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강덕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덕경은 1929년 경상남도 진주시에서 태어나, 14세에 일본으로 건너가 강제 징용과 일본군 '위안부' 피해를 겪었다. 1946년 귀국 후, '위안부' 경험으로 인한 건강 악화와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도 일본 정부의 사과를 요구하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활동을 펼쳤다. 1991년 김학순의 증언 이후 나눔의 집에서 생활하며 증언 활동을 시작했고, 수요집회 참여, 국제 연대 활동, 예술 작품 활동 등을 통해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였다. 1997년 폐암으로 사망했으며, 2015년에는 그녀의 말년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가 공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활동가 - 한비야
    한비야는 여행가, 국제구호활동가, 작가, 교육자, 사회 활동가로, 여러 저서를 출간하고 강연하며, 월드비전에서 구호 활동을 펼치고, 이화여자대학교 초빙교수를 역임하며 월드비전 세계시민학교를 설립했다.
  • 대한민국의 활동가 - 김순덕 (1921년)
    김순덕은 일제강점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로서, 간호사 모집에 속아 중국 상하이에서 위안부 생활을 한 후 해방 후 위안부 문제 해결 활동에 참여하며 그림과 증언으로 자신의 경험을 알리고 관련 문제에 대한 국제적 인식을 높이는 데 기여한 화가이다.
  • 일본군 위안부 - 하타 이쿠히코
    하타 이쿠히코는 일본의 역사학자로, 일본 근현대사와 군사 및 전쟁사를 연구하며 난징 대학살,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 논쟁적인 주제에 대해 실증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다수의 저서를 저술하여 일본 내외에서 다양한 평가를 받고 여러 상을 수상했다.
  • 일본군 위안부 -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1990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시민단체로, 피해자 지원, 수요시위, 국제 연대 활동 등을 전개하며 일본 정부의 사과와 배상을 촉구하고 전쟁과 여성인권센터 및 박물관 건립 등의 활동을 펼쳤으며 정의기억연대로 통합되었다.
  • 1997년 사망 - 이호 (법조인)
    이호는 일제강점기 일본 유학 후 법조인으로 활동하며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법무부 장관, 내무부 장관, 주일본 대사 등을 역임하고 12·12 군사 반란 이후 국가보위입법회의 의장을 지냈다.
  • 1997년 사망 - 덩샤오핑
    덩샤오핑은 마오쩌둥 사후 중국 최고지도자가 되어 개혁개방 정책을 추진, 중국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나 톈안먼 사건 무력 진압 등 비판도 받으며, 실사구시와 선부론을 통해 실용주의 노선을 추구하고 일국양제 원칙을 제시한 중국의 정치가이자 개혁가이다.
강덕경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글 이름강덕경
한자 이름姜徳景
로마자 표기Gang Deok-gyeong
출생1929년
출생지일본 제국 경상남도 진주시
사망1997년 2월 2일 (68세)
사망 원인폐암
국적대한민국
직업화가, 인권운동가
경력
주요 활동정신대 문제 대책 협의회 활동

2. 생애

강덕경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로서, 해방 이후에도 고통스러운 삶을 살았다. '위안부' 경험으로 인한 신체적, 정신적 후유증은 평생 그녀를 괴롭혔다.


  • 귀환과 고난: 1946년 1월, 한국 해방 1년 만에 귀국했지만, 아기를 낳아 집에 돌아온 그녀를 어머니는 받아주지 않았다. 결국 부산의 가톨릭 고아원에 아기를 맡길 수밖에 없었다.
  • 아이의 죽음: 부산의 식당에서 일하던 중, 아이를 찾으러 갔지만 폐렴으로 사망했다는 소식을 듣는다. 강덕경은 "아이의 모습을 실제로 본 것도 아니기 때문에 지금까지도 그 말이 믿어지지가 않는다"라며 깊은 슬픔을 표현했다.[19]
  • 건강 문제: '위안부' 경험으로 인해 생식 기관이 손상되었고, 평생 동안 의료비로 대부분의 돈을 지출해야 했다.[20]
  • 사망: 오랜 투병 끝에 1997년 폐암으로 사망했다.[21]


강덕경의 삶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이 겪어야 했던 고통과, 해방 이후에도 계속된 아픔을 보여준다.

2. 1. 어린 시절과 강제 동원

강덕경은 1929년 경상남도 진주시에서 태어났다. 어렸을 때 아버지가 돌아가셨고 어머니는 재혼하여 할머니 집에서 살았다.[16] 1944년 요시노 학교 재학 중이던 14살 때, 일본인 교사가 후지코시 군수공장에서 일하도록 권유했다. 강덕경은 "우리 일본인 선생님이 돈 벌 수 있다고 꼬드기는 바람에 좋다고, 부산에서 150명이 연락선을 탔지요."라고 증언했다.[17] 7개월 뒤, 배고픔을 피해 탈출했다가 붙잡혀 일본군 '위안부' 생활이 시작되었다.[18]

2. 2. '위안부' 피해

강덕경은 1929년 경상남도 진주시에서 태어났다. 어렸을 때 아버지가 돌아가셨고 어머니는 재혼하여 할머니 집에서 살았다.[16] 1944년 요시노 학교 재학 중이던 14살 때 일본인 교사가 후지코시 군수공장에서 일하도록 권유했다. 강덕경은 "우리 일본인 선생님이 돈 벌 수 있다고 꼬드기는 바람에 좋다고, 부산에서 150명이 연락선을 탔지요."라고 증언했다.[17] 7개월 뒤 배고픔을 피해 탈출했다가 붙잡혀 일본군 성노예 생활이 시작되었다.[18]

1946년 1월, 한국 해방 1년 만에 귀국했다. 그동안 아기를 낳아 집으로 데려왔지만 어머니에게 쫓겨났다. 부산의 가톨릭 고아원에 아기를 맡기기로 결심하고, "그때 아이에 대한 애정이 하나도 없었다"고 말했다.[19] 부산의 식당에서 일하다가 아이를 찾아갔지만 폐렴으로 죽었다는 소식만 들었다. "내가 아이의 모습을 실제로 본 것도 아니기 때문에 지금까지도 그 말이 믿어지지가 않는다"고 말했다.[19] '위안부' 경험은 평생 동안 건강 문제도 남겼다. 생식 기관이 손상되어 평생 대부분의 돈을 의료비로 쏟아 부었다.[20]

그녀는 일본인 남성 교사가 후지코시 비행기 공장에 들어가 일할 것을 권유했을 때 요시노 학교의 14세 학생이었다. 그는 괜찮고 돈도 잘 버는 직업이라고 말했다. 강덕경은 "일본인 선생님들이 돈을 벌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말해서 부산에서 150명이 배를 탔다"고 말했다.[4] 결국 힘든 노동 환경과 굶주림에 시달리다 1944년 후지코시 비행기 공장을 떠났다. 몇 달 후, 15세의 나이에 한밤중에 군인에게 붙잡혀 끌려갔다. 이것이 그녀의 군사화된 성 노예로서의 삶의 시작이었다.[5]

1946년 1월, 한국이 해방된 지 1년 만에 고향으로 돌아왔다. 이 시기에 그녀는 아기를 낳기도 했다. 아이를 데리고 귀가한 강덕경은 어머니에게 집에서 쫓겨났다. 변변한 지원을 받지 못한 강덕경은 아기를 부산의 가톨릭 고아원에 맡기기로 결정했다. "그 당시에는 아이에게 아무런 애정이 없었다"고 말했다.[6] 그녀의 아이에 대한 감정은 결국 바뀌었다. 부산의 한 식당에서 일하다가 어느 날 아이를 보러 갔지만, 아이가 죽었다는 소식을 들었다. 아이의 사망 원인은 폐렴이었고 시신 확인도 허락되지 않았다. "아직도 믿을 수 없다. 아이를 실제로 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그때부터 나는 비통함에 빠졌다"고 말했다.[6]

강덕경의 증언에 따르면,[12] 1943년(15세)에 선생님의 권유로 여자정신대로 일본으로 건너가 도야마현의 후지코시 공장에서 선반공으로 일했다. 급료는 예금해 둔다는 이유로 받지 못했다. 3, 4개월 후 식사가 부족하여 배고픔에 못 이겨 도망가려다 다시 잡혀왔다. 다시 2, 3개월 후 도망쳤다가 팔에 완장을 차고 어깨에 별이 3개 달린 "고바야시"라는 헌병에게 붙잡혀 트럭에 태워져 산 속에서 강간당했다. 다시 트럭으로 이동하여 작은 부대 부속 텐트에서 다른 여자들과 함께 4개월 동안 매일 밤 강간을 당했다. 4개월 후 다시 "고바야시"에 의해 트럭으로 이동, 밭이 펼쳐진 곳의 큰 부대에 20명 정도의 여자가 있는 위안소에서 병사들을 상대하게 되었다. 또한 방공호 안에서도 병사들을 상대하게 되었다. 지명을 물으니 마츠야마 혹은 마츠시로(마츠시로 대본영으로 추정)라고 들었다. 병사 "고바야시"는 천황 폐하가 피난 올 곳이라고 말했다. 1945년 어느 날, 우는 소리가 들려 종전이 되었다. 오사카로, 더 나아가 후시키의 조선인 부락으로 이동하여 그곳 사람들과 함께 조선으로 귀환했다.

2. 3. 해방 이후의 삶

강덕경은 1946년 1월, 한국 해방 1년 만에 귀국했다. 아기를 낳아 집으로 데려왔지만 어머니에게 쫓겨나, 부산의 가톨릭 고아원에 아기를 맡겼다. 강덕경은 “그때 아이에 대한 애정이 하나도 없었다”고 말했다.[19] 이후 부산의 식당에서 일하다가 아이를 찾아갔지만 폐렴으로 죽었다는 소식만 들었다. 강덕경은 “내가 아이의 모습을 실제로 본 것도 아니기 때문에 지금까지도 그 말이 믿어지지가 않는다”고 말했다.[19] 위안부 경험은 강덕경에게 평생 동안 건강 문제를 남겼다. 생식 기관이 손상되어 평생 대부분의 돈을 의료비로 쏟아 부었다.[20]

강덕경은 긴 투병 끝에 폐암으로 1997년에 사망했다.[21]

3.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활동



1991년 김학순이 자신의 경험을 공개한 후, 강덕경은 김복동, 김순덕과 함께 나눔의 집으로 이주하여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활동을 시작했다. 강덕경은 일본 정부와 군부가 '위안부' 강제 동원 사실을 부인하는 것에 분노하며, 성노예 문제와 '위안부' 여성들의 삶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노력했다.[22]

강덕경은 방송과 언론 인터뷰, 유엔 인권 이사회와 일본 의회 증언 등 국내외를 가리지 않고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또한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를 요구하며 수요집회에 꾸준히 참여했다. 건강이 악화되어 병원 치료를 받는 중에도 활동을 멈추지 않았으며, 암 투병 중에도 구급차를 타고 수요집회에 참석할 정도로 열정적이었다.[15]

강덕경은 나눔의 집에서 예술 치료를 받으며 ''빼앗긴 순정'' 등 많은 작품을 남겼다. 그녀의 작품들은 세계적으로 전시되어 '위안부' 문제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24]

3. 1. 증언과 국제 연대

1991년 김학순이 자신의 경험을 공개한 후, 강덕경도 자신의 경험을 공개적으로 말하기 시작했다. 김복동, 김순덕과 함께 나눔의 집으로 이주했다. 강덕경은 일본 정부와 군대가 자신과 다른 사람들이 '위안부'로 당한 고문에 개입한 사실을 부인하는 것에 분노했다.[22] 성노예 문제와 '위안부' 여성들의 삶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노력했다. 여러 방송과 매체 인터뷰를 통해 저항하고 관심을 촉구했다. 제네바유엔 인권 이사회와 일본 시민 단체의 초청으로 일본 의회에서 증언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23] 일본 정부로부터 법적인 사과를 강력히 요구하며 수요집회에 충실하고 열정적으로 참석했다. 전반적인 건강 상태가 나빠져 집중 치료실과 일반 병실을 오가면서도 활동을 멈추지 않았다. 1996년 암 투병 후반기에는 수요일마다 병원 구급차로 시위에 참석했다.[15]

강덕경은 나눔의 집에서 예술 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많은 작품을 남겼다. 그녀의 작품은 세계적으로 전시되어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24] ''빼앗긴 순정''을 포함한 작품 30점이 나눔의 집 전시실에 전시되었다.[25] --

3. 2. 수요집회와 예술 활동



1991년 김학순이 자신의 이야기를 공개한 직후, 강덕경도 자신의 경험에 대해 공개적으로 발언하기 시작했다. 김복동, 김순덕과 함께 나눔의 집으로 이주했다. 강덕경은 일본 정부와 군부가 자신과 다른 사람들이 '위안부'로 당한 고문에 개입한 사실을 부인하는 것에 분노했다.[22] 성노예 문제와 '위안부' 여성들의 삶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노력했다. 여러 방송과 매체 인터뷰를 통해 저항하고 관심을 촉구했다. 제네바유엔 인권 이사회와, 일본 시민 단체의 초청으로 일본 의회에서 증언하는 등 활발한 활동가 중 하나였다.[23] 일본 정부로부터 법적인 사과를 강력히 요구하며 수요집회에 충실하고 열정적으로 참석했다. 전반적인 건강 상태가 나빠져서 집중 치료실과 일반 병실을 오가면서도 활동을 멈추지 않았다. 1996년 암 투병 후반기에는 수요일마다 병원 구급차로 시위에 참석했다.[15]

강덕경은 예술 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나눔의 집에서 많은 작품을 남겼다. 그녀의 작품은 세계적으로 전시되어 '위안부'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24] ''빼앗긴 순정''을 포함한 작품 30점이 나눔의 집 전시실에 전시되었다.[25]

4. 하타 이쿠히코의 주장과 반론

진유언은 자신의 저서에서 김학순, 문옥주, 김다키미코, 강덕경, 김충심, 김순덕, 김은례, 정서운, 이용수, 김군자 등 여러 위안부 피해자들의 증언을 언급하며, 하타 이쿠히코의 주장에 대한 근거를 제시했다.[13]

4. 1. 하타 이쿠히코의 주장

진유언은 저서 『위안부와 전장의 성』(신초선서 1999)에서 도야마 지구 헌병대에 근무했던 두 사람은 헌병은 단독 행동을 하지 않고, 사이드카를 사용하며, 고바야시라는 헌병은 없었으며, 후지코시 주변에는 사창가가 있었다고 회상하며, 두 사람은 그런 일은 하지 않았다고 기록하고 있다. 따라서 '고바야시'는 헌병이 아니라 사창가와 관련이 있는 업자로 군복과 비슷한 국민복을 입고 있었을 것이라고 추정하며, 강덕경의 증언 진위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언급하지 않았다.[13]

4. 2. 비판적 관점

진유언은 저서 《위안부와 전장의 성》(신초선서, 1999)에서 당시 도야마 지구 헌병대에 근무했던 두 사람의 증언을 인용하며 강덕경의 증언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13] 증언에 따르면 헌병은 단독 행동을 하지 않고 사이드카를 사용했으며, 고바야시라는 헌병은 없었고, 후지코시 주변에는 사창가가 있었다고 한다. 따라서 '고바야시'는 헌병이 아니라 군복과 비슷한 국민복을 입은 사창가 관련 업자였을 것으로 추정했다. 다만, 강덕경 증언의 진위 여부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언급하지 않았다.

5. 다큐멘터리 영화

2015년 7월에 공개된 다큐멘터리 영화 (“기억”과 살아가다)(도이 토시쿠니 감독) 2부에서 강덕경의 말년 2년간의 삶이 기록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정대협 https://web.archive.[...] 2018-03-13
[2] 웹사이트 Northeast Asia History Network https://web.archive.[...] 2018-03-13
[3] 서적 A Collection of Paintings from Comfort Women
[4] 웹사이트 네 할머니의 증언 '일본놈들, 병든 여성 자궁을 총으로 팍 쐈어' http://www.pressian.[...] 2017-08-16
[5] 웹사이트 인권운동사랑방 - 인권하루소식내용보기 https://sarangbang.o[...] 2018-03-13
[6] 뉴스 일본군 '위안부' 이후 소녀의 50년 http://www.hankookil[...] 2018-03-13
[7] 뉴스 참세상 :: 고 강덕경 할머니가 걸어온 길 http://www.newscham.[...] 2018-03-13
[8] 뉴스 Korea's Comfort Women: The Fight to Be Heard https://lens.blogs.n[...] 2015-12-29
[9] 뉴스 나눔의 집, 정신대 강덕경할머니 별세 - 불교신문 http://www.ibulgyo.c[...] 2018-03-13
[10] 웹사이트 일제의 만행 화폭에 담아온 정신대 강덕경 화가 별세[김소영] http://imnews.imbc.c[...] 文化放送 (韓国) 1997-02-03
[11] 웹사이트 “記憶”と生きる http://www.doi-toshi[...] 土井敏邦公式ウェブサイト
[12] 문서 『破られた沈黙 写真記録 アジアの「従軍慰安婦」たち』[[伊藤孝司]]編著 [[風媒社]] 1993
[13] 문서 「幻の『従軍慰安婦』を捏造した河野談話はこう直せ!」秦郁彦 『[[諸君!]]』2007.5、『慰安婦と戦場の性』秦郁彦 新潮選書 1999、「慰安婦『身の上話』を徹底検証する--焦点は韓国から中国・インドネシアへ!」 秦郁彦 『諸君!』28(12) 1996.12
[14] 웹인용 정대협 http://www.womenandw[...] 2018-03-13
[15] 웹인용 Northeast Asia History Network http://contents.nahf[...] 2018-03-13
[16] 서적
[17] 웹인용 네 할머니의 증언 '일본놈들, 병든 여성 자궁을 총으로 팍 쐈어' http://www.pressian.[...] 2018-03-13
[18] 웹인용 인권운동사랑방 - 인권하루소식내용보기 https://sarangbang.o[...] 2018-03-13
[19] 뉴스 일본군 ‘위안부’ 이후 소녀의 50년 http://www.hankookil[...] 2018-03-13
[20] 뉴스 참세상 :: 고 강덕경 할머니가 걸어온 길 http://www.newscham.[...] 2018-03-13
[21] 웹인용 Northeast Asia History Network http://contents.nahf[...] 2018-03-13
[22] 뉴스 Korea's Comfort Women: The Fight to Be Heard https://lens.blogs.n[...] 2018-03-13
[23] 웹인용 Northeast Asia History Network http://contents.nahf[...] 2018-03-13
[24] 웹인용 Northeast Asia History Network http://contents.nahf[...] 2018-03-13
[25] 뉴스 나눔의 집, 정신대 강덕경할머니 별세 - 불교신문 http://www.ibulgyo.c[...] 2018-03-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