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 바이러스성 비기관지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양이 바이러스성 비기관지염(FVR)은 고양이 헤르페스바이러스-1(FHV-1)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성 질환으로, 1958년 미국에서 처음 분리되었다. 직접 접촉을 통해 전파되며, 기침, 재채기, 콧물, 결막염 등의 초기 증상을 보인다. 진단은 임상 증상, 특히 각막 궤양으로 이루어지며, 항생제, 항바이러스제, 지지요법, 국소 항생제, 폴리프레닐 면역 자극제 등을 통해 치료한다. 예방접종이 존재하지만, 질병의 중증도 완화에 제한적인 효과를 보이며, 가정용 소독제를 사용하여 바이러스를 불활성화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헤르페스바이러스과 - 오제스키병
오제스키병은 아러더 오제스키가 발견한 돼지에서 주로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다른 포유류에도 감염될 수 있으며 돼지에서는 호흡기 감염, 다른 동물에서는 가려움증과 신경계 증상을 유발하고, 국내 발생 사례는 없으나 백신 접종으로 통제 가능하며 바이러스 신경 추적자로도 활용된다. - 고양이 위생학 - 중성화 수술
중성화 수술은 동물의 생식 능력을 제거하는 수술로, 피임, 행동 교정, 특정 질병 예방을 위해 실시되며, 암컷은 난소자궁절제술을, 수컷은 고환 제거술을 시행하고, 비만 등 일부 질병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유기 동물 발생을 줄이기 위해 조기 중성화 수술을 하기도 한다. - 고양이 위생학 - 톡소포자충
톡소포자충은 고양이과 동물을 종숙주로, 사람을 포함한 다양한 동물들을 중간숙주로 삼는 세포 내 기생 원생생물로, 덜 익힌 고기 섭취나 고양이 분변 등을 통해 사람에게 감염될 수 있으며, 면역력이 약한 사람에게는 심각한 질병을 일으킬 수 있고 숙주의 행동 변화와도 관련이 있다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 백신으로 예방 가능한 질병 - 장티푸스
장티푸스는 살모넬라 엔테리카 세로바르 티피균에 의해 발생하는 수인성 전염병으로, 고열, 두통, 복통 등의 증상을 보이며, 항생제를 사용하여 치료하고 개인 위생과 환경 위생을 통해 예방한다. - 백신으로 예방 가능한 질병 - 결핵
결핵은 결핵균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으로, 주로 폐에 영향을 미치며 기침, 객혈 등의 증상을 보이지만 무증상일 수도 있고, 호흡기 비말 전파를 통해 감염되며, 항생제 치료를 하지만 약물 내성 문제로 인해 공중 보건 문제로 남아있다.
고양이 바이러스성 비기관지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학명 | Felid alphaherpesvirus 1 |
동의어 | Felid herpesvirus 1 고양이 비기관염 바이러스 |
상위 분류 | Varicellovirus |
질병 정보 | |
질병 | 고양이 바이러스성 비기관지염 (FVR) |
2. 역사
FHV-1은 1958년 미국에서 처음으로 고양이로부터 분리되었다.[25][5]
고양이 바이러스성 비기관지염(FVR)은 주로 감염된 고양이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전염된다.[26][6] 또한 바이러스에 오염된 매개물을 통해서도 퍼져나갈 수 있다.[26][6] 바이러스는 주로 코, 비인두, 편도 조직에서 복제된다.[26][6] 혈액 내에 바이러스가 나타나는 바이러스혈증은 드물게 발생한다.[26][6]
고양이 바이러스성 비기관지염(FVR)의 초기 증상으로는 기침, 재채기, 콧물, 결막염이 있으며, 때로는 발열(최대 41°C)과 식욕 부진이 나타난다.[24][4] 이러한 증상은 대개 4~7일 이내에 호전되지만, 이차적인 세균 감염이 발생하면 임상 증상이 수 주 동안 지속될 수 있다.[24][4] 전두 부비동염과 축농증이 발생할 수도 있다.[4]
고양이 바이러스성 비기관지염(FVR)의 진단은 주로 임상 증상, 특히 각막 궤양을 통해 이루어진다. 확진을 위해서는 직접적인 면역 형광법이나 바이러스 배양(바이러스 분리동정)을 시행할 수 있다. 하지만 건강한 고양이 중에도 고양이 헤르페스 바이러스(FHV-1)의 증상 없는 보균자가 많기 때문에, FHV-1 검사에서 양성 반응이 나왔다고 해서 반드시 현재 나타나는 상부 호흡기 감염 증상이 FVR 때문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질병 초기에는 편도, 코, 순막(제3안검) 조직에 대한 조직학적 분석을 통해 감염된 세포의 세포 핵 안에서 봉입체(바이러스 입자가 모인 것)를 관찰할 수도 있다.[30][10]
고양이 바이러스성 비기관지염(FVR)의 치료는 주로 증상을 완화하고 이차 세균 감염을 예방하는 데 중점을 둔다. 항생제가 이차 감염 방지를 위해 흔히 사용되며, 특정 항바이러스제는 없지만 일부 약물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31][13] 증상이 심각한 경우에는 정맥 주사 요법, 산소 요법, 위관 영양법과 같은 보조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33][14] 미국에서는 고양이 헤르페스 바이러스(FHV-1) 감염에 의한 비기관지염 치료를 위해 폴리프레닐 면역 자극제가 승인되어 사용되고 있다.[11]
3. 전염
감염된 고양이는 침(타액), 눈물, 콧물을 통해 바이러스를 배출한다.[26][6] FVR의 잠복기는 일반적으로 2일에서 5일 사이다.[23][3] 감염 후 초기 1주에서 3주 동안 바이러스를 배출하여 다른 고양이에게 전염시킬 수 있다.[24][4]
회복된 고양이 중 일부는 바이러스 보균자가 되어 잠복 감염 상태가 된다. 이 경우, 고양이 헤르페스바이러스 1형(FHV-1)은 삼차신경절 또는 반달 신경절에 잠복해 있다가[26][6], 고양이가 평생 동안 간헐적으로 바이러스를 다시 배출하게 된다.[26][6] 특히 스트레스를 받거나 코르티코스테로이드와 같은 스테로이드 약물을 사용하는 경우 바이러스 배출이 촉진될 수 있다.[26][6]
다행히 FVR 바이러스는 환경 저항성이 약하여 대부분의 일반적인 소독제, 방부제, 세제 등에 의해 쉽게 사멸된다.[26][6]
4. 임상 증상
고양이 헤르페스바이러스-1(FHV-1)은 각막 상피에 잘 감염되며, 이로 인해 종종 점 모양 또는 수지상 형태의 각막 궤양이 발생한다.[27] FHV-1 감염으로 인한 다른 안구 증상으로는 결막염, 각막염, 건성 각결막염(눈물 생성 감소 또는 안구건조증), 각막 괴사체(corneal sequestra)가 있다.[27][7] 비루관 감염은 만성 눈물흘림증(과도한 눈물 흐름)을 유발할 수 있다.[27] 또한, FHV-1 감염으로 인해 피부에 궤양이 나타날 수도 있다.[28][8]
FHV-1은 임신한 고양이에게서 임신 6주차 무렵에 유산을 유발할 수 있다.[23][3] 이는 바이러스 자체의 직접적인 영향이라기보다는,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전신적인 질환의 결과로 여겨진다.[23]
만성적인 비강 및 부비동 질환에서 FHV-1은 지속적인 원인이라기보다는 질병의 시작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어린 나이에 감염되면 비강 및 부비동 조직에 영구적인 손상을 일으켜 점액과 세균을 제거하는 섬모의 기능을 방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해당 고양이는 만성적인 세균 감염에 더 취약해질 수 있다.[29][9]
5. 진단
6. 치료 및 예방
예방 차원에서는 백신 접종이 중요하다. 백신은 질병의 심각성을 줄이고 바이러스 배출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이지만, 감염 자체를 완전히 예방하지는 못한다.[16][37] 백신 접종 후 면역은 일정 기간 동안 지속된다.[17][38] 또한, FHV-1 바이러스는 환경 내에서도 일정 시간 생존 가능하므로[37], 감염된 고양이가 사용했던 공간이나 물품에 대한 철저한 소독이 바이러스 확산을 막는 데 필수적이다.[40]
6. 1. 치료
이차 세균 감염을 막기 위해 항생제가 주로 사용된다.[31][13] 고양이 바이러스성 비기관지염에 특이적으로 사용되는 항바이러스제는 아직 없지만, 한 연구에서 ganciclovir|간시클로비르영어, PMEDAP, cidofovir|시도포비르영어 등이 효과를 보일 가능성이 제시되었다.[31][13] 더 최근의 연구에서는 전신에 작용하는 famciclovir|팜시클로비르영어가 다른 항바이러스제에서 보고된 부작용 없이 고양이의 감염 치료에 효과적이라는 결과가 나왔다.[32][14]
결막염 및 각막궤양과 같은 눈 증상은 이차 세균 감염을 치료하기 위해 국소 항생제를 사용하며,[33] 고양이 헤르페스 바이러스(FHV-1)로 인한 각막염 치료에는 뉴클레오시드 유사체를 사용하기도 한다. trufluridine|트루플루리딘영어, idoxuridine|이독수리딘영어, vidarabine|비다라빈영어 등이 국소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37]
미국에서는 Polyprenyl Immunostimulant|폴리프레닐 면역 자극제영어가 FHV-1에 의한 비기관지염 치료제로 승인된 유일한 약물이다.[11] 임상 연구 결과, 이 약물로 치료받은 고양이 그룹이 위약을 투여받은 그룹보다 질병의 심각성이 낮았으며[12], 다양한 연령대의 고양이 390마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안전성도 확인되었다.[12]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정맥 주사 요법, 산소 요법, 위관 영양법과 같은 지지 요법이 필요할 수 있다.[33][14]
라이신은 바이러스 복제를 억제한다는 이유로 사용이 권장되기도 했으나[34], 효과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한 연구에서는 FHV-1의 눈 감염 증상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결과가 있었지만[34], 이후 다른 연구들에서는 라이신 사용 시 질병의 중증도나 바이러스 검출률이 증가했다는 보고도 있어[35][36] FHV-1 감염에 대한 라이신 사용의 유효성에 의문이 제기되었다. 2015년에 발표된 체계적 검토에서는 여러 임상 시험과 ''in vitro|인 비트로lat'' 연구 결과를 종합한 결과, 라이신 보충이 FHV-1 감염의 치료나 예방에 효과적이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지었다.[15]
6. 2. 예방
고양이 바이러스성 비기관지염(FVR)에 대한 다양한 혼합 백신을 포함한 백신 접종은 질병의 심각성을 줄이고 바이러스 배출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감염 자체를 완전히 예방하지는 못한다.[16][37] 연구에 따르면 이 백신의 면역 지속 기간은 최소 3년이다.[17][38] FHV-1에 대한 항체 순환을 확인하는 혈청 검사는 이 질병에 대한 방어력을 예측하는 데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8][39] 고양이 바이러스성 비기관지염 및 고양이 칼리시바이러스에 대한 혼합 백신인 Purevax RC는 2005년 2월 유럽 연합에서 의료용으로 승인되었다.[19][20]
FHV-1 바이러스는 감염된 고양이의 몸 밖으로 배출된 후 사람(보호자)의 손이나 옷에 묻어 다른 곳으로 옮겨질 수 있으며, 공기 중으로 떠올라 집안 곳곳(벽면, 천장면, 가구 표면, 침구류, 의류, 각종 틈새 등)으로 퍼질 수 있다.[40] 대부분의 가정용 소독제는 FHV-1 바이러스를 불활성화시킬 수 있다. 바이러스는 축축한 환경에서는 약 18시간 정도 생존할 수 있지만, 건조한 환경(에어로졸 형태 등)에서는 생존 기간이 짧다.[37] 따라서 FHV-1에 감염된 고양이가 머물렀던 환경은 철저한 소독을 통해 잔존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40]
환경 소독이 필요한 주요 이유는 다음과 같다.[40]
효과적인 소독 방법은 다음과 같다.[40]
7. 바이러스 확산 방지
FVR은 주로 감염된 고양이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전파된다.[6] 바이러스는 코, 비인두 조직, 그리고 편도에서 복제되며, 바이러스혈증(혈액 내 바이러스 존재)은 드물게 나타난다.[3] 감염된 고양이의 타액, 눈물, 콧물을 통해 바이러스가 배출되며,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건(매개물)을 통해서도 전파될 수 있다.[3][4]
FVR의 잠복기는 2일에서 5일 사이이며, 감염된 고양이는 감염 후 1주에서 3주 동안 바이러스를 배출할 수 있다.[3][4] 일부 고양이는 회복 후에도 잠복 감염 상태(보균자)가 되어 평생 반달 신경절 내에 FHV-1 바이러스를 지니게 된다. 이러한 고양이는 스트레스를 받거나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투여받으면 바이러스를 간헐적으로 다시 배출할 수 있다.[6]
FHV-1에 대한 예방접종은 질병의 중증도를 완화하고 바이러스 배출량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감염 자체를 완전히 예방하지는 못한다.[37]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백신의 면역 지속 기간은 약 3년으로 알려져 있다.[38]
바이러스는 환경에서도 일정 시간 생존할 수 있다. 특히 습한 환경에서는 최대 18시간까지 생존 가능하며, 건조한 환경이나 에어로졸 상태에서는 생존 기간이 더 짧다.[37][16] 다행히 대부분의 가정용 소독제, 방부제, 세제는 FHV-1 바이러스를 비활성화시키는 데 효과적이므로[6][16], 환경 소독을 통해 바이러스 확산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 (자세한 소독 방법은 하위 문단 참고)
7. 1. 소독 방법
FHV-1 바이러스는 감염된 고양이의 몸 밖으로 배출되어 사람(보호자)의 손이나 몸(옷)에 묻어 다른 곳으로 옮겨질 수 있다.[40] 또한 공기 중으로 떠올라 부유하다가 집안 곳곳(벽면, 천장면, 가구 표면, 침구류, 의류, 각종 틈새 등)으로 퍼질 수 있다.[40] 비록 직접적인 호흡기 감염 형태는 아니지만, 공기 중으로 바이러스가 옮겨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FHV-1에 감염된 고양이가 머물렀던 가정은 집안 전체에 대한 대대적인 소독을 통해 잔존하는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것이 안전하다.[40]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중요하다.- 기존 고양이의 재감염(침투감염) 방지
- 새로운 고양이의 감염 방지
- 이웃집 등 타인의 고양이에게 바이러스가 전파되는 것을 방지
- FHV-1 외 다른 바이러스나 유해 세균이 함께 존재했을 가능성에 대한 조치
대부분의 가정용 소독제는 FHV-1 바이러스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37][16] 이 바이러스는 습한 환경에서는 최대 18시간까지 생존할 수 있으나, 건조한 환경이나 에어로졸 상태에서는 생존 기간이 더 짧다.[37][16]
소독 시에는 락스와 같은 염소계 소독제나 시중에서 판매되는 바이러스 살균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소독 범위는 다음과 같이 집안 전체를 포함해야 바이러스 잔존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구분 | 소독 대상 예시 |
---|---|
고양이 용품 | 케이지, 방석, 옷, 장난감, 배변판, 사료 그릇 등 |
생활 공간 | 가구 및 집기류, 이불, 커튼, 의류 등 |
집 전체 | 바닥면, 벽면, 천장면 등 공간 전체 |
일반인이 직접 소독할 경우, 오염된 고양이 용품은 폐기하는 것이 더 안전할 수 있다. 또한 바닥면뿐만 아니라 벽면, 천장면, 가구 틈새 등 놓치기 쉬운 부분까지 꼼꼼하게 소독하는 것이 중요하다. 미립자 형태로 약품을 분무할 수 있는 기구를 사용하여 공기 중에 분사하는 방식은 소독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ICTV Taxonomy history: ''Felid alphaherpesvirus 1''
https://ictv.global/[...]
2019-01-09
[2]
웹사이트
ICTV 9th Report (2011) ''Herpesviridae''
https://talk.ictvonl[...]
2019-01-09
[3]
웹사이트
Herpesviridae
http://www.ivis.org/[...]
2006-06-08
[4]
서적
Textbook of Veterinary Internal Medicine
W.B. Saunders Company
[5]
논문
Properties and Functions of Feline Herpesvirus Type 1 Glycoproteins
[6]
논문
Feline herpesvirus infection. ABCD guidelines on prevention and management
[7]
논문
Treatment of cats with ocular disease attributable to herpesvirus infection: 17 cases (1983–1993)
[8]
논문
Detection of feline herpesvirus 1 DNA in skin biopsy specimens from cats with or without dermatitis
[9]
논문
Assessment of infectious organisms associated with chronic rhinosinusitis in cats
[10]
웹사이트
Feline Respiratory Disease Complex
http://www.merckvetm[...]
2006
[11]
웹사이트
Veterinary Biological Products
https://www.aphis.us[...]
USDA
2020-04-01
[12]
논문
Polyprenyl Immunostimulant in Feline Rhinotracheitis: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Experimental and Field Safety Studies
[13]
논문
In vitro comparison of antiviral drugs against feline herpesvirus 1
[14]
논문
Treatment of feline herpesvirus-1 associated disease in cats with famciclovir and related drugs
[15]
논문
Lysine supplementation is not effective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feline herpesvirus 1 infection in cats: a systematic review
2015
[16]
논문
Feline herpesvirus
https://hal.archives[...]
[17]
논문
Three-year duration of immunity in cats following vaccination against feline rhinotracheitis virus, feline calicivirus, and feline panleukopenia virus
[18]
간행물
Use of serological tests to determine vaccine needs
[19]
웹사이트
Purevax RC EPAR
https://www.ema.euro[...]
2008-03-14
[20]
웹사이트
Purevax RC PI
https://ec.europa.eu[...]
2005-02-25
[21]
웹사이트
Herpesviridae
http://www.ivis.org/[...]
2006-06-08
[22]
서적
Textbook of Veterinary Internal Medicine
W.B. Saunders Company
[23]
웹인용
Herpesviridae
http://www.ivis.org/[...]
2006-06-08
[24]
서적
Textbook of Veterinary Internal Medicine
W.B. Saunders Company
[25]
논문
Properties and Functions of Feline Herpesvirus Type 1 Glycoproteins
[26]
논문
Feline herpesvirus infection. ABCD guidelines on prevention and management
[27]
논문
Treatment of cats with ocular disease attributable to herpesvirus infection: 17 cases (1983–1993)
[28]
논문
Detection of feline herpesvirus 1 DNA in skin biopsy specimens from cats with or without dermatitis
[29]
논문
Assessment of infectious organisms associated with chronic rhinosinusitis in cats
[30]
웹인용
Feline Respiratory Disease Complex
http://www.merckvetm[...]
2006
[31]
논문
In vitro comparison of antiviral drugs against feline herpesvirus 1
[32]
논문
Treatment of feline herpesvirus-1 associated disease in cats with famciclovir and related drugs
[33]
서적
Veterinary Ophthalmolog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34]
논문
Effect of oral administration of L-lysine on conjunctivitis caused by feline herpesvirus in cats
https://archive.org/[...]
[35]
논문
Effects of dietary lysine supplementation on upper respiratory and ocular disease and detection of infectious organisms in cats within an animal shelter
https://archive.org/[...]
[36]
논문
Oral supplementation with L-lysine did not prevent upper respiratory infection in a shelter population of cats
[37]
논문
Feline herpesvirus
[38]
논문
Three-year duration of immunity in cats following vaccination against feline rhinotracheitis virus, feline calicivirus, and feline panleukopenia virus
[39]
웹인용
Use of serological tests to determine vaccine needs
[40]
웹인용
"[웰펫케어 - 웰펫케어] 집으로 직접 찾아가는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인 반려동물 살균소독 홈케어 서비스"
http://wellpetcare.m[...]
2019-0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