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귀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귀손은 조선 성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사복시정을 시작으로 관직에 진출했다. 이후 사헌부집의, 동부승지, 우부승지, 홍문관 부제학 등을 거쳐 연산군 때 도승지, 경기도관찰사, 병조참판, 대사헌 등을 역임했다. 무오사화에 연루되었으며, 갑자사화 당시 연산군의 총애를 받아 우찬성, 좌찬성까지 올랐다. 우의정을 지냈으며, 허침, 신수근 등과 함께 난국을 타개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사망했다. 연산군의 총신이었지만, 절제 있는 행동으로 신망을 얻어 정승에 올랐다는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50년 출생 - 히에로니무스 보스
히에로니무스 보스는 15-16세기 네덜란드 출신 화가로, 종교적 주제를 기괴하고 환상적인 이미지로 표현하며 삼면 제단화 형식을 즐겨 사용했고, 후대 화가와 초현실주의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1450년 출생 - 존 캐벗
존 캐벗은 이탈리아 출신 탐험가로, 헨리 7세의 후원을 받아 북미 대륙을 탐험하여 뉴펀들랜드에 상륙, 영국령을 선포했으며, 1498년 탐험 중 실종되었다. - 1505년 사망 - 에르콜레 1세 데스테
에르콜레 1세 데스테는 1471년 페라라 공작이 되어 베네치아 공화국과의 전쟁, 이탈리아 전쟁 등에 연루되었으며, 르네상스 시대 예술을 후원하고 도시 개발에 힘쓴 인물이다. - 1505년 사망 - 프랑스의 잔
프랑스의 잔은 프랑스의 공주이자 성녀로, 정치적 목적으로 루이 12세와 결혼했으나 이혼 후 수녀회를 설립했으며 사후 시성되었다. - 진주 강씨 - 강만수
강만수는 행정고시 수석 합격 후 경제 부처 요직을 거쳐 IMF 외환위기 당시 금융 제도 개편에 참여하고 이명박 정부에서 기획재정부 장관을 역임하며 '대한민국 747' 비전을 주도한 경제관료 출신 정치인이다. - 진주 강씨 - 강기정
강기정은 전남대학교 총학생회장 출신으로 삼민투 위원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국회의원과 문재인 정부 초대 정무수석비서관을 거쳐 현재 광주광역시장을 역임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와 5·18 민주화운동 정신 계승에 힘쓰고 있다.
강귀손 |
---|
2. 생애
강귀손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다. 성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쳐 연산군 때 우의정까지 올랐으나, 허침, 신수근 등과 난국을 바로잡으려다 실패하고 사망했다.[1]
2. 1. 관직 진출과 정치 활동
성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사복시정이 되고 이후 사헌부집의로 승진한다. 경차관으로 파견되어 민심을 다스리다가 동부승지를 거쳐 우부승지가 되고 연이어 홍문관부제학으로 참찬관을 겸한다. 좌부승지와 우승지를 거쳐 연산군 때 도승지로 승진, 경기도관찰사로 외직에 있으며 민정을 다스리다가 병조참판을 거쳐 사헌부대사헌으로 승진한다. 무오사화 당시 노사신, 신승선, 한치형, 윤필상, 정문형, 어세겸, 이세좌, 이극균 등과 함께 사화를 주관했고 대사헌으로써 무오사화에 관여했다. 형조판서로 승진, 산릉도감제조를 겸하다 한성부판윤과 도총관을 거쳐 이조판서가 되고 영의정을 하던 한치형이 죽자 후임 영의정인 성준과의 친분으로 병조판서로 임명되었다. 갑자사화로 연산군의 총애를 받아 우찬성이 되고 곧 좌찬성까지 승진한다. 춘추관당상과 사복시제조를 겸하다 곧 우의정이 되고 허침, 신수근, 박숭질, 김수동 등과 난국을 바로 잡으려 했지만 실패하고 결국 사망한다.2. 2. 연산군 시대의 활동
성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사복시정이 되고 이후 사헌부집의로 승진하였다. 경차관으로 파견되어 민심을 다스리다가 동부승지를 거쳐 우부승지가 되고, 홍문관부제학으로 참찬관을 겸하였다. 좌부승지와 우승지를 거쳐 연산군 때 도승지로 승진, 경기도관찰사로 외직에 있으며 민정을 다스리다가 병조참판을 거쳐 사헌부대사헌으로 승진하였다. 무오사화 당시 노사신, 신승선, 한치형, 윤필상, 정문형, 어세겸, 이세좌, 이극균 등과 함께 사화를 주관했고 대사헌으로써 무오사화에 관여했다.[1] 형조판서로 승진, 산릉도감제조를 겸하다 한성부판윤과 도총관을 거쳐 이조판서가 되었다. 영의정을 하던 한치형이 죽자 후임 영의정인 성준과의 친분으로 병조판서로 임명되었다.[1] 갑자사화로 연산군의 총애를 받아 우찬성이 되고 곧 좌찬성까지 승진하였다.[1] 춘추관당상과 사복시제조를 겸하다 우의정이 되었으나, 허침, 신수근, 박숭질, 김수동 등과 난국을 바로 잡으려 했지만 실패하고 결국 사망한다.[1]2. 3. 사망
우의정 재임 중 허침, 신수근, 박숭질, 김수동 등과 난국을 바로잡으려 했으나 실패하고 사망하였다.[1]3. 평가
강귀손은 연산군의 총애를 받은 총신이지만, 절제 있는 행동으로 조정의 신망을 얻어 정승까지 올랐다는 평가를 받는다. 임사홍, 유자광과는 달리 절제 있고 도를 잘 지켜 조정과 백성의 신망을 얻었다.[1]
3. 1. 긍정적 평가
연산군의 총신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절제 있는 행동으로 조정의 신망을 얻어 정승까지 올랐다는 평가를 받는다. 임사홍, 유자광과는 달리 절제 있고 도를 잘 지켜 조정과 백성의 신망을 얻었다는 기록이 있다.[1]3. 2. 부정적 평가
무오사화에 관여한 점은 비판받을 여지가 있다. 연산군의 총신으로서 갑자사화 등 폭정에 적극적으로 제동을 걸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4. 가족 관계
강귀손은 명문가 출신으로, 소헌왕후와 인척 관계이며 여러 명문가와 혼인 관계를 맺었다. 조부는 강석덕, 아버지는 강희맹이다. 어머니는 순흥 안씨이며, 외조부는 안숭효이다. 심온의 외손자이기도 하다.
남동생은 강학손이며, 여동생들은 창녕 성씨 성세명, 김성동[1], 고령 신씨 신렴, 안동 권씨 권만형과 혼인하였다. 부인은 은진 송씨(송요년의 딸)이다.
4. 1. 가계
항목 | 내용 |
---|---|
조부 | 강석덕 |
조모 | 청송 심씨 (심온의 딸) |
백부 | 강희안 |
외조부 | 안숭효 |
외조모 | 한산 이씨 (이숙묘의 딸) |
부친 | 강희맹 |
모친 | 순흥 안씨 |
남동생 | 강학손 |
여동생 | 창녕 성씨 성세명의 처 |
여동생 | 김성동의 처[1] |
여동생 | 고령 신씨 신렴의 처 |
여동생 | 안동 권씨 권만형의 처 |
부인 | 은진 송씨 (송요년의 딸) |
장녀 | 기진의 처 |
차녀 | 이돈의 처[2] |
양자 | 강태수 (강학손의 3남) |
4. 2. 혼인
宋遙年|송요년중국어의 딸 은진 송씨와 혼인하였다.[1] 슬하에 딸만 둘을 두었는데, 장녀는 기진에게, 차녀는 이돈에게 출가시켰다.[2] 동생 강학손의 아들 강태수를 양자로 들였다.[1]참조
[1]
문서
김질의 아들
[2]
문서
후령군의 서손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