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가족계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가족계획은 인구 증가, 자원 부족, 여성 건강 등을 고려하여 개인과 사회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계획이다. 1950년대 이후 식량 및 자원 부족 문제와 관련하여 주목받기 시작했으며, 출산 간격 조절, 모성 질환 감소, 자원 확보 등을 목적으로 한다. 가족계획은 피임, 보조생식술, 가족 계획 프로그램 등 다양한 방법을 포함하며, 각국의 인구 정책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윤리적 문제와 논쟁, 국제 협력, 세계 피임의 날 등을 통해 가족계획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COVID-19 팬데믹과 같은 위기 상황에서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족 계획 - 남아선호사상
    남아선호사상은 남아를 여아보다 더 좋아하는 사회적 현상으로, 종교적 교리, 남성 노동력 중시, 가사 노동 가치 절하 등의 복합적인 원인으로 발생하며, 일부 국가에서 성비 불균형을 초래하고 대한민국에서는 완화 추세에 있지만 과거 성비 불균형이 사회 문제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 가족 계획 - 외동
    외동은 형제자매 없이 혼자 자란 아이를 의미하며, 경제적 부담, 사회적 불안감 등으로 인해 외동을 선택하는 경우가 있으며, 지능 지수나 학업 성적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는 반면 사회성 부족 등의 부정적인 인식도 존재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가족계획
가족 계획
설명임신 시기와 자녀 수를 결정하는 것.
목표개인적 목표 달성
사회적 목표 달성
서비스피임 상담 및 제공
임신 지원 및 상담
불임 치료
성 건강 검진
성병 예방 및 치료
청소년 성 상담
영향여성의 건강 및 복지 증진
출산율 감소
인구 증가 조절
경제 발전
아동 학대 감소
피임 방법
호르몬 피임피임약
피임 주사
피임 패치
피임 임플란트
비호르몬 피임콘돔
자궁 내 장치 (IUD)
살정제
피임 스펀지
페미돔
영구 피임정관 수술
난관 수술
관련 요인
사회경제적 요인교육 수준
소득 수준
고용 상태
의료 접근성
문화적 요인종교적 신념
전통적 관습
성별 역할
개인적 요인피임 지식
피임 접근성
배우자 의사 결정 참여
가족 계획의 중요성
여성 건강원치 않는 임신 예방
안전한 임신과 출산 보장
모성 사망률 감소
산후 우울증 예방
아동 건강영아 사망률 감소
건강한 성장 발달 지원
아동 학대 예방
사회 경제적 발전인구 증가 억제
경제 발전 촉진
교육 기회 확대
환경 보호
세계적 노력
국제기구세계 보건 기구 (WHO)
유엔 인구 기금 (UNFPA)
국가 정책피임 지원 정책
성교육 프로그램
모자 보건 서비스
가족 계획과 관련된 문제점
피임 접근성 제한경제적 어려움
지리적 제약
문화적 장벽
종교적 반대
피임에 대한 잘못된 정보피임 방법 부작용에 대한 과장된 우려
피임 방법 효과에 대한 잘못된 정보
성교육 부족
여성의 의사 결정권 부족남성 중심적 사회 문화
여성의 경제적 자립 부족
배우자의 피임 반대
한국에서의 가족 계획
과거산아 제한 정책
현재저출산 문제
주요 이슈출산 장려 정책
육아 지원 정책
여성 고용 문제
추가 정보
관련 용어산아 제한
인구 정책
성 건강
출산율

2. 역사

1950년대 이후 아시아를 중심으로 식량 부족, 자원 부족, 빈곤, 경제 개발 지체 등의 문제가 나타나기 시작했는데, 그 원인으로 인구의 급격한 증가가 지적되었다.[134] 저소득 국가에서는 아이들이 가계 소득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고, 사회보장제도도 미비하여 부모가 노후 생활의 돌봄을 아이들에게 기대하는 경향이 있어 출산율이 높게 나타났다.[135]

개발도상국에서 인구폭발이 일어나면 농업 생산량은 늘지 않는데 인구만 증가하여 1인당 소득 수준이 낮아지고 빈곤에서 벗어나기 어려운 상황에 놓이게 된다.[135] 이러한 배경에서 종합적인 인구 정책의 일환으로 가족 계획 도입이 추진되었다.

하지만 많은 개발도상국에서는 출산율 목표 달성에만 급급하여 졸속으로 인구 정책을 시행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국민들의 반발을 샀으며 구체적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134] 또한, 모든 사회 문제의 근원이 인구 증가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부의 불균형한 분배와 사회복지 정책의 미비가 결과적으로 인구 증가 문제로 이어진다는 지적이 제기되기 시작했다.[134] 이러한 관점은 인구 감소의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1994년 이집트 카이로에서 개최된 국제인구개발회의에서는 인구 정책의 방향을 통계 중심의 국가적 목표 달성이라는 거시적 관점에서 벗어나, 개인의 건강과 삶의 질을 중시하는 미시적 관점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34]

3. 목적 및 중요성

2006년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남성과 여성 모두가 생식 계획을 세워 원치 않는 임신을 예방하고 여성의 건강을 증진시키며 임신 관련 부정적인 결과를 줄이도록 권장하는 권고안을 발표했다.[8]

가족계획은 단순히 자녀 수를 조절하는 것을 넘어 다양한 이점을 제공한다. 출산 간격을 적절히 두면 건강한 임신 가능성을 높이고, 모성 질환, 조산, 저체중아 출산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자녀 양육에는 시간,[9] 사회적 자원,[10] 재정적 자원,[11] 환경적 자원 등 상당한 양의 자원이 필요하므로, 가족계획은 필요한 자원을 미리 확보하고 개인의 사회적, 경제적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11]

가족계획의 중요한 목적 중 하나는 자녀를 갖기를 원하는 모든 부부, 남성 또는 여성이 자연분만, 대리모, 인공수정, 입양 등 원하는 방식을 통해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자원을 확보하도록 돕는 것이다.[12] 반대로 특정 시점에 자녀를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피임과 같이 임신을 예방하는 데 필요한 자원을 탐색하고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자녀 유무가 개인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은 일률적이지 않다.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자녀를 갖거나 갖지 않는 것이 행복에 측정 가능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13] 다만, 삶의 만족도에 대한 경제학 문헌 검토에 따르면 미혼모, 일과 자녀 양육을 동등하게 하는 아버지, 독신, 이혼한 사람, 빈곤층, 자녀가 3세 이상인 사람, 자녀가 아픈 사람 등 특정 집단은 자녀가 없을 때 더 행복감을 느낀다고 보고되었다.[14] 한편, 입양아와 입양 부모 모두 입양 후 더 행복하다고 보고하는 경향이 있다.[15]

여성이 추가적인 교육과 유급 일자리를 추구할 수 있게 되면, 가족은 각 자녀에게 더 많은 투자를 할 수 있게 된다. 형제자매가 적은 아이들은 형제자매가 많은 아이들보다 학교에 더 오래 다니는 경향이 있다. 임신으로 인해 학업을 중단하는 것은 여성 개인의 미래뿐만 아니라 그들의 가족과 지역 사회의 인적 자본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가족계획은 환경과 국가 및 지역 개발 노력에 부담을 주는 지속 불가능한 인구 증가를 늦추는 데 기여한다.[11][16]

240px


모성 건강은 가족계획의 중요한 고려 사항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모성 건강을 임신, 출산 및 산후 기간 동안 여성의 건강으로 정의하며, 많은 여성에게 출산 과정이 고통, 건강 악화, 심지어 사망과 연관될 수 있음을 지적한다. 모성 사망의 약 99%는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하며, 그중 절반 이상이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서, 약 3분의 1이 남아시아에서 발생한다.[18] 미국 CDC의 2021년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내에서도 히스패닉계 여성의 모성 사망률이 다른 인종에 비해 높은 인종적 불균형이 존재한다.[19]

첫 출산 연령이 너무 어리거나(10대) 너무 많은 경우(고령 임신) 모두 위험이 증가한다.[18] 어머니가 최소 18세가 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아이를 갖는 것이 모자 건강 개선에 도움이 된다. 합병증 예방을 위해서는 피임, 숙련된 의료 전문가의 도움, 안전한 낙태 서비스 및 관리를 포함한 양질의 의료 서비스에 대한 접근이 필수적이다.[18] 또한, 출산 후 다음 임신까지는 최소 2년(최대 5년 이내)의 간격을 두는 것이 어머니와 아이 모두의 건강에 좋다.[20] 유산이나 낙태 후에는 최소 6개월을 기다리는 것이 권장된다.[20] 고령 임신은 자녀의 자폐증이나 다운 증후군 가능성을 높이고, 다태아 출산 가능성 증가, 임신성 당뇨병 발병 가능성 증가, 제왕절개 필요성 증가, 분만 시간 연장 등 다양한 위험을 수반한다.

가족 계획 부재와 과다한 자녀유아 수의 부정적 영향을 보여주는 플래카드 (에티오피아)


가족계획은 모든 보건 개입 중에서 가장 비용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21] 원치 않는 임신 감소와 HIV를 포함한 성병 전파 감소를 통해 상당한 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온다.[21] 1996년 미국에서 정상 분만의 경우 출산 및 산전 의료 비용은 평균 7090USD였다.[22] 미국 농무부는 2007년에 태어난 아이의 경우, 미국 가정이 아이의 생애 첫 17년 동안 연평균 1.1만달러에서 2.3만달러를 지출할 것으로 추산했다 (물가 상승률을 조정한 총 추정 지출액: 가구 소득에 따라 19.6만달러에서 39.3만달러).[9]

240x240px


가족계획에 대한 투자는 명확한 경제적 이점을 제공하며, 국가가 노동 인구 증가와 부양 가족 감소로 국가 생산성이 증가하는 '인구 보너스'를 달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24] 유엔 인구기금(UNFPA)에 따르면 "피임에 투자된 1USD당 임신 관련 의료 비용이 1.47USD 감소한다".[24] 또한 UNFPA는 청소년 임신과 관련된 평생 기회 비용(젊은 어머니가 평생 동안 놓치는 연간 소득)이 국가에 따라 연간 국내총생산(GDP)의 1%에서 30%에 이를 수 있다고 지적한다. 예를 들어, 브라질과 인도의 청소년 소녀들이 20대 초반까지 출산을 기다릴 수 있다면 경제 생산성 증가는 각각 35억달러 이상과 77억달러 이상이 될 것이라고 추산했다.[24] 노벨상 수상자들이 UN과 협력하여 작성한 코펜하겐 컨센서스에서는 피임에 대한 보편적 접근을 1USD 지출 대비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이익 측면에서 세 번째로 높은 정책 구상으로 평가했다.[23] 성과 재생산 건강 서비스에 대한 보편적 접근을 제공하고 충족되지 않은 피임 요구를 없애면 신생아 사망 64만 건 감소, 산모 사망 15만 건 감소, 어머니를 잃는 아동 60만 건 감소로 이어질 것이다. 동시에 사회는 부양 가족 감소와 여성 노동 인구 증가로 경제 성장이 빨라질 것이다. 피임약에 대한 보편적 접근 비용은 연간 약 36억달러이지만, 그 이익은 연간 4000억달러가 넘고 산모 사망은 15만 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안전하고 자발적인 가족계획에 대한 접근은 인권으로 간주되며, 성평등, 여성의 권한 강화 및 빈곤 감소의 중심 요소로 여겨진다. 지난 50년간 권리 기반의 가족계획은 빈곤의 악순환을 끊는 데 기여하여 수백만 명의 여성과 어린이의 생명을 구했다.[51] 유엔 인구기금(UNFPA)은 "임신을 피하고 싶어하는 약 2억 2,500만 명의 여성이 정보 또는 서비스 부족에서부터 배우자나 지역사회의 지지 부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이유로 안전하고 효과적인 가족계획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한다.[51] UNFPA는 "피임에 대한 충족되지 않은 수요가 있는 이러한 여성 대부분은 지구상에서 가장 가난한 69개국에 거주하고 있다"고 덧붙였다.[51] UNFPA는 "가족계획이 인권이라는 세계적 합의는 1994년 국제 인구 개발 회의(ICPD)에서 행동계획의 원칙 8조에서 확보되었다. 모든 부부와 개인은 자유롭고 책임감 있게 자녀의 수와 간격을 결정하고 그렇게 하기 위한 정보, 교육 및 수단을 가질 기본적인 권리가 있다"고 강조한다.[51]

관할 구역별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


가족계획은 유엔 밀레니엄 개발 목표(MDGs)와 이를 계승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에 기여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이다. 성평등과 여성의 건강, 성교육 및 고등교육에 대한 접근, 모자 보건 개선 등의 분야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창출한다.[51] UNFPA와 구트마허 연구소는 현재 현대 피임에 대한 충족되지 않은 수요가 있는 개발도상국의 모든 여성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면 추가로 5,400만 건의 원치 않는 임신(2,100만 건의 계획되지 않은 출산, 2,600만 건의 낙태, 700만 건의 유산 포함)을 예방할 수 있으며, 이는 또한 7만 9,000건의 산모 사망과 110만 건의 영아 사망을 예방할 것이라고 추정한다.[52]

기후변화는 인구 수와 정비례 관계에 있기 때문에, 가족계획은 기후변화 완화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53] 프로젝트 드로다운 연구는 가족계획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가장 효율적인 행동 중 7번째( 태양광 발전소, 원자력 발전, 산림 조성 등보다 앞섬)라고 평가했다.[54] 2021년 ''Sustainability Science''에 게재된 논문에서 연구자들은 인구 정책이 사회 정의를 증진하는 동시에 기후와 지구 시스템에 대한 인간의 영향을 완화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특히 세계 인구의 부유한 절반이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90%를 차지한다는 점을 지적했다.[55]

2017년 기준 현대적 방법으로 충족된 가족 계획 수요
[60]

유엔 경제사회부 인구과, "전 세계 피임 사용 동향 2015", 뉴욕: 유엔, 2015


그러나 현실에서는 여전히 많은 여성들이 가족계획 서비스에 접근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개발도상국의 생식 가능 연령 여성 중 약 2억 1,400만 명이 임신을 원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현대적인 피임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있다.[61] 이는 제한된 방법 선택, 피임 접근의 제한, 부작용에 대한 두려움, 문화적 또는 종교적 반대, 이용 가능한 서비스의 질 저하, 사용자 또는 제공자의 편견, 또는 성별에 따른 장벽 등 다양한 이유 때문이다. 특히 아프리카에서는 생식 가능 연령 여성의 24.2%가 현대적인 피임법에 접근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62] 전 세계적으로 인구의 64%가 피임을 사용하고 있지만, 12%는 피임에 대한 수요가 충족되지 않고 있으며, 이 비율은 최빈개발국가에서 22%로 더 높다.[63] 지역별 편차도 커서, 동아시아는 피임 사용률이 82%로 높고 충족되지 않은 수요는 5%로 낮지만, 서아프리카는 피임 사용률이 17%로 가장 낮고 중앙아프리카는 충족되지 않은 수요가 26%로 가장 높다. 일반적으로 빈곤한 여성일수록 충족되지 않은 수요가 더 높은 경향이 있다.[64]

가족계획 프로그램이 출산율과 피임 사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수요 이론"(사회 현대화에 따라 원하는 자녀 수가 감소하며 프로그램 영향은 미미하다는 주장) 등 다양한 견해가 있지만, Bongaarts (2014)의 연구는 국가별 사례 분석을 통해 가족계획 프로그램이 피임 방법 접근성을 높이고 사용 장벽을 제거함으로써 충족되지 않은 피임 수요를 줄이고 사용을 증가시킨다고 주장한다.[38]

여성들이 피임을 사용하지 못하는 구체적인 장벽으로는 물류 문제, 과학적 및 종교적 우려, 보건소 이용을 위한 교통 수단 부족, 교육 및 지식 부족, 파트너, 가족 또는 지역 사회의 반대 등이 포함된다.[53] UNFPA는 "가난한 여성과 농촌 지역 여성은 종종 가족 계획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진다. 청소년, 미혼자, 도시 빈민, 농촌 인구, 성 노동자, HIV 감염인을 포함한 특정 집단은 가족 계획에 대한 다양한 장벽에 직면한다. 이는 원치 않는 임신율 증가, HIV 및 기타 성병 감염 위험 증가, 피임 방법 선택의 제한, 충족되지 않은 가족 계획 수요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24] 가족계획 서비스의 효과와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 표준 지표[128] 사용이 점점 더 장려되고 있다.[129]

4. 방법

현대 가족 계획 방법에는 피임, 보조생식술, 가족 계획 프로그램 등이 포함된다.

국제연합 인구기금(UNFPA)에 따르면, 현대 피임 방법의 사용은 원치 않는 임신을 예방하고, 낙태 건수를 줄이며, 임신 및 출산 관련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 및 장애 발생률을 낮추는 데 기여한다.[24] UNFPA는 피임에 대한 접근성이 개선될 경우, 수많은 안전하지 않은 낙태, 유산, 산모 사망 및 유아 사망을 예방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24] 또한, 가족 계획 프로그램은 특히 저소득층 여성의 출산율 감소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시간 대학교의 연구에 따르면, 연방 가족 계획 프로그램은 저소득 여성의 출산율을 최대 29%까지 감소시켰다.[25]

가족계획의 긍정적 효과를 보여주는 플래카드 (에티오피아)


=== 피임 ===

원치 않는 임신을 예방하기 위한 여러 피임 방법이 존재한다. 자연적인 방법과 다양한 화학적, 물리적 방법이 있으며 각각 장단점이 있다(자세히 보기).

  • 행동적 방법: 사정 중단법이나 달력법과 같이 질 성교 중 임신을 피하는 방법은 초기 비용이 거의 들지 않고 쉽게 이용할 수 있다.
  • 장기 지속형 가역적 피임(LARC): 자궁내장치(IUD)나 피하 이식형 피임기구 등은 매우 효과적이고 편리하며 사용자의 지속적인 노력이 거의 필요하지 않지만, 시술 관련 위험이 따를 수 있다. 실패 비용까지 고려하면 자궁내장치와 남성 불임 수술이 다른 방법보다 비용 효율적일 수 있다.[27]
  • 차단 피임법: 남성용 콘돔 및 여성용 콘돔은 피임 효과와 더불어 성병(STI) 전파를 막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다른 피임법의 보조 수단으로, 또는 STI 예방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27]
  • 영구 피임법: 난관 결찰술(여성)이나 남성 불임 수술(남성)과 같은 수술적 방법은 더 이상 자녀를 원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영구적인 피임 효과를 제공한다.[27]


=== 보조생식술 ===

보조생식술은 자연적인 임신이 어려운 경우 고려될 수 있다. 특히 여성의 나이가 35세 이상이거나, 생리가 불규칙하거나 드물거나, 자궁내막증 또는 골반염 병력이 있거나, 남성 요인이 있는 경우, 1년(또는 35세 이상은 6개월)간의 임신 시도 후 생식 의학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다.

  • 대리모: 한 여성이 다른 부부나 개인을 위해 임신 및 출산을 하는 방식이다. 모든 국가에서 허용되는 것은 아니다.
  • 전통적 대리모: 대리모의 난자를 사용하며, 주로 자궁내 인공수정(IUI)을 통해 이루어진다. 대리모와 아기 사이에 유전적 연관성이 있으며, 법적으로 대리모는 아기에 대한 권리를 포기해야 한다.[28]
  • 배아착상 대리모(임신 대리모): 의뢰한 여성(또는 난자 기증자)의 난자를 체외에서 수정한 배아를 대리모의 자궁에 이식한다. 아기와 대리모 사이에 유전적 연관성이 없어 법적 절차가 비교적 간단하다.[28]
  • 정자 기증: 기증받은 정자를 사용하여 여성을 임신시키는 방법이다. 인공수정(자궁경부 또는 자궁내 인공수정)이나 시험관 수정(IVF)을 통해 이루어지며, 드물게 기증자와의 성교를 통한 자연 인공수정(NI) 방식도 있다.
  • 생식 능력 예측: 여성의 난소 저장량, 난포 역학 및 관련 바이오마커 분석은 미래 임신 가능성을 예측하여 임신 시기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29]
  • 미래를 위한 생식 능력 보존: 난자 또는 배아 동결보존(시험관 아기 시술의 일부), 또는 난소 조직 동결보존(OTC) 등의 방법이 있다. 난자 및 배아 동결보존이 미래 임신 가능성이 가장 높다.[118] 기증 배우자(정자 또는 난자)를 이용할 경우, 익명 또는 지정 기증자를 선택할 수 있으며, 미국 식품의약국(FDA) 기준에 따른 의무 검사를 거쳐야 한다.[118]
  • 레즈비언 커플: 치료적 정자 기증 인공수정(TDI), 자가 수정란 이식, 상호 또는 공동 시험관 아기 시술(한 파트너의 난자를 채취하여 수정 후 다른 파트너의 자궁에 이식)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임신할 수 있다. 공동 IVF는 레즈비언 가정의 정서적 안정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118]
  • 남성 커플: 난자 제공자와 임신 및 출산을 위한 대리모가 모두 필요하다. 난자 제공자는 FDA 선별 과정을 거치며, 대리모는 유전적으로 관련 없는 아이를 임신한다. 미국생식의학회(ASRM)는 관련된 모든 당사자의 심리사회적 평가를 권장한다.[118]


=== 생식 인식 ===

생식 인식(Fertility awareness)은 여성의 생식주기 중 임신이 가능한 시기와 불가능한 시기를 파악하는 방법들을 통칭한다.[30] 이는 임신을 피하거나, 계획하거나, 여성의 생식 건강을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고대부터 알려진 방법들이 과학적 발전을 통해 다양화되었으며, 여러 방법을 조합한 심토서멀(Symptothermal) 방법 등은 올바르게 사용할 경우 99% 이상의 높은 피임 성공률을 보이기도 한다.[30]

생식 인식 방법의 장점으로는 약물 관련 부작용이 없고,[31] 사용 비용이 거의 들지 않으며, 임신 시도와 피임 양쪽에 모두 활용 가능하고, 특정 종교적 신념(가톨릭 교회에서는 이를 자연 가족 계획이라 부르며 유일하게 허용되는 방법으로 간주)에 부합한다는 점 등이 있다. 반면, 임신 가능 기간 동안 금욕하거나 다른 피임법을 병행해야 하며, 일반적인 사용 시 다른 피임법보다 효과가 낮을 수 있고,[32] 성병을 예방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33]

=== 입양 ===

입양은 가족을 이루는 또 다른 중요한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입양 결정, 신청, 가정 조사, 승인, 아동 매칭, 입양 실행, 법적 확정의 단계를 거친다.[26]

=== 성소수자와 가족 계획 ===

트랜스젠더 및 성 정체성이 다양한 개인들은 가족 계획 목표 달성에 여러 장벽에 직면한다. 이들은 자신을 수용하고 안전하다고 느끼는 생식 건강 관리 시설, 생식 지원, 임신 관리 및 피임 정보 접근에 어려움을 겪는다.[119] 생식 능력 보존(정자/난자 동결보존 등) 비용[120][121] 및 건강 보험 적용 문제[123], 호르몬 요법 중단/지연에 대한 우려, 임신 관련 치료로 인한 성별 불쾌감 악화 가능성[122] 등이 주요 장벽으로 작용한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 정자 동결보존의 사용률은 5% 미만인데, 이는 건강 보험 적용 문제를 극복하기 어렵기 때문일 수 있다.[123] 한 연구에 따르면 미국에서 전국 평균 초기 은행 수수료 및 연간 보관 비용은 각각 350USD와 385USD이다.[120] 난자 보존을 원하는 경우, 미국에서 난자 냉동, 해동 및 연간 보존 수수료를 포함한 총 중간 비용은 약 7444USD이며, 35세 이하 개인의 경우 출산 1회당 누적 비용은 11704USD였다.[121]

호르몬 요법이나 성 확인 수술과 같은 성전환 관련 의료 개입은 생식 능력에 일시적 또는 영구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123][124] 세계 트랜스젠더 건강 전문가 기구(WPATH)와 미국 생식의학회(ASRM)는 모든 트랜스젠더 개인에게 가족 계획 및 성전환이 생식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상담을 제공할 것을 권장하지만,[125] 실제로는 의료진과의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123]

연구에 따르면 테스토스테론 요법을 받는 트랜스젠더 남성도 월경이 없더라도 임신이 가능하다.[126] 호르몬 요법의 불규칙한 사용은 의도치 않은 임신 가능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임신을 원치 않는 경우 피임이 필요하다.[126] 또한 테스토스테론은 임신 초기에 태아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126] 트랜스젠더 남성에게 콘돔이 흔한 피임법이지만, 일부는 피임을 사용하지 않아 의도치 않은 임신 위험에 노출되기도 한다. 에스트로겐 함유 피임약 사용에 대한 남성화 방해 우려나 특정 피임 기구 사용으로 인한 성별 불쾌감[127] 등 피임법 선택에도 어려움이 따른다. 의료 시스템 내에서의 부정적인 경험이나 차별 또한 이들의 의료 및 가족 계획 자원 접근을 방해하는 요인이다.[126]

=== 낙태와의 관계 ===

국제연합 인구기금(UNFPA)은 낙태를 가족계획의 한 형태로 절대 홍보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명확히 하고 있다.[4] 세계보건기구(WHO) 역시 가족계획과 피임이 안전하지 않은 낙태의 필요성을 줄이는 데 기여한다고 밝힌다.[16]

일부에서는 피임이 수정을 막는 것이 아니라 착상을 방해함으로써 임신을 종결시킨다고 주장하며 피임과 낙태를 동일시하려는 시각도 있다. 그러나 2013년 미국 대법원에 제출된 미국산부인과학회 등의 의견서에 따르면, 피임은 수정 또는 착상을 방해하여 임신 자체를 예방하는 것이며, 낙태는 이미 시작된 임신을 종결시키는 것으로 명확히 구분된다.[133]

=== 대중 매체 캠페인 ===

가족 계획에 대한 대중 매체 캠페인은 피임 실천율을 높이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케냐의 한 조사에서는 라디오, 인쇄 매체, 텔레비전 등에서 가족 계획 메시지를 접한 여성의 피임 실천율이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훨씬 높았다.[34] 탄자니아에서도 미국 국제 개발처(USAID)의 지원을 받아 시행된 가족 계획 커뮤니케이션 프로젝트 이후 피임 사용률이 5.9%에서 11.3%로 증가하고 총 출산율이 1991~1992년 여성 1인당 평생 출산 수 6.3명에서 1994년 5.8명으로 감소하는 성과를 보였다.[34]

5. 각국의 가족 계획

각국의 가족 계획 정책은 역사적, 사회적 배경과 인구 문제에 대한 인식 변화에 따라 다양하게 전개되어 왔다.

대한민국에서는 1990년대까지 출산율을 낮추는 방향으로 가족계획사업이 실시되었으나, 현재는 출산을 장려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과거 1가구 1자녀 원칙에 따른 가족계획 사업을 실시했으며, 이 과정에서 강제 낙태 시행 등으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138]

이 외에도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방식의 가족 계획 정책을 시행해왔으며, 각국의 구체적인 내용은 해당 국가별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5. 1.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는 1960년대부터 인구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 가족계획사업을 추진하여 1990년대까지 출산율을 낮추는 데 주력하였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 저출산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정부 정책은 출산을 장려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었다.

5. 2. 일본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産めよ殖やせよ|우메요 후야세요일본어”(낳아라 기르라)라는 구호 아래 출산을 장려했으나, 전쟁이 끝난 후에는 인구 폭발에 대한 우려로 産児制限|산지세이겐일본어(산아제한) 정책이 추진되기 시작했다. 그 결과 전후 10년 만에 합계출산율은 4명을 넘던 수준에서 2명 미만으로 급격히 떨어졌다.

1958년 후생노동성이 발표한 『후생백서(厚生白書)』에서는 가족 계획을 단순히 출산을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다음과 같이 정의하며, 각 가정이 자주적이고 계획적으로 가족을 설계하는 측면을 강조했다.[136]

우리가 건강하고 문화적인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손으로 가족 설계, 즉 적절한 가족 구성을 생각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지만, 가족 계획이란 이러한 자주적이고 계획적인 가족 설계를 말하는 것이다.
[136]

이후 한동안 합계출산율은 2명 수준에서 유지되었지만, 1970년대 이후로는 다시 완만하게 하락하기 시작했다. 1989년에는 합계출산율이 1.57명까지 떨어지는 이른바 “1.57 쇼크”가 발생하면서, 이전과는 반대로 저출산 문제가 심각하게 받아들여지기 시작했다.

5. 3.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은 급속한 인구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 1979년부터 부부가 한 자녀 정책 이상의 자녀를 갖지 못하도록 하는 강력한 가족계획 정책을 시행했다.[73][137] 당시 중화인민공화국개발도상국으로서 급격한 인구 증가가 국가 발전을 저해할 것이라는 우려를 가지고 있었다. 이 정책은 1가구 1자녀 원칙을 기본으로 하며, 둘째 아이를 임신한 경우 강제 낙태가 이루어지기도 했고, 심지어 출산이 임박한 임산부에 대한 낙태까지 시행되어 국제적인 비난을 받았다.[138]

정책의 시행 방식과 수용 정도는 지역과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도시 지역에서는 주거 공간 부족, 양육비 부담 등으로 인해 정책을 비교적 쉽게 받아들였지만, 농촌 지역에서는 노동력 확보 등의 이유로 정책에 대한 저항이 더 컸다. 일부 농촌 지역에서는 첫째 아이가 태어난 후 몇 년이 지나면 둘째 아이를 낳는 것을 허용하기도 했다.[74]

한 자녀 정책은 시행 초기 20년 동안 인구를 약 3억 명 감소시키고[77] 여성 1인당 출산율을 1979년 약 2.75명에서 1.8명 수준으로 낮추는 등[79] 인구 증가 억제에는 상당한 효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심각한 인권 침해 문제가 발생했다. 강제 낙태와 강제 불임 수술이 빈번하게 이루어졌으며, 남아 선호 사상과 맞물려 영아 살해, 특히 여아 살해가 발생하기도 했다. 광시성과 같이 규정이 엄격하게 시행된 지역에서는 인신매매되는 아기의 80%가 여자아이였으며, 생후 1년 이내 여아 사망률이 남아의 두 배에 달하기도 했다.[75]

또한 한 자녀 정책은 여러 사회 문제를 야기했다. 남녀 성비 불균형이 심화되었고, 정책을 피해 태어난 아이들이 호적에 등록되지 못하는 문제(헤이하이쯔)가 발생했으며, 미래의 급격한 저출산 고령화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135] 수백만 명의 외동 자녀들은 부모 세대가 노령화되었을 때 부양 부담을 홀로 져야 하는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78] 정책을 위반하고 '계획되지 않은' 임신을 한 경우 거액의 벌금이 부과되었지만, 강제 낙태나 강제 불임 수술은 법적으로는 고의적 폭행으로 간주되어 처벌 대상이 될 수 있었다.

늘어나는 고령 인구와 노동력 부족 문제에 직면하자,[76][80]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2015년에 한 자녀 정책을 공식적으로 폐지하고 모든 부부가 두 명의 자녀를 가질 수 있도록 허용하는 두 자녀 정책을 도입했다.[73][80] 그러나 출산율 감소 추세를 막지 못하자, 2021년에는 세 자녀 정책을 발표하여 부부가 세 명의 자녀까지 가질 수 있도록 허용했다.[81]

한편,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위구르족을 비롯한 소수 민족을 대상으로 강압적인 출산 억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2020년 AP 통신은 중화인민공화국 정부가 한족의 출산은 장려하면서 소수 민족의 출산율을 낮추기 위해 강제 피임, 강제 불임 수술, 강제 낙태 등을 광범위하고 체계적으로 자행하고 있다고 보도했다.[82] 이러한 탄압은 2017년부터 본격화되었으며, 일부 전문가들은 이를 "인구 학적 제노사이드"라고 규정하고 있다.[82] 2021년 런던의 비공식 위구르족 재판소는 중화인민공화국 최고위층의 승인 하에 소수 민족에 대한 강제 불임 수술과 강제 낙태(임신 후기 포함)가 이루어졌다고 결론 내렸다.[83] 실제로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위구르족이 주로 거주하는 지역의 인구 증가율은 84%나 급감했으며,[84] 신장 지역의 자궁내장치(IUD) 삽입률은 2014년부터 2018년 사이 60% 이상 증가한 반면, 중화인민공화국의 다른 지역에서는 감소했다.[84] 강제 수용소 생존자들은 수용소 내에서 생식 능력을 상실하게 만드는 주사를 맞거나 폭행을 당했다는 증언을 하기도 했다.[84]

5. 4. 인도

인도의 가족 계획은 주로 인도 정부의 지원을 받아 이루어진다. 과거 1970년대에는 출산율 목표치를 설정한 강제적인 인구 억제 정책이 시행되었으나, 국민들의 큰 반발에 부딪혀 중단되었고 이후 가족계획을 중심으로 하는 정책으로 전환되었다.[134][137]

1965년부터 2009년까지 피임 사용률은 기혼 여성 기준으로 1970년 13%에서 2009년 48%로 세 배 이상 증가했으며, 출산율은 1966년 여성 1인당 5.7명에서 2009년 2.6명으로 절반 이상 감소했다.[87][88][89][90][91] 2015년 기준 인도의 전국 평균 출산율은 여성 1인당 2.2명으로, 1960년대에 비해 약 3분의 1 수준으로 낮아졌다.[92] 이러한 변화는 인도 내 가족 계획 실천의 현저한 변화를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교육 수준의 향상은 전국적인 출산율 감소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92] 그러나 여전히 인구는 15일마다 100만 명씩 증가할 정도로 빠르게 늘어나고 있어 장기적인 인구 증가 추세는 계속되고 있다.[87][88][89][90][91]

인도 보건가족복지부는 적절한 가족 계획 자원이 제공되고 접근성이 높아진다면 유아 사망자 수를 연간 120만 명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추산한다.[93] 현재 인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피임 방법은 여성 불임 수술이고, 콘돔경구 피임약 사용이 그 뒤를 잇는다.[95][94] 반면, 자궁 내 장치(IUD)의 사용률은 현저히 낮다.[94]

인도 내 각 주별로 가족 계획 서비스 및 방법에 대한 수요는 큰 차이를 보인다. 예를 들어 마니푸르 주의 수요는 23.6%로 가장 낮은 반면, 안드라프라데시 주는 93.6%로 가장 높은 수요를 나타낸다.[94] 사회적 자립 수준과 가정 폭력에 대한 태도 등이 가족 계획 서비스 및 자원에 대한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지적되었으나, 수요를 예측하는 다른 요인들을 밝히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94][95]

경제적, 문화적 장벽 또한 전국적으로 모든 여성에게 가족 계획 자원을 제공하는 데 어려움을 초래한다.[96] 특히 개발도상국의 불안정한 인프라는 비도시 지역에 거주하는 여성들에게 경구 피임약과 같은 의약품을 물리적으로 전달하는 데 큰 장애물이 된다. 또한 현대 피임법의 높은 비용은 여성들이 정기적으로 이러한 자원에 접근하는 것을 제한한다. 문화적으로도 피임법 사용이 억제되거나 반대에 부딪히는 경우가 있다.[96] 그러나 이러한 문화적 정서는 카스트, 사회 계층, 교육 수준, 지리적 위치에 따라 크게 다르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96]

인도 내에서는 가족 계획의 광범위한 수용을 둘러싼 논쟁이 존재한다. 일부에서는 기대 수명 연장과 출산율 감소가 결합되어 부양해야 할 가족 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근로 연령층이 더 많은 부를 축적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95] 반면, 다른 연구들은 가족 계획이 출산율을 낮춰 국가 인구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한다. 이러한 논쟁은 전국적인 관심을 끌었으며, 관련된 문제를 다루기 위해 인도 의회에서 법안이 통과되거나 심의 중에 있다.

5. 5. 기타 국가

'''이란'''

1956년부터 1986년까지 이란의 인구는 연 3% 이상 증가했지만,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초 정부가 대규모 인구 억제 프로그램을 시작하면서 성장률이 감소하기 시작했다. 2007년에는 인구 1,000명당 출생률 17명, 사망률 6명으로 연간 성장률이 0.7%까지 떨어졌다.[97] UN은 이란의 피임 정책이 효과적이며, 출산율 감소율이 가장 높은 국가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 UN 경제사회부 인구과는 1975년부터 1980년까지 이란의 합계출산율이 6.5명이었으나, 2005년부터 2010년까지는 2명 미만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98]

그러나 2012년 7월 말, 이란 최고 지도자 알리 하메네이는 이란의 피임 서비스가 "잘못된 것"이라고 비판했으며, 이란 당국은 기존의 출산 억제 프로그램을 축소하고 더 큰 가족을 장려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전환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 변화가 성공할지는 아직 불확실하다.[99]

'''아일랜드'''

아일랜드에서는 1935년부터 1980년까지 피임 도구 판매가 불법이었으나, 1980년에 엄격한 제한 하에 합법화되었고 이후 제한이 점차 완화되었다. 일각에서는 1979년 피임 합법화와 그에 따른 출산율 감소가 노동 인구 비율을 증가시켜, 1990년대부터 2008년까지 이어진 아일랜드 경제 호황(켈트의 호랑이)에 기여했다고 주장한다.[100] 다만 출산율 감소만으로 노동자 대 부양자 비율이 증가했다는 점에 대해서는 다른 의견도 있다.[101] 여성의 노동 시장 참여 증가는 이 비율을 더욱 높이는 데 기여했다.

'''파키스탄'''

파키스탄은 1994년 카이로에서 열린 국제인구개발회의 이후 2010년까지 모든 국민이 가족계획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또한 빈곤 감소 전략 문서에서도 가족계획 및 피임 사용 증가를 위한 구체적인 국가 목표를 설정했다.[102] 하지만 2011년 기준으로 15~49세 파키스탄 여성 중 현대적인 피임법을 사용하는 비율은 5명 중 1명에 불과했다.[103] 이는 이슬람 근본주의 세력의 영향으로 전통적인 사회 관습에 따라 피임이 기피되는 경향과 관련이 있다.[103]

'''필리핀'''

2012년 제정된 책임 있는 부모 되기 및 생식 건강법은 피임, 생식 조절, 성교육, 산모 건강 관리 방법에 대한 보편적 접근을 보장한다. 산모와 아동 건강 관련 조항에는 대체로 동의하지만, 정부와 민간 부문이 콘돔, 경구 피임약, 자궁내 장치(IUD) 등 가족계획 도구의 광범위한 배포 자금을 지원하고 실행하도록 한 법 조항에 대해서는 상당한 논쟁이 있다. 필리핀 정부는 모든 보건 의료 센터를 통해 이러한 도구 사용에 대한 정보를 계속해서 전파하고 있다.

'''러시아'''

2004년 연구에 따르면, 당시 임신 중인 여성 중 58%는 임신을 "원했고 시기적절했다"고 응답했으며, 23%는 "원했지만 시기가 적절하지 않았다", 19%는 "원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2004년 기준으로 생식 가능 연령 여성 중 약 46%가 호르몬제(17%) 또는 자궁 내 피임 기구(29%)를 사용하고 있었다.[104] 소련 시대에는 양질의 피임 기구를 구하기 어려워 낙태가 원치 않는 임신을 막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었다. 소련 해체 이후 낙태율은 상당히 감소했지만, 여전히 다른 많은 선진국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싱가포르'''

싱가포르의 인구 정책은 크게 두 단계로 나뉜다. 첫 번째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시작된 출산 붐을 늦추기 위한 정책이었고, 두 번째는 1980년대부터 출산율이 대체 수준 출산율 이하로 떨어지자 부모들이 더 많은 아이를 갖도록 장려하는 정책이었다.

'''태국'''

1970년, 태국 정부는 급증하는 인구 증가율에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인구 정책을 발표했다. 이 정책은 농촌 가정을 대상으로 가족계획 인식을 높이고, 모자 보건 교육에 가족계획 활동을 통합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5년 안에 인구 증가율을 3%에서 2.5%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했다.[105] 메차이 비라바이디야와 같은 인물들은 대중 연설과 자선 활동을 통해 가족계획 인식 확산에 기여했다.

'''영국'''

영국에서는 1974년부터 국민건강보험 서비스(NHS)를 통해 피임법이 무료로 제공되고 있으며, 생식 가능 연령 여성의 74%가 어떤 형태로든 피임법을 사용하고 있다.[106] 레보노르게스트렐 자궁내 시스템(IUS)이 특히 널리 사용된다.[106] 불임 수술은 45~49세 연령대에서 인기가 높은데, 이 연령대 남성의 29%, 여성의 21%가 수술을 받았다.[106] 하지만 1996년 자궁내 시스템이 도입된 이후 여성 불임 수술 건수는 감소하는 추세다.[106] 응급 피임은 1970년대부터 이용 가능했으며, 1984년 응급 피임용 제품이 특별히 허가되었고, 2001년부터는 응급 피임약이 일반의약품으로 판매되기 시작했다.[106] 일반의약품 판매 이후에도 다른 피임 방법 사용률이 감소하지는 않았으며, 매년 임신 가능 연령 여성의 약 5%만이 호르몬 응급 피임법을 사용한다.[106]

피임 도구가 널리 보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005년에는 임신의 거의 절반이 의도치 않은 것이었다.[106] 영국의 낙태는 1967년에 합법화되었다.[106]

'''미국'''

미국에서 가족계획은 주로 피임과 연관되며, "개인과 부부가 원하는 자녀 수와 출산 간격 및 시기를 예상하고 달성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된다. 이는 피임 방법 사용과 불임 치료를 통해 이루어진다.[107]

매우 효과적인 피임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내 임신의 약 절반은 원치 않는 임신이다.[32] 자궁내피임기구(IUD)와 같은 고효율 피임법은 미국에서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고효율 피임법 사용을 늘리는 것은 원치 않는 임신을 10% 줄이려는 건강한 사람들 2020 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다. 높은 사용자 비용은 많은 미국 여성이 더 효과적인 피임법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요인 중 하나이다. 본인 부담금 없이 피임 도구를 제공하면 고효율 방법 사용이 늘고 원치 않는 임신이 줄어 건강한 사람들 2020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미국에서 피임 사용은 매년 약 190억달러의 직접 의료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32] 공중보건법의 타이틀 X[108]는 필요한 사람들에게 가족계획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국 정부 프로그램이다. 그러나 가족계획 서비스에 대한 총 공공 자금 중 타이틀 X가 차지하는 비중은 1980년 44%에서 2006년 12%로 꾸준히 감소했다. 현재 타이틀 X 자금은 공공 지원 가족계획 수요를 충족하는 데 필요한 금액의 40%에도 미치지 못한다.[109] 가족계획 서비스 수요를 충족하려면 타이틀 X에 연간 7.37억달러가 필요하다.[109] 2015년에는 약 2,000만 명의 여성이 혜택을 받을 수 있었지만, 공공 자금 지원 서비스를 이용한 여성은 10,700개 클리닉에서 620만 명에 불과했다.

타이틀 X 지원 클리닉은 380만 명의 여성에게 서비스를 제공했다. 2015년 공공 자금 지원 피임 서비스는 여성의 원치 않는 임신 190만 건을 예방하는 데 기여했으며, 이 중 87만 6,100건은 계획되지 않은 출산으로, 62만 8,000건은 낙태로 이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110] 공공 자금 지원 피임 서비스가 없었다면 원치 않는 임신, 계획되지 않은 출산, 낙태율은 67% 더 높았을 것이며,[110] 10대의 경우에는 102% 더 높았을 것이다.[110] 타이틀 X 지원 프로그램은 자금이 3100만달러 감소하면서 2010년 대비 2015년에 120만 명 적은 환자를 지원했다.[110] 2015년에는 약 240만 명의 여성이 민간 의사로부터 메디케이드 지원 피임 서비스를 추가로 받았다.[111]

메디케이드의 기여 비중은 1980년 20%에서 2006년 71%로 증가했다. 2006년 메디케이드는 공공 가족계획에 13억달러를 기여했다.[112] 2008년 공공 자금 지원 가족계획에 지출된 19억달러는 단기 메디케이드 비용을 약 70억달러 절감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113] 이러한 서비스는 여성의 원치 않는 임신 약 194만 건과 낙태 81만 건을 예방하는 데 기여했다.[113]

미국 여성의 약 30%는 45세가 될 때까지 낙태를 경험한다.[114]

2017년 연구에 따르면, 부모 세대의 가족계획 프로그램 이용은 자녀 세대에게 긍정적인 경제적 영향을 미쳤다. 1964년과 1973년 사이에 미국 가족계획 프로그램이 도입된 지역에서 태어난 아이들은 그렇지 않은 지역 아이들보다 가구 소득이 2.8% 더 높았고, 빈곤 상태일 가능성은 7%, 공공 부조를 받는 가구에 살 가능성은 12% 낮았다. 이는 부모 소득에 대한 프로그램의 직접적인 영향이 약 3분의 2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115] 2021년 연구에서는 가족계획 서비스의 질에 대한 인식에서 인종 간 차이가 나타났는데, 백인 여성(72%)이 흑인 여성(60%)이나 히스패닉 여성(67%)보다 의료 제공자와의 경험을 우수하다고 평가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116]

'''우즈베키스탄'''

우즈베키스탄에서는 정부가 여성의 동의 없이 자궁 적출 등을 통해 강제 불임 수술을 시행해 온 인권 침해 사례가 보고되었다.[117]

6. 국제 협력

가족계획 프로그램은 이제 포괄적인 개발 전략의 핵심 요소로 여겨진다. 유엔의 새천년개발목표(현재 지속가능발전목표로 대체됨)는 이러한 국제적 합의를 반영한다. 영국 정부와 빌 & 멀린다 게이츠 재단이 주최한 2012년 런던 가족계획 정상회의는 이 분야에 정치적 약속과 자금 지원을 확대하여, 가족계획이 세계 개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도록 강화했다.[38]

런던 가족계획 정상회의의 결과로 '가족계획 2020 (FP2020)' 이니셔티브가 출범했다. 20개 이상의 정부가 참여하여 여성이 피임 정보 및 서비스에 접근하는 데 있어 정책, 자금 조달, 제공 및 사회문화적 장벽을 해결하기로 약속했다. FP2020은 여성이 스스로 원하는 자녀의 수와 시기를 결정할 권리를 지지하는 세계적인 운동이다.[39] 이 프로그램의 약속은 각 국가별로 구체적이며, 유엔재단이 주최하고 유엔 사무총장의 여성, 아동 및 청소년 건강을 위한 세계 전략을 지원한다.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로 인구 및 생식 건강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기관은 유엔인구기금(UNFPA)이다. 1994년 카이로에서 열린 국제인구개발회의(ICPD)에서는 행동 계획의 주요 목표를 다음과 같이 설정했다.


  • 2015년까지 보편적인 생식 건강 서비스 접근 달성
  • 2015년까지 보편적인 초등 교육 달성 및 교육에서의 성 불평등 해소
  • 2015년까지 모성 사망률 75% 감소
  • 유아 사망률 감소
  • 출생 시 기대 수명 증가
  • 2005년까지 가장 심각한 영향을 받는 국가에서 15~24세 인구의 HIV 감염률 25% 감소, 2010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25% 감소


세계보건기구(WHO)와 세계은행은 개발도상국의 여성들에게 기본적인 가족계획, 모성 및 신생아 건강 관리를 제공하는 데 1인당 연간 3USD가 소요될 것으로 추산한다. 여기에는 피임법, 산전, 분만 및 산후 관리뿐만 아니라, 산후 가족계획 및 콘돔 홍보를 통한 성병 예방도 포함된다.[40]

노벨상 수상자들이 UN과 협력하여 작성한 코펜하겐 컨센서스에서는 피임에 대한 보편적 접근을 1달러 지출 대비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이익 측면에서 세 번째로 효과적인 정책 구상으로 평가했다.[23] 성과 재생산 건강 서비스에 대한 보편적 접근을 제공하고 충족되지 않은 피임 요구를 해소하면, 신생아 사망 64만 건, 산모 사망 15만 건, 어머니를 잃는 아동 60만 건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동시에 사회는 부양 가족 감소와 여성 노동 인구 증가로 더 빠른 경제 성장을 이룰 수 있다. 피임약에 대한 보편적 접근 비용은 연간 약 36억달러이지만, 그 이익은 연간 4000억달러를 넘어서고 산모 사망을 15만 건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UNFPA는 "피임에 투자된 1달러당 임신 관련 의료 비용이 1.47USD 감소한다"고 밝혔다.[24]

7. 윤리적 문제 및 논쟁

역사적으로 자신의 생식 능력을 조절하는 능력은 사회 계층에 따라 불균등하게 분포되어 왔다. 자궁내장치(IUD)나 프로게스틴 임플란트 같은 장기 작용 가역적 피임법(LARC) 및 영구 불임 시술은 유색인종, 저소득층, 지적 장애인 등 특정 집단의 출산을 제한하기 위해 시행되기도 했다.[41] 여러 연구에 따르면, 백인이나 고소득층에 비해 사회적으로 소외된 지역 사회 구성원들에게 LARC 시술이 과도하게 권장되는 경향이 나타났다.[42]

20세기 우생학 운동의 영향으로 미국 32개 주에서는 약 6만 명이 주 정부의 승인 하에 강제 불임 수술을 받았으며, 이는 1930년대와 1940년대에 가장 빈번하게 이루어졌다.[43] 비교적 최근인 1997년부터 2010년 사이에도 캘리포니아 교도소에서 1,000명이 넘는 여성들이 자신의 의사와 무관하게 불임 수술을 받은 사례가 보고되었다.[44] 미국의 메디케이드 법 등을 통해 원치 않는 영구적 피임을 막기 위한 일부 규정이 마련되었으나, 미국 대법원이 강제 불임 수술 자체를 위헌으로 판단하는 포괄적인 판결을 내린 적은 없다.[45]

강제 불임 수술 프로그램이나 관련 정부 정책은 개인의 자유로운 동의 없이 외과적 불임 시술을 강요하는 시도를 의미한다. 이러한 강제 불임 수술의 위험에 가장 많이 노출되는 이들은 주로 사회적 소외계층이다.[46] 최근에도 동유럽(로마 여성 대상)[46][47]이나 페루(1990년대 원주민 여성 대상)[48] 등지에서 강제 불임 수술 사례가 발생했다. 중국의 한 자녀 정책은 인구 증가를 억제하기 위한 정책이었으나, 일부 사례에서는 강제 불임 수술이 동반되기도 했다. 우즈베키스탄에서는 정부가 여성의 자궁을 적출하는 방식으로 강제 불임 수술을 시행해 온 사실이 알려졌다.[117]

또한, 강간으로 인한 임신 문제도 가족계획과 관련된 윤리적 논쟁의 대상이 된다. 강간은 전쟁 중 성폭행, 강제 매춘, 부부 강간 등 다양한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르완다에서는 대학살 기간 중 발생한 성폭력으로 인해 2,000명에서 5,000명 사이의 아동이 태어난 것으로 국가인구청이 추산했으며, 피해자 단체는 그 수가 10,000명이 넘는다고 주장하기도 했다.[49]

한편, 가족계획은 여성의 출산 부담을 줄여 경제적 자립 가능성을 높이는 등 사회 변화를 가져왔다. 일부 사회 보수주의자들은 이러한 변화가 전통적인 성 역할과 가족 구조를 약화시킨다고 보아 가족계획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하기도 한다. 이들은 종교적 가치나 가족 제도의 쇠퇴를 이유로 들기도 하지만, 한스 로슬링은 그의 저서 팩트풀니스에서 이러한 주장이 종교나 가족 가치보다는 '가부장적 가치'에 기반한 것이라고 지적했다.[130]

8. 세계 피임의 날

World Contraception Day영어은 매년 9월 26일로, '모든 임신이 원하는 임신이 되는 세상'을 만들자는 비전을 가지고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는 캠페인이다.[132] 이 날은 젊은이들이 성과 생식 건강 및 권리에 대해 충분히 정보를 얻고 올바른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피임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피임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알리고 성 및 생식 건강 교육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행사들이 지역별로 개최된다.[132]

이 캠페인은 여러 국제 비정부 기구(NGO)의 지원을 받고 있다.

세계 피임의 날 지원 국제 NGO 단체[132]

단체명
아시아 태평양 피임위원회
중남미 여성 건강 센터 (Centro Latinamericano Salud y Mujeres)
유럽 피임 및 생식 건강 학회
세계 인구 재단(German Foundation for World Population)
국제 소아 청소년 부인과 연맹
국제 계획된 부모 연맹
마리 스톱스 인터내셔널
국제 인구 서비스
인구위원회 (The Population Council)
미국 국제개발처 (USAID)
위민 딜리버(Women Deliver)


9. 전망

안전하고 자발적인 가족계획에 대한 접근은 기본적인 인권으로 간주되며, 성평등, 여성의 역량 강화 및 빈곤 감소 노력의 중심에 있다. 지난 50년간 권리에 기반한 가족계획은 빈곤의 악순환을 끊는 데 기여하며 수백만 명의 여성과 어린이의 생명을 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51] 유엔 인구기금(UNFPA)을 비롯한 국제 사회는 1994년 국제인구개발회의 행동계획을 통해 모든 부부와 개인이 자유롭고 책임감 있게 자녀의 수와 출산 간격을 결정하고, 이를 위한 정보, 교육 및 수단을 가질 기본적인 권리가 있음을 확인했다.[51] 이러한 접근은 유엔 밀레니엄 개발 목표(MDGs)를 계승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에도 핵심적인 요소로 작용한다.[51]

하지만 여전히 전 세계적으로, 특히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약 2억 1,400만 명에서 2억 2,500만 명에 달하는 여성이 임신을 원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정보 부족, 서비스 접근성 제한, 사회문화적 장벽, 배우자나 지역사회의 지지 부족 등 다양한 이유로 안전하고 효과적인 현대 피임법을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61][51] 이러한 '미충족 수요'는 지구상에서 가장 가난한 69개국에 집중되어 있다.[51]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현대 피임법에 대한 접근성을 보장하면 원치 않는 임신(약 5,400만 건), 계획되지 않은 출산(약 2,100만 건), 낙태(약 2,600만 건, 이 중 절반은 안전하지 않음), 유산(약 700만 건)을 예방할 수 있으며, 나아가 연간 약 7만 9,000건의 산모 사망과 110만 건의 영아 사망을 막을 수 있다.[52][24][62] 가족계획 2020(FP2020)과 같은 국제적인 파트너십은 각국 정부와 협력하여 피임 정보 및 서비스 접근에 대한 정책, 자금 조달, 제공 및 사회문화적 장벽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38][39]

가족계획은 기후변화 완화와도 연관성이 있다. 인구 규모가 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이므로,[53] 자발적인 가족계획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것은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효과적인 전략으로 평가받고 있다. 프로젝트 드로다운 연구에서는 가족계획을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해결책 중 7번째로 꼽기도 했다.[54]

한편, COVID-19 팬데믹과 같은 전 세계적인 위기 상황은 가족계획 서비스 제공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봉쇄 조치와 의료 시스템 중단은 피임법 접근성을 떨어뜨려 원치 않는 임신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131] 한 연구에 따르면, 114개 저소득 및 중간소득 국가에서 팬데믹 관련 서비스 중단이 6개월간 지속될 경우 약 4,700만 명의 여성이 현대 피임법을 이용하지 못하게 되고, 추가적으로 700만 건의 원치 않는 임신이 발생할 수 있다고 추정했다.[131] 이는 위기 상황에서도 지속적인 가족계획 서비스 접근성을 보장하는 시스템 구축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앞으로 가족계획은 개인의 선택과 권리를 최우선으로 존중하면서도, 사회적 형평성과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국제적인 협력과 각국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통해 모든 사람이 필요로 하는 가족계획 정보와 서비스를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노력이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참조

[1] 웹사이트 What services do family planning clinics provide? http://www.nhsdirect[...] NHS 2008-03-08
[2] 웹사이트 National Child Abuse and Neglect Data System Glossary https://www.acf.hhs.[...] 2000-01-01
[3] 웹사이트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https://web.archive.[...] 2019-10-30
[4] 웹사이트 Family planning https://www.unfpa.or[...]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2018-03-06
[5] 논문 Family planning funding cuts and teen childbearing http://www.sciencedi[...] 2017-09-01
[6] 논문 Investigating recent trends in the U.S. teen birth rate https://doi.org/10.1[...] 2015-01-01
[7] 논문 The Impact of Women's Health Clinic Closures on Fertility http://www2.ku.edu/~[...] 2018-06-28
[8] 논문 Recommendations to improve preconception health and health care — United States: A report of the CDC/ATSDR Preconception Care Work Group and the select panel on Preconception Care http://www.famplan.o[...]
[9] 웹사이트 Expenditures on Children by Families, 2007; Miscellaneous Publication Number 1528-2007 http://www.cnpp.usd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10] 웹사이트 MsMoney.com - Marriage, Kids & College - Family Planning http://www.msmoney.c[...]
[11] 논문 The climate mitigation gap: Education and government recommendations miss the most effective individual actions 2017
[12] 웹사이트 Office of Family Planning http://www.cdph.ca.g[...] California Department of Public Health
[13] 웹사이트 Think having children will make you happy? http://thepsychologi[...] 2018-05-27
[14] 웹사이트 Linköping University https://www.iei.liu.[...] 2018-04-14
[15] 웹사이트 92 percent of families with adopted children are satisfied with their decision https://phys.org/new[...]
[16] 웹사이트 Family planning/Contraception https://www.who.int/[...] 2018-03-06
[17] 웹사이트 Country Comparison: Maternal Mortality Rate https://web.archive.[...]
[18] 웹사이트 Maternal mortality https://www.who.int/[...]
[19] 웹사이트 Maternal Mortality Rates in the United States, 2021 https://www.cdc.gov/[...] 2023-03-16
[20] 웹사이트 Healthy Timing and Spacing of Pregnancy: HTSP Messages http://www.esdproj.o[...] USAID 2008-05-13
[21] 논문 Family Planning and the Burden of Unintended Pregnancies
[22] 논문 Average charges for uncomplicated vaginal, cesarean and VBAC deliveries: Regional variations, United States, 1996
[23] 웹사이트 Health - Women & Children Copenhagen Consensus Center http://www.copenhage[...] 2018-03-06
[24] 웹사이트 Family planning http://www.unfpa.org[...]
[25] 웹사이트 Family planning: Federal program reduced births to poor women by nearly 30 percent http://www.sampler.i[...] 2012-03-19
[26] 웹사이트 How to Adopt http://www.adoptuski[...] Adoption Exchange Association 2012-04-21
[27] 웹사이트 Birth control methods fact sheet http://www.womenshea[...] 2012-04-21
[28] 웹사이트 What is a Surrogate Mother or Gestational Carrier? http://infertilityan[...] 2012-04-21
[29] 논문 The ageing ovary and uterus: New biological insights
[30] 서적 Contraceptive technology http://www.contracep[...] Ardent Media
[31] 논문 Fertility awareness-based methods of family planning: A review of effectiveness for avoiding pregnancy using SORT
[32] 논문 Cost effectiveness of contraceptives in the United States
[33] 웹사이트 Fertility Awareness Method http://brown.edu/Stu[...] Brown University 2012-12-11
[34] 뉴스 The Impact of Multimedia Family Planning Promotion On the Contraceptive Behavior of Women in Tanzania https://www.guttmach[...] 2005-07-11
[35] 간행물 Abortion Policies and Reproductive Health around the World http://www.un.org/en[...] United Nations 2014-01-01
[36] 간행물 Family Planning Evidence Briefs https://www.popcounc[...]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7-07-11
[37] 논문 Role of voluntary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in the national family planning programme
[38] 논문 The Impact of Family Planning Programs on Unmet Need and Demand for Contraception
[39] 웹사이트 Family Planning 2020 http://www.familypla[...] 2018-03-06
[40] 웹사이트 Promises to Keep: The Toll of Unintended Pregnancies on Women's Lives in the Developing World http://www.globalhea[...] 2009-02-03
[41] 논문 Racial and ethnic differences in patterns of long-acting reversible contraceptive use in the United States, 2011–2015 2018-05
[42] 논문 Provider Bias in Long-Acting Reversible Contraception (LARC) Promotion and Removal: Perceptions of Young Adult Women 2016-11
[43] 웹사이트 Forced sterilization policies in the US targeted minorities and those with disabilities – and lasted into the 21st century https://ihpi.umich.e[...] 2022-09-12
[44] 웹사이트 Belly of the Beast: California's dark history of forced sterilizations http://www.theguardi[...] 2022-09-12
[45] 웹사이트 Could Forced Sterilization Still be Legal in the US? https://lawreview.sy[...] 2022-09-12
[46] 웹사이트 http://www.stopvaw.o[...]
[47] 뉴스 Czech regret over sterilisation http://news.bbc.co.u[...] 2009-11-24
[48] 뉴스 Peru women fight for justice over forced sterilisation https://www.bbc.co.u[...] 2011-12-06
[49] 서적 Born of War: Protecting Children of Sexual Violence Survivors in Conflict Zones Kumarian Press
[50] 문서 United Nations Data
[51] 웹사이트 Choices not chance http://www.unfpa.org[...] UNFPA
[52] 웹사이트 Family planning, health and development http://www.unfpa.org[...] UNFPA
[53] 논문 Scientists' Warning: Remove the Barriers to Contraception Access, for Health of Women and the Planet 2023-09-11
[54] 웹사이트 FAMILY PLANNING https://www.drawdown[...] Drawdown 2019-07-06
[55] 웹사이트 Socially just population policies can mitigate climate change and advance global equity https://phys.org/new[...] Oregon State University 2021-11-23
[56] 간행물 Population and Demography Perspective Paper http://www.copenhage[...] Copenhagen Consensus Center 2014-10-03
[57] 논문 The quantity-quality trade-off of children in a developing country: Identification using Chinese twins
[58] 웹사이트 Post-2015 Consensus: Population and Demography Assessment, Kohler Behrman Copenhagen Consensus Center http://www.copenhage[...] 2018-03-06
[59] 논문 The Decision to Invest in Child Quality over Quantity: Household Size and Household Investment in Education in Vietnam http://documents.wor[...] 2015-08
[60] 웹사이트 Demand for family planning satisfied by modern methods https://ourworldinda[...] 2020-03-05
[61] 웹사이트 Family planning/Contraception https://www.who.int/[...] 2018-03-06
[62] 웹사이트 Universal Access to Contraception https://www.apha.org[...] 2018-03-06
[63] 간행물 Trends in Contraceptive Use Worldwide 2015 http://www.un.org/en[...]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Population Division 2015
[64] 웹사이트 Fact Sheet: Unmet Need for Family Planning http://www.prb.org/P[...] 2018-03-07
[65] 웹사이트 Birth rate, crude (per 1,000 people) http://data.worldban[...] World Bank 2016
[66] 웹사이트 Contraceptive prevalence, any methods (% of women ages 15-49) http://data.worldban[...] World Bank 2019-08-12
[67] 웹사이트 Maternal mortality ratio (modeled estimate, per 100,000 live births) http://data.worldban[...] World Bank 2019-08-12
[68] 웹사이트 Fertility rate, total (births per woman) http://data.worldban[...] World Bank 2019-08-12
[69] 웹사이트 Mortality rate, under-5 (per 1,000 live births) http://data.worldban[...] World Bank 2019-08-12
[70] 논문 Family Planning as a Cost-Saving Preventive Health Service 2011-05
[71] 논문 Does Discussion of Family Planning Improve Knowledge of Partner's Attitude Toward Contraceptives? http://www.guttmache[...] Guttmacher Institute 2004-06-01
[72] 서적 The Royal Kingdoms of Ghana, Mali, and Songhay Life in Medieval Africa https://archive.org/[...] Macmillan
[73] 논문 China's one child family policy
[74] 서적 Cultures of the World China Marshall Cavendish International
[75] 웹사이트 Infanticides in China http://www.allgirlsa[...] All Girls Allowed 2014-03-27
[76] 웹사이트 Today's Research on Aging http://www.prb.org/p[...] Population Reference Bureau 2018-04-01
[77] 뉴스 China copes with promise and perils of one child policy http://articles.cnn.[...] CNN 2012-03-20
[78] 웹사이트 China's One Child Policy http://geography.abo[...] About.com 2014-02-04
[79] 서적 China Under Reform Mason Crest Publishers
[80] 뉴스 From One Child to Three: How China's Family Planning Policies Have Evolved https://www.nytimes.[...] 2022-09-12
[81] 뉴스 China Says It Will Allow Couples to Have 3 Children, Up From 2 https://www.nytimes.[...] 2022-09-12
[82] 뉴스 China cuts Uighur births with IUDs, abortion, sterilization https://apnews.com/2[...] 2020-08-01
[83] 논문 China forced Muslims in Xinjiang to be sterilised and have abortions, concludes tribunal https://www.bmj.com/[...] 2021-12-20
[84] 웹사이트 China's genocide against the Uyghurs, in 4 disturbing charts https://www.vox.com/[...] 2022-09-12
[85] 웹사이트 History of the Family Planning Association of Hong Kong http://www.famplan.o[...] 2009-08-31
[86] 웹사이트 History of International Planned Parenthood Federation http://www.ippf.org/[...]
[87] 서적 Socio-cultural dimensions of reproductive child health APH Publishing
[88] 서적 Encyclopedia of birth control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89] 웹사이트 India and Family Planning: An Overview http://www.searo.who[...] Department of Family and Community Health,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11-25
[90] 서적 Brothers and sisters in India: a study of urban adult sibling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91] 웹사이트 Population Trends: India https://www.census.g[...] U.S. Department of Commerce, Economics and Statistics Administration, Bureau of the Census 2009-12-05
[92] 논문 Future population and human capital in heterogeneous India 2018-08-14
[93] 웹사이트 MoHFW Home https://www.mohfw.go[...] 2022-09-11
[94] 논문 Modern contraceptive use among women in need of family planning in India: an analysis of the inequalities related to the mix of methods used 2021-08-21
[95] 논문 Family planning in India: The way forward 2018-12-01
[96] 논문 Barriers to use contraceptive methods among rural young married couples in Maharashtra, India: Qualitative findings 2015-01-01
[97] 웹사이트 MSN Encarta Encyclopedia entry on Iran - People and Society http://encarta.msn.c[...]
[98] 웹사이트 Iran tops world in birth control http://www.payvand.c[...] payvand.com 2009-04-17
[99] 뉴스 Iran urges baby boom, slashes birth-control programs https://www.usatoday[...] usatoday.com 2012-07-30
[100] 논문 Contraception and the Celtic Tiger http://www.esr.ie/Vo[...]
[101] 웹사이트 ESRI says fertility rate is greatly underestimated https://www.irishtim[...] The Irish Times 2011-12-19
[102] 논문 Population, Fertility and Family Planning in Pakistan: A Program in Stagnation http://populationact[...]
[103] 뉴스 As Pakistan's population soars, contraceptives remain a hard sell https://www.washingt[...] 2012-04-19
[104] 웹사이트 National Human Development Report Russian Federation 2008 http://hdr.undp.org/[...] UNDP
[105] 서적 Evaluation of the impact of family planning programmes on fertility: sources of variance New York: United Nations 1982-01-01
[106] 논문 Contraception and abortion
[107] 서적 Overview of Family Planning in the United States https://www.ncbi.nlm[...] National Academies Press (US) 2009
[108] 웹사이트 U.S. Office of Population Affairs — Legislation https://www.hhs.gov/[...]
[109] 웹사이트 Issues - Title X - Budget & Appropriations - National Family Planning & Reproductive Health Association https://www.national[...] 2018-03-06
[110] 뉴스 Publicly Funded Contraceptive Services at U.S. Clinics, 2015 https://www.guttmach[...] 2018-03-06
[111] 보고서 Publicly Funded Contraceptive Services At U.S. Clinics, 2015 https://www.guttmach[...] Guttmacher Institute
[112] 보고서 Public funding for family planning, sterilization and abortion services, FY 1980–2006 http://guttmacher.or[...] Guttmacher Institute
[113] 논문 Family Planning as a Cost-Saving Preventive Health Service
[114] 웹사이트 Abortion https://www.plannedp[...] Planned Parenthood Federation of America Inc. 2015-11-11
[115] 논문 Does Parents' Access to Family Planning Increase Children's Opportunities? Evidence from the War on Poverty and the Early Years of Title X 2017-10
[116] 논문 Two Thirds or Less of Black and Hispanic Women Rate Their Experiences with Family Planning Providers as "Excellent" https://www.childtre[...] 2021-06-24
[117] 뉴스 Uzbekistan's policy of secretly sterilising women https://www.bbc.com/[...] 2012-04-12
[118] 논문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considerations for the nonheterosexual population and single parents https://www.fertster[...] 2022-07-01
[119] 논문 Mapping the scientific literature on reproductive health among transgender and gender diverse people: a scoping review
[120] 논문 Assessing Transparency of Costs of Sperm Cryopreservation Across the United States https://www.fertster[...] 2020-09-01
[121] 논문 Usage and cost-effectiveness of elective oocyte freezing: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2022-08-16
[122] 논문 Access, barriers, and decisional regret in pursuit of fertility preservation among transgender and gender-diverse individuals 2021-04
[123] 논문 Reproductive health risks and clinician practices with gender diverse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2021-11
[124] 논문 Preconception, Pregnancy, Birthing, and Lactation Needs of Transgender Men https://linkinghub.e[...] 2021-04
[125] 논문 Family Planning Counseling and Preferences Among Transgender and Gender Diverse Individuals https://www.fertster[...] 2020-04-01
[126] 논문 Contraception across the transmasculine spectrum https://www.scienced[...] 2020-02-01
[127] 논문 Preconception, Pregnancy, Birthing, and Lactation Needs of Transgender Men https://pubmed.ncbi.[...] 2021-04
[128] 웹사이트 Family Planning and Reproductive Health Indicators Database — MEASURE Evaluation https://www.measuree[...]
[129] 웹사이트 Indicators - Program Evaluation - CDC https://www.cdc.gov/[...]
[130] 웹사이트 Hans Rosling, Ola Rosling, Anna Rosling Ronnlund: Factfulness; Ten Reasons We're Wrong About the World and Why Things Are Better Than You Think https://principus.si[...] 2020-04-17
[131] 웹사이트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Family Planning and Ending Gender-based Violence, Female Genital Mutilation and Child Marriage https://www.unfpa.or[...] 2020-04-27
[132] 웹사이트 World Contraception Day http://www.your-life[...]
[133] 뉴스 Contraception Is Not Abortion: The Strategic Campaign of Antiabortion Groups to Persuade the Public Otherwise https://www.guttmach[...] 2014-12-12
[134] 서적 アジア環境白書2000/01 東洋経済新報社
[135] 서적 みんなのセンター教科書 地理B 改訂版 旺文社
[136] 웹사이트 厚生白書(昭和33年度版) http://www.hakusyo.m[...] 厚生労働省 ""
[137] 서적 みんなのセンター教科書 地理B 改訂版 旺文社
[138] 웹사이트 http://www.asiatoday[...]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