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강영훈 (1922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영훈은 1922년 평안북도 창성군 출생으로, 건국대학교를 졸업하고 군사영어학교를 거쳐 육군 소위로 임관했다. 한국 전쟁 참전 후 육군 중장으로 예편하여 미국에서 유학했으며, 외교관과 정치인으로 활동했다. 주 영국 대사, 바티칸 대사 등을 역임하고 제21대 국무총리를 지냈다. 총리 재임 기간 중 남북 고위급 회담을 성사시켰으며, 대한적십자사 총재, 세종연구소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창성군 출신 - 이경순 (영화 녹음기사)
    이경순은 1921년 평안북도 창성에서 태어나 1962년 한양녹음실을 설립하고 1990년대 후반까지 한양스튜디오를 운영하며 영화 《춘향전》, 《지옥화》 등의 녹음을 담당했으며, 2008년 폐암으로 사망한 대한민국의 영화 녹음기사이다.
  • 성좌 주재 대한민국 대사 - 박노영
    박노영은 대한민국 군인 출신으로, 군 주요 보직과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을 거쳐 대장으로 예편한 후 원주시장, 한국관광공사 이사장, 국방부 방산국장, 주 대만/로마 교황청 대사를 역임하며 군사, 행정, 외교 분야에서 활동한 인물이다.
  • 성좌 주재 대한민국 대사 - 성염
    성염은 대한민국의 신부이자 외교관, 대학교수로서, 가톨릭대학교에서 신학을 전공하고 교황청 한국대사를 역임했으며, 학회 및 사회단체 활동을 하며 4대강 사업과 국가정보원 여론 조작 사건에 대한 비판적 발언을 했다.
강영훈 (1922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강영훈
한글강영훈
한자
로마자 표기Gang Yeong-hun
일본어カン・ヨンフン
로마자 표기Kan Yonghun
직위
직위대한민국 국무총리
대통령노태우
임기 시작1988년 12월 16일
임기 종료1990년 12월 27일
전임이현재
후임노재봉
직위주영국 대한민국 대사, 주 아일랜드 대한민국 대사
대통령전두환
임기 시작1981년
임기 종료1984년
직위주 바티칸 대한민국 대사
대통령전두환
임기 시작1984년
임기 종료1987년
개인 정보
출생일1922년 5월 30일
출생지일제강점기 평안북도 창성군 창성면(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북도 창성군)
사망일2016년 5월 10일
사망지서울특별시
학력건국대학교,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 (문학 석사, 철학 박사)
정당민주정의당
종교불교 → 천주교(세례명: 사도요한)
본관진주(晉州)
청농(靑農, 靑儂)
신장170cm
체중65kg
친인척김웅수(손윗처남)
군사 경력
복무대한민국 육군
복무 기간1943년 ~ 1961년
계급대한민국 육군 중장
근무육군 제2보병사단, 국방부, 육군본부, 육군사관학교
지휘육군 제2보병사단장, 국방부 동원차관보(1955년), 육군본부 관리참모부장(1956년), 육군사관학교 교장(1960년~1961년)
참전한국 전쟁
서훈대한민국 국민훈장 무궁화장(1등급), 대한민국 수교훈장 흥인장(2등급), 대한민국 을지무공훈장(2등급), 비오9세 대십자훈장(GCPO), 명예 대영 제국 훈장 2등급
주요 경력
주요 경력국방부 관리국 국장
주요 경력제4대 국방부차관
주요 경력육군 제3군단 부군단장
주요 경력제15대 육군사관학교 교장
주요 경력외무부 본부 대사
주요 경력영국 주재 대한민국 대사
주요 경력유엔환경계획 한국위원회 위원장
주요 경력국무총리 서리
주요 경력제21대 국무총리
주요 경력제18대 대한적십자사 총재
주요 경력자유민주연합 특임자문위원
주요 경력세종연구소 이사장
기타 정보
웹사이트대한민국헌정회 강영훈
웹사이트대한민국헌정회 강영훈

2. 생애

1922년 5월 30일 평안북도 창성군에서 태어나 1937년 영변고등농림학교를 졸업했다. 일본만주국에서 유학하여 건국대학에 진학했으나, 재학 중 일본군 학병으로 징집되어 일본 육군 견습사관으로 복무했다. 군사영어학교 1기로 졸업 후 육군 소위로 임관하며 군 복무를 시작했고, 한국 전쟁에 참전했다. 5·16 군사 쿠데타 무렵 육군 중장으로 예편했다.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1970년대까지 유학 생활을 했다. 1978년 초 외교안보연구원장으로 외무부에 들어갔다. 1981년 1월 13일영국 대사 겸 아일랜드 대사로 발탁되었으며,[49][50] 후에 주 교황청 대사직을 역임했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회의원에 당선되었고, 같은 해 12월 16일 제21대 국무총리에 취임하여 1990년까지 역임했다. 1990년 9월 연형묵과 첫 남북 총리 회담을 성사시켰고,[41] 같은 해 10월 김일성과 단독 회담을 가졌다.[41][44]

1989년 쇼와 천황 대상례와 1990년 아키히토 즉위례에 대한민국 정부 대표로 참석했다. 1991년 대한적십자사 총재를 역임했다.[45] 2016년 5월 10일 서울대학교병원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94세였다.[49][50]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922년 5월 30일 평안북도 창성군 청산면 청룡동 34번지에서 6남매 중 한 명으로 태어났다.[25][26] 본관진주 강씨이다.[24] 서당을 거쳐 보통학교 4학년에 편입 후, 15세에 녕변 농업학교에 입학했다.[25] 평양사범학교 입학 시험에는 낙방했다.[25] 농업학교에서 실습 시간이 너무 많은 것에 대해 교장에게 항의했지만, 바뀌는 것은 없었다.[27]

1937년 영변고등농림학교를 졸업하였다.

일본 유학을 결심하고 동급생에게 편지를 보내 도움을 요청했고, 1938년 봄에 관부연락선을 타고 히로시마로 건너가 고다 중학교에 편입했다.[27] 수업 내용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노력하여 첫 기말시험에서 수석을 차지했다.[27] 1939년 일본 히로시마 다케타 중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졸업 후 최남선이 교사진으로 있는 만주국 신징 건국대학교 진학을 결심, 1941년 건국대학교 경제학과에 입학했다.[28] 건국대학교에는 민기식 등 7명의 조선 학생이 선발되었다.[28] 1943년 만주국 신징 건국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였다.

2. 2. 군 복무 및 한국전쟁 참전

1944년 1월, 강영훈은 최남선의 "독립을 위해서는 군사 지식과 무력을 제대로 이끌 수 있는 장교 양성이 중요하다"는 말에 영향을 받아 봉천의 관동군 독립보병 제138부대에 학도병으로 입대했다.[29] 1945년 7월, 만주 지역 학도병이 일본에 배치되면서 아키타현에서 종전을 맞았다.[30] 같은 해 8월 20일, 소위로 임관하고 11개월치 봉급을 받았다.[30]

1946년 군사영어학교 1기로 졸업 후 육군 소위로 임관하며(군번 10101번) 군 복무를 시작하였다.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제12연대장, 제2군단 참모장,[33] 제3군단 부군단장[34] 등을 역임했다.

1952년 주미 대한민국 대사관 무관으로 근무했고,[2] 1954년 대한민국 국방부 합동참모본부장이 되었다.[22] 1958년 미국 육군 지휘참모대학교를 졸업했다.[1]

1960년 육군사관학교 교장을 역임했으나,[5] 5·16 군사 정변에 반대하여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되었다가[4] 석방된 후, 1961년 육군 중장으로 예편했다.[3]

2. 3. 미국 유학 및 학문 활동

1962년 미국으로 건너가 뉴멕시코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학을 공부했다.[43] 1966년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5] 1970년 미국 워싱턴에서 대한민국문제연구소를 설립하고 소장을 역임했다.[1] 1973년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5]

2. 4. 외교관 및 정치 활동

1976년 귀국하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장을 역임했다.[39] 1978년 외교부 산하 훈련기관인 외교안보연구원 원장에 임명되면서 외무부에서 활동하기 시작했다.[39] 1981년 1월 13일 주 영국 대사아일랜드 대사로 발탁되었고,[49][50] 1985년에는 주 교황청 대사를 역임했다.[1]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전국구 의원으로 당선되었다.[1] 같은 해 국회 올림픽특별위원회 위원장[1] 및 민주화합추진위원회 전임위원을 역임했다.[1]

2. 5. 국무총리 재임 및 남북 관계

1988년 12월 16일, 노태우 대통령은 전두환 전 대통령과의 차별화를 위해 단행한 대대적인 개각에서 강영훈을 제21대 국무총리로 임명했다.[3] 강영훈은 1961년 박정희가 주도한 5·16 군사 정변에 반대했기 때문에 이러한 선택을 받았다.[3] 그는 온건주의자로, 이전 군사 정권에서 민간 통치로의 민주적 전환을 지지했다.[6]

강영훈 총리 재임 기간 동안, 대한민국 전역의 대학교에서는 정부가 "좌익 급진주의자"로 분류한 단체들이 정부 전복을 주장하며 정치적 폭력이 계속되었다.[7][8] 1989년 봄, 폭력 사태가 심해지자 강영훈은 이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한 책임을 물어 야당의 사퇴 요구를 수용할 의사를 밝혔다.[9]

몇 달 간의 협상 끝에, 강영훈은 북한의 연형묵 총리와 역사적인 회담을 가졌다.[10][11][12] 이 회담은 1945년 이후 양국 정부 간의 최고위급 접촉이었다. 양측 총리의 상호 방문은 한반도 긴장 완화와 궁극적인 통일을 목표로 했다.[13] 1990년 9월 5일부터 6일까지 서울에서 열린 첫 번째 회담에서 양측은 군축, 주한 미군 철수, 정치범 석방, 방문 권리, 그리고 통일 문제에 대한 우려 사항을 직접 논의했고, 회담 분위기는 우호적이었다.[14]

1990년 10월 17일부터 18일까지 평양에서 열린 두 번째 회담은 김일성과의 만남으로 이어졌다.[15] 처음에는 긍정적인 분위기였지만, 양측이 서로의 불성실함을 비난하면서 긴장이 고조되었다.[16][17] 양측은 상대방이 회담을 자신들의 정치적 의제 추진에 이용한다고 의심했다. 강영훈은 북한이 "분열을 조장하고 평화를 더욱 지연시키는 행위"를 하고 있으며, 회담을 통해 남한의 국내 문제에 간섭한다고 비난했다. 북한 대표들은 남한이 제안한 무역, 문화, 인도주의적 교류 확대에 대해 비판했다. 실질적인 합의는 없었지만, 양측은 12월 11일부터 14일까지 서울에서 다시 회담하기로 합의했다.[17] 비록 북한 관리들은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지만, 이후 몇 달 동안 축구 경기와 민속 음악 콘서트 교류가 실제로 이루어졌다.[17][18] 12월에 열린 세 번째 회담에서는 9월부터 논의되었던 "불가침 선언"에 대한 타협점을 찾지 못했지만,[19] 양측은 이듬해 2월에 다시 회담을 계속하기로 합의했다.[18]

2. 6. 퇴임 이후 활동

강영훈은 국무총리 퇴임 이후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을 이어갔다.

  • 1991년: 도산 안창호 선생 기념사업회 회장(~2000년) 및 대한적십자사 총재(~1997년)를 맡았다. 대한적십자사 총재로서 북한의 극심한 기근 시기 남북 협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22] 대한민국의 유엔 가입 지지를 얻기 위해 중동 외교 순방에 나섰다.[21] 육당 최남선 선생 기념사업회 회장(~2000년), 국제적십자평화위원회 위원(~1997년), 한국행정연구원 이사장(~1993년)도 역임했다.
  • 1992년: 일하는보람상 위원장(~1997년), 도산아카데미연구원 고문(~2002년), 올림픽기념사업추진위원회 위원장(~2001년), 한국신장재단 명예 이사장(~1995년), 안중근 의사 기념사업추진위원회 고문(~1993년)을 역임했다.
  • 1993년: 운경재단 이사장(~1998년), 1백년계획 천진암대성당 건립위원회 위원장(~1994년), 공동체의식개혁 국민운동협의회 창립준비위원회 고문(~1994년), 세종연구소 이사장(~2000년), 엑스포지원 중앙협의회 회장(~1994년), "세계를 깨끗이, 한국을 깨끗이"운동 조직위원회 위원장(~1997년), 대한에이즈협회 회장(~1997년), 한국정치발전연구회 고문을 역임했다.
  • 1994년: 한국골수은행협회 회장(~1997년), 한국자원봉사단체협의회 의장(~1997년), 철기 이범석 장군 기념사업회 회장(~2002년), 사단법인 고려숭의회 명예총재(~2000년), 신사회공동선운동연합 고문, 북조선인권개선운동본부 고문, 석오 이동녕 선생 기념사업회 회장(~2000년), 해외동포모국방문후원회 회장(~2001년)을 역임했다.
  • 1995년: 대한자원봉사포럼 고문(~1997년), 한국자원봉사단체협의회 회장(~1997년), 전국자원봉사대축제 심사위원장을 역임했다. 엘리자베스 2세 여왕으로부터 명예 기사단장(KBE) 칭호를 받았다.[22]
  • 1996년: 재단법인 육사발전기금 이사장(~1999년), 육중회 회장(~2000년), 월드컵 남북공동개최 범국민운동본부 고문(~2000년), 청소년적십자사 총재(~2002년), 과소비추방범국민운동본부 대표고문, 유엔 환경 계획(UNEP) 대한민국 위원회 총재, 소죽 임병직 선생 추모위원회 위원장(~2001년), 인촌상 운영위원장(~1998년), 세계환경의날 행사 추진위원회 공동위원장(~1997년), 한중청년학술상위원회 선정위원장(~1997년), 김순권 박사 노벨상수상 추진위원회 상임공동대표(~1997년), 사랑의 실천 국민운동본부 대표고문을 역임했다.
  • 1997년: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특임초빙교수(~1998년), 재단법인 세종재단 이사장(~2000년), 호암 이병철선생 10주기 추모위원회 위원장(~1997년)을 역임했다.
  • 1998년: 선진경제사회시민연대회의 의장(~1999년), 한우리나라사랑모임 총재(~2001년), 생명의 숲 가꾸기 국민운동 고문, 흥사단 명예단우, 한국정보문화운동협의회 회장(~1999년), 정부수립50주년 기념사업위원회 위원장(~1999년), 예술의 전당 자문위원(~2000년, 1998년 예술의 전당 자문위원회 위원장 이임), 평화와 통일을 위한 복지기금 이사장(~2000년), 제2건국 범국민추진위원회 고문(~2000년), 산업보국경영대장 추대위원회 위원(~2001년), 사회복지법인 전국공동모금회 회장(~1999년)을 역임했다.
  • 1999년: 운석 장면 선생 기념사업회 이사장을 역임했다.
  • 2002년: 바른 사회를 위한 시민회의 고문, UNEP한국위원회 총재를 역임했다.
  • 2007년: 21세기 율곡포럼 명예 이사장을 역임했다.

2. 7. 사망

2016년 5월 10일 서울대학교병원에서 老患|노환중국어으로 별세했다. 향년 94세.[49][50]

3. 학력

연도학교학위
1939년일본 히로시마 다케타 중고등학교졸업
1943년만주국 신징 건국대학교 경제학학사
1946년군사영어학교 1기졸업
1958년미국 육군참모대학교학사
1966년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 대학원정치학 석사
1972년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 대학원정치학 박사



1937년 평안북도 영변고등농림학교를 거쳐[25], 1939년 일본 히로시마 다케타 중고등학교를 졸업했다. 1941년 건국대학교에 입학하여 7명의 조선 학생 중 한 명으로 선발되었으며, 민기식 등이 함께 했다.[28] 1943년 만주국 신징 건국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29], 1946년 군사영어학교 1기를 졸업했다. 1958년 미국 육군참모대학교를 졸업하고[1], 1962년 뉴멕시코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학을 공부했다. 1966년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 학위를 받고[5], 1972년 같은 대학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5]

3. 1. 명예 박사 학위


4. 주요 경력

연도경력
1948년국방부 장관 비서실장[31]
1949년육군본부 인사국 차장, 육군 제1사단 제12연대장
1950년육군본부 정훈국 차장
1951년국방부 경리국 국장, 국방부 관리국 국장, 육군 제3군단 부군단장
1952년주미 대한민국 대사관 부무관[36]
1953년국방부 차관,[37] 육군 제2사단장
1954년연합참모본부 기획관리참모국 국장, 연합참모본부장[38]
1955년국방부 동원차관보
1956년육군본부 관리참모부 부장
1959년육군 제6군단장[40]
1960년제15대 육군사관학교 교장
1961년육군 중장 예편 (5월 19일). 5·16 군사 정변 참여를 거부하여 서대문형무소에 수감[41]되었다가 석방[42]
1970년미국 워싱턴 대한민국문제연구소 소장
1977년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원장
1978년제9대 외교안보연구원 원장
1981년영국 주재 대한민국 대사
1983년영국 주재 대한민국 대사 겸 아일랜드 주재 대한민국 대사
1985년바티칸 로마 교황청 주재 대한민국 대사
1987년외무부 본부 대사
1988년제13대 민주정의당 전국구 국회의원, 국회 올림픽특별위원회 위원장, 민주화합추진위원회 전임위원, 국무총리 서리, 제21대 국무총리
1990년도덕정치국민운동연합 상임고문
1991년도산 안창호 선생 기념사업회 회장 (2000년 퇴임), 대한적십자사 총재 (1997년 퇴임),[45] 육당 최남선 선생 기념사업회 회장 (2000년 퇴임), 국제적십자평화위원회 위원 (1997년 퇴임), 한국행정연구원 이사장 (1993년 퇴임)
1992년일하는보람상 위원장 (1997년 퇴임), 도산 아카데미 연구원 고문 (2002년 퇴임), 올림픽기념사업추진위원회 위원장 (2001년 퇴임), 한국신장재단 명예 이사장 (1995년 퇴임), 안중근 의사 기념사업추진위원회 고문 (1993년 퇴임)
1993년운경재단 이사장 (1998년 퇴임), 1백년계획 천진암대성당 건립위원회 위원장 (1994년 퇴임), 공동체의식개혁 국민운동협의회 창립준비위원회 고문 (1994년 퇴임), 세종연구소 이사장 (2000년 퇴임), 엑스포지원 중앙협의회 회장 (1994년 퇴임), "세계를 깨끗이, 한국을 깨끗이"운동 조직위원회 위원장 (1997년 퇴임), 대한에이즈협회 회장 (1997년 퇴임), 한국정치발전연구회 고문
1994년한국골수은행협회 회장 (1997년 퇴임), 한국자원봉사단체협의회 의장 (1997년 퇴임), 철기 이범석 장군 기념사업회 회장 (2002년 퇴임), 사단법인 고려숭의회 명예총재 (2000년 퇴임), 신사회공동선운동연합 고문, 북조선인권개선운동본부 고문, 석오 이동녕 선생 기념사업회 회장 (2000년 퇴임), 해외동포모국방문후원회 회장 (2001년 퇴임)
1995년대한자원봉사포럼 고문 (1997년 퇴임), 한국자원봉사단체협의회 회장 (1997년 퇴임), 전국자원봉사대축제 심사위원장, 자유민주련합 특임자문위원 (1996년 퇴임)
1996년재단법인 육사발전기금 이사장 (1999년 퇴임), 육중회 회장 (2000년 퇴임), 월드컵 남북공동개최 범국민운동본부 고문 (2000년 퇴임), 청소년적십자사 총재 (2002년 퇴임), 과소비추방범국민운동본부 대표고문, 유엔환경계획 대한민국 위원회 총재, 소죽 임병직 선생 추모위원회 위원장 (2001년 퇴임), 인촌상 운영위원장 (1998년 퇴임), 세계환경의날 행사 추진위원회 공동위원장 (1997년 퇴임), 한중청년학술상위원회 선정위원장 (1997년 퇴임), 김순권 박사 노벨상수상 추진위원회 상임공동대표 (1997년 퇴임), 사랑의 실천 국민운동본부 대표고문
1997년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특임초빙교수 (1998년 퇴임), 재단법인 세종재단 이사장 (2000년 퇴임), 호암 이병철선생 10주기 추모위원회 위원장 (1997년 퇴임)
1998년선진경제사회시민연대회의 의장 (1999년 퇴임), 한우리나라사랑모임 총재 (2001년 퇴임), 생명의 숲 가꾸기 국민운동 고문, 흥사단 명예단우, 한국정보문화운동협의회 회장 (1999년 퇴임), 정부수립50주년 기념사업위원회 위원장 (1999년 퇴임), 예술의 전당 자문위원 (1998년 예술의 전당 자문위원회 위원장 이임), 예술의 전당 자문위원회 위원장 (2000년 퇴임), 평화와 통일을 위한 복지기금 이사장 (2000년 퇴임), 제2건국 범국민추진위원회 고문 (2000년 퇴임), 산업보국경영대장 추대위원회 위원 (2001년 퇴임), 사회복지법인 전국공동모금회 회장 (1999년 퇴임)
1999년운석 장면 선생 기념사업회 이사장
2002년바른 사회를 위한 시민회의 고문, UNEP한국위원회 총재
2007년21세기 율곡포럼 명예 이사장


5. 저서


  • Politics of Korean Reunification|한국 통일의 정치|Research Center for Peaceful Unification영어 - 1978
  • Soviet Deterrence Doctrine|소련의 억지 독트린영어 - 서울대출판부 - 1981
  • 《한 외교관의 영국 이야기》 - 1987
  • 《아니면 "아니오" 해야지》 - 중앙일보 - 1996
  • 《나라를 사랑한 벽창우(碧昌牛)》 - 동아일보 - 2008

6. 상훈

수훈 내역
은성을지무공훈장한국어
은성충무무공훈장한국어
금성충무무공훈장한국어
수교훈장 흥인장한국어 (1987년)
비오 9세 대십자훈장한국어 (1987년)
국민훈장 무궁화장한국어 (1991년)
1995년 명예 대영 제국 훈장 2등급(honorary KBE, 외국인대상 정원외 명예훈장)
1999년 제3회 유일한상
미국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동문 메릿상 (1996년, 대한민국 사회 발전에 공헌한 공로)
2004년 한국외국어대학교 특별공로상
2005년 제7회 인제인성대상 본상


7. 기타

별명은 "벽창호"이다. 이는 평안북도 벽동군창성군 출신 사람들 중에서 성실하지만 융통성이 없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다. 강영훈의 고향은 바로 창성군이며, 일대의 한우인 "벽창우"도 옛날부터 힘이 좋았고, 동시에 말을 듣지 않는 것으로 유명했다. 강영훈의 회고록 제목에도 "벽창우"가 있으며, 자신과 이미지가 비슷하다고 했다.[46][47]

부모님과 대부분의 형제들은 1948년 강영훈을 따라 월남했지만, 이미 결혼한 3살 아래 여동생만은 북한에 남았다. 1990년 평양 방문 중, 여동생은 갑자기 심야에 찾아와 오랜만에 만났지만, 여동생은 계속 울면서 "위대한 수령님 아래서 잘 살고 있다"고 말했다. 당시 북한에 대해 강경한 태도를 보인 강영훈을 곤란하게 하여 총리 교체를 노린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있었다.[26]

두 아들은 모두 변호사이다. 사위는 전 교육부 장관인 오천석의 아들이다.[26] 군인 김웅수는 아내의 형제이다.[43]

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epublic of Korea Scarecrow Press 2004
[2] 서적 韓国・北朝鮮人名辞典 1979年版 上巻 世界政経調査会 1980
[3] 뉴스 Seoul Leader Shuffles Cabinet https://query.nytime[...] The New York Times 1988-12-05
[4] 뉴스 [발자취-강영훈 前 국무총리] 김일성과 회담…소신·원칙 지킨 2인자 http://news.chosun.c[...] 2016-05-12
[5] 웹사이트 Steering Committee: Young-Hoon Kang http://www.usc.edu/p[...] 2008-03-31
[6] 서적 The Prosecution of Former Military Leaders in Newly Democratic Nations : the cases of Argentina, Greece and South Korea McFarland 2002
[7] 뉴스 6 Korea Police Die In Raid On Campus https://query.nytime[...] Associated Press 1989-05-03
[8] 뉴스 Korea Chief Urges Calm After Clash https://query.nytime[...] The New York Times 1989-05-04
[9] 뉴스 South Korea Prime Minister Conditionally Offers to Quit https://query.nytime[...] Associated Press 1989-05-11
[10] 뉴스 Koreas Agree to Hold High-Level Talks https://query.nytime[...] The New York Times 1989-01-17
[11] 뉴스 Seoul to Open Border With North Briefly https://query.nytime[...] The New York Times 1990-07-20
[12] 뉴스 When Mr Yon met Mr Kang http://findarticles.[...] The Economist 1990-09
[13] 뉴스 Premiers of the Koreas Plan to Meet Tuesday https://query.nytime[...] Reuters 1990-08-31
[14] 뉴스 North-South Korea Talks Begin Today https://query.nytime[...] The New York Times 1990-09-05
[15] 뉴스 Former PM Kang Young-hoon dies at age 94 http://english.yonha[...] 2016-05-12
[16] 뉴스 Korea Talks Resume; Seoul Sees Reasons for Caution https://query.nytime[...] The New York Times 1990-10-17
[17] 뉴스 Koreas Revert to Form: Squabbling https://query.nytime[...] The New York Times 1990-10-18
[18] 뉴스 Koreas Exchange Bitter Polemics https://query.nytime[...] The New York Times 1990-12-13
[19] 서적 Korean Endgame: A Strategy for Reunification and U.S. Disengagement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2
[20] 뉴스 Seoul Names a New Premier In a Shake-Up of the Cabinet https://query.nytime[...] Associated Press 1990-12-27
[21] 웹사이트 Korea Newsreview, Volume 20 1991
[22] 웹사이트 Young Hoon Kang https://web.archive.[...] USC Global Conference 2013 2016-05-12
[23] 웹사이트 Kang Young-hoon, ex-PM dies at 94 https://www.koreatim[...] 2016-05-10
[24]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www.rokps.or[...] 2022-03-12
[25] 뉴스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 아니면 '아니오' 해야지 (9) https://news.joins.c[...] 1999-06-08
[26] 웹사이트 ‘나라를 사랑한 벽창우’ 강영훈 전 총리|신동아 https://shindonga.do[...] 2008-07-08
[27] 뉴스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 아니면 '아니오' 해야지 (10) https://news.joins.c[...] 1999-06-09
[28] 뉴스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 아니면 '아니오' 해야지 (11) https://news.joins.c[...] 1999-06-11
[29] 뉴스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 아니면 '아니오' 해야지 (13) https://news.joins.c[...] 1999-06-15
[30] 뉴스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 아니면 '아니오' 해야지 (14) https://news.joins.c[...] 1999-06-16
[31] 뉴스 1948년 국군조직법 공포… 국방의 골격 갖춰지다 http://kookbang.dema[...] 2018-01-24
[32] 간행물 호국전몰용사공훈록 제5권(창군기) http://www.imhc.mil.[...] 한국国防部軍史編纂研究所 2021-08-08
[33] 서적 朝鮮戦争/韓国編 下巻
[34] 간행물 6・25戦争史 第8巻 http://www.imhc.mil.[...] 국방부軍事編纂研究所 2016-09-06
[35] 뉴스 國防部(국방부) 第二局長(제이국장)에 姜(강)□勳(훈) 准將(준장)이 就任(취임) http://www.busan.com[...] 1951-08-23
[36] 뉴스 駐美大使館(주미대사관) 附武官(부무관) 更迭(경질) http://www.busan.com[...] 1952-03-14
[37] 웹사이트 金雄洙少将 https://www.warmemo.[...] 戦争記念館 2018-01-28
[38] 웹사이트 總長에 李亨根大將 聯參本部長 姜英勳少將 http://db.history.go[...] 国史編纂委員会 2016-01-31
[39] 서적 한국·북한인명사전 1979년판 상권 세계정경조사회
[40] 뉴스 陸·海參謀總長更迭 http://www.busan.com[...] 1959-02-24
[41] 뉴스 분단 후 최초의 남북 수상 회담을 이끈 “외유내강” 강영훈…향년 95세 http://www.yonhapnew[...] 2016-05-10
[42] 웹사이트 姜英勳中將 豫備役編入 http://db.history.go[...] 국사편찬위원회 2016-01-31
[43] 웹사이트 ‘나라를 사랑한 벽창우’ 강영훈 전 총리|신동아 https://shindonga.do[...] 2008-07-08
[44] 웹사이트 김일성 주석 강영훈 국무총리 단독 면담 https://news.kbs.co.[...]
[45] 뉴스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 아니면 '아니오' 해야지 (1) http://news.joins.co[...] 1999-05-25
[46] 웹사이트 ‘나라를 사랑한 벽창우’ 강영훈 전 총리|신동아 https://shindonga.do[...] 2008-07-08
[47] 웹사이트 강영훈 전 총리 회고록 '나라를 사랑한 벽창우' 펴내 https://m.hankookilb[...] 2008-05-28
[48] 웹사이트 국립서울현충원 안장자 위패 목록 - 대한민국 육군 중장 강영훈 장군 https://web.archive.[...] 2017-03-23
[49] 뉴스 잠깐...5분 인터뷰 강영훈 신임 주영대사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81-01-14
[50] 뉴스 주영대사 등 4명에 전 대통령이 신임장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81-0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