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거제시의 지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거제시의 지질은 경상 분지에 속하며, 경상 누층군과 불국사 화강암으로 구성된다. 경상 누층군은 퇴적암 지층인 성포리층과 장목리층, 화산암인 안산암질암과 안산암질 각력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을 관입한 불국사 화강암류가 존재한다. 거제시에는 장목리층과 성포리층이 분포하며, 장목리층은 거제도 동쪽 해안을 따라 분포하며, 성포리층은 거제 신선대 해안에서 관찰할 수 있다. 또한, 거제시 육지에는 소규모 단층이, 동쪽 앞바다 해저에는 양산 단층이 지나간다. 거제 지역에서는 금, 은, 구리 등을 생산했던 다양한 광산들이 존재했으나, 현재는 대부분 휴광 상태이다.

2. 지질

거제시는 지체 구조상 경상 분지에 속하며, 전 지역의 지질은 주로 중생대 백악기의 경상 누층군과 이를 관입한 불국사 화강암류, 그리고 신생대 제4기 퇴적층으로 구성된다.[1][2] 경상 누층군은 호수 환경에서 쌓인 퇴적암 지층인 성포리층과 장목리층, 그리고 화산암류인 안산암질암과 안산암질 각력암 등으로 이루어진다.[1] 특히 성포리층과 장목리층 같은 퇴적암 지층에서는 연흔건열 같은 퇴적 구조가 특징적으로 잘 발달해 있다.

2. 1. 경상 누층군 퇴적암

거제시에 분포하는 경상 누층군 퇴적암중생대 백악기에 주로 호수 환경에서 퇴적된 지층이다. 이들은 진동층에 대비되는 장목리층과 성포리층으로 구성된다.

2. 1. 1. 장목리층 (진동층)과 거제 해금강

장목리층(Kjm; Kyeongsang supergroup Jangmokri Formation, 長木里層)은 거제도의 동쪽 해안을 따라 분포하는 퇴적암 지층이며 거제시에 분포하는 경상 누층군 중 최하부의 지층이다. 지층의 이름은 거제시 장목면 장목리에서 유래되었다.

장목리층은 암상에 따라 하부(두께 약 180 m 이상)와 상부(두께 약 210 m 이상)로 구분된다. 하부층은 암갈색 또는 황갈색 역암, 응회질사암, 회백색 사암, 암회색 또는 흑색 셰일이 번갈아 나타나는 호층으로 구성되며, 위로 갈수록 사암역암의 양은 줄어든다. 연초면 명동리 부근에서는 장목리층 최하부로 추정되는 역암층이 안산암질각력암과의 접촉부를 따라 약 30m 두께로 분포하지만 연속성은 없다. 이 역암에는 비교적 둥근 화산암 자갈(역)이 포함되어 있어 안산암질각력암과 구별하기 어려울 수 있으나, 역암층에는 희미한 층리사층리가 남아 있다. 응회질사암과 실트스톤은 주로 하부층에 많이 끼어 있다. 상부층은 암녹색 또는 흑색 셰일과 황갈색 사암의 호층으로 구성된다. 셰일은 종종 담수성 석회암과 호층을 이루기도 하며, 이 담수성 석회암은 두께가 30cm에 달하는 곳도 있다. 이 암석들은 화강암과의 접촉부에서 열변성을 받아 혼펠스로 변질된 경우가 많다. 혼펠스는 원래 암석보다 더 검은색을 띠는데, 이는 원래의 진흙 성분에 포함된 미세한 적철석이 열변성 작용으로 자철석으로 바뀐 때문으로 여겨진다. 혼펠스화된 암석에서도 담수성 석회질 부분은 밝은 색을 띠어 층리의 발달을 더욱 뚜렷하게 보여준다.[1]

이용일과 전홍조(1991)는 장목리층에서 관찰되는 점이층리, 연흔, 생물 흔적, 그리고 층리가 옆으로 잘 이어지는 특징을 근거로, 이 지층이 호수와 그 주변 환경에서 퇴적된 것으로 추정했다. 장목리층의 사암알코스사암(Arkose, 장석질사암)으로 분류되며, 방해석녹니석이 주된 교결물(암석 입자 사이를 메우는 물질)이다. 또한 퇴적물이 암석으로 굳어지는 속성 작용 과정에서 사장석알바이트(Albite)로 변하는 알바이트화 작용(Albitization)이 일어났다.[3]

진해 지질도폭(2021)에서는 거제도 최북단의 장목리층이 경상 누층군 진동층에 해당한다고 보고, 지질도에도 진동층으로 표기하였다. 창원시 진동면 등지에 분포하는 진동층은 해수면 아래로 이어져 거제도칠천도 북부까지 분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지질도폭에 따르면, 진동층은 주로 암회색 또는 회색의 셰일사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부에는 응회암이나 응회질사암(U-Pb 연대: 98~99 Ma), 화산역암을 포함한다. 셰일층리가 잘 발달하고 회색의 고운 입자 사암과 번갈아 나타난다. 사암은 입자가 가늘거나 굵으며, 종종 아래쪽 입자는 굵고 위쪽 입자는 가는 점이 층리를 보이며 연흔 구조가 발달해 있다. 거제도 북부에서 진동층의 주향(지층이 수평면과 만나는 선의 방향)은 북동 50°에서 북서 15° 사이이며, 경사(지층면이 수평면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는 서쪽으로 8°에서 40°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4]

거제시 장목면 송진포리 남부 해안, W181 카페(장목면 거제북로 2707) 남동쪽 해안에는 아래 사진과 같이 장목리층의 노두가 대규모로 드러나 있으며, 특히 연흔 구조가 많이 발달해 있다.

거제시 장목면 송진포리 남부 해안의 장목리층 노두


거제시 장목면 송진포리 남부 해안의 장목리층 노두


장목리층 노두에 발달한 선명한 연흔 구조


장목리층 노두에 발달한 선명한 연흔 구조


장목리층 해안 노두 전경


장목리층 노두에 발달한 선명한 연흔 구조


거제시 장목면 송진포리 남부 해안의 장목리층 노두


장목리층 노두에 발달한 선명한 연흔 구조


거제시 장목면 송진포리 남부 해안의 장목리층 노두


거제시 장목면 송진포리 남부 해안의 장목리층 노두


거제시 장목면 송진포리 남부 해안의 장목리층 노두


거제 해금강(巨濟 海金剛, Haegeumgang Islets, Geoje|eng)은 거제시 남부면에 위치하며 한려해상국립공원에 속하는 명승이다. 해금강은 장목리층으로 이루어진 세 개의 큰 바위섬이 서로 맞닿아 있는 형태로, 바닷물의 침식 작용으로 만들어진 십자동굴 등 다양한 해안 지형이 발달해 있다.

2. 1. 2. 성포리층과 거제 신선대

거제시 남부면 갈곶리 해금강로 도로변에 드러난 성포리층


성포리층(Ksp; Kyeongsang supergroup Seongpori formation, 城浦里層)은 대한민국 경상 분지 남부 거제시에 분포하는 경상 누층군의 퇴적암 지층이다. 이 지층의 이름은 거제시 사등면 성포리에서 유래되었다.[1] 성포리층은 거제시 하청면, 연초면, 사등면, 동부면, 남부면 등 넓은 지역에 분포한다.[1]

성포리층의 하부는 주로 흑색 셰일, 녹회색/암회색 셰일과 회백색/황갈색 사암이 번갈아 나타나는 호층으로 구성되며, 간혹 역암이 발견되기도 한다. 특히 흑색이나 암회색 셰일 사이에는 얇은 층의 담수성 석회암이 끼어 있어 뚜렷한 층리를 보여주는데, 이 석회암층의 두께는 최대 25cm에 이르기도 한다. 성포리층의 중상부는 하부에 비해 층리가 뚜렷하지 않고, 주변 화강암류의 관입이나 단층을 따라 주입된 마그마의 영향으로 혼펠스(hornfels)라는 변성암으로 변한 경우가 많다. 이 부분은 대체로 흑색 또는 녹흑색을 띠며, 응회질 혼펠스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1][5] 성포리층은 육지에 있는 다른 경상 누층군 지층들과 떨어져 있어 정확한 비교는 어렵지만, 대체로 하양층군 함안층 상부에 해당할 것으로 추정된다.[5]

거제 신선대 해안은 성포리층이 대규모로 드러나 있어 지층의 특징을 자세히 관찰하기 좋은 대표적인 장소이다.[1] 이곳의 성포리층은 주로 녹회색 사암과 적자색 이암으로 이루어져 있다.[6] 신선대와 그 북서쪽 파식대에서는 다양한 지질학적 볼거리가 밀집되어 나타난다.

거제 신선대성포리층에 발달한 연흔 구조


거제 신선대성포리층에 발달한 와플 모양의 건열 구조

  • 화석: 익룡의 발자국 화석이 발견되며, 드물게 용각류 공룡의 발자국 화석도 산출된다. 북서쪽 파식대에서는 조각류와 용각류, 익룡 발자국 화석이 있으나, 오랜 시간 침식과 풍화 작용을 받아 식별하기는 어렵다.[6][7]
  • 퇴적 구조: 물결 자국인 연흔과 땅이 말라 갈라진 흔적인 건열 구조가 매우 선명하게 나타나 교과서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특히, 건열 구조는 갈라진 틈을 메웠던 모래 성분이 주변의 이암보다 단단하여, 이암이 먼저 침식된 후 마치 와플 과자처럼 다각형 모양으로 돌출된 독특한 형태를 띤다. 또한 퇴적물이 쌓일 당시 지층이 아직 굳지 않은 상태에서 변형된 연질퇴적변형구조(SSDS)도 관찰된다.[6][7]
  • 지형 및 지질 구조: 해안 침식으로 만들어진 해식애, 파식대, 해식동굴과 암석 표면에 벌집처럼 구멍이 파이는 타포니 등 다양한 해안 지형이 발달해 있다. 지층 내에는 여러 방향의 절리(암석의 틈)가 발달하여 층리와 교차하며 복잡한 모습을 보인다. 단층 구조도 확인된다.[7]


신재열 등(2022)은 거제 신선대의 이러한 지질 및 해안 경관의 가치를 강조하며 갈곶 지오트레일 개발을 제안하기도 했다.[7]

2. 1. 3. 청곡리 공룡 및 새발자국 화석산지

거제시 사등면 청곡리에서는 국내 최초의 스테고사우루스(Stegosaurus) 공룡 발자국이 발견되었다. 해당 지역의 해안에는 성포리층이 분포한다. 이와 함께 백악기의 목 긴 초식공룡(용각류), 육식공룡, 하드로사우르스류 등의 공룡 발자국과 9개 화석층에서 공룡 피부 인상 화석 11점이 확인되었다.[8]

2. 2. 경상 누층군 화산암

거제시에는 백악기 경상 누층군과 관련된 다양한 화산암이 분포한다. 주요 화산암으로는 안산암질암(Kan), 안산암질 각력암(Kanb), 거제 안산암(Kja) 등이 있다.[1] 안산암질 각력암은 거제도 내에서 가장 넓게 분포하며[1], 거제 안산암은 진해 지질도폭(2021)에서 명명된 암석이다.[1] 안산암질암은 옥녀봉과 계룡산-선자산 등지에 분포한다.[1]

2. 2. 1. 안산암질암

안산암질암(Kan)은 안산암의 한 종류이다. 광물의 조성과 조직에 따라 치밀안산암질암, 반상안산암질암, 안산반암, 함각력안산암질암 등으로 나뉜다. 이 암석은 침식에 강한 특징이 있어, 거제시 아주동 남동부의 옥녀봉과 시내동지구 남서부의 계룡산~선자산 산등성이를 따라 작은 규모로 분포한다. 안산암질암은 경상 분지 안에 있는 주산안산암질암이나 채약산 반암과 비슷한 시기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1]

2. 2. 2. 안산암질 각력암

안산암질 각력암(Kanb; andesitic breccia)은 거제도 내에서 가장 넓은 분포를 보여주는 암석이다.[1] 연초면하청면 대부분과 동부면 효자산 일원, 가배만과 율포만 일대에 분포한다.[1] 많은 곳에서 성포리층 및 장목리층을 관입하였으나 응회암층을 많이 협재하고 유상구조들이 발견되어 분출 가능성도 있다.[1] 암록색 내지 녹회색 또는 (암)적갈색을 띠는 안산암질 각력암은 지세포 화강암을 비롯하여 거제 화강암, 섬록암, 섬록반암, 반암류 등에 의하여 관입당했다.[1]

2. 2. 3. 거제 안산암

안산암질암(Kan; Andesite)은 안산암 종류의 암석으로, 광물 조성과 조직에 따라 치밀안산암질암, 반상안산암질암, 안산반암, 함각력안산암질암 등으로 분류된다. 안산암질암은 침식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여, 거제시에서는 아주동 남동부의 옥녀봉과 시내동지구 남서부의 계룡산~선자산 산릉을 따라 소규모로 분포한다. 이 암석은 경상 분지 내의 주산안산암질암이나 채약산 반암과 대비되는 것으로 추정된다.[1]

2. 3. 불국사 화강암류

거제 화강암, 거제시 남부면 저구리 지방도 제1018호선 도로변


거제시에는 백악기 후기의 화성활동으로 형성된 화강암류들이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조태진과 김혁진(1995)은 거제 지역 화강암의 공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는데, 거제도 남단의 화강암체는 비록 균열대가 존재하지만 암반 상태가 상당히 양호하여 한일 해저 터널과 같은 대규모 지하시설 건설에 용이할 것으로 평가했다. 이 연구가 이루어진 1995년은 한일 해저 터널 건설이 논의되던 시기였으며, 해당 논문에는 "한일 해저터널 계획상 터널 입구부가 거제지역에 설정될 예정이다"라고 기술되어 있다.[9]

2. 3. 1. 거제 화강암

거제도 서부에 저반상으로 넓게 분포한다. 지세포 화강암과 직접 접촉하는 곳은 없으나 동일 마그마에서 기원한 암석으로 추정된다. 지역적으로 암질이 달라 흑운모 화강암, 각섬석 화강암, 석영몬조나이트, 미문상 화강암, 화강반암 등으로 구분된다.[1]

2. 3. 2. 지세포 화강암

지세포 화강암(知世浦 花崗巖)은 거제도 장목면 시방리, 외포리, 덕포동, 능포동, 일운면의 동부 해안 지역에 분포한다. 이 화강암은 거제 화강암과 달리 분포하는 지역 전체에 걸쳐 암석의 질이 비교적 균일하다는 특징이 있다. 장승포 부근에서는 장승포 단층에 의해 안산암질 각력암과 단층으로 접한다.[1]

2. 4. 제4기 지층

거제시 장목면 관포리 해안에는 제4기 미고결 퇴적층이 해안 석축 위에 4m 정도 노출되어 있다. 이진영 외(2013)의 조사 결과 이 퇴적층은 상부 역질점토층, 중간 유기물 점토층 그리고 하부 각력퇴적층으로 구분되며, 퇴적시기는 4380 cal yr BP부터 140 cal yr BP 사이로 측정되었다.[11]

3. 단층

거제시 육지에는 대규모 단층은 없고 소규모 단층만 존재한다. 거제시 동쪽 앞바다 해저에는 양산 단층이 지나간다.

3. 1. 장승포 단층

장승포(長承浦) 단층은 거제시 능포동에서 장승포동을 지나 일운면 지세포리로 이어지는 북동 20° 주향의 단층이다. 단층이 지나는 곳은 계곡을 형성하거나 반도의 목으로서 지형적 특색을 이룬다.[1]

3. 2. 명동리 단층

명동리 단층은 거제시 연초면 명동리에서 덕포동으로 이어지는 남-북~북서 10° 주향의 단층이다. 명동리에서는 단층파쇄대의 폭이 70m~80m에 달하며, 단층을 따라 산성암맥이 관입하고 있다. 제석산 북쪽에서는 이 단층이 발견되지 않으나, 더 북쪽인 장목리에서 지세포 화강암과 장목리층이 단층 접촉일 가능성이 커 명동리 단층은 북쪽으로 더 이어지리라 예상된다.[1]

3. 3. 저구리 단층

거제시 남부면 탑포리에서 저구리를 지나 다포리로 이어지는 북서 10° 주향의 단층이다.[1]

3. 4. 양산 단층

김한준 외(2016)는 고분해능 지진파 반사법(high-resolution single-channel seismic reflection profiles)을 이용하여 거제시 동쪽 앞바다 해저에서 양산 단층의 연장부를 발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층서적 지시자를 통해 양산 단층이 제4기에도 활동했음을 확인하였다. 탄성파 프로파일 분석 결과, 이 지역의 단층계는 북북동 방향으로 발달해 있으며, 제4기 층서를 변위시킨 주 단층과 여러 부차 단층들로 이루어져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탄성파 프로파일의 층서학적 분석은 연안의 단층이 제4기에 반복적으로 활동했음을 나타낸다.[12][13]

4. 광산과 지하자원

거제 지역의 - 광상은 후기 백악기에 형성된 안산암류와 화강섬록암 내의 갈라진 틈(열극)을 뜨거운 물(열수)이 채우면서 만들어진 함금-은 열수맥상(熱水脈狀) 광체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열수 광화작용은 구조운동의 영향으로 시기를 달리하며 세 차례에 걸쳐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14]

4. 1. 거제 동아광산

거제시 하청면 덕곡리에 위치한 광산이다. 개발 초기에는 천마산 주 능선을 따라 발달한 노두에서 상당량의 (10.5kg)을 생산했으나, 1976년 이후로는 금의 품위가 낮아지고 구리의 품위가 높아졌다. 1976년부터 1984년까지 총 연장 2000m 이상의 갱도를 뚫었으며, 주 운반로인 천수갱과 상1갱, 하1갱이 개설되었다. 1982년에는 하루 100ton 처리 규모의 선광장을 건설하여 주로 구리를 추출했으나, 국제 시세 하락과 갱내 품위 저하로 1985년에 휴광했다.[15]

광산의 지질은 아래에서부터 하부 안산암질각력암과 응회질흑색 셰일, 상부 응회질사암 순서로 놓여 있으며, 이 암석들을 관입한 암맥으로 구성된다. 거제-율포 지질도폭(1980)에 따르면 광산 주변에는 성포리층이 분포하지만, 김찬종과 박희인(1984)은 광산 부근의 셰일층이 층서적으로 성포리층과 다르다고 보았다.[15]

  • 하부 안산암질각력암: 안산암질각력암과 라필리 응회암으로 구성되며, 대체로 북서 18° 방향으로 기울어져 남서쪽으로 17° 경사한다. 육지에서 관찰된 두께는 80m 이상이다.
  • 응회질흑색 셰일: 층리가 잘 발달하고 연흔이 나타나며, 두께는 30m~50m이다. 암석의 바탕은 응회질이나 심한 녹니석화 작용을 받았고, 퇴적 기원의 석영 입자를 포함한다.
  • 상부 응회질사암: 역질-응회질사암과 응회각력암으로 나뉜다. 두께 20m의 역질-응회질사암은 얇은 층(30cm)의 역암을 포함하며, 역은 안산암편마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응회각력암은 층리가 거의 없는 덩어리 형태이며, 대체로 녹회색 또는 암녹색을 띤다.
  • 안산암맥: 두께 30m~60m로, 북동 10° 방향으로 거의 수직에 가깝게 앞서 언급된 모든 암석을 관입한다.


이 광산은 맥상의 금, 은, 동 광상으로, 주향 북동 20~25°, 경사 북동 80°의 두 개 광맥이 평행하게 발달한다. 덕곡리 천마산(151.3 m)을 중심으로 80m 길이로 발달하며, 칠천도의 화전산(164.2 m)까지 이어진다. 광석 광물로는 황철석, 경철석, 황동석, 자철석, 섬아연석, 방연석, 호박금, 자연 구리 등이 있다.

  • 거제본맥: 고품위의 구리를 포함하며, 응회질사암과 셰일을 관입한 안산암맥을 따라 발달한다. 광맥의 폭은 0.5m~2m이고, 흑색 셰일 내에서 80m까지 연장된다.
  • 금맥: 거제본맥에서 동쪽으로 30m 떨어져 있으며, 상1갱 남쪽에 발달한 파쇄대 안에 황철석을 주로 하는 부광대를 형성한다.[16][1]


2005년 동아광산 주변 환경 조사 결과, 토양과 하상퇴적물, 자연수가 중금속에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 내 중금속 최고 함량은 비소 4.0 mg/kg, 카드뮴 9.7 mg/kg, 구리 386 mg/kg, 108 mg/kg, 아연 533 mg/kg이었다. 하상퇴적물 내 중금속 최고 함량은 비소 1.0 mg/kg, 카드뮴 15.2 mg/kg, 구리 1200 mg/kg, 27 mg/kg, 아연 653 mg/kg으로 조사되었다.[17]

4. 2. 거제 동광상

거제 동광상은 거제시 동부면 명진리 부근에 위치한다. 이곳의 안산암질암은 심하게 규화 작용을 받아 경철석과 유화광물이 포함되어 있다. 과거 이 광물들을 채굴했던 작은 갱도가 남아있으며, 시료 분석 결과에 따르면 17 g/t, 20 g/t, 구리 1.35%를 함유하고 있다.[1]

4. 3. 덕곡광산

덕곡광산은 거제시 하청면 덕곡리 천마산에 소재한다. 일제 강점기에 채광하였으나 현재는 흔적만 남아 있다. 광상은 안산암질암을 모암으로 하여 북동 77° 방향의 석영맥에 배태되며 주로 황철석이 수반된다.[1]

4. 4. 장안광산

장안광산은 거제시 하청면 칠천도 장안에 위치한다. 이 광산은 안산암질 암석에 발달한 열수 광상으로 추정된다. 광맥은 주로 석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녹렴석, 황동석과 소량의 황철석도 포함하고 있다. 주로 구리를 채굴했으나, 채굴 실적은 많지 않았다.[1]

4. 5. 중봉산 철광산

거제시 장목면 대금리에 위치한 중봉산(281.5m)에 있는 철광산이다.[1] 이 지역의 장목리층은 지세포 화강암의 관입 작용으로 인해 심하게 혼펠스화되었으며, 광상은 이렇게 형성된 혼펠스 안에 존재한다.[1] 주요 광물인 자철석은 혼펠스 내부에 흩어져 분포하며, 그 함량은 최대 10~15%에 이른다. 특히 암석의 변질 정도가 높을수록 자철석의 함량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1]

4. 6. 불곡광산

거제시 연초면 다공리 불곡마을에 위치한 금, 은, 연, 아연 광산이다. 석영맥석에 방연석, 섬아연석, 황철석이 수반된 것으로 보아 안산암질암의 열극을 충전한 열수 광상으로 볼 수 있다. 광업진흥공사 자료에 따르면, 이 광산은 안산암 내 단층파쇄대를 충전한 석영맥에 자연 , 농홍은석, 방연석, 황철석, 황동석, 섬아연석 등의 광석광물이 수반된 열수 광상이다. 광체는 주향 북서 60°, 경사 남서 75~80°의 단일맥이다. 1968년의 시료 분석 결과는 0~3.4 g/t, 3623 g/t, 5.49%, 아연 3.75~23.21%, 구리 0.51~0.84%이다.[1]

4. 7. 거제 8호광산

거제시 능포동에 위치한 철 광산이다. 철광상으로 채굴 시도가 있었으나 생산 실적은 없다. 광상은 안산암 내에 흩어져 있던 자철석이 지세포 화강암 관입 시 다시 모여 부분적으로 풍부해진 것으로 추정된다.

5. 한일 해저 터널

1980년대부터 일본의 연구 단체가 한일 해저 터널의 가능 경로를 심층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했다. 1988년에는 일본 연구진이 대한민국의 기업을 통해 거제도 인근 해역의 지질 조사를 의뢰하기도 했다.[10]

참조

[1] 웹인용 巨濟·栗浦 地質圖幅說明書 (거제·율포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80-01-01
[2] 웹인용 MGEO 지질정보시스템 1:5만 지질도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3] 저널 Diagenesis of Early Cretaceous Jangmokri Sandstone, Geoje Island, Korea (거제도에 분포하는 전기백악기 장목리층 사암의 속성작용) https://www.dbpia.co[...] 1995-02-01
[4] 서적 진해·동두말도폭 지질조사보고서 (Geological report of the Jinhae·Dongdumal sheets)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21-01-01
[5] 저널 거제도 남부에 분포하는 백악기 성포리층의 지질과 퇴적기원 변형구조 https://www.dbpia.co[...] 2007-01-01
[6] 서적 경남권 지질유산 발굴 및 가치평가 대한지질학회 2018-12-01
[7] 저널 거제 갈곶 해안의 지오트레일 개발 Development of Geotrails in Galgot beach, Geoje) https://www.dbpia.co[...] 2022-08-01
[8] 뉴스 거제서 국내 첫 ‘스테고사우루스’ 공룡 발자국 발견 https://www.dabanews[...] DABA 2024-10-11
[9] 저널 거제지역 화강암체의 지질공학적 특성 (A Study on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Granitic Rock Masses in Geoje Island) https://kiss.kstudy.[...] 1995-09-01
[10] 간행물 Korea-Japan Undersea Tunnel Project Spotlighted Anew KoreaTimes National 2003-01-17
[11] 저널 Depositional environments and ages of coastal deposits in Gwanpo-ri, Geoje Island 거제도 관포리 해안 퇴적층의 퇴적 환경과 시기) https://www.dbpia.co[...] 2013-12-01
[12] 저널 The offshore Yangsan fault activity in the Quaternary, SE Korea: Analysis of high-resolution seismic profiles https://www.scienced[...] 2016-12-01
[13] 뉴스 양산단층, 일광단층 활동 증거 첫 공개 https://m.khan.co.kr[...] 경향신문 2016-09-22
[14] 저널 거제(巨濟)지역 금(金)-은(銀)광상의 광화작용(鑛化作用) 연구 (Gold-Silver Mineralization of the Geojae Area) https://scienceon.ki[...] 1989-01-01
[15] 저널 거제동광상(巨濟銅鑛床)의 광물공생관계(鑛物共生關係)와 유체포유물(流體包有物) Mineral Paragenesis and Fluid Inclusions of Geoje Copper Ore Deposits https://scienceon.ki[...] 1984-01-01
[16] 저널 거제(巨濟) 동아광산(東亞鑛山)의 지질(地質) 및 광상(鑛床) Geology and Ore Deposits of Geoje Dong-A Mine) https://scienceon.ki[...] 1986-01-01
[17] 저널 동아 폐금속광산 지역에서의 중금속 환경오염 특성 (Environmental Contaimination of Heavy Metals in the Vicinity of the abandoned Dong-A Metal Mine in Korea) https://scienceon.ki[...] 2005-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