히 중력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천체들의 운동을 예측하는 문제가 대표적이며, 삼체 문제부터는 해석적 해를 구하기 어려워 섭동 이론이나 수치 해석 등의 방법이 활용된다.
| 힐 권 | |
|---|---|
| 개요 | |
| 정의 | 천체가 다른 천체를 거느릴 수 있는 공간 |
| 다른 이름 | 로슈 권 |
| 설명 | |
| 주요 특징 | 천체의 중력적 영향력이 지배적인 영역 해당 영역 내에서 위성이 안정적으로 공전 가능 |
| 계산 | |
| 공식 | r_H ≈ a (m/M)^(1/3) |
| 변수 설명 | r_H: 힐 권의 반지름 a: 위성이 모행성을 공전하는 궤도 긴반지름 m: 위성의 질량 M: 모행성의 질량 |
| 적용 | |
| 행성 | 행성이 위성을 거느릴 수 있는 공간 |
| 위성 | 위성이 작은 천체를 거느릴 수 있는 공간 |
| 항성 | 항성이 행성 또는 다른 천체를 거느릴 수 있는 공간 |
| 참고 | |
| 힐 스피어 | 천체의 중력적 영향이 미치는 영역 |
| 로슈 한계 | 천체가 조석력에 의해 파괴되지 않고 존재할 수 있는 한계 거리 |
2. 정의 및 공식
힐 권(Hill sphere)은 더 무거운 천체(질량 *M*1) 주위를 공전하는 더 가벼운 천체(질량 *M*2)의 중력적 지배 범위를 나타내는 근사적인 한계이다.[5] 이 영역에서는 자체 중력이 위성(자연적이든 인공적이든)을 끌어들이는 데 지배적인 힘으로 작용한다.[5]
태양계와 같이 여러 천체가 서로 중력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경우, 그 운동은 복잡하여 정확한 해석적 해를 구하기 어렵다.[6] 그러나 세 천체 중 하나의 질량이 무시할 수 있을 만큼 작다면, 이 시스템은 두 천체 문제로 근사할 수 있으며, 이를 "제한된 삼체 문제"라고 부른다.[6]
힐 구의 반지름은 힐 반지름(Hill radius) 또는 중력권 반지름이라고도 불린다. 힐 반지름은 천체의 질량과 중심별과의 거리에 따라 결정되며, 특히 거리에 대한 의존성이 강하다.
예를 들어, 질량 5.97x1024 kg의 지구와 1.99x1030 kg의 태양 사이의 거리가 149.6 Gm (1 au)일 때, 지구 힐 구의 반지름은 약 1.5 Gm (0.01 au)이다. 실제 달의 궤도 반지름 0.370 Gm (0.0025 au)는 힐 반지름보다 충분히 작다.
다른 예로, 지구 상공 300 km 고도를 도는 104 t의 우주왕복선의 힐 구 지름은 120 cm에 불과하며, 이는 우주왕복선 내부에 해당한다.
태양계에서 가장 큰 힐 구를 가진 것은 해왕성이며, 그 반지름은 116 Gm (0.775 au)이다. 목성은 태양계 행성 중 가장 질량이 크지만, 해왕성보다 태양에 훨씬 가까이 있어 힐 반지름은 53 Gm (0.354 au)에 불과하다.
힐 구 분석은 근사적인 모델이며, 위성이 되는 천체의 질량은 모델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충분히 작아야 한다. 또한 복사압 등 고려되지 않은 힘도 있기 때문에, 위성이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궤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힐 구의 1/2에서 1/3 내부 범위에 있어야 한다.
2. 1. 기본 공식
두 천체 사이의 거리가 *r*이고, 더 가벼운 천체의 힐 권 반지름을 *a*라고 할 때, 힐 반지름은 다음과 같이 근사적으로 표현된다.[6][7]:
여기서 m1은 더 무거운 천체의 질량, m2는 덜 가벼운 천체의 질량, a는 두 천체 사이의 순간적인 거리를 의미한다.[6][7]
일반적으로 덜 무거운 천체 가 더 무거운 천체 m1 (예: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을 공전하고 궤도 장반축 와 이심률 를 갖는 경우, 근점에서 계산된 덜 무거운 천체의 힐 반지름 는 다음과 같다.[8]
:
이심률이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을 때(궤도 안정성에 가장 유리한 경우), 위의 식으로 축소된다.
힐 구를 이용한 분석은 위성의 안정성을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 행성의 힐 구 내부에서는 행성 주위를 계속 공전하는 궤도가 가능하며, 그러한 천체는 행성의 위성이 된다. 반면 힐 구 외부에서는 행성 주위를 공전하는 궤도를 가질 수 없고, 행성과 독립적으로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천체가 된다.
2. 2. 궤도 이심률을 고려한 공식
궤도 이심률 ''e''를 고려하면, 힐 반지름은 근일점 거리에서 최소가 되므로, 궤도 근일점에서의 힐 반지름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8]:
이심률이 무시할 수 있을 때(궤도 안정성에 가장 유리한 경우), 이 식은 위에 제시된 식으로 축소된다.
2. 3. 유도
힐 반지름 공식은 이차 천체를 공전하는 시험 입자(질량이 m보다 훨씬 작음)에 작용하는 중력과 원심력을 같다고 놓음으로써 유도할 수 있다.[17] 질량 M과 m 사이의 거리를 r, 시험 입자가 이차 천체로부터 rH만큼 떨어진 곳에서 공전한다고 가정하면, 시험 입자가 주 천체와 이차 천체를 연결하는 선상에 있을 때, 힘의 평형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여기서 G는 중력 상수이고, 는 케플러식에 따른 주 천체를 중심으로 한 이차 천체의 각속도이다(m≪M이라고 가정). 위 식은 에 대한 최고차항까지 이항 전개를 통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이차 천체가 주 천체를 중심으로 타원 궤도를 도는 경우, 힐 구의 반지름은 r이 가장 큰 원일점에서 최대가 되고, 궤도의 근일점에서 최소가 된다. 따라서 시험 입자의 안정성을 위해서는 근일점 거리에서의 힐 구의 반지름을 고려해야 한다.[17]
힐 반지름은 라그랑주점 L1이 이차 천체로부터 떨어진 거리를 나타내기도 한다.
3. 힐 권과 안정성
힐 권 분석은 위성의 안정적인 궤도를 이해하는 데 유용하다. 행성의 힐 권 안에 있는 천체는 행성 주위를 계속 공전할 수 있는 궤도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천체는 행성의 위성이 된다. 반면 힐 권 바깥에 있는 천체는 행성 주위를 공전하는 궤도를 가질 수 없고, 행성과 독립적으로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천체가 된다.[17] 예를 들어, 지구(Earth영어)와 태양 사이의 거리가 149.6 Gm (1 au)일 때, 지구(질량 5.97 )의 힐 권 반지름은 약 1.5 Gm (0.01 au)이다. 실제 달의 궤도 반지름은 0.370 Gm (0.0025 au)로 힐 반지름보다 충분히 작다.[17]
하지만 힐 권은 근사적인 모델이며, 복사압이나 야르콥스키 효과와 같은 다른 힘이나 섭동에 의해 물체가 힐 권 밖으로 밀려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위성이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궤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힐 권의 1/2에서 1/3 내부 범위에 위치해야 한다.
3. 1. 역행 궤도의 안정성
주 항성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역행 궤도의 안정 영역은 순행 궤도의 안정 영역보다 크다. 이는 목성 주위에 역행 위성이 많은 이유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지만, 토성은 역행/순행 위성의 비율이 비슷하여 더 복잡한 요인이 작용함을 알 수 있다.[10]4. 태양계 천체의 힐 권
태양계 내에서 가장 큰 힐 반지름을 가진 행성은 해왕성으로, 1.16억km (0.775 AU)에 달한다. 해왕성이 태양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목성(질량 5300만km, 0.354 AU)에 비해 질량이 작음에도 불구하고 큰 힐 권을 가질 수 있다.[12]
소행성대의 세레스는 힐 반지름이 최대 220000km (0.0014 AU)에 달할 수 있지만, 질량이 감소함에 따라 힐 권의 크기는 빠르게 줄어든다.[12] 모슈프 (위성 스쿼닛 보유)의 힐 반지름은 22km이다.[12]
전형적인 외계 행성인 "뜨거운 목성" HD 209458 b의 힐 반지름은 593000km로, 실제 반지름(약 71000km)의 약 8배이다. CoRoT-7b의 힐 반지름은 61000km로, 실제 반지름(약 10000km)의 6배이다.
하지만, 힐 구의 크기가 너무 작으면 천체 주위의 궤도를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구 상공 300km 궤도에서 104ton의 우주왕복선은 힐 반지름이 120cm에 불과하여 궤도를 유지할 수 없다. 정지 궤도 위성은 물 밀도의 6%보다 약간 더 높은 밀도만 있으면 자신의 힐 구 내에 들어갈 수 있다.
4. 1. 주요 천체의 힐 반지름 (JPL DE405 역서 및 NASA 태양계 탐사 웹사이트 자료 기반)
JPL DE405 역서와 NASA 태양계 탐사 웹사이트에서 얻은 값을 사용하여 계산된 태양계 일부 천체의 힐 구 반지름은 다음과 같다.[15]| 천체 | 백만 km | au | 천체 반지름 | 분[16] | 가장 먼 위성 (au) |
|---|---|---|---|---|---|
| 수성 | 0.1753 | 0.0012 | 71.9 | 10.7 | |
| 금성 | 1.0042 | 0.0067 | 165.9 | 31.8 | |
| 지구 | 1.4714 | 0.0098 | 230.7 | 33.7 | 0.00257 |
| 화성 | 0.9827 | 0.0066 | 289.3 | 14.9 | 0.00016 |
| 목성 | 50.5736 | 0.3381 | 707.4 | 223.2 | 0.1662 |
| 토성 | 61.6340 | 0.4120 | 1022.7 | 147.8 | 0.1785 |
| 천왕성 | 66.7831 | 0.4464 | 2613.1 | 80.0 | 0.1366 |
| 해왕성 | 115.0307 | 0.7689 | 4644.6 | 87.9 | 0.3360 |
| 세레스 | 0.2048 | 0.0014 | 433.0 | 1.7 | |
| 명왕성 | 5.9921 | 0.0401 | 5048.1 | 3.5 | 0.00043 |
| 에리스 | 8.1176 | 0.0543 | 6979.9 | 2.7 | 0.00025 |

5. 추가 예시
지구-태양 시스템에서 달의 궤도는 지구의 힐 권 내에 안전하게 위치하여, 달이 태양 주위의 독립적인 궤도로 끌려가지 않는다.[9] 지구 저궤도(고도 300km)에서 104톤의 우주왕복선은 힐 권 반지름이 120cm에 불과하여 궤도를 유지할 수 없다.[12] 외계 행성, 특히 뜨거운 목성의 경우에도 힐 권 개념을 적용할 수 있는데, HD 209458 b[13]의 힐 구 반지름은 593,000km이며, 이는 실제 반지름의 약 8배이다.[14]
태양계에서 가장 큰 힐 반지름을 가진 행성은 해왕성으로, 1억 1,600만 km (0.775AU)이다.[12] 목성의 힐 반지름은 5,300만 km (0.354AU)이다.[12] 소행성대의 세레스는 힐 구 크기가 최대 220,000km에 달할 수 있다.[12] 수성을 통과하는 소행성인 66391 모슈프의 힐 구 반지름은 22km이다.[12]
참조
[1]
논문
On the local and global properties of gravitational spheres of influence
2020
[2]
웹사이트
How Many Moons Does Mercury Have?
https://www.universe[...]
2015-12-30
[3]
논문
Gravitational clearing of natural satellite orbi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논문
On the Dynamical Limits of the Solar System
1965-03-00
[5]
웹사이트
Word of the Week: Hill Sphere
https://www.asteroid[...]
University of Arizona
2023-07-22
[6]
서적
Planetary Scienc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07-22
[7]
논문
Temporary Capture of Asteroids by an Eccentric Planet
The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2017-04-00
[8]
논문
Orbital Stability Zones About Asteroids: II. The Destabilizing Effects of Eccentric Orbits and of Solar Radiation
Academic Press
1992-03-00
[9]
웹사이트
Ever Decreasing Circles
https://www.newscien[...]
2017-10-04
[10]
논문
Chaos-assisted capture of irregular moons
2003
[11]
논문
The stability of multi-planet systems
https://d1wqtxts1xzl[...]
[12]
웹사이트
(66391) Moshup and Squannit
http://www.johnstons[...]
2019-10-20
[13]
백과사전
HD 209458 b
https://exoplanet.eu[...]
2010-02-16
[14]
백과사전
Planet CoRoT-7 b
https://exoplanet.eu[...]
2024-00-00
[15]
웹사이트
NASA Solar System Exploration
https://solarsystem.[...]
NASA
[16]
문서
At average distance, as seen from the Sun. The angular size as seen from Earth varies depending on Earth's proximity to the object.
[17]
서적
Solar system dynamics
https://www.worldca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18]
논문
http://adsabs.harva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