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스 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거스 할은 핀란드계 이민자의 아들로 태어나 미국 공산당의 지도자가 된 인물이다. 그는 1930년대 미네소타와 오하이오에서 공산주의 활동을 했으며, 1937년에는 '리틀 스틸 파업'을 이끌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해군으로 복무했고, 이후 미국 공산당의 주요 지도자가 되어 반(反)정부 음모 혐의로 기소되어 수감되기도 했다. 1959년부터 2000년까지 미국 공산당 총서기로 활동하며, 소련의 노선을 지지하고 유로코뮤니즘을 비판했다. 그는 1972년부터 1984년까지 미국 대통령 선거에 네 번 출마했으나 모두 낙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공산당의 정치인 - 올리버 로
올리버 로는 미국의 노동 운동가이자 군인으로, 스페인 내전에서 에이브러햄 링컨 여단에 합류해 파시즘에 맞서 싸웠으며, 하라마 전투에서 공훈을 세웠으나 브루네테 전투에서 전사했다. - 미국 공산당의 정치인 - 얼 브라우더
얼 브라우더는 미국의 공산주의 운동가이자 정치가로서, 미국 공산당 창립에 참여하여 핵심 인물로 활동하고 1930년대에는 당의 지도자가 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당에서 축출되어 문학 에이전트로 활동했다. - 소련에 거주한 미국인 - 라나 (프로레슬링 선수)
라나는 프로레슬링 선수, 배우, 모델로 활동하며, WWE에서 매니저 및 선수로 활동했고, 2023년 AEW에 데뷔하여 미로의 매니저로 활동하기도 했다. - 소련에 거주한 미국인 - 랭스턴 휴스
랭스턴 휴스는 할렘 르네상스를 대표하는 미국의 시인이자 소설가, 극작가, 칼럼니스트로, 흑인 노동자 계층의 삶과 아프리카계 미국인 정체성, 흑인 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다양한 작품과 독특한 스타일로 표현하며 여러 예술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반인종주의 활동가 - 월터 로드니
가이아나의 역사학자이자 활동가였던 월터 로드니는 식민주의와 신식민주의를 비판하는 저서를 남기고 정치 활동을 하다 폭탄 테러로 사망했으며, 그의 업적은 아프리카 해방 운동에 영향을 주고 있다. - 반인종주의 활동가 - 코넬 웨스트
코넬 웨스트는 하버드와 프린스턴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고 여러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한 미국의 철학자, 작가, 사회 활동가, 공공 지식인으로, 진보적 사회 운동에 참여하며 미국의 인종, 정치, 경제 문제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견지하고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 무소속으로 출마하기도 했다.
거스 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아르보 쿠스타 할베르그 |
출생일 | 1910년 10월 8일 |
출생지 | 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루이스 카운티 체리 타운십 |
사망일 | 2000년 10월 13일 |
사망지 | 미국 뉴욕 시 |
국적 | 미국 |
직업 | |
직업 | 벌목꾼, 광부, 제강 노동자, 노동조합원, 정치 작가 |
정치 경력 | |
소속 정당 | 미국 공산당 |
직책 | 미국 공산당 전국위원회 총서기 |
임기 시작 | 1959년 12월 14일 |
임기 종료 | 2000년 5월 |
전임자 | 유진 데니스 |
후임자 | 샘 웹 |
부통령 | 자비스 타이너 앤젤라 데이비스 |
학력 | |
교육 | 국제 레닌 학교 |
가족 관계 | |
배우자 | 엘리자베스 메리 터너 (1935년 결혼) |
자녀 | 2명 |
군 복무 | |
군종 | 미국 해군 |
복무 기간 | 1942년 – 1946년 |
계급 | 기계공 |
참전 | 제2차 세계 대전 |
서명 | |
![]() |
2. 초기 생애 및 정치 활동
거스 할은 1910년 미네소타주 세인트루이스군 체리 타운십에서 Arvo Kustaa Halbergfin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2][3] 그의 부모는 핀란드 라푸아 출신의 핀란드계 이민자로, 정치적으로 급진적인 성향을 가졌다. 부모는 세계산업노동자연맹(IWW) 활동에 참여했으며, 1919년 미국 공산당(CPUSA) 창립 초기 멤버이기도 했다.[4] 할은 공산주의 이념을 가진 가정 환경 속에서 성장하며 자연스럽게 정치에 관심을 두게 되었다.[5] 할의 모국어는 핀란드어였으며, 평생 형제자매들과 핀란드어로 소통했다.[2]
그의 아버지가 IWW 파업에 참여했다는 이유로 광산에서 해고된 후, 가족은 매우 어려운 생활을 해야 했다.[7] 15세 되던 해, 할은 가난한 가족의 생계를 돕기 위해 학교를 그만두고 벌목 캠프, 광산, 철도 등지에서 일하기 시작했다.[2] 17세인 1927년, 아버지의 권유로 미국 공산당에 가입했으며,[8] 이후 중서부 지역에서 청년 공산주의자 연맹(YCL)의 조직가로 활동했다.[5] 1931년에는 소련 모스크바에 있는 국제레닌학교에 선발되어 2년 동안 공부했다.[3] 소련에서의 학업을 마친 후, 할은 미니애폴리스로 이주하여 공산주의자로서 활동을 이어갔다.[5]
2. 1. 미네소타 시절
거스 할은 1910년 미네소타주 세인트루이스군 체리 타운십에서 Arvo Kustaa Halbergfi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 이곳은 북부 미네소타의 메사비 철광산 지역에 위치한 시골 마을이었다. 그의 부모는 핀란드 라푸아 지역에서 온 핀란드계 이민자였으며, 정치적으로 급진적인 성향을 가졌다.[2][3] 부모는 세계산업노동자연맹(IWW) 활동에 참여했고, 1919년 미국 공산당(CPUSA) 창립 초기 멤버이기도 했다.[4] 당시 메사비 산맥 지역은 핀란드 이민자들이 많이 정착한 곳 중 하나였으며, 이들은 노동 운동과 정치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경우가 많았다.[5][6] 할의 모국어는 핀란드어였고, 그는 평생 9명의 형제자매들과 핀란드어로 소통했다.[2]할은 공산주의 이념을 가진 가정 환경 속에서 자라면서 자연스럽게 정치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5] 그의 아버지가 IWW 파업에 참여했다는 이유로 광산에서 해고된 후, 가족은 아버지가 직접 지은 통나무집에서 매우 어려운 생활을 해야 했다.[7]
15세 되던 해, 할은 10명이나 되는 자녀를 둔 가난한 가족의 생계를 돕기 위해 학교를 그만두고 노스 우즈의 벌목 캠프, 광산, 철도 등지에서 일하기 시작했다.[2] 2년 뒤인 1927년, 17세의 나이에 아버지의 권유로 미국 공산당(CPUSA)에 가입했다.[8] 이후 할은 중서부 지역에서 청년 공산주의자 연맹(YCL)의 조직가로 활동했다.[5] 1931년에는 YCL 활동 경력을 인정받아 소련 모스크바에 있는 국제레닌학교에서 2년 동안 공부할 기회를 얻었다.[3]
소련에서의 학업을 마친 후, 할은 미니애폴리스로 이주하여 청년 공산주의자 연맹(YCL) 활동을 이어갔다.[5] 대공황 시기에는 기아 행진, 농민을 위한 시위, 여러 파업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5] 1934년에는 트로츠키주의자 패럴 돕스가 주도한 미니애폴리스 팀스터 파업에 참여했다가 체포되어 6개월간 수감되기도 했다.[5]

교도소에서 나온 후, 할은 블랙리스트에 이름이 올라 본명인 아르보 할버그로는 일자리를 구할 수 없게 되었다. 이에 그는 자신의 이름 쿠스타(구스타프) 할버그에서 따온 '''거스 할(Gus Hall)'''로 개명했으며,[9] 이 이름은 1935년 법적으로 인정받았다.[9]
2. 2. 미니애폴리스 시절
모스크바 국제레닌학교에서 학업을 마친 후, 할은 청년공산주의자동맹(YCL) 활동을 더욱 확대하기 위해 미니애폴리스로 이주했다.[5] 그는 대공황 시기에 발생한 기아 행진, 농민을 위한 시위, 다양한 파업 등에 참여했다.[5] 1934년에는 트로츠키주의자 패럴 돕스가 이끈 미니애폴리스 팀스터 파업에 참여했으며, 이 활동으로 인해 6개월간 투옥되었다.[5] 형기를 마치고 출소한 할은 블랙리스트에 올라 본명(쿠스타 할베르그)으로는 일자리를 구할 수 없는 상황에 놓였다. 이에 그는 이름을 '거스 할'로 개명했으며[9], 이 개명은 1935년 법원에서 공식적으로 확인되었다.[9]3. 오하이오 시절
1934년 말, 할은 오하이오주 마호닝 밸리로 이주했다. 철강 산업 조직화 요청에 따라, 그는 오하이오주 영스타운의 제철소에서 일하게 된 소수의 인물 중 하나였다.[5] 1935년부터 1936년까지 산업별 노조 회의(CIO)[2] 활동에 참여했으며, CIO 산하 철강 노동자 조직 위원회(SWOC)의 창립 조직원이 되었다.[5] 할은 자신을 포함한 몇몇 인물들이 CIO 창립자 중 한 명인 존 L. 루이스에게 철강 산업 조직화의 필요성을 설득했다고 회고했다.[1]
3. 1. 결혼과 가정
오하이오주 영스타운에서 헝가리계 출신인 엘리자베스 메리 터너(Elizabeth Mary Turner, 1909–2003)를 만났다.[2][10] 엘리자베스는 최초의 여성 철강 노동자 중 한 명이자 SWOC(철강노동자 조직위원회)의 비서로서 활동한 인물이었다.[10] 두 사람은 1935년에 결혼했으며,[10] 슬하에 두 자녀, 딸 바바라(Barbara (Conway), 1938년 출생)와 아들 아르보(Arvo, 1947년 출생)를 두었다.[7][10]3. 2. "리틀 스틸" 파업과 2차 세계대전 참전
할은 1937년 "리틀 스틸" 파업(Little Steel strike)의 주요 조직가 중 한 명이었다. 이 파업은 US 스틸(U.S. Steel)과 같은 거대 기업이 아닌 리퍼블릭 스틸(Republic Steel), 베들레헴 스틸(Bethlehem Steel), 영스타운 시트 앤 튜브(Youngstown Sheet and Tube Company) 등 상대적으로 작은 철강 회사들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리틀 스틸"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당시 US 스틸은 이미 SWOC(Steel Workers Organizing Committee)와 별다른 충돌 없이 계약을 체결한 상태였다.[11] 하지만 이 파업은 결국 실패로 돌아갔으며, 시카고와 영스타운의 리퍼블릭 스틸 공장에서는 노동자들이 목숨을 잃는 비극(Memorial Day massacre of 1937)이 발생하기도 했다.[11] 할은 이 과정에서 오하이오주 워렌(Warren, Ohio)에 위치한 리퍼블릭 스틸 공장을 겨냥한 폭탄 제조 물질을 운반했다는 혐의로 체포되었다. 그는 결국 경범죄 혐의를 인정하고 500USD의 벌금을 납부했다.[12] SWOC는 이후 1942년에 미국 철강 노동자 연합(United Steelworkers of America, USWA)으로 발전했다.[11] USWA의 창립 회장인 필립 머레이(Philip Murray)는 할이 워렌과 영스타운에서 보여준 파업 지도력을 효과적인 풀뿌리 조직 활동의 모범 사례로 평가하기도 했다.1937년 파업 이후, 할은 노동조합 활동보다는 당 활동에 더 집중하여 같은 해 영스타운에서 미국 공산당(Communist Party USA, CPUSA) 지역 지도자가 되었다.[2] 그의 당내 입지는 빠르게 상승하여 1939년에는 클리블랜드(Cleveland)시의 CPUSA 지도자가 되었다.[2] 할은 CPUSA 후보로 영스타운 시의원과 오하이오 주지사 선거에 출마했으나 큰 지지를 얻지는 못했다.[3] 1940년에는 선거 부정 및 위조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아 90일간 수감되기도 했다.[13]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할은 미국 해군에 자원입대하여 괌(Guam)에서 기계공으로 복무했다.[2] 전쟁 초기 유럽 전선에서 나치 독일과 소련이 독소 불가침 조약을 맺고 협력 관계에 있었기 때문에, CPUSA는 고립주의(isolationist) 입장을 취했다. 그러나 1941년 6월 히틀러가 소련을 침공(Operation Barbarossa)하여 조약을 파기하자, CPUSA는 공식적으로 전쟁 노력을 지지하는 방향으로 입장을 바꾸었다. 할은 해군 복무 중에도 부재중에 CPUSA 전국 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5] 그는 1946년 3월 6일 해군에서 명예롭게 제대했다.[3]
4. 미국 공산당 지도자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의 주요 공산주의 지도자로 부상한 거스 할은 미국 정부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 1948년 7월 22일, 할을 포함한 11명의 미국 공산당 지도자들은 스미스 법(외국인 등록법) 위반 혐의로 기소되었다. 기소 내용은 "무력과 폭력으로 미국 정부를 전복하려는 음모와 옹호"였으나, 실제 유죄 판결은 주로 할의 마르크스주의 사상 옹호에 근거했다.[5] 할은 이 재판에서 5년 형을 선고받았다.
보석으로 잠시 풀려난 할은 CPUSA(미국 공산당)의 사무국장으로 활동했다.[2] 그러나 1951년 6월 4일, 미국 연방 대법원이 스미스 법을 합헌으로 판결하자, 할과 다른 세 명의 지도자는 보석 조건을 어기고 지하로 잠적했다.[5] 할은 모스크바로 도피하려 했으나, 1951년 10월 8일 멕시코시티에서 체포되어 실패했다.[2][5] 그는 이로 인해 3년의 형을 추가로 선고받았고, 캔자스주 리븐워스에 있는 미국 리븐워스 연방 교도소에서 총 5년 반 이상을 복역했다.[3] 수감 중에도 그는 당의 소책자를 배포하고 운동을 꾸준히 했다고 전해진다. 그는 악명 높은 갱스터 조지 "머신건" 켈리와 옆방에 수감되기도 했다.[3] 이후 미국 연방 대법원은 스미스 법에 따른 일부 유죄 판결을 위헌으로 번복했다.
1960년대 초, 할은 1950년에 제정된 매캐런 국내 안보법 위반 혐의로 또다시 기소될 위기에 처했다. 이 법은 "공산주의 활동" 단체의 정부 등록을 의무화하고, 당원들의 미국 여권 신청이나 정부 공직 취임을 금지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3] 그러나 미국 연방 대법원이 이 법의 일부 조항을 위헌으로 판결하면서 정부는 기소를 포기했다.[2] 이 법 때문에 할의 운전면허가 뉴욕주에 의해 취소되기도 했다.[3]
1959년 가석방 후, 할은 미국 공산당(CPUSA) 총서기직에 올랐다.[3]
4. 1. 미국 공산당 총서기 (1959-2000)

1959년 가석방 후, 거스 할은 미국 공산당(CPUSA)의 총서기직에 올랐다. 그가 당권을 잡을 무렵, 매카시즘의 여파와 1956년 소련의 헝가리 침공으로 인해 많은 당원들이 환멸을 느끼고 당을 떠난 상태였다. 또한 소련 지도자 니키타 흐루쇼프의 스탈린 비판 역시 당내 동요를 일으켰다. 미국 내에서는 신좌파의 부상과 1968년 바르샤바 조약군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으로 인해 기존 좌파와 CPUSA 사이에 거리가 생기면서 당은 더욱 고립되었다.[5]
할은 당에 남은 지도자들과 함께 당 재건에 힘썼다.[4] 그는 공산당의 합법성을 되찾기 위해 노력했으며, 오리건주,[15] 워싱턴, 캘리포니아 등지에서 수만 명의 청중 앞에서 연설했다. 그는 "광범위한 인민 정치 운동"을 내세우며, 당을 급진적인 대학생 단체, 반 베트남 전쟁 운동, 시민권 운동 단체, 새로운 노동조합 운동과 연결하여 젊은 베이비붐 세대 활동가들을 영입하고자 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신좌파와의 지속적인 연대는 이루어지지 못했다.
할은 소련의 정책과 이익을 동구권 밖에서 가장 확고하게 지지하는 인물 중 하나로 알려졌다.[5][16] 1959년 이후 그는 거의 매년 모스크바를 방문했으며, 소련 내에서 가장 잘 알려진 미국 정치인 중 한 명이었다.[17] 레오니트 브레즈네프와 같은 소련 고위급 인사들과 교류하기도 했다.[18] 그는 미국 내에서 사회주의를 알리기 위해 대학 강연이나 토크쇼에 자주 출연했다. 그는 미국의 사회주의가 미국 권리 장전에 기반한 미국식 민주주의 전통 위에 세워져야 한다고 주장하며, 미국인들이 권리 장전 없이는 헌법을 받아들이지 않았듯, 사회주의도 그러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시사 문제에 관한 많은 글과 소책자를 발표했으며, 이 중 다수는 당 기관지 ''정치 문제''에 실렸다.[2]
1960년대와 1970년대에 할은 소련 텔레비전에도 자주 등장하여 소련 정부의 입장을 대변했다.[2] 그는 소련 공산당(CPSU)의 노선을 따라 CPUSA를 이끌었으며, 유로코뮤니즘과 같은 당내 자유주의적 경향을 거부했다.[5] 또한 평화 공존이라는 공식적인 소련 노선을 비판하며 세계 혁명을 주장하는 급진적인 운동들을 일축했다.[19] 중소 분쟁 이후에는 마오이즘을 비판하며 모든 마오주의 동조자들을 1960년대 초 당에서 제명했다.[20]
할은 1968년 체코슬로바키아 침공과 1979년 아프가니스탄 침공을 공개적으로 지지했으며,[21] 일국 사회주의론이라는 스탈린주의 원칙을 고수했다.[8] 1980년대 초에는 폴란드의 연대 노조 운동을 비판했다.[20] 1992년, 모스크바의 일간지 ''이즈베스티야''는 CPUSA가 소련으로부터 4000만달러 이상을 지원받았다고 보도하며, 할이 오랫동안 주장해 온 당의 재정적 독립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전 KGB 장군 올레크 칼루긴은 자신의 회고록에서 KGB가 할과 미국 공산당을 사실상 통제했으며, 할이 개인적인 용도로 "모스크바 자금"을 유용했다고 주장했다.[22] 반면, 작가이자 J. 에드거 후버 전기 작가인 커트 젠트리는 이러한 주장이 FBI의 비밀 공작인 COINTELPRO를 통해 반체제 단체를 와해시키기 위해 유포된 허위 정보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23]

1964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는 보수주의자인 배리 골드워터의 당선을 막기 위해 린든 B. 존슨 후보를 지지했다.[24] 그러나 1972년 미국 대통령 선거부터는 민주당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고 직접 대통령 후보로 출마했다.[25] 할은 1972년, 1976년, 1980년, 1984년까지 총 네 차례 대선에 출마했으며, 마지막 두 번의 선거에서는 앤젤라 데이비스를 부통령 후보로 지명했다.[4]
선거 연도 | 러닝 메이트 | 득표수 | 득표율 |
---|---|---|---|
1972 | 자비스 타이너 | 25,597 | 0.03%[28] |
1976 | 자비스 타이너 | 58,709 | 0.07%[26] |
1980 | 앤젤라 데이비스 | 44,933 | 0.05%[29] |
1984 | 앤젤라 데이비스 | 36,386 | 0.04%[30] |
네 번의 선거 중 1976년에 가장 많은 표를 얻었으나, 이는 워터게이트 스캔들의 영향으로 소수 정당에 대한 항의 투표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당시 할은 전체 후보 중 8위에 머물렀다.[26] 막대한 선거 비용, 주마다 다른 복잡한 선거법 규정 충족의 어려움, 언론 노출 부족 등의 이유로 CPUSA는 전국 단위의 대선 출마를 중단하고 지역 선거에 집중하기로 결정했다. 이 결정 이후에도 CPUSA는 민주당 지지로 돌아가지 않았다.[27]
1980년대는 할과 CPUSA에게 정치적으로 어려운 시기였다. 1980년, 할이 신뢰했던 측근이자 CPUSA 부대표인 모리스 차일즈가 오랫동안 연방수사국(FBI)의 정보원이었음이 밝혀졌기 때문이다.[31] 차일즈는 미국 연방 증인 보호 프로그램에 들어갔고 1987년 대통령 자유 훈장을 받았지만, 할은 차일즈가 스파이였다는 사실을 계속 부인했다.[9] 또한 흑인 당원인 헨리 윈스턴이 1986년에 사망했다. 흑인 당원들은 당 지도부가 백인으로만 구성된 사실에 의문을 제기했다.
소련의 붕괴 이후인 1991년에 당은 또 다른 위기에 직면했다. 그해 기자 회견에서 할은 러시아에서 마녀 사냥과 매카시즘을 경고하며 그 나라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비교하여 부정적으로 평가했다.[3] 그는 글라스노스트와 페레스트로이카에 반대하는 당내 파벌을 이끌었고, CPSU의 강경파들에게 미하일 고르바초프와 보리스 옐친을 사회주의를 "파괴"하는 자들이라고 비난했다.[32] 할은 베트남과 쿠바를 지지했지만 중국이 서방에 반대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33] 1991년 말, 개혁을 원하는 당원들은 할이 당을 이끌고 있는 방향에 비판적인 민주주의와 사회주의를 위한 통신 위원회를 창설했다.[34] 그들은 지도부에 영향을 미칠 수 없게 되자 당을 떠났고 할은 그들을 당에서 제명했는데, 여기에는 앤젤라 데이비스와 찰린 미첼과 같은 지도자들도 포함되었다.
할은 생애 마지막 몇 년 동안 아내 엘리자베스와 함께 뉴욕주 용커스에 살았다.[10] 할은 정치적 사건을 따르는 것 외에도 미술품 수집, 유기농 원예, 그림 그리기 등의 취미를 즐겼다.[13] 2000년, 그가 사망하기 직전 할은 샘 웹에게 당 의장직을 사임하고 명예 의장으로 임명되었다.[35] 1994년, 마이클 마이어슨은 허버트 앱테커, 앤젤라 데이비스, 길 그린, 찰린 미첼과 함께 CPUSA를 떠났는데,[36] 할이 "세련된 햄프턴 베이에 있는 저택"을 포함하여 "좋은 부르주아 생활"을 하고 있다고 비난했다.[37]
거스 할은 2000년 10월 13일 맨해튼의 레녹스 힐 병원에서 당뇨병 합병증으로 90세를 일기로 사망했다.[3][38] 그의 유해는 시카고 근처 포리스트 홈 묘지에 안장되었다.
4. 2. 소련과의 관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거스 할은 모스크바의 충성파로 여겨지며 미국 공산당(CPUSA) 내에서 입지를 다졌다. 1946년, 그는 당 서기장 유진 데니스(Eugene Dennis) 아래에서 당 전국 집행 위원으로 선출되었는데, 이는 친소련 노선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5][3]할은 소련의 영향력 하에 있는 국가들 밖에서 소련의 행동과 이익을 가장 확고하게 지지하는 인물 중 하나로 평가받았다.[5][16] 1959년부터 그는 매년 모스크바에서 상당 기간을 보냈으며, 소련 내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미국 정치인 중 한 명이 되었다.[17] 그는 레오니트 브레즈네프와 같은 소련 고위 정치인들과 교류하며 환대를 받았다.[18] 또한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소련 텔레비전에 자주 출연하여 소련 정권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대변했다.[2]
할은 소련 공산당(CPSU)의 노선을 따라 CPUSA를 이끌었으며, 유로코뮤니즘과 같은 당내 자유화 움직임을 거부했다.[5] 그는 소련의 헝가리 침공,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아프가니스탄 침공 등 소련의 군사적 개입을 공개적으로 옹호했으며,[21] "일국 사회주의"라는 스탈린주의 원칙을 지지했다.[8] 1980년대 초반에는 폴란드의 연대 운동을 비판하기도 했다.[20]
중소 분쟁 이후에는 마오이즘을 비판했으며, 마오주의에 동조하는 당원들을 1960년대 초에 CPUSA에서 축출했다.[20]
소련과의 재정적 관계에 대한 의혹도 제기되었다. 1992년 모스크바 일간지 ''이즈베스티야''는 CPUSA가 소련으로부터 4000만달러 이상을 지원받았다고 보도하며, 할이 주장해 온 재정적 독립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전 KGB 장군 올레크 칼루긴은 자신의 회고록에서 KGB가 할과 CPUSA를 사실상 통제했으며, 할이 개인적인 용도로 "모스크바 자금"을 유용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22] 그러나 작가 커트 젠트리는 이러한 주장이 FBI의 비밀 공작인 COINTELPRO를 통해 퍼뜨려진 허위 정보일 가능성을 지적하기도 했다.[23]
소련의 붕괴가 임박했던 1991년, 할은 미하일 고르바초프와 보리스 옐친의 글라스노스트와 페레스트로이카 정책에 반대하는 당내 강경파를 이끌었다. 그는 이들 지도자들이 사회주의를 "파괴"하고 있다고 비난했으며,[32] 러시아에서 매카시즘과 같은 정치적 탄압이 벌어질 것을 경고하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비교하기도 했다.[3]
5. 비판
트로츠키주의 사회주의 노동자당(SWP)과 미드웨스트 팀스터스(Midwest Teamsters) 지도자들이 1941년 미네소타에서 스미스법 위반 혐의로 기소되었을 때, 일부 공산당원들은 정부의 조치를 지지했다. 이후 거스 할은 당시 당이 스미스법에 따른 SWP 당원들의 투옥에 공개적으로 반대하지 않은 것은 실수였다고 인정했다.[39] 트로츠키주의 운동은 할에 대해 강한 비판적 입장을 견지했으며, 그의 사망 당시 트로츠키주의 성향의 세계 사회주의 웹사이트는 그의 무능함, 소련에 대한 맹목적 충성, 그리고 노동계급을 저버렸다는 점을 들어 그를 강하게 비난했다.[40]
때때로 일부 소련 관료들 역시 할이 미국 공산당(CPUSA)을 제대로 이끌지 못한다고 비판했다.[41] 이들은 CPUSA가 FBI의 심한 감시를 받고 있는 상황에서는 성공하기 어렵다고 보았고, 이러한 조언에 따라 일부 젊은 미국 공산주의자들은 CPUSA와 거리를 두기도 했다.[3]
많은 보수주의자들은 할을 미국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했다. J. 에드거 후버는 그를 "미국화에 대한 강력하고, 기만적이며, 위험한 적"이라고 묘사했다. 할에게는 사실과 다른 격정적인 기독교 비판 성명이 귀속되기도 했는데, 이는 제리 폴웰의 모럴 매저리티를 포함한 일부 기독교 단체의 적대감을 샀다.[42] 1977년 미래의 미국 대통령 로널드 레이건은 한 연설에서 공산주의의 해악을 강조하기 위해, 할이 1961년에 했다고 주장되는 발언을 인용하려 했다. 해당 발언은 "나는 장 멜리에가 마지막 국회의원이 마지막 설교자의 창자 위에서 목 졸려 죽는 날을 꿈꾼다 — 그리고 기독교인들은 피에 대해 노래하는 것을 좋아하는 것 같으니, 그들에게 약간의 피를 주지 않겠는가? 그들의 아이들의 목을 긋고 그들을 조문객 의자와 설교단 위로 끌고 가서 그들이 자신의 피 속에서 익사하도록 하고, 그들이 그런 찬송가를 부르는 것을 즐기는지 보라"는 내용이었다. 레이건은 이 발언이 할이 CPUSA 전 당 의장 윌리엄 Z. 포스터의 장례식 연설에서 한 말이라고 거짓으로 주장했지만, 결국 연설에서는 해당 내용을 삭제했다.[43] 그러나 할은 실제로는 기독교에 대해 긍정적인 발언을 하기도 했다. 1963년 그는 교황의 회칙 지상의 평화를 "위대한 교황의 작품"이라고 평가했으며,[44] 프랜시스 나이젤 리에 따르면, 할은 교황 요한 23세를 높이 평가하며 가톨릭과 공산주의자 간의 대화를 희망했고, ''정치 문제''에 "마르크스주의자들은 교황 요한의 거대한 전진에 기꺼이 동참하려는 놀라운 의지를 보여주었다"라고 썼다.[44] 거스 홀은 또한 "우리의 싸움은 자본주의와 싸우는 것이지, 신과 싸우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45]
할은 또한 공산당이 동성애를 "파시스트적 경향"으로 규정한 스탈린주의 교리를 따랐다는 점에서 동성애 혐오 비판을 받았다. 이로 인해 해리 헤이와 같이 공개적으로 동성애자임을 밝힌 당원들이 1950년대에 당에서 제명되었다.[46] 공산당은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새롭게 등장한 사회 운동, 특히 신좌파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며 거리를 두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길 그린과 같은 일부 당원들은 젊은 세대와의 연대를 모색하며 "올바른 노선은 이 젊은이들의 격변에 우리도 참여하면서, 그것의 역학이 스스로 해결되도록 하면서 영구적인 운동으로 전환하려고 시도하는 것이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47] 멕시코 공산당이나 자비스 타이너, 켄드라 알렉산더와 같은 일부 흑인 공산주의자들이 동성애 혐오에 반대했음에도 불구하고, CPUSA는 공식적으로 게이 권리에 반대했다. 1970년대 초 당 강령은 "건전하고 건강한 남녀 관계의 대안으로 동성애 관계를 장려하거나 촉진하거나, 사회의 기본 단위이자 우리가 실현하고자 하는 미래의 기본 구성 요소인 가족으로부터 주의를 흩뜨리는" 모든 행동을 비난했으며, "소위 게이 라이프스타일을 진보적이고 심지어 혁명적인 운동의 일부로 묘사하거나 진보적 이데올로기의 가면을 쓰고 이를 홍보하려는 모든 시도"를 거부했다.[47]
그러나 할 자신은 동성애 혐오자가 아니었다.[48] 어윈 마퀴트에 따르면, 할은 당의 동성애 집단에 대한 적대적인 입장을 완화하려 했으며, 미네소타 대학교 학생 평의회의 질문에 대해 동성애자 당원을 제명하는 것에 반대한다고 답했다.[48] 또한 할은 1963년 8월 키예프에서 체포되어 동성애 혐의로 기소된 당원 버나드 코튼을 위해 개입했다.[49] 할은 코튼의 체포 소식에 강하게 반발하며 "더 심각한 범죄가 연루되지 않는 한" 혐의를 철회할 것을 요구했다.[49] 할과 여러 진보적 활동가들의 항의 끝에 코튼은 재판 없이 석방되었다.[49]
6. 사망
2000년 10월 13일 뉴욕에서 당뇨병 합병증으로 인해 90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7. 저술
- ''평화를 쟁취할 수 있다!, 미국 공산당 제15차 전당대회 보고서'', 뉴욕: New Century Publishers, 1951.
- ''우리의 시선은 미래로: 미국 공산당 제17차 전국대회 기조 보고 및 폐회 연설'', 뉴욕: New Century Publishers, 1960.
- ''메인 스트리트에서 월 스트리트까지: 냉전을 종식시키라!'', 뉴욕: New Century Publishers, 1962.
- ''1964년 미국은 어느 방향으로? 공산주의적 관점'', 뉴욕: New Century Publishers, 1964.
- ''정상 궤도: 혁명 과정; 미국 공산당 제19차 전국대회 보고서, 사무총장 보고'', 뉴욕: New Outlook Publishers and Distributors, 1969.
- ''생태학: 자본주의 하에서 우리가 살아남을 수 있을까?'', International Publishers, 뉴욕 1972.
- ''오늘날의 제국주의; 우리 시대의 주요 문제와 사건 평가'', 뉴욕, International Publishers, 1972 ISBN 0-7178-0303-1
- ''에너지 약탈: 원인과 치료법'', International Publishers, 뉴욕 1974, ISBN 0-7178-0421-6.
- ''미국 자본주의의 위기와 반격: 미국 공산당 제21차 전당대회 보고서'', 뉴욕: International Publishers, 1975.
- ''위기에 맞선 인민 투쟁에서 노동의 역할: 미국 공산당 제22차 전당대회 보고서'', 뉴욕: International Publishers, 1979.
- ''기본: 평화, 민주주의, 사회적 진보를 위하여'', International Publishers, 뉴욕. 1980.
- ''평화, 일자리, 평등을 위하여: "그날 이후"를 막고, 레이건주의를 타도하라: 미국 공산당 제23차 전당대회 보고서'', 뉴욕: New Outlook Publishers and Distributors, 1983. ISBN 0-87898-156-X
- ''카를 마르크스: 우리 시대의 등대'', International Publishers, 뉴욕 1983, ISBN 0-7178-0607-3.
- ''인종차별주의에 맞서 싸우다: 선별된 저작'', International Publishers, 뉴욕 1985, ISBN 0-7178-0634-0.
- ''노동계급 미국: 힘과 운동'', International Publishers, 뉴욕 1987, ISBN 0-7178-0660-X.
8. 역대 선거 결과
wikitext
선거명 | 직책명 | 대수 | 정당 | 득표율 | 득표수 (선거인단) | 결과 | 당락 |
---|---|---|---|---|---|---|---|
1972년 선거 | 미국의 대통령 | 37대 | 미국 공산당 | 0.03% | 25,343표 (0명) | 8위 | 낙선 |
1976년 선거 | 미국의 대통령 | 39대 | 미국 공산당 | 0.07% | 58,992표 (0명) | 8위 | 낙선 |
1980년 선거 | 미국의 대통령 | 40대 | 미국 공산당 | 0.05% | 45,023표 (0명) | 6위 | 낙선 |
1984년 선거 | 미국의 대통령 | 40대 | 미국 공산당 | 0.04% | 36,386표 (0명) | 8위 | 낙선 |
참조
[1]
뉴스
Marxist Gus Hall Recalls His Red Letter Days
1978-05-05
[2]
웹사이트
Hall, Gus (1910–2000)
http://artikkelihaku[...]
The National Biography of Finland
2010-04-27
[3]
웹사이트
Biografiakeskus, Suomalaisen Kirjallisuuden Seura
http://artikkelihaku[...]
2023-06-28
[4]
뉴스
Gus Hall, American Communist Party boss, dies at 90
https://archive.seat[...]
2007-10-25
[5]
서적
Making it in America: A Sourcebook on Eminent Ethnic Americans
https://archive.org/[...]
ABC-CLIO
[6]
간행물
The Origins of Ethnic Radicalism in Northern Minnesota
[7]
뉴스
Gus Hall, U.S. communist chief, dies
2000-10-17
[8]
웹사이트
Gus Hall obituary – World Socialist Web Site
http://www.wsws.org/[...]
[9]
웹사이트
Gus Hall
http://www.anb.org/h[...]
[10]
웹사이트
Elizabeth Hall dies at 94
http://www.peopleswo[...]
2003-10-18
[11]
뉴스
Defining moment in local labor history occurred 70 years ago
2007-06
[12]
뉴스
Gus Hall, Unreconstructed American Communist of 7 Decades, Dies at 90
https://query.nytime[...]
2008-07-04
[13]
잡지
Last of The Red-Hot Believers: GUS HALL
1991-09-09
[14]
서적
California Red: a life in the American Communist Party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5]
간행물
Campus Law: Berkeley Viewed from Eugene
[16]
문서
David North: Das Erbe, das wir verteidigen
[17]
웹사이트
УМЕР ГЛАВНЫЙ МАРКСИСТ США
http://www.ng.ru/wor[...]
2000-10-18
[18]
서적
Die Menschenrechtspolitik der USA
Oldenbourg
[19]
서적
Communism in history and theory: Asia, Africa, and the Americas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
서적
Far Left of Center: The American Radical Left Today
Transaction Publishers
[21]
뉴스
Legale Minen
1980-09-29
[22]
문서
The First Directorate
New York
[23]
서적
J. Edgar Hoover: The Man and the Secrets
New York: W.W. Norton & Company
[24]
웹사이트
Obituary at Kalaschnikow.net
http://www.kalaschni[...]
2008-11-17
[25]
웹사이트
Obituary at Newsru.com
http://www.newsru.co[...]
[26]
웹사이트
1976 Presidential General Election Results
http://uselectionatl[...]
2010-04-27
[27]
뉴스
Das ist Mum, sie arbeitet für die Kommunistische Partei
https://www.welt.de/[...]
Welt
2004-04-29
[28]
웹사이트
1972 Presidential General Election Results
http://www.uselectio[...]
2010-04-27
[29]
웹사이트
1980 Presidential General Election Results
http://uselectionatl[...]
2010-04-27
[30]
웹사이트
1984 Presidential General Election Results
http://uselectionatl[...]
2010-04-27
[31]
서적
Operation Solo: The FBI's Man in the Kremlin
Regnery Publishing
[32]
뉴스
GESTORBEN
2000-10-23
[33]
뉴스
Gus Hall
http://www.economist[...]
2000-10-26
[34]
뉴스
Ohne Kopf und Kapital
http://www.zeit.de/1[...]
2010-04-28
[35]
뉴스
Gus Hall übergibt den Stab
http://www.dkp-onlin[...]
2010-04-28
[36]
웹사이트
Crisis in the CPUSA: Interview with Charlene Mitchell
https://omalley.nels[...]
University of the Western Cape
1993
[37]
뉴스
Comrades Up in Arms; Ranks of American Communists Split Over Future of Their Party
https://www.nytimes.[...]
1997-05-08
[38]
NNDB
NNDB Gus Hall
http://www.nndb.com/[...]
[39]
서적
Black liberation/red scar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Delaware Press
[40]
웹사이트
Gus Hall (1910-2000): Stalinist operative and decades-long leader of Communist Party USA
https://www.wsws.org[...]
2000-11-06
[41]
서적
The First Directorate
https://archive.org/[...]
St. Martin's Press
[42]
서적
They never said it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43]
문서
Reagan, In His Own Hand
New York
2002
[44]
간행물
Biblical Private Property Versus Socialistic Common Property
https://creation.com[...]
1988
[45]
서적
Communism & Religion
https://archive.org/[...]
PCUSA Religious Affairs Commission
2019-02-15
[46]
뉴스
Harry Hay: Painful partings
http://www.workers.o[...]
2005-06-28
[47]
간행물
From Crisis to Split: The Communist Party USA, 1989–1991
2019-04-22
[48]
간행물
Memoirs of a Lifelong Communist
https://www.academia[...]
2014
[49]
서적
Minnesota, Moscow, Manhattan: Gus Hall's Life and Political Line Until the Late 1960s
The Finnish Society of Sciences and Letters
2020-12-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