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개발원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개발 원조는 한 국가가 다른 국가에 제공하는 지원을 의미하며, 개발 협력, 개발 지원, 원조 등 다양한 용어와 관련되어 사용된다. 개발 원조는 양자 및 다자간 공적 개발 원조, 삼자 개발 협력, 비(非) ODA 개발 원조 등으로 구분되며, 민간 원조, 송금, 덜 빈곤한 국가에 대한 원조 등 다양한 유형이 존재한다. 개발 원조는 경제 성장과 빈곤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부적절한 전략, 조건부 원조, 공여국 정책과의 모순 등의 부정적인 영향도 존재한다. 원조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양성평등을 위한 개발 원조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개발 원조는 영국의 식민지 개발 정책에서 시작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냉전 시대를 거치며 발전해왔으며, 최근에는 신흥 경제국과 비정부 행위자들의 참여가 증가하고 있다. 개발 원조는 국제법상 내정간섭으로 간주될 수 있으므로, 국내문제불간섭원칙을 준수해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제 개발 - 선진국
    선진국은 경제적 번영, 높은 인간 개발 지수, 산업화 등을 기준으로 분류되지만 명확한 정의는 없으며, 대한민국은 1997년 외환 위기 이후 선진국으로 평가받아 2021년 UNCTAD에서 공식적으로 선진국으로 분류되었다.
  • 국제 개발 - 개발도상국
    개발도상국은 선진국을 제외한 국가로 낮은 경제 발전 수준과 사회·경제적 어려움을 겪으며, 소득 수준, 산업화 정도 등에 따라 세분화되고 빈곤, 열악한 인적 자원, 환경 오염 등의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 사회의 협력과 노력이 요구된다.
  • 지속 가능성 - 녹색 경제
    녹색 경제는 환경 영향 최소화, 자원 효율성 증대, 지속 가능한 발전을 목표로 하며, 재생에너지, 친환경 건축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는 경제 시스템으로, 기후변화 대응의 필수 전략이지만 사회경제적 비용, 불평등 심화 우려, 시장 메커니즘 한계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며, 국제기구와 여러 국가, 대한민국 또한 녹색 경제 전환을 추진 중이나 정책 불확실성, 사회적 합의 부재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 지속 가능성 - 과소비
    과소비는 지구의 지속 가능한 수용력을 넘어선 상품과 서비스 소비 현상으로, 소비주의, 물질적 풍요, 과도한 육식 소비, 경제 성장, 인구 증가 등으로 인해 자원 고갈, 환경 파괴, 건강 문제 등 전 지구적 문제를 야기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반소비주의 운동, 지속 가능한 소비 및 생산 정책, 인구 증가 억제 노력이 필요하다.
개발원조
지도
개요
유형양자 원조
다자 원조
목적경제 개발 및 사회 복지 증진
제공 주체정부
비정부 기구 (NGO)
역사
시작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주요 변화냉전 시기 영향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SDGs) 등장
주요 내용
분야보건
교육
농업
인프라
환경
방식자금 지원
기술 지원
식량 지원
긴급 구호
효과
긍정적 효과빈곤 감소
경제 성장 촉진
사회 개발 기여
부정적 효과원조 의존성 심화
부패 조장 가능성
불평등 심화 가능성
주요 이슈
효과성 논쟁원조 효과에 대한 다양한 견해 존재
원조 조건원조 제공국의 정치적, 경제적 조건 부과 논란
원조 투명성원조 자금 사용의 투명성 확보 중요
관련 기구
국제 기구국제 연합 (UN)
세계 은행 (World Bank)
국제 통화 기금 (IMF)
국가별 원조 기관미국 국제 개발처 (USAID)
영국 국제 개발부 (DFID)
일본 국제 협력단 (JICA)
한국 국제 협력단 (KOICA)
참고 문헌
서적Sachs, J. (2005). The End of Poverty. Penguin Books.
Easterly, W. (2006). The White Man's Burden. Penguin Books.

2. 관련 개념

개발원조는 국제법상 허용되는 개입(내정간섭)의 하나로 인정받고 있지만, 자칫 오남용하면 국내문제불간섭원칙에 해당되는 국제법 위반의 내정간섭이 될 수 있다. 강대국들은 외무부에 국제법인 국내문제불간섭원칙(내정간섭 금지 원칙)을 위반하는 내정간섭청을 설치해 운영하지는 않는다. 개발원조청이라고 간판을 붙인다. 또한 자국에 적대적인 약소국을 개발원조하지는 않는다. 즉, 개발원조를 하려면 필수적으로 약소국의 동향을 감시하고 분석해야 한다.

개발 원조와 문맥에 따라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되지만 다른 의미를 지닌 다양한 용어들이 있다.


  • '''개발 협력'''
  • '''개발 지원'''
  • '''원조'''

2. 1. 개발 협력

21세기 초, '''개발 협력'''은 개발 효과성 글로벌 파트너십과 관련된 담론에서 핵심 용어가 되었다. 이 맥락에서 개발 협력은 원조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을 수 있는 활동, 예를 들어 국내 및 국제 정책 변화, 영리 단체 및 시민 사회 단체와의 조정, 개발도상국 간의 교류 등을 포함한다.[6] 보다 광범위한 조정된 활동을 시사함에도 불구하고, 이 용어는 종종 '''개발 원조'''와 동의어로 사용된다.

2. 2. 개발 지원

개발 지원은 UN 및 OECD와 같은 국제 포럼에서 자주 사용되는 '개발 원조'의 동의어이다.[7] 공적 개발 원조(ODA)는 OECD 회원국 정부가 제공하는 원조로, 1인당 소득이 가장 낮은 국가의 경제 개발과 복지를 특별히 목표로 한다.[7] 이는 엄밀한 의미에서의 개발 원조뿐만 아니라 인도적 지원도 포함한다.

2. 3. 원조

인도적 지원(긴급 구호) 및 개발을 특별히 목표로 하지 않는 기타 자발적 이전을 포함할 수 있는 더 일반적인 개념이다. 일반적으로 원조와 관련된 다른 표현으로는 '대외 원조', '국제 원조', '해외 원조' 등이 있다.[6]

3. 유형

개발 원조는 제공 방식과 주체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 양자 및 다자간 공적 개발 원조: 한 국가가 다른 국가에 직접 제공하는 양자적 원조와, 세계 은행이나 유엔 개발 계획(UNDP), 유니세프(UNICEF) 등 국제기구를 통해 제공되는 다자적 원조가 있다. 2019년 기준으로 공적 개발 원조(ODA)에서 다자간 원조가 차지하는 비중은 28%였다.[2]
  • 삼자 개발 협력: OECD DAC 회원국이나 다자간 기구가 신흥 개발 주체에게 개발 원조를 제공하여 다른 개발도상국에서 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방식이다.[9]
  • 비(非) ODA 개발 원조: 공적 개발 원조(ODA) 외에도 민간 원조, 송금, 덜 빈곤한 국가에 대한 원조 등 다양한 형태의 개발 원조가 존재한다.[18]
  • 민간 개발 원조: 개인, 기업, 자선 재단 등이 제공하는 원조이다. OECD에 보고된 원조 중 약 20%가 민간 원조이다.
  • 송금: 해외 거주자가 본국으로 보내는 송금은 개발 원조로 간주되지는 않지만, 2016년 개발도상국으로의 송금액은 4220억달러로, 전체 ODA보다 훨씬 많았다.[12]
  • 약한 양허성 대출: 시장 조건보다 유리한 조건으로 제공되는 대출은 ODA로 간주되지 않지만, 개발 원조의 요소를 포함한다.[16]
  • 다른 공여국으로부터의 원조: 중화인민공화국, 인도 등 일부 국가는 OECD에 보고하지 않고 개발 원조를 제공한다.[18]
  • TOSSD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총 공적 지원): OECD는 개발 원조가 개발 관련 모든 지출을 포괄하지 못한다는 점을 인식하여, 2014년부터 TOSSD라는 통계 프레임워크를 구축했다.[17]

3. 1. 양자 및 다자간 공적 개발 원조

공식 원조는 한 국가가 다른 국가에 직접 제공하는 양자적 원조와, 세계 은행이나 유엔 개발 계획(UNDP), 유니세프(UNICEF), 유엔 에이즈 계획(UNAIDS) 등과 같은 유엔 기구가 관리하는 공동 기금에 공여국이 제공하는 다자적 원조로 나눌 수 있으며, 국제 기구는 이 기금을 개발도상국에서 사업에 사용한다. 다자간 원조로 간주되려면 자금이 특정 출처에서 유래했다는 정체성을 상실해야 한다.[8] 공적 개발 원조(ODA)에서 다자간 원조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에 28%였다.[2]

3. 2. 삼자 개발 협력 (삼각 개발 협력)

삼자 개발 협력(삼각 개발 협력이라고도 함)은 OECD DAC 회원국 또는 다자간 기구가 신흥 개발 주체에게 개발 원조를 제공하여 다른 개발도상국에서 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개발 협력의 한 유형이다.[9]

삼자 개발 협력의 목적은 OECD DAC 회원국과 새로운 개발 주체의 강점을 결합하여 수혜국에 보다 효과적인 원조를 제공하는 것이다.[10] OECD DAC 회원국과 다자간 기구는 원조 효과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양자 원조를 단계적으로 폐지하며, 우수 사례를 이전하고, 역량 강화를 목표로 삼자 개발 협력에 참여한다.[11] 공적 개발 원조(ODA)는 OECD 개발 원조 위원회(DAC)가 지정한 공적 개발 원조 수혜국 목록(DAC List of ODA Recipients)에 포함된 국가에 대한 원조만 포함하며, 여기에는 세계 은행이 저소득 및 중간 소득으로 분류한 대부분의 국가가 포함된다.[15]

3. 3. 비(非) ODA 개발 원조

공적 개발 원조(ODA)는 체계적으로 측정되고 사람들이 개발 원조로 간주하는 대부분의 내용을 포함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개발 원조 분석은 종종 ODA에 초점을 맞춘다. 그러나 ODA 외에도 민간 원조, 송금, 덜 빈곤한 국가에 대한 원조, 그리고 다른 공여국으로부터의 원조 등 중요한 개발 원조 범주가 존재한다.[18]

3. 3. 1. 민간 개발 원조

개발 원조는 '정부'(공식) 원조와 '민간' 원조로 구분된다. 민간 원조는 개인, 기업, 자선 재단의 투자에서 비롯되며, 종교 단체 및 NGO를 통해 전달되기도 한다. 공식 원조는 정부 간 원조일 수도 있고, 유엔 기구, 국제 금융 기구, NGO 또는 기타 계약자와 같은 중개 기관을 통해 전달될 수도 있다. NGO는 일반적으로 공식 및 민간 원조를 모두 처리한다. OECD에 보고된 원조 중 약 80%는 공식 원조이고 20%는 민간 원조이다.

3. 3. 2. 송금

해외에서 일하거나 거주하는 이주민이 본국으로 보내는 송금은 개발 원조로 간주되지 않지만, 상당한 양의 국제 송금을 차지한다.[12] 송금은 공식적인 프로젝트나 프로그램이 아닌, 주로 개인과 가족에게 전달되기 때문이다. 송금의 성격과 영향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13]

세계 은행은 2016년 개발 도상국으로의 송금 흐름이 4220억달러에 달했으며, 이는 전체 공적 개발 원조(ODA)보다 훨씬 많았다고 추정했다.[12] 국제 통화 기금(IMF)은 민간 송금이 지역 또는 국가의 경제 개발이 아닌 개인 및 가족의 사적 소비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했다.[14]

3. 3. 3. 약한 양허성 대출

한 국가가 다른 국가에 제공하는 대출은 해당 조건이 시장 조건보다 실질적으로 더 유리한 경우에만 공적 개발 원조(ODA)로 간주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정확한 규칙은 시대에 따라 변동되어 왔다. 따라서 덜 양허적인 대출은 ODA로 간주되지 않지만 개발 원조의 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16]

3. 3. 4. 다른 공여국으로부터의 원조

일부 국가들은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에 표준 정의, 분류 및 시스템을 사용하여 보고하지 않고 개발 원조를 제공한다. 주목할 만한 예로는 중화인민공화국인도가 있다.[18] 2018년, OECD는 총 공적 개발 원조(ODA)가 약 1500억달러인 반면,[18] 다른 10개 국가에서 60억달러에서 70억달러의 ODA 유사 개발 원조를 제공했다고 추정했다.[19] (이 금액에는 인도적 성격의 원조뿐만 아니라 순수한 개발 원조도 포함된다.)

3. 3. 5. TOSSD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총 공적 지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개발 원조가 개발을 증진하는 모든 지출을 포괄하지 못한다는 점을 인식하여, 2014년 "국제 공공재"에 대한 지출을 계산하는 TOSSD(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총 공적 지원, Total Official Support for Sustainable Development)라는 더 광범위한 통계 프레임워크를 구축하기 시작했다.[17] 2022년 3월, TOSSD는 개발 지원을 측정하기 위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글로벌 지표 프레임워크의 지표 17.3.1의 데이터 소스로 채택되었다. 2020년 TOSSD 데이터에 따르면 거의 100개의 제공 국가 및 기관에서 지속 가능한 개발 지원에 3550억달러 이상이 지출되었다.[17] 글로벌 개발 센터(Center for Global Development)에서 매년 발표하는 개발 공약 지수는 개발도상국에 대한 더 광범위한 공여국 정책을 살펴보기 위한 또 다른 시도이다. 이러한 유형의 활동은 일반적으로 그렇지 않지만 일종의 개발 원조로 공식화되고 이해될 수 있다.

4. 규모

대부분의 개발 원조는 정부가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에 보고하는 공적 개발 원조(ODA)의 일부로 간주된다. 2018년 ODA 총액은 약 1500억달러였다.[18] 같은 해, OECD는 중국인도를 포함한 다른 10개 국가에서 60억달러에서 70억달러의 원조를 제공했다고 추산했다.[19] 그러나 이러한 금액에는 인도적 성격의 원조와 순수한 개발 원조가 모두 포함된다. ODA 내 개발 원조의 비율은 약 80%였다.[3]

일부 정부는 군사 원조를 '대외 원조'의 개념에 포함시키지만, 국제 사회는 일반적으로 군사 원조를 개발 원조로 간주하지 않는다.

개발 원조는 개발 도상국을 위한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1 (모든 형태의 빈곤 종식)을 달성하는 주요 방법으로 널리 인식되고 있다.

4. 1. 주요 수원국

2010년부터 2018년까지 (ODA)를 많이 받은 상위 국가는 아프가니스탄, 인도, 에티오피아, 베트남, 파키스탄 등이다.[21]


4. 2. 주요 공여국

2010-2019년 10년간의 총 공적 개발 원조(ODA) 지급액[22] 기준 상위 국가는 다음과 같다.

국가US$, 십억 달러
323
188
171
115
107
56
56
47
46
42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는 ODA를 국민 총소득(GNI)의 비율로도 국가별로 나열한다. 2020년 ODA/GNI 비율 0.7%에 대한 UN 목표를 달성한 국가는 스웨덴(1.14%), 노르웨이(1.11%), 룩셈부르크(1.02%), 덴마크독일(0.73%), 영국(0.7%)이다.[23] 2020년 상위 10개 DAC 국가는 다음과 같다.


  • – 1.14%
  • – 1.11%
  • – 1.02%
  • 및 – 0.73%
  • – 0.7%
  • – 0.59%
  • – 0.53%
  • – 0.48%
  • 및 – 0.47%
  • , 및 – 0.31%

4. 3. 프로젝트 유형별

OECD는 ODA 개발 원조를 여러 부문으로 나누고 있으며, 주요 부문은 다음과 같다.[20]

  • 교육
  • 보건 (인구 정책, 급수 및 위생 포함)
  • 정부 및 시민 사회
  • 경제 인프라 (교통 및 에너지 포함)
  • 생산 (농업 포함)


또한, 환경 보호, 성 평등, 도시 및 농촌 개발 문제와 같이 "교차하는" 목표도 있다.[20]

5. 긍정적 영향 논의

연구에 따르면 개발 원조는 인프라 및 인적 자본에 대한 투자를 촉진하여 경제 성장과 발전에 강력하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 2013년 36개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이들 국가 중 27개국에서 원조가 GDP와 투자에 강력하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결과가 나왔다.[24] 또 다른 연구에서는 1인당 원조가 탄자니아, 모잠비크, 에티오피아와 같은 저소득 아프리카 국가의 경제 성장을 지원하는 반면, 보츠와나, 모로코와 같은 중소득 아프리카 국가의 경제 성장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25] 원조는 저소득 국가에 가장 유익한데, 이러한 국가들이 원조를 받아 국민에게 교육과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는 결국 장기적으로 경제 성장을 개선하기 때문이다.[25]

일부 계량경제학 연구에 따르면 개발 원조는 개발 도상국의 빈곤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26]

제프리 삭스와 유엔이 지지하는 원조 옹호론은 대외 원조가 저소득 빈곤의 덫에 갇힌 빈곤 국가들을 탈출시키는 데 큰 추진력을 제공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 관점에서 원조는 "교사, 보건소, 도로, 우물, 의약품 등에 자금을 지원한다."(유엔 2004).[28]

6. 부정적 영향 논의

개발원조에는 여러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논의가 있다.

제임스 퍼거슨은 개발 기관의 진단이 충분하지 못하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29] 마르타인 니체는 개발 프로젝트의 구성 및 유지 방식에 문제를 제기하며, 이해하고 수리하기 어려운 기술로 만들어진 프로젝트는 시간이 지나면서 실패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30]

최근에는 부유한 국가들이 원조에 많은 조건을 걸어 원조 효과를 감소시킨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연계 원조의 경우, 공여국은 수혜국에게 더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곳이 있어도 공여국으로부터 상품과 서비스를 구매하도록 요구하기도 한다.[31] 또한, 외국인 투자를 개방해야 한다는 조건도 있는데, 수혜국이 준비되지 않은 경우에도 그렇게 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32]

공여국의 정책과 개발 원조 간의 모순도 비판받는다. 개발에 대한 약속 지수(Commitment to Development Index)는 공적 개발 원조의 양뿐만 아니라 공여국의 전반적인 정책을 측정하여 개발 원조의 질을 평가한다.[1] 제이슨 히켈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부유한 국가들이 빈곤 국가의 경제 발전을 돕는다는 주장에 이의를 제기하며, 빈곤 국가가 오히려 부유한 국가를 개발시키고 있다고 주장한다.[2]

6. 1. 부적절한 전략 및 기술 강요

제임스 퍼거슨은 개발 기관의 불충분한 진단이 문제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설명한다. 퍼거슨은 저서 반정치 기계에서 레소토의 타바-체카 구 프로젝트를 예시로 들며, 주민들의 경제 활동에 대한 잘못된 진단과 지역 정치 회피 욕구가 어떻게 축산 프로젝트의 실패를 초래했는지 보여준다.[29]

마르타인 니체는 또 다른 문제로 개발 프로젝트의 구성 및 유지 방식을 지적한다. 종종 프로젝트는 이해하고 수리하기 어려운 기술로 만들어져 시간이 지나면서 필연적으로 실패하게 된다. 또한, 지역 주민들이 프로젝트 성공에 큰 관심이 없어 귀중한 원자재 확보를 위해 프로젝트를 해체하는 경우도 있다. 마지막으로, 마을 사람들은 프로젝트 실패 시 개발자나 주변 사람들이 수리해 줄 것이라고 믿고 프로젝트를 유지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항상 그렇지는 않다).[30]

6. 2. 조건부 원조

최근 몇 년 동안 부유한 국가들이 원조에 너무 많은 조건을 걸어 원조의 효과를 감소시켰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연계 원조의 예에서, 공여국은 종종 수혜국에게 다른 곳에서 더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더라도 공여국으로부터 상품과 서비스를 구매하도록 요구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1991년 보고서에 따르면 연계 원조는 개발 원조 프로젝트 비용을 최대 20~30%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31]

다른 조건으로는 외국인 투자를 개방하는 것이 있는데, 준비가 되어 있지 않더라도 그렇게 해야 한다.[32]

6. 3. 공여국 정책과의 모순

공여국이 막대한 개발 원조를 통해 한 손으로는 주면서도, 엄격한 무역 정책이나 이민 정책, 또는 외국 기업의 발판을 마련함으로써 다른 손으로는 빼앗을 수 있기 때문에 개발 원조와 다른 공여국의 정책 간의 모순 또한 비판의 대상이 된다.[1] 개발에 대한 약속 지수(Commitment to Development Index)는 단순히 제공되는 공적 개발 원조의 양을 비교하는 대신, 공여국의 전반적인 정책을 측정하고 개발 원조의 질을 평가한다.[1]

제이슨 히켈(Jason Hickel)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부유한 국가들이 빈곤 국가의 경제 발전을 돕고 빈곤을 근절한다는 주장에 이의를 제기했다.[2] 히켈은 부유한 국가들이 "빈곤 국가를 개발시키는 것이 아니라, 빈곤 국가가 부유한 국가를 개발시키고 있다"고 주장한다.[2]

7. 효과성 향상

원조 효과성은 개발도상국의 경제 성장과 빈곤 감소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는 개념이다. 원조 효과성에 대한 논의는 1990년대부터 본격화되었으며, 원조의 양적 확대뿐만 아니라 질적 개선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2005년 파리 선언은 원조 효과성 향상을 위한 5대 원칙으로 수원국의 주인의식(Ownership), 공여국의 원조 분담(Alignment), 원조 절차의 조화(Harmonization), 성과 관리(Managing for results), 상호 책무성(Mutual accountability)을 제시했다.[1] 이 원칙들은 2008년 아크라 행동 계획에서 더욱 구체화되었다.[2]

2011년 부산 총회에서는 개발 효과성(development effectiveness)이라는 개념이 새롭게 제시되었다. 이는 원조 효과성을 넘어 개발 재원의 다양성과 포괄적 파트너십을 강조하는 개념이다.[3] 부산 총회에서는 개발도상국, 공여국, 시민사회, 민간 부문 등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하는 글로벌 파트너십(Global Partnership for Effective Development Co-operation, GPEDC)이 출범하였다.[4]

대한민국은 2010년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에 가입하면서 원조 효과성 논의에 본격적으로 참여하기 시작했다.[5] 한국은 부산 총회를 주최하면서 개발 효과성 논의를 주도하는 역할을 수행했다.[6]

8. 양성평등을 위한 개발 원조

1975년 유엔 여성의 해를 계기로 개발과 여성 접근 방식이 국제 개발 원조에 영향을 주기 시작했다.[34] 이는 성 평등을 위한 별도의 원조보다는 기존 개발 원조에 여성을 통합하는 방식이었다.[34] 이에 대한 대응으로 성평등과 개발 접근 방식이 등장하여 사회적 성 역할에 대한 논의를 통해 개발 정책에 도전했다.[35] 1990년대 초부터는 성 주류화가 국제 개발 원조 내에서 장려되었다.[52]

1995년 세계 여성 회의에서 유엔은 모든 정책 수준에서 성 주류화를 선언했다.[37][38] 또한, 개발도상국을 위한 밀레니엄 개발 목표 중 하나로 성 평등 증진과 여성 권한 강화를 포함시켰다.

유럽 연합(EU)은 1984년 로메 협약을 시작으로 여성 개발 관련 내용을 원조 정책에 반영했다.[40] 1992년에는 개발 프로그램이 여성의 지위와 역할에 부정적 영향을 미쳐서는 안 된다고 명시했다.[41] EU의 성 평등 지원은 주로 여성의 교육, 고용, 생식 건강 서비스 접근성 향상에 중점을 두었으며, 라틴 아메리카의 토지 개혁과 같이 지역별 특수 문제 해결에도 힘썼다.[42]

미국 국제 개발처(USAID)는 1974년 개발과 여성 사무소를 설립하고, 1996년 성 평등 행동 계획을 발표했다.[43] 2012년에는 성 평등 및 여성 권한 강화 정책을 발표하여 원조 프로그램의 중심 목표로 삼았다.[43] 아프가니스탄의 성 불평등 해소를 위해 PROMOTE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2.16억달러를 직접 지원하고, 다른 기부자로부터 2억달러를 유치했다.[43][44]

옥스팜 네덜란드 개발 원조 기구 등 많은 NGO(비정부기구)들도 성 평등을 프로그램에 포함시켰다.[45] 노르웨이 외무부의 지원을 받는 NGO는 여성과 성 평등을 고려하고 있음을 입증해야 한다.[46]

빌 앤드 멜린다 게이츠 재단과 같은 민간 재단은 주로 건강 프로그램에 성 관련 원조를 제공했으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 프로그램을 통해 나이키 등 기업들도 성 평등 원조에 참여하고 있다.[47][48]

8. 1. 양성평등 원조의 효과

경제 협력 개발 기구는 성 평등을 위한 원조 규모에 대한 자세한 분석을 제공한다. OECD 회원국은 프로그램이 성 평등을 증진하도록 설계된 경우 성 마커로 원조 프로그램을 표시한다.[50] 2019-20년 OECD 개발 원조 위원회(DAC) 회원국은 성 평등을 위한 원조에 거의 565억달러를 약속했으며, 그 중 63억달러는 성 평등이 주요 프로그램 목표인 프로그램에 약속되었다.[51]

성 불평등을 계산하고 개발 원조의 목적으로 프로그램을 테스트하는 데 사용되는 성 평등 효과 측정에는 세 가지 주요 척도가 있다. 1995년 인간 개발 보고서에서 유엔 개발 계획(UNDP)은 성 개발 지수와 성 권한 부여 지수를 도입했다.[52] 성 권한 부여 지수는 국회 내 여성 비율, 경제 의사 결정 직위의 여성 비율, 여성 소득 점유율의 세 가지 척도를 기반으로 계산된다. 성 개발 지수는 인간 개발 지수를 사용하고 기대 수명, 소득 및 교육에서 성 불균형에 대해 결과를 수정한다.[52] 이러한 두 지수에 대한 비판 때문에 유엔 개발 계획은 2010년 인간 개발 보고서에서 성 불평등 지수를 도입했다. 성 불평등 지수는 더 많은 지표를 사용하고 성 불평등으로 인한 손실을 보여주려고 시도한다.[52]

이러한 지수에도 불구하고 스톡홀름 경제 대학교의 란줄라 스웨인과 리버풀 대학교의 수프리야 가리키파티는 보건, 경제 및 교육 대상 원조의 효과에 비해 성 평등을 위한 해외 원조가 연구가 부족하다는 것을 발견했다.[52] 스웨인과 가리키파티는 성 평등 원조에 대한 분석에서 국가 및 지역 차원에서 성 평등 원조가 그 효과가 유의미하지 않다는 것을 발견했다. 스웨인과 가리키파티는 이것이 성 평등을 주요 동기로 하는 원조가 상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52]

2005년 세계 보건 기구의 범부처 성별 실무 그룹은 NGO 생식 보건 프로그램에서 성 주류화의 효과에 대한 "그래서 뭐?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이러한 프로그램이 효과적이라고 밝혔지만 대부분의 프로그램이 이 데이터를 측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명확한 성별 결과를 찾기 어려웠다.[53] 성별 결과가 측정되었을 때 보고서는 긍정적인 프로그램 효과를 발견했지만 이러한 결과가 서비스 접근성 증가 또는 성 평등 증가에서 비롯된 것인지 여부는 조사하지 않았다.[53][54]

성 평등이 원조의 목표로 확인될 때조차 다른 요인이 종종 원조의 주요 초점이 된다.[52] 어떤 경우에는 원조의 성 평등 요소의 성격이 프로젝트의 2차 측면일 때 개별 프로젝트 수준에서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55] 성 평등은 종종 조직의 정책 목표로 제시되지만 프로그램 직원은 이 목표에 대해 서로 다른 헌신과 훈련을 받는다.[56] 성 평등이 부차적 측면일 때, 성 주류화가 촉진하려는 성 역할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원조를 받는 여성의 할당량을 충족하는 데 필요한 자금이 사용될 수 있다.[56] 프로그램은 또한 지속적인 효과를 제공하지 못할 수 있으며, 국제 원조 자금이 더 이상 지원하지 않을 때 지역 조직은 프로그램의 성 평등 측면을 제거한다.[54]

8. 2. 양성평등 원조에 대한 비판

겐트 대학교의 페트라 데뷔셔는 젠더 주류화에 대한 "통합적 접근 방식"을 따르는 유럽 연합(EU) 원조 기관을 비판했다. 이는 젠더 주류화가 젠더 평등을 달성하기 위해 정책 우선 순위와 프로그램을 근본적으로 변경하려는 "변혁적 접근 방식"과는 달리, 기존의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이다.[40] 그녀는 이러한 접근 방식이 성평등과 개발 모델보다는 개발과 여성 모델에 더 가깝다고 생각한다. 데뷔셔는 라틴 아메리카에서 EU의 개발 정책이 여성들을 위해 해결해야 할 문제로 젠더 불평등에 너무 많은 관심을 기울이는 것을 비판했다.[60] 그녀는 사용된 언어가 성평등과 개발 접근 방식보다는 개발과 여성 접근 방식을 더 많이 나타낸다고 지적했다.[61] 그녀는 가정 폭력에서 남성의 역할이 충분히 부각되지 않았으며, 대신 프로그램과 정책은 여성을 피해자 신분에서 벗어나게 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언급했다.[60] 남성과 여성이 서로에게 갖는 역할에 대해 논의하기보다는, 여성은 "암묵적인 남성 규범을 따라잡아야" 할 필요가 있는 존재로 논의된다고 지적했다.[60]

데뷔셔는 또한 EU의 남아프리카에 대한 개발 원조가 그 범위가 너무 좁고, 여성과 젠더를 기존 원조 패러다임에 통합하는 데 너무 의존한다고 비판했다.[62] 데뷔셔는 이 지역의 여성 단체들이 EU가 선호하는 경제 성장 구조와는 달리 젠더의 다양한 사회적 구성에 대해 우려하는 경우가 많다고 언급했다.[63] 유럽 및 주변 국가에 대한 EU 개발 원조의 경우, 여성 교육을 장려하는 프로그램이 가족 및 사회 불평등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전반적인 경제 성장을 장려하기 위해 설계되었다고 주장했다.[64]

젠더 평등 개발 원조에 대한 일부 비판은 개발 원조 프로그램에서 여성 단체의 목소리가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한다. 데뷔셔는 페미니스트 및 여성 단체가 EU 원조에 충분히 대표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65] 또한 페미니스트 및 여성 단체가 정책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데 참여했지만, 남아프리카에 대한 EU 원조의 개발에 충분히 관여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62] 마찬가지로, 존스와 스위스는 젠더 주류화를 더 잘 수행하기 위해 더 많은 여성이 원조 기구의 지도자적 위치에 있어야 하며, 이러한 기구가 "탈(脫)남성화"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66] T.K.S. 라빈드란과 A. 켈카르-캄베테는 젠더를 모든 개발 목표에 충분히 통합하지 않고 자체 개발 목표를 설정하여 젠더 평등을 증진하기 위한 원조 수준을 제한하는 것으로서 밀레니엄 개발 목표를 비판했다.[67]

9. 역사

개발 원조는 20세기 초 영국의 식민지 개발 정책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자유 방임주의 경제 정책을 벗어나 식민지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시작한 것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경제 위기와 식민지 세입 감소, 영국의 높은 실업률 때문이었다.[70] 1929년 식민지 개발법은 식민지 개발 자문위원회를 설립하고, 식민지 기반 시설 개발을 지원했다.[71] 비록 자원은 부족했지만, 영국이 식민지에 투자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는 점에서 큰 변화였다.

1930년대 후반, 1934–1939년의 영국령 서인도 제도 노동 소요 이후 왕립 위원회가 파견되어 영국령 서인도 제도의 열악한 생활 환경을 폭로하는 보고서를 발표했다.[72][73] 국내외 비판이 증가하는 가운데,[74][75] 위원회는 건강 및 교육 개선, 설탕 보조금 증액 등을 촉구했고,[77] 식민부는 전쟁 중 불안정을 막기 위해 대규모 자금을 투입했다.[78] 1940년 식민지 개발 및 복지법은 영국령 서인도 제도에 대한 지원을 확대했다.[79]

현대적 의미의 개발 원조는 제2차 세계 대전냉전을 거치며 발전했다. 1948년 미국의 마셜 플랜서유럽 국가 재건을 넘어 중동과 아시아 지역까지 확대되었다.[81]

유럽에서 마셜 플랜을 홍보하는 포스터.


소련마셜 플랜에 대항하여 공산주의 국가에 원조를 제공했다.[82] 1949년 해리 트루먼 미국 대통령은 "개발도상 지역"에 대한 기술 지원 확대를 발표했고,[85] 유엔은 기술 지원 확대 프로그램(EPTA)을 설립했다.[86] 1950년대 미국의 개발 원조는 기술 지원뿐만 아니라 보조금과 양허성 대출까지 포함하게 되었다.[87][88]

1960년 국제 개발 협회(IDA)가 설립되었고,[92] 1961년에는 여러 서방 국가들이 원조 관리 기관을 설립했다.[91] OECD의 개발 원조 위원회(DAC)는 회원국들의 원조 규모를 늘리고, 그 과제를 공평하게 분담하겠다고 다짐했다.

베를린 장벽 붕괴 이후 공적 개발 원조(ODA) 규모는 감소했지만,[94] 21세기 초에는 중국, 인도 등 신흥 경제국과 다양한 비정부 행위자들이 등장하면서 개발 원조의 주체가 다양해졌다.[95] 이들은 조건부 원조를 요구하기도 하는 등, 전통적인 개발 원조 기준에 도전하고 있다.[96]

9. 1. 영국의 식민지 개발 자금 지원

개발 원조의 개념은 20세기 초 식민지 시대 영국의 식민지 개발 정책과 관련이 있다. 자유 방임주의 경제를 선호하던 전통적인 정부 정책과 달리, 제국의 도덕적 목적과 정부의 복지 증진 역할에 대한 인식 변화는 식민지에 대한 적극적인 경제 및 개발 지원 정책으로 이어졌다.[68]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경제 위기와 식민지 세입 감소, 영국의 높은 실업률 상황에서 1929년 식민지 개발법이 통과되었다.[70] 이 법은 패스필드 남작 산하 식민지 개발 자문위원회를 설립하고, 연간 100만파운드 예산으로 식민지와 자치령교통, 전력, 수도 공급 기반 시설 개발을 지원했다.[71] 비록 자원은 부족했지만, 이 법은 영국이 식민지에 투자할 수 있는 길을 열었고, 재정적 자립 원칙을 폐기하고 본국 자금을 사용한 식민지 개발의 큰 변화를 가져왔다.

1930년대 후반, 1934–1939년의 영국령 서인도 제도 노동 소요 이후 초기 계획의 제한성이 드러났다. 모인 남작 지휘 아래 왕립 위원회가 파견되어 영국령 서인도 제도의 끔찍한 생활 환경을 폭로하는 보고서를 발표했다.[72][73]

영국 식민지 정책에 대한 국내외 비판이 증가하는 가운데,[74][75] 위원회는 식민지 국민에 대한 "자비로운" 태도를 보여주기 위한 퍼포먼스였다.[76] 위원회는 건강 및 교육 이니셔티브와 설탕 보조금 증액을 촉구했고,[77] 식민부는 전쟁 중 불안정을 막기 위해 대규모 자금을 투입했다.[78]

1940년 식민지 개발 및 복지법은 영국령 서인도 제도에 연간 500만파운드를 지원하고, 약 1000만파운드의 대출을 취소했다.[79] 1945년 법은 원조 수준을 20년간 1.2억파운드로 늘렸고, 이후 추가 법률을 통해 금전적 지원, 무이자 대출, 개발 지원 프로그램이 확대되었다.

9. 2. 전후 확장

현대 개발 원조는 제2차 세계 대전냉전이라는 시대적 배경에서 시작되었다. 1948년 미국은 마셜 플랜이라는 대규모 원조 프로그램을 통해 소련의 영향력을 견제하고 서유럽 국가들과의 관계를 강화하고자 했다. 경제 협력청(ECA)이 시행한 마셜 플랜은 중동과 아시아의 전략적 지역으로 재건 자금을 확대했다.[81]

마셜 원조는 처음에는 유럽 전체에 제공되었지만, 소련은 주변 국가들이 이를 수락하는 것을 금지했다.[82] 소련은 공산주의 블록 국가에 원조를 제공했다. 예를 들어, 스탈린은 폴란드가 마셜 플랜을 기권하자 4.5억달러의 신용과 200000ton의 곡물을 약속했다.[83]

1949년, 해리 트루먼 미국 대통령은 취임 연설에서 "개발도상 지역"에 대한 기술 지원 형태의 원조 확대를 발표했다. 4개항에서 트루먼 대통령은 "역사상 처음으로 인류는 이 사람들의 고통을 덜어줄 지식과 기술을 갖게 되었습니다."라며 개발 원조의 필요성을 강조했다.[85] 그해 말, 유엔은 미국의 주도로 기술 지원 확대 프로그램(EPTA)을 설립하여 기술 지원을 위한 국제 공여 기금을 통합하고 유엔 기구를 통해 지원했다.[86] EPTA는 UNDP의 전신이었다.[86]

1950년대 미국의 개발 원조는 기술 지원뿐만 아니라 보조금과 양허성 대출을 포함하게 되었다. 이 개발 원조는 상호 안보 법안의 틀 내에서 군사 원조와 함께 관리되었다.[87][88] 1959년, 상호 안보 법안에 대한 중요한 연례 수정안은 "정치적으로 독립적이고 경제적으로 실행 가능한 단위를 확립하고 개발하려는 다른 국가의 국민"을 지원하는 것이 "미국의 주요 목표"라고 선언했다.[90]

미국은 유럽 경제 협력 기구(OEEC)가 주요 공여국으로 구성된 개발 원조 그룹(DAG)을 설립하여 원조를 조정하도록 장려했다. 1960년 1월에 개발 원조 그룹이 설립되었으며, 이듬해 DAG는 원조 규모를 늘리고, 그 과제를 공평하게 분담하겠다고 다짐하는 "공동 원조 노력 결의안"을 채택했다. 이 직후, OEEC는 OECD로 승계되어 유럽에서 세계로 범위를 확장하고, 덜 개발된 국가에 대한 특별한 관심을 갖게 되었다. DAG는 개발 원조 위원회(DAC)가 되었다.[91]

1960년에는 개발 금융을 위한 연성 대출을 제공하는 다자간 기구인 국제 개발 협회(IDA)가 세계 은행의 일부로 설립되었다.[92] 1961년, 일부 서방 국가는 미국의 USAID를 포함하여 원조를 관리하기 위한 정부 부서 또는 기관을 설립했다.[91]

9. 3. 냉전 이후

베를린 장벽 붕괴(1999-2007) 이후 7~8년 동안 공적 개발 원조(ODA) 규모가 급격히 감소했다.[94]

21세기 초에는 원조 공여국과 비정부 행위자의 수가 크게 증가하고 다양해졌다. 중국(중화인민공화국), 인도, 사우디아라비아, 터키, 브라질, 베네수엘라 등 신흥 경제국이 DAC의 전통적인 공여국에 합류했으며, 이 중 일부는 여전히 서방 국가로부터 원조를 받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공여국 중 다수는 전통적인 공여국의 규범을 따라야 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95] 이들은 일반적으로 원조를 대가로 조건부 원조를 요구하며, 이는 원조를 상품 및 서비스 조달과 연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전통적인 개발 원조 기준에 대한 도전이다.[96]

다국적 기업, 자선가, 국제 비정부 기구(NGO) 및 시민 사회 또한 주요 행위자로 성장했다. 새로운 개발 파트너의 증가는 개발 공동체에 다양한 자금 조달, 노하우 및 기술을 제공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지만, 동시에 기존의 원조 시스템을 뒤흔들었다.[94]

10. 국내문제불간섭원칙

개발 원조는 국제법상 허용되는 개입의 하나로 인정받고 있지만, 오남용하면 국내문제불간섭원칙에 위반되는 내정 간섭이 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5.16 군사정변과 미국 국제개발청의 사례가 있다.[1] 강대국들은 외무부에 국제법상 국내문제불간섭원칙을 위반하는 내정간섭청을 설치하지 않고 개발원조청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며, 자국에 적대적인 약소국을 개발 원조하지 않는다. 이는 개발 원조의 전제로서 약소국의 동향을 감시하고 분석함을 의미한다.[1]

참조

[1] 웹사이트 Development Aid and Economic Growth: A Positive Long-Run Relation https://www.imf.org/[...] 2020-01-02
[2] 웹사이트 Total flows by donor (ODA+OOF+Private) [DAC1] https://stats.oecd.o[...]
[3] 문서
[4] 웹사이트 Aid Effectiveness and Governance: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http://www.brookings[...]
[5] 간행물 The effects of foreign aid on economic growth in developing countries Tennessee State University College of Business 2017
[6] 웹사이트 Nairobi outcome document https://www.effectiv[...] 2016-12-01
[7] 웹사이트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https://www.oecd.org[...] 2021-01-26
[8] 서적 Bilateral versus multilateral aid channels: Strategic choices for donors Overseas Development Institute 2016-03
[9] 문서 Trends in South-South and Triangular Development Cooperation http://www.un.org/en[...] United Nations Economic and Social Council 2008
[10] 문서 Dispelling the myths of triangular co-operation - Evidence from the 2015 OECD survey on triangular co-operation https://www.oecd.org[...] OECD 2016
[11] 문서 Triangular Cooperation: Opportunities, risks, and conditions for effectiveness https://openknowledg[...] 2010
[12] 웹사이트 Migration and Remittances: Recent Developments and Outlook http://documents1.wo[...] 2018-04
[13] 웹사이트 Are Immigrant Remittance Flows a Source of Capital for Development? - WP/03/189 http://www.imf.org/e[...]
[14] 웹사이트 Are Immigrant Remittance Flows a Source of Capital for Development http://www.imf.org/e[...]
[15] 웹사이트 DAC List of ODA Recipients http://www.oecd.org/[...] 2021-02-08
[16] 웹사이트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 definition and coverage http://www.oecd.org/[...] 2021-02-08
[17] 웹사이트 Total Official Support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OSSD) https://www.tossd.or[...]
[18] 웹사이트 Development aid drops in 2018, especially to neediest countries http://www.oecd.org/[...] 2021-01-29
[19] 웹사이트 Other official providers not reporting to the OECD https://www.oecd-ili[...] 2021-01-29
[20] 웹사이트 Aid (ODA) by sector and donor [DAC5] https://stats.oecd.o[...] 2021-02-06
[21] 웹사이트 QWIDS Query Wizard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Statistics https://stats.oecd.o[...] 2021-01-29
[22] 웹사이트 QWIDS Query Wizard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Statistics https://stats.oecd.o[...] 2021-01-29
[23] 웹사이트 Development co-opera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 analysis of 2020 figures and 2021 trends to watch https://www.oecd-ili[...] OECD 2021-06-16
[24] 논문 The Long-Run Impact of Foreign Aid in 36 African Countries: Insights from Multivariate Time Series Analysis*: Long-run impact of foreign aid in African countries http://www.wider.unu[...] 2013
[25] 논문 Foreign aid on economic growth in Africa: A comparison of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2015-11-27
[26] 논문 Foreign aid and poverty reduction 2019-01
[27] 웹사이트 The sad loss of Lord Bauer http://www.la-articl[...]
[28] 논문 Making Progress on Foreign Aid 2015-08-03
[29] 논문 The anti-politics machine: 'development' and bureaucratic power in Lesotho http://www.colorado.[...] 1994
[30] 웹사이트 "''Kijk Magazine''; October 2008, Gestrand Ontwikkelingswerk" http://www.momentum-[...] 2009-04-22
[31] 웹사이트 The tying of aid http://www.oecd.org/[...] 1991
[32] 웹사이트 US and Foreign Aid Assistance http://www.globaliss[...] Global Issues 2008-02-21
[33] 웹사이트 Aid in Reverse: How Poor Countries Develop Rich Countries https://www.theguard[...] 2017-01-14
[34] 논문 Not Waving But Drowning Gender Mainstreaming and Human Rights in the United nations
[35] 논문 Gender Mainstreaming in European Union Development Policy Towards Latin America: Transforming Gender Relations or Confirming Hierarchies?
[36] 논문 Gendered Leadership: The Effects of Female Development Agency Leaders on Foreign Aid Spending 2014-09
[37] 간행물 Not Waving But Drowning Gender Mainstreaming and Human Rights in the United Nations https://harvardhrj.c[...]
[38] 웹사이트 Report of the Fourth World Conference on Women https://www.un.org/e[...]
[39] 간행물 Not Waving But Drowning Gender Mainstreaming and Human Rights in the United nations
[40] 논문 Including Women's Voices? Gender Mainstreaming in EU and SADC Development Strategies for Southern Africa https://biblio.ugent[...]
[41] 논문 Gender Mainstreaming in European Union Development Policy Towards Latin America: Transforming Gender Relations or Confirming Hierarchies?
[42] 논문 Gender Mainstreaming in European Union Development Policy Towards Latin America: Transforming Gender Relations or Confirming Hierarchies?
[43] 웹사이트 Gender Equality and Female Empowerment Policy https://www.usaid.go[...] USAID
[44] 웹사이트 Promote https://www.usaid.go[...] USAID 2017-05-27
[45] 논문 The Micropolitics of Evaporation: Gender Mainstreaming Instruments in Practice
[46] 논문 Strong State Policies on Gender and Aid: Threats and Opportunities for Norwegian Faith-Based Organisations
[47] 서적 Non-traditional aid and gender equity evidence from million dollar donations WIDER 2013
[48] 서적 Non-traditional aid and gender equity evidence from million dollar donations WIDER 2013
[49] 서적 Non-traditional aid and gender equity evidence from million dollar donations WIDER 2013
[50] 서적 Non-traditional aid and gender equity evidence from million dollar donations WIDER 2013
[51] 웹사이트 Gender-related aid data at a glance https://www.oecd.org[...] OECD
[52] 웹사이트 Does Foreign Aid Improve Gender Performance of Recipient Countries?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https://editorialexp[...] 2020-01-02
[53] 웹사이트 A Summary of the "So What?" Report https://www.who.int/[...] WHO
[54] 논문 Gender Mainstreaming in Health: Looking Back, Looking Forward
[55] 간행물 Not Waving But Drowning Gender Mainstreaming and Human Rights in the United Nations
[56] 논문 The Micropolitics of Evaporation: Gender Mainstreaming Instruments in Practice
[57] 논문 Gendered Leadership: The Effects of Female Development Agency Leaders on Foreign Aid Spending
[58] 논문 Gendered Leadership: The Effects of Female Development Agency Leaders on Foreign Aid Spending 2014-09
[59] 논문 Gendered Leadership: The Effects of Female Development Agency Leaders on Foreign Aid Spending 2014-09
[60] 논문 Gender Mainstreaming in European Union Development Policy Towards Latin America: Transforming Gender Relations or Confirming Hierarchies?
[61] 논문 Gender Mainstreaming in European Union Development Policy Towards Latin America: Transforming Gender Relations or Confirming Hierarchies?
[62] 논문 Including Women's Voices? Gender Mainstreaming in EU and SADC Development Strategies for Southern Africa
[63] 논문 Including Women's Voices? Gender Mainstreaming in EU and SADC Development Strategies for Southern Africa
[64] 논문 Mainstreaming Gender in European Union Development Policy in the European Neighborhood 2012-10-01
[65] 논문 Gender Mainstreaming in European Union Development Policy Towards Latin America: Transforming Gender Relations or Confirming Hierarchies?
[66] 논문 Gendered Leadership: The Effects of Female Development Agency Leaders on Foreign Aid Spending 2014-09
[67] 논문 Gender Mainstreaming in Health: Looking Back, Looking Forward
[68] 서적 Developing Africa: Concepts and Practices in Twentieth-Century Colonialism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14
[69] 학위논문 Planning Development: International Experts, Agricultural Policy, and the Modernization of Nigeria, 1945-1967 West Virginia University, Morgantown 2014
[70] 서적 The Making of British Colonial Development Policy, 1914-1940 Frank Cass 1984
[71] 서적 Handbook of the economics of giving, altruism and reciprocity: foundations, volume 1 Elsevier
[72] 간행물 The Twilight of Colonial Rule in the British West Indies: Nationalist Assertion vs. Imperial Hubris in the 1930s http://connection.eb[...]
[73] 간행물 Walter Citrine and the British Caribbean Worker's Movement during the Commission Hearing http://web.ebscohost[...]
[74] 서적 The Trinidad Labour Riots of 1937
[75] 서적 Race and Class Struggles in a Colonial Stat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gary Press
[76] 서적 The Trinidad Labour Riots of 1937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est Indies Press
[77] 서적
[78] 서적 The Trinidad Labour Riots of 1937
[79] 서적 The Politics of Labour in the British Caribbean
[80] 문서
[81] 웹사이트 USAID: USAID History http://www.usaid.gov[...] Usaid.gov 2011-03-12
[82] 서적 A History of Eastern Europe: Crisis and Change Routledge
[83] 뉴스 Carnations https://content.time[...] 1948-02-09
[84] 웹사이트 Inaugural address of Harry S. Truman https://avalon.law.y[...] 2021-03-02
[85] 문서 Transcript of the speech http://www.bartleby.[...]
[86] 웹사이트 United Nations. Extended Programme of Technical Assistance - UNESCO Archives AtoM catalogue https://atom.archive[...] 2021-03-06
[87] 간행물 Foreign Aid and the Policy Process: 1957 https://www.cambridg[...] 1958-09
[88] 간행물 The American Foreign Aid Program: Costs, Accomplishments, Alternatives? https://www.jstor.or[...] 1967
[89] 간행물 The United Nations Special Fund https://www.jstor.or[...] 1964
[90] 웹사이트 Public Law 86-108, July 24,1959 https://www.govinfo.[...] 2021-03-09
[91] 웹사이트 The story of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https://www.oecd.org[...] 2021-03-09
[92] 웹사이트 History https://ida.worldban[...] 2021-03-06
[93] 문서
[94] 웹사이트 The End of ODA: Death and Rebirth of a Global Public Policy http://www.cosv.org/[...] 2021-04-15
[95] 문서
[96]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