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갑사 (사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갑사는 백제 시대에 창건되어 풍부한 문화유적을 간직한 천년 고찰이다. 백제 구이신왕 원년(420) 아도화상이 창건했으며, 통일신라 시대에는 의상대사가 화엄종의 도량으로 삼아 화엄종 10대 사찰 중 하나로 번창했다. 임진왜란 때는 영규대사를 중심으로 승병 궐기의 거점이 되었으나, 정유재란으로 소실된 후 재건되었다. 국보 제298호 공주 갑사 삼신불괘불탱을 비롯하여 여러 보물 및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문화재자료로 지정된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으며, 공주 10경에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갑사 - 공주 갑사 대웅전
    공주 갑사 대웅전은 조선 시대에 건립된 정면 5칸, 측면 3칸 규모의 다포 양식 건물로, 여러 차례 중수를 거쳤으며 소조삼세불과 갑사 삼신불 괘불탱 등의 문화재를 소장하고 있다.
  • 계룡산 - 신원사 (사찰)
    신원사는 백제 위덕왕 5년에 창건된 충청남도 공주시의 사찰로, 신라 문무왕 때 국찰로 지정되었으며, 조선 시대 억불 정책 속에서도 유지되다가 고종 때 신원사(新元寺)로 이름이 변경되었고, 보물 중악단이 있다.
  • 계룡산 - 동학사
    동학사는 신라 시대에 창건되어 고려 시대를 거쳐 조선 시대 충신들의 초혼제가 행해진 유서 깊은 사찰로, 숙모전, 삼은각 등의 건물이 있으며, 현재는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비구니 강원이 있는 곳이다.
  • 충청남도의 절 - 수덕사
    충청남도 예산군 덕숭산에 위치한 수덕사는 백제 시대 창건 설이 있는 조계종 제7교구 본사이자 덕숭총림의 중심 사찰로서, 국보인 대웅전을 비롯한 다수의 문화재를 보유하며 선불교 중흥에 기여했고, 현재는 템플스테이를 통해 불교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다.
  • 충청남도의 절 - 부여 정림사지
    부여 정림사지는 백제 시대의 가람 배치와 고려 시대의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백제의 중심 사찰 유적으로, 오층석탑과 석조여래좌상이 남아있고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갑사 (사찰)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사찰 이름갑사
건립 연대백제 구이신왕 원년(420년)
창건자아도화상
종파대한불교조계종
소재지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

2. 연혁

계룡산에 있는 여러 사찰 중에서도 가장 풍부한 문화유적을 간직한 천년고찰로, 백제 구이신왕 원년(420) 아도화상이 창건하였다. 백제 멸망 후 통일신라 때 전국적으로 알려진 큰 절로 발전하였다. 임진왜란 때는 영규대사를 중심으로 왜군에 항거하는 승병 궐기의 거점이 되기도 했다.[1] 조선 선조 30년(1597) 정유재란 때 침입한 왜구들에 의하여 모두 불타 소실되었으나, 선조 37년(1604) 대웅전과 진해당 중건을 시작으로 재건되기 시작하여 오늘에 이르렀다.[1]

2. 1. 백제 시대

백제 구이신왕 원년(420) 아도화상이 창건하고, 위덕왕 3년(556) 혜명대사가 천불전, 진광명전, 대광명전을 중건하였다.[1] 통일신라 때 의상대사가 당우 천여 칸을 중수하고 화엄대학지소를 창건하여 화엄종의 도량이 되면서 화엄종 10대 사찰의 하나로 번창하였다.[1]

2. 2. 통일신라 시대

백제 멸망 후 통일신라 시대에 갑사는 전국적으로 알려진 큰 절로 발전하였다. 위덕왕 3년(556) 혜명대사가 천불전, 진광명전, 대광명전을 중건하였고, 이후 신라 의상대사가 당우 천여 칸을 중수하고 화엄대학지소를 창건하여 화엄종의 도량이 되었다. 이로써 갑사는 화엄종 10대 사찰의 하나로 번창하였다. 임진왜란 때는 영규대사를 중심으로 왜군에 항거하는 승병궐기의 거점이 되기도 했다.[1]

2. 3. 임진왜란과 조선 시대

통일신라 시기 의상이 당우 천여 칸을 중수하고 화엄대학지소를 창건하여 화엄종의 도량이 됨으로써 화엄종 10대 사찰의 하나로 번창하였다. 임진왜란 때는 영규대사를 중심으로 왜군에 항거하는 승병궐기의 거점이 되기도 했다.[1]

조선 선조 30년(1597) 정유재란 때 침입한 왜구들에 의하여 모두 불타 소실되었으나, 선조 37년(1604) 대웅전과 진해당 중건을 시작으로 재건되기 시작하여 오늘에 이르렀다.[1]

3. 공주 10경

공주문화원, 공주예총, 향토사학자, 언론인, 사진작가 등으로 구성된 공주 10경 선정위원회에서 [http://tour.gongju.go.kr/tour/sub01_02_02_01.do 공주 10경] 후보지 15개소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갑사가 최종 선정되었다.[2]

4. 지정 문화재

갑사에는 다음과 같은 문화재들이 지정되어 있다.

4. 1. 국보

공주 갑사 삼신불괘불탱은 국보 제298호이다.[1]

4. 2. 보물

보물
공주 갑사 철당간 (보물 제256호)[1]
공주 갑사 승탑 (보물 제257호)[2]
공주 갑사 동종 (보물 제478호)
월인석보목판 (보물 제582호)
공주 갑사 석가여래삼세불도 및 복장유물 (보물 제1651호)


4. 3.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문화재명지정번호
공주 갑사 석조약사여래입상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50호
공주 갑사 석조보살입상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51호
공주 갑사 사적비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52호
공주 갑사 강당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95호
공주 갑사 대웅전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05호
공주 갑사 대적전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06호
공주 갑사 소조삼세불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65호
공주 갑사 삼세불도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89호
공주 갑사 내원암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11호
공주 갑사 대적전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28호
공주 갑사 내원암 목조석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29호
공주 갑사 대성암 목조보살좌상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30호


4. 4.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문화재명지정 번호
공주 갑사 표충원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52호
공주 갑사 삼성각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53호
공주 갑사 팔상전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54호
공주 갑사 중사자암지 삼층석탑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55호
천진보탑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68호


참조

[1] 백과사전 사회 I·문화재 > 문 화 재 > 중요 문화재 > 충청남도 > 갑사
[2] 뉴스 '공주 10景' 탄생! http://www.newstown.[...] 뉴스타운 2014-1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