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카이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카이도는 에도 시대에 에도(현재의 도쿄)를 기점으로 하여 각 지역으로 뻗어 있던 다섯 개의 주요 간선 도로를 의미한다. 1600년 쇼군이 된 도쿠가와 이에야스에 의해 도로 정비가 시작되었으며, 도쿠가와 막부는 다섯 가도에 검문소 시스템을 구축하여 사람과 물품의 이동을 통제했다. 고카이도는 도카이도, 닛코 가이도, 오슈 가이도, 나카센도, 고슈 가이도로 구성되었으며, 각 도로는 에도와 다른 지역을 연결했다. 메이지 시대 이후에는 국도로 지정되어 현재까지도 일본의 주요 교통망으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명수 5 - 5인조 (자유민주당)
5인조는 2000년 오부치 게이조 총리 뇌경색 입원 후 자민당 주요 인사 5명이 모리 요시로를 후임 총리로 추대하고 아오키 간오를 총리 대리로 결정한 사건을 지칭하며, 밀실 협의라는 비판과 함께 일본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에도 시대의 교통 - 고슈 가도
고슈 가도는 에도 시대에 에도와 고후를 연결하기 위해 건설된 주요 가도로, 도쿠가와 이에야스 시대에 정비되어 국도 20호선을 따라 그 흔적이 남아있다. - 에도 시대의 교통 - 도카이도
도카이도는 혼슈 태평양 연안 중부 지역을 가리키는 율령제 하의 행정 구역으로, 에도 시대에는 간토와 간사이 지방을 연결하는 주요 도로였으며, 현재는 국도, 철도, 신칸센 등으로 그 기능을 계승하고 있다.
고카이도 | |
---|---|
개요 | |
종류 | 일본 에도 시대의 주요 도로망 |
기점 | 교토시 |
종점 | 에도 (도쿄도) |
주요 가도 | 도카이도 나카센도 고슈 가도 닛코 가도 오슈 가도 |
가도 정보 | |
도카이도 | 로마자 표기: Tōkaidō 설명: 에도와 교토를 연결하는 가장 중요한 해안 도로 |
나카센도 | 로마자 표기: Nakasendō 설명: 에도와 교토를 연결하는 내륙 도로 |
고슈 가도 | 로마자 표기: Kōshū Kaidō 설명: 에도와 고슈를 연결 |
닛코 가도 | 로마자 표기: Nikkō Kaidō 설명: 에도와 닛코시를 연결 |
오슈 가도 | 로마자 표기: Ōshū Kaidō 설명: 에도와 무쓰국 (현재의 후쿠시마현, 미야기현, 이와테현, 아오모리현)을 연결 |
2. 역사적 배경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1600년 쇼군이 된 직후 고카이도 정비에 착수했다. 도쿠가와 막부는 기존 노선을 따라 설치된 역참을 통제하고, 검문소를 설치하여 사람과 물품의 이동을 규제했다.[2] 도로 개선 작업, 리마다 거리 표지판 설치, 나룻배 운영 등이 이루어졌다.[3]
2. 1. 도쿠가와 막부의 도로 정비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승리하여 권력을 장악한 후, 정치적 지배력을 강화하기 위해 도로 정비에 착수했다.[2] 1601년(게이초 6년)부터 주인장을 통해 각 역참에 덴마(継馬)를 상비하도록 의무화하고, 도로 폭을 넓히는 등 도로 정비를 진행했다.[2]도쿠가와 막부는 기존 노선을 따라 설치된 역참을 정부가 통제하면서 다섯 가도의 공식적인 건설을 시작했다.[2] 막부는 역참이 공식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들에게 우선적인 편의를 제공하도록 요구하거나 활동을 중단하도록 강요했다. 1640년대에는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쓰가 필요한 역참을 제외한 모든 역참을 폐쇄했다.[2]
막부는 다섯 가도를 따라 검문소 시스템을 만들었다. 검문소는 사람과 물품의 이동을 통제하는 규제 역할을 했다. 총기 불법 거래를 방지하고, 산킨코타이 관련 규칙을 준수하도록 하며, 평민의 여권을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17세기에 53개의 검문소가 설치되었다.[3]
막부는 도로를 평평하게 만들고 넓혔으며, 경사가 급한 구간은 돌로 포장했다. 도로 옆에는 나무를 심고, 배수로를 팠다. 리마다 거리를 표시하는 표지판을 설치했는데, 당시에는 니혼바시에서 3.93km로 정의되었다. 다섯 개의 가도는 많은 수로를 가로질렀지만, 다리는 거의 건설되지 않고 나룻배가 운영되었다.[3]

2. 2. 고카이도의 확립
히데타다 (2대 쇼군) 시대에 고카이도가 정해졌다. 1604년(게이초 9년) 니혼바시를 고카이도의 기점으로 정하고, 가도의 요지에 관문을 설치하여 통행을 단속했다.[2] 1659년(만지 2년) 이후 도추 봉행의 관할에 놓였다. 1716년(교호 원년) 고카이도의 정식 명칭이 정해졌다.막부는 사람과 물품의 이동을 통제하기 위해 검문소를 설치했다. 검문소는 총기 불법 거래를 방지하고, 산킨코타이 관련 규칙을 준수하도록 하며, 평민의 여권을 확인하는 역할을 했다. 17세기에는 53개의 검문소가 설치되었다.[3]
또한 막부는 도로를 평평하게 만들고 넓혔으며, 경사가 급한 곳은 돌로 포장했다. 도로 옆에는 나무를 심고 배수로를 팠으며, 리마다 거리 표지판을 설치했다.[3] 수로를 건널때는 나룻배를 운영했다.[3]
고카이도는 도카이도, 닛코 가이도(닛코 도추), 오슈 가이도(오슈 도추), 나카센도, 고슈 가이도(고슈 도추) 순으로 정비되었다.
- '''도카이도(도카이도 53차)''': 1624년(간에이 원년) 완성. 에도·니혼바시에서 교토·산조 대교까지의 53차(약 500km).
- '''닛코 가이도(닛코 도추)''': 1636년(간에이 13년)경 완성. 니혼바시에서 닛코까지의 21차.
- '''오슈 가이도(오슈 도추)''': 1646년(쇼호 3년) 완성. 니혼바시에서 무쓰·시라카와까지의 27차.
- '''나카센도(나카센도 69차)''': 1694년(겐로쿠 7년) 완성. 니혼바시에서 구사쓰까지의 67차.
- '''고슈 가이도(고슈 도추)''': 1772년(메이와 9년) 완성. 니혼바시에서 시모스와에서 나카센도에 합류하는 43차.
에도 시대의 도카이도·닛코 가이도·오슈 가이도·나카센도·고슈 가이도를 합친 고카이도의 총 연장은 1493.5km였다고 한다.
3. 주요 도로 (고카이도)
고카이도는 모두 에도 일본교에서 시작되어 각 지역으로 연결되었다.
1601년(게이초 6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승리한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각 숙소에 덴마의 상비를 의무화하고 도로 폭을 넓히는 등 도로 정비에 착수했다. 1604년(게이초 9년)에는 니혼바시를 고카이도의 기점으로 정했다.
1659년(만지 2년) 이후 도추 봉행이 고카이도를 관할하게 되었으며, 고카이도의 정식 명칭은 1716년(교호 원년)에 정해졌다. 에도 시대 도카이도, 닛코 가이도, 오슈 가이도, 나카센도, 고슈 가이도를 합친 고카이도의 총 연장은 1493.5km였다고 한다.
3. 1. 도카이도(東海道)
도카이도는 53개의 역을 가지고 있으며, 교토와 연결되었다.[4] 구사쓰주쿠에서 나카센도와 노선을 공유했다. 1624년(간에이 원년) 완성되었다. 에도·니혼바시에서 오다와라, 슨푸, 하마마쓰, 미야, 구와나, 구사쓰를 거쳐 교토·산조 대교까지 약 500 km에 달했다. 에도 막부가 있는 에도에서 천황이 있는 교토까지의 시점에서 종점까지 55 지점을 잇는 길이었다. 연장부에 해당하는 교토 가이도의 4개 숙소를 더해 57차라고도 한다.[4]3. 2. 나카센도(中山道)
나카센도(ja)는 69개의 역을 가진 도로로, 혼슈 중앙을 통과하여 교토와 연결되었다.[5] 시모스와주쿠는 고슈 가이도의 종착역 역할을 했다. 나카센도는 구사쓰주쿠에서 도카이도와 합류했다.[5] 1694년(겐로쿠 7년)에 완성되었다. '나카센도'라고도 표기하며, 에도 막부가 있던 니혼바시에서 다카사키, 시모스와, 기소지의 쓰마고를 거쳐 구사쓰까지 67개의 역참으로 구성되었다. 구사쓰와 오쓰의 2개 역참을 더하여 천황이 있는 교토까지 69개의 역참이라고도 한다.[5]3. 3. 고슈 가이도(甲州街道)
고슈 가이도는 44개의 역참을 가지고 있으며, 가이국(야마나시현)과 연결되었다.[6] 나카센도의 시모스와주쿠에서 나카센도에 합류했다.[6] 1772년 (메이와 9년)에 완성되었으며, 니혼바시에서 나이토신주쿠, 하치오지, 고후를 거쳐 시모스와에 이르는 43개의 역참으로 구성되었다.[6]3. 4. 오슈 가이도(奥州街道)
오슈 가이도는 27개의 역참을 가지고 있으며, 무쓰국(후쿠시마현)과 연결되었다. 일본 북부의 다른 지역과 연결되는 지선도 있었다.[7] 1646년(쇼호 3년)에 완성되었다. 니혼바시에서 우쓰노미야까지 17개의 숙소는 닛코 가이도와 중복된다. 하코다테까지 연장되었다.3. 5. 닛코 가이도(日光街道)
닛코 가이도는 21개의 역참을 가지고 있으며, 현대의 도치기현에 있는 닛코 도쇼구와 연결되었다.[8] 1636년(간에이 13년)경 완성되었다. 니혼바시에서 센주, 우쓰노미야, 이마이치를 거쳐 닛코까지 이어졌다.[8]4. 보조 도로
고카이도 외에도 막부에 의해 지정된 소규모 도로들이 있었다.[3] 주요 도로에서 분기되는 주요 가도를 곁길(脇街道, 와키카이도)이라고 불렀으며, 1659년 만지 2년에 도중 봉행의 관할하에 있었다.[14] 오가이도에 부속된 가도는 사야 가도, 미노지, 닛코 레이헤이시 가도, 미부도, 사쿠라 가도#미토 사쿠라 길, 혼자카 도리, 닛코 오나리 가이도 등이 있었다.[15]
오가이도의 갈래길, 또 옛 가도로서 곁길이 설치되어 간조 봉행의 관할에 놓였다.
- 이세 산구 가도: 일본 각지에서 이세 신궁으로의 참배길로서 정비된 가도. 이세 가도, 이세 혼 가도, 산구 가도라고 불린다.
- 이세지: 이세국・이세 신궁에서 구마노 산잔으로 통하는 참배길로, 구마노 고도의 하나이다. 『도카이도 중 히자쿠리게』에도 등장한다. '이세에 일곱 번, 구마노에 세 번'이라고 불리는 신앙의 길이었다.
- 나카하라 가도: 에도에서 히라츠카 간을 거의 직선으로 잇는 곁길로서 연도의 농산물 등의 운반이나 여행자의 최속 루트로 이용되었다. 도카이도는 다이묘 행렬이 다녔기 때문에, 그 번거로움을 싫어하는 서민이 이용했다.
- 가와고에 가도: 나카센도의 곁길. 이타바시주쿠에서 가와고에 성에 이른다. 현재의 가와고에 가도는 1941년(쇼와 16년)에 신도로서 정비된 것으로, 숙소가 있던 가와고에 가도는 구 가와고에 가도 등으로 불리며, 구간에 따라서는 평행하고 있다.
- 가와고에 코다마 왕환: 가와고에 가도를 왕환이라고 부르는 경우, 가와고에 가도와 가와고에 성 아래에서 후지오카에 이르는 '고다마 가도'를 총칭한다. 코다마 가도는 가와고에 가도의 연장 노선이기 때문에, 편의상 양자를 총칭하여 가와고에 가도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 가마쿠라 가도: 가마쿠라에 직통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군사 도로. 상도・중도・하도가 있었다.
- 오야마 가도: 가나가와현 오야마 참배로의 가도.
- 호쿠리쿠도: 호쿠코쿠 가도에서 가가국가나자와시, 오미국기노모토를 거쳐 나카센도에 이른다.
- 호쿠코쿠 가도: 나카센도 오이와케주쿠에서 갈라져, 젠코지를 거쳐 에치고국다카다에 이르는 가도.
- 미쿠니 가도: 나카센도 다카사키주쿠에서 갈라져, 에치고국테라토마치에 이르러 사도국으로 건너가는 가도. 현재는 국도 제17호선이 통한다.
- 교 가도 (오사카 가도): 도카이도 종점의 교(산조 대교)에서 오사카로 향하는 가도.
- 야마토노 고도: 야마토 지방을 관통하는 아스카 시대・나라 시대의 가도.
- 고야 가도: 교, 오사카에서 고야산으로의 참배길.
- 사이고쿠 가도: 교에서 오사카를 경유하지 않고 시모노세키로 향하는 가도. 에도 시대의 산요도의 호칭으로, 공칭 중국도. 막부의 도중 봉행이 관할한 오가이도에 이은 중요한 길이었다.
- 오슈 가도(연장부): 도중 봉행 직할의 시라카와시 이남의 연장부에 해당하며, 최종적으로 하코다테시까지 이르는 주요 가도. 주로 오슈 가도의 명칭이 많이 사용되며, 그 외에 리쿠우 가도, 에도 가이도, 마쓰마에도, 토가하마도 등 여러 가지로 호칭하는 경우가 있다.
- 우슈 가도: 나카쿠와리주쿠에서 코사카 고개・가네야마 고개를 넘어 야마가타, 아키타에서 아오모리로 이르는 가도.
- 아이즈 니시 가도: 닛코 가도의 이마이치주쿠에서 아이즈의 와카마쓰성 아래로 이르는 가도. 시모노 가도라고도 불리며, 아이즈나 데와국・에치고국의 번이 산킨코타이 시에 사용한 중요한 가도이다.
- 요네자와 가도: 와카마츠성 아래에서 요네자와성 아래로 향하는 가도. 아이즈 가도라고도 불렸다.
- 산인 가도: 교에서 단바를 거쳐 산인 지방으로 향하는 가도.
- 곤피라 가도: 곤피라궁으로의 참배길.
- 사누키 가도: 사누키국에 이르는 가도.
- 도사 가도: 도사국에 이르는 가도.
- 닛코 곁길: 고슈 가도하치오지시에서 닛코시로 향하는 닛코 가이도의 곁길.
- 지치부 왕환: 나카센도 쿠마가야주쿠에서 지치부시 오미야를 거쳐 고후에 이르는 가도.
- 나가사키 가도: 산요도에 연결되는 기타큐슈시 부젠 고쿠라에서 나가사키시에 이르는 가도.
- 사쓰마 가도: 나가사키 가도에서 분기되어, 야마가주쿠에서 가고시마성에 이르는 가도
- 이이다 가도: 도쿠가와 이에야스에 의해 만들어진, 오와리 나고야에서 신슈 이이다에 이르는 가도.
- 도가네 오나리 가도: 쇼군이 매사냥을 하기 위해 도이 도시카쓰에 의해 조성된 가도. 후나바시시에서 가즈사국도가네시에 이른다. 초대 도쿠가와 이에야스에서 3대 도쿠가와 이에미쓰까지가 하향했다.
- 사도 길
- 소금의 길: 해안에서 산중으로 해산물을 운반하기 위해 사용된 길의 총칭. 특히 주부 지방의 소금의 길이 유명하다.
4. 1. 공식 보조 도로
쇼군에 의해 8개의 부가적인 소규모 가도가 추가로 지정되었다[3]:- 아이즈 니시 가도
- 혼자카 도리
- 미부도
- 미노지
- 미토 가이도
- 닛코 오나리 가이도
- 닛코 레이헤이시 가이도
- 사야지
- 야마자키 도리
4. 2. 비공식 보조 도로
다섯 개의 가도 외에도, 주요 가도의 비공식 지선이나 대체로 사용 빈도가 낮은 노선과 같은 부수적인 가도들이 있었다. 일부 노선은 주요 무역로의 대체 경로였기 때문에 '''히메 가이도'''라고 불렸지만, 공식적으로 그렇게 불린 적은 없었다.[9]
5. 역참 제도
도카이도를 비롯한 고카이도에는 적당한 간격으로 슈쿠바가 설치되었다. 각 슈쿠바에는 닌소쿠와 짐을 나르는 말(덴마)이 일정 수 이상 상비되어 막부 공무원의 짐 운반에 사용되었다. 슈쿠바는 막부로부터 인마 제공 명령을 받았지만, 그 대가로 경영권이 주어져 일반 손님의 숙박과 짐 운송으로 생계를 유지했다. 가도 교통량에 따라 슈쿠바에 상비하는 인마의 수가 정해졌는데, 도카이도는 인부 100명과 말 100필, 나카센도는 인부 50명과 말 50필, 고슈 가도는 인부 25명과 말 25필이었다.
인마 상비 부담은 커서 슈쿠바 관계자나 연도 주민들을 괴롭혔고, 슈쿠바 유지에 어려움을 겪었다. 에도 시대 후기 도중 봉행 이시카와 타다후사는 1822년 나카센도 안나카주쿠의 인마 제공 부담을 절반으로 줄이는 개혁을 실시하기도 했다. 그러나 일반 여행객 증가와 막부 공무 교통량 증가로 연선 주민 부담은 늘어만 갔다. 막부 공무 수송을 연선 주민이 모두 부담하는 특권 제도는 메이지 시대까지 이어져 막부 붕괴의 한 원인이 되었다고도 한다.
5. 1. 막부의 통제와 숙역 제도의 발전
1601년(게이초 6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승리한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주인장을 통해 각 숙소에 덴마의 상비를 의무화하고, 도로 폭을 넓히고 숙소를 정비하는 등 도로 제도의 개혁을 단행했다.[1] 1604년(게이초 9년)에는 니혼바시를 고카이도의 기점으로 정하고,[2] 가도의 요지에 관문을 설치하여 통행인을 단속했다.[1] 히데타다는 고카이도를 막부 직할로 하고, 1리(약 4km)마다 이치리즈카를 쌓고, 가도변에 가로수를 심도록 명했다.[3] 1659년(만지 2년) 이후에는 도추 봉행의 관할로 놓였다.도카이도는 에도 막부가 가장 중요하게 여긴 길로, "입철포출녀"라는 교통 정책을 시행하여 관문에서의 단속을 엄격히 했다.[1] 입철포는 에도에 무기가 들어오는 것을, 출녀는 참근교대로 인해 인질로 에도에 거주하게 된 다이묘의 처자식이 에도에서 탈출하는 것을 막는 것을 의미한다.[1]
오가이도는 참근교대 등 공적인 용도로 막부에 의해 정비되었지만, 참근교대로 인해 숙박 시설을 비롯한 가도 주변에 큰 경제 효과를 가져왔다. 또한 서민들의 사찰 순례나 온천 여행에도 이용되면서 더욱 번성했다.[1]
6. 도로의 규격 및 구조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1600년 쇼군이 된 직후 5가도 노선에 대한 작업을 시작했다. 도쿠가와 막부는 기존 노선을 따라 설치된 역참을 정부 통제하에 두면서 5가도의 공식적인 건설을 시작했다.[2] 역참은 여행자들에게 휴식 공간을 제공하고 우편 배달 시스템을 운영하는 곳이었다. 막부는 역참이 공무 수행자에게 우선적인 편의를 제공하도록 요구하거나 활동을 중단하도록 강요했다. 1640년대에 도쿠가와 이에미쓰는 필요한 역참을 제외한 모든 역참을 폐쇄했다.[2]
막부는 5가도를 따라 검문소 시스템을 만들었다. 검문소는 사람과 물품의 이동을 통제하는 규제 역할을 했다. 총기 불법 거래를 방지하고, 산킨코타이 관련 규칙을 준수하도록 하며, 평민의 여권을 확인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었다. 17세기에는 53개의 검문소가 설치되었다.[3]
막부는 5가도 도로의 전반적인 개선 작업도 진행했다. 도로는 평평하게 만들고 넓혔으며, 경사가 급한 구간은 돌로 포장했다. 도로 옆에는 나무를 심고, 배수로를 팠다. 니혼바시에서 3.93km마다 거리를 표시하는 표지판을 설치했다. 5가도는 많은 수로를 가로질렀지만, 다리 건설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고, 대신 나룻배가 운영되었다.[3]
막부 말기 일본을 방문한 영국 주일 공사 러더퍼드 올콕은 도카이도를 가리켜 도로 폭이 넓고 평탄하며, 쇄석으로 잘 다져져 있고, 양쪽 가로수길이 통행자를 햇볕으로부터 보호하여 유럽의 가장 훌륭한 길과 비견된다고 평가했다.[3]
6. 1. 도로 폭과 구조

1604년 도쿠가와 막부 2대 쇼군 히데타다의 포고령에 따라 각국에 도로를 건설하면서, 간토, 오슈, 기소지를 포함한 도로의 넓이는 5칸(약 9m), 이치리츠카는 5칸 사방으로 정해졌다고 『당대기』에 기록되어 있다.[1] 다른 자료에도 도로 폭은 5칸으로 기록된 것이 많지만, 가로수길 부지를 포함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있었고, 1789년 가로수길 부지를 양쪽 9척 이상 확보하고 도로 폭은 2칸 이상으로 한다는 답변 문서가 나왔다.[2]
에도 시대 말기 자료인 『숙촌대개장』에 따르면, 표준적인 도로 폭은 3-4칸(5.4m-7.2m)이었고, 에도 근처에서는 5칸(9m)인 곳이 많았다.[3] 슨푸성이나 하마마츠성 부근은 도로 폭이 6-8칸(10.8m-14.4m)이었으며, 하코네 고개, 우츠노야 고개, 스즈카 고개 등 산간부에서는 2칸(3.6m)으로 좁아졌다.[4]
6. 2. 노면 구조
노면은 에도 시대에 도보를 기준으로 조성되었으며, 도쿠가와 이에미쓰 시대인 게이안 원년(1648년)의 포고령에는 도로 보수 방법에 대해 나와 있다. 이 포고령에는 도로의 안 좋은 곳에 아사쿠사 모래에 바다 모래를 섞은 고급 모래를 깔고 단단하게 만들라고 나와 있다. 운송이 활발했던 후시미 - 교토 간이나 오쓰 - 교토 간의 가도에서는 소 수레용 차도와 인마도를 구분하여, 2개의 윤도에 화강암으로 만든 두꺼운 판인 차석(車石)을 깔고, 소길에는 자갈을 깔았다.[1] 분큐 3년(1863년) 도쿠가와 이에모치가 상경할 때 하코네 산길을 둥근 돌로 포장하도록 개수하였는데, 현재 하코네 옛 가도에 당시의 돌길이 잘 남아 있다.[2]
7. 유지 관리
도쿠가와 막부는 오가이도의 도로를 전반적으로 개선했다. 도로는 평평하게 만들고 넓혔으며, 경사가 급한 구간은 거친 돌로 포장했다. 도로 옆에는 나무를 심고, 많은 곳에 배수로를 팠다. 리마다 거리를 표시하는 표지판을 설치했는데, 당시에는 니혼바시에서 3.93km로 정의되었다. 오가이도는 많은 수로를 가로질렀지만, 다리는 거의 건설되지 않았다. 대신 나룻배가 운영되었다.[3]
오가이도를 총괄 관리하던 곳은 도중 봉행이었으며, 일상적인 관리 조직의 기준은 명확하지 않지만, 원칙적으로 도중 봉행이 가도의 유지 관리를 연도의 숙촌(宿村)에 할당하고, 그 집행 책임을 지게 했다. 교통량에 따라 연도 지구촌만으로는 부족한 경우가 있어, 연도에 직접 접하지 않는 주변 촌락에도 할당이 미쳤고, 그 할당된 각 구간을 청소정장(掃除丁場)이라고 불렀다. 촌락에서 청소정장까지의 거리는 대부분 1리 미만이었지만, 가장 먼 곳은 5리인 곳도 있었으며, 5리 이상 떨어진 촌락에 대한 할당은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촌락에 대한 할당은 조고 제도에서도 나타나며, 할당된 촌락은 중복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고개 등 산중에서는 형식적으로는 연도 촌락 부담으로 하면서도, 실질적으로는 번주 부담으로 하거나, 연도의 실정에 맞춰 배려가 이루어졌다고 보여진다.
가로수 관리는 연도의 숙촌에 맡겨지지 않고, 그 토지의 관리 구분에 따라 막부 직할지에서는 대관(代官)이, 사령지(私領地)에서는 다이묘(大名)가 책임을 졌다.
8. 가로수
평지에는 주로 소나무가 심어졌고, 산지에는 삼나무와 대나무가 심어졌다. 닛코 삼나무 가로수길은 마쓰다이라 마사쓰나가 주군인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명복을 빌기 위해 20년 이상 자비로 심은 것이다.[2]
쇼와 시대에 국도 확장 공사 등으로 가로수가 많이 벌채되었으나, 닛코 삼나무 가로수길이나 소카 마쓰바라 등 일부 지역에는 당시의 모습이 남아 있어 역사적 유산으로 보존되고 있으며, '일본의 길 100선'에도 선정되었다.[2]
9. 오가이도에 대한 해석 및 정의
1601년(게이초 6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승리한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정치적 지배력을 강화하기 위해 도로 제도를 개혁하고 정비하기 시작했다.[10] 각 숙소에 덴마를 의무적으로 비치하고, 도로 폭을 넓히고 숙소를 정비하며, 이치리즈카를 설치하는 등 도로 정비를 진행했다. 노면을 자갈이나 모래로 굳히고, 벚나무를 심는 작업도 이루어졌다.
도쿠가와 막부(에도 막부) 2대 쇼군인 도쿠가와 히데타다 시대에 이르러 고카이도가 정해졌다. 1604년(게이초 9년)에 니혼바시를 고카이도의 기점으로 정하고, 막부의 안녕을 위해 에도를 방위하는 것을 목적으로 도로 요지에 관문을 설치하여 통행인을 단속했다.[10] 히데타다는 정치적·군사적으로 중요한 고카이도를 막부 직할로 하고, 1리(약 4km)마다 이치리즈카를 쌓고, 도로변에 가로수를 심도록 명했다. 도로는 도카이도, 닛코 가이도(닛코 도추), 오슈 가이도(오슈 도추), 나카센도, 고슈 가이도(고슈 도추) 순으로 정비되었다. 1659년(만지 2년) 이후에는 새로 설치된 도추부교의 관할로 놓였다. 고카이도의 정식 명칭이 정해진 것은 1716년(교호 원년)이다.
니혼바시에서는 남쪽으로 도카이도와 고슈 가이도가 중복되어 현재의 경시청 앞 사쿠라다몬 교차점에서 갈라졌다. 북쪽으로는 오슈 가이도, 닛코 가이도, 나카센도가 중복되어 뻗어, 아사쿠사바시에서 오슈 가이도, 닛코 가이도와 나카센도로 갈라졌다. 오슈 가이도와 닛코 가이도의 분기점은 더 멀리 북쪽에 있는 우쓰노미야에 있었다. 고카이도의 첫 번째 숙소인 시나가와슈쿠, 나이토신주쿠, 이타바시슈쿠, 센주슈쿠는 니혼바시에서 2리(약 8km) 이내에 있으며, "에도 사숙"이라 불리며 에도의 현관이 되었다.
- 도카이도(도카이도 53차): 1624년(간에이 원년) 완성. 에도 니혼바시에서 교토 산조 대교까지 53차(약 500km)이다.
- 닛코 가이도(닛코 도추): 1636년(간에이 13년)경 완성. 니혼바시에서 닛코까지 21차이다.
- 오슈 가이도(오슈 도추): 1646년(쇼호 3년) 완성. 니혼바시에서 무쓰국 시라카와까지 27차이다. 니혼바시에서 우쓰노미야까지 17개 숙소는 닛코 가이도와 중복된다.
- 나카센도(나카센도 69차): 1694년(겐로쿠 7년) 완성. 니혼바시에서 구사쓰까지 67차이다.
- 고슈 가이도(고슈 도추): 1772년(메이와 9년) 완성. 니혼바시에서 시모스와까지 43차이다.
에도 시대 도카이도, 닛코 가이도, 오슈 가이도, 나카센도, 고슈 가이도를 합친 고카이도의 총 연장은 막말기 자료인 『숙촌 대개장』 집계에서 1493.5km였다.[13]
가이도 명 | 기 점 | 종 점 | 거리(km) | 숙역 수 | 숙역 간 평균 거리(km) | 구간 수 |
---|---|---|---|---|---|---|
도카이도 | 에도 닛폰바시 | 오사카 | 575km | 58 | 9.7km | 59 |
나카센도 | 에도 닛폰바시 | 구사츠 | 530km | 67 | 7.8km | 68 |
닛코 도추 | 에도 닛폰바시 | 닛코 | 150km | 21 | 6.8km | 22 |
오슈 도추 | 우츠노미야 | 시라카와 | 84km | 9 | 8.4km | 10 |
고슈 도추 | 에도 닛폰바시 | 시모스와 | 214km | 22 | 9.3km | 23 |
계 | 1553km | 177 | 8.5km | 182 |
9. 1. 메이지 신정부의 정의
메이지 신정부가 편찬한 고사류엔(古事類苑) 지부 도로 개요에 따르면, 도쿠가와 막부는 에도를 기점으로 하는 도카이도(東海道), 나카센도(中山道), 닛코 도추(日光道中), 오슈 도추(奥州道中), 고슈 도추(甲州道中)를 오가이도(五街道)라고 칭했다.[10]또한, 오가이도 외에 미토사쿠라 가이도, 이세지, 주고쿠로 등을 혼가이도(本街道)라고 칭하고, 그 외의 길을 와키오칸(脇往還)이라고 칭한다고 기록되어 있다.[10]
9. 2. 다른 해석
센주슈쿠에서 분기되어 도추부교의 관할 하에 있던 미토 가이도(미토 도추)를 오가이도에 더하는 견해도 있다.[11] 『지방 범례록』에서는 도중 우쓰노미야주쿠까지 닛코 가이도와 중복되는 오슈 가이도를 제외하고 미토 가이도를 더하고 있다. 분카 8년(1811년)에는 에도 막부가 오가이도에 더하여 미토 가이도 및 그 와키 가이도였던 사쿠라 가이도(나리타 가이도)를 '''칠 가이도'''로 하여 그 발착지의 확인이 이루어졌다.[11] 다만, 도추 봉행 지배 지역은 미토 가이도는 마쓰도주쿠까지, 사쿠라 가이도는 야와타주쿠까지로 가이도 전체에서 보아도 짧은 구간으로 한정되어 있으며, 미토・사쿠라 양 가이도는 닛코・오슈 양 가이도의 와키 가이도로 위치 지어지는 것이 통설이다.[11]오가이도는 도카이도 등 5개의 간선 및 거기에 부속하는 가이도도 포함하고 있으며, 5개의 간선을 "오가이도"라고 불렀다기보다는, 도추 봉행의 관할하는 가이도의 길을 망라한 길의 총칭이 "오가이도"였다는 의견도 있다.[12]
10. 현대의 오가이도
메이지 유신 이후 에도 시대에 정비된 고카이도는 신정부에 의해 국도의 경로로 지정되어 현재의 일반 국도에 계승되고 있다. 도카이도는 국도 1호선, 나카센도는 국도 17호선, 국도 18호선, 국도 142호선, 국도 20호선, 국도 19호선, 국도 21호선, 국도 8호선, 닛코 가이도는 국도 4호선과 국도 119호선, 오슈 가이도는 국도 4호선, 고슈 가이도는 국도 20호선에 각각 해당한다.[9] 당시의 가로수길과 이치리즈카는 대부분 사라졌지만, 곳곳에 당시의 숙소, 가로수길, 이치리즈카가 남아 있어 옛 모습을 볼 수 있다.[9]
11. 오가이도 이외의 주요 도로 (와키카이도)
오가이도에서 분기되는 주요 가도를 와키카이도(脇街道, 곁길)라고 부른다.[14] 오가이도의 부속 가도로 1659년(만지 2년)에 도추 봉행의 관할하에 있었다.[15] 오가이도에 부속된 가도는 사야 가도, 미노지, 레이헤이시 가도, 미부도, 미토 사쿠라 길, 혼자카도 외에 닛코 호세이도 등이 있었다.
- 사야 길: 도카이도 미야주쿠(아쓰타주쿠)에서 구와나주쿠에 이르는 가도. 도카이도의 시치리의 와타시를 우회하여 미야주쿠에서 사야 길의 사야주쿠까지 육로로 이동하고, 사야주쿠에서 기소 강의 산리의 와타시를 거쳐 도카이도 구와나주쿠에 이른다.
- 미노지: 도카이도 미야주쿠(아쓰타)에서 나카센도 다루이주쿠에 이르는 가도. 도카이도의 스즈카 고개, 시치리의 와타시, 나카센도의 오타의 와타시 등의 난소를 우회할 수 있었다.
- 닛코 레이헤이시 가도: 나카센도 구라가노에서 닛코로 이르는 가도.
- 미부 통: 닛코 가이도 오야마주쿠(북쪽의 키자와 오이와케)에서 미부주쿠, 가누마주쿠를 경유하여 닛코 가이도 이마이치주쿠로 이르는 길. 닛코 니시 가도라고도 한다.
- 미토 가도: 닛코 가이도, 오슈 가도의 곁길. 에도에서 센다이까지 태평양 연안을 따라가는 가도를 통칭하여 '하마 가도'라고 하며, 도쿠가와 고산케 중 하나가 있던 미토까지를 '미토 가도'라고 한다.
- 사쿠라 길: 중앙에서 사도에 통하는 육해로. 근세에는 곁길로 나카센도에서 분기되는 호쿠코쿠 가도, 미쿠니 가도, 닛코, 오슈 도중에서 분기되는 아이즈 가도 등이 있었다.
- 혼자카 통: 도카이도 미쓰케주쿠와 고요주쿠를 잇는 가도. 하마나 호수의 북쪽, 혼자카 고개를 경유하며, 거리는 약 60km이다. 막부 말부터 히메 가도라는 호칭이 보인다.
- 닛코 오나리도: 쇼군이 닛코 도쇼구 참배를 위해 이용한 가도. 혼고 오이와케에서 나카센도에서 갈라져, 이와부치주쿠나 이와츠키를 경유하여 사테에서 닛코 가이도와 합류한다. '닛코 오나리 가도', '이와츠키 가도'라고도 불린다.
오가이도의 갈래길, 또 옛 가도로서 곁길이 설치되어 간조 봉행의 관할에 놓였다.
- 이세 산구 가도: 일본 각지에서 이세 신궁으로의 참배길로서 정비된 가도. 이세 가도, 이세 혼 가도, 산구 가도라고 불린다.
- 이세지: 이세 신궁에서 구마노 산산으로 통하는 참배길로, 구마노 고도의 하나. 도카이도 중 히자쿠리게에도 등장한다.
- 나카하라 가도: 에도에서 히라쓰카 사이를 거의 직선으로 잇는 곁길.
- 가와고에 가도: 나카센도의 곁길. 이타바시주쿠에서 가와고에 성에 이른다.
- 가와고에 코다마 왕환: 가와고에 가도를 왕환이라고 부르는 경우, 가와고에 가도와 가와고에 성 아래에서 조슈 후지오카에 이르는 '고다마 가도'를 총칭한다.
- 가마쿠라 가도: 가마쿠라에 직통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군사 도로.
- 오야마 가도: 가나가와현 오야마 참배로의 가도.
- 호쿠리쿠도: 호쿠코쿠 가도에서 가가국가나자와, 오미국기노모토를 거쳐 나카센도에 이른다.
- 호쿠코쿠 가도: 나카센도 오이와케주쿠에서 갈라져, 젠코지를 거쳐 에치고국다카다에 이르는 가도.
- 미쿠니 가도: 나카센도 다카사키주쿠에서 갈라져, 에치고국데라도마리에 이르러 사도국으로 건너가는 가도.
- 교 가도 (오사카 가도): 도카이도 종점인 교(산조 대교)에서 오사카로 향하는 가도.
- 야마토노 고도: 야마토 지방을 관통하는 아스카, 나라 시대의 가도.
- 고야 가도: 교, 오사카에서 고야산으로의 참배길.
- 사이고쿠 가도: 교에서 오사카를 경유하지 않고 시모노세키로 향하는 가도. 에도 시대의 산요도의 호칭으로, 공칭 중국도.
- 오슈 가도(연장부): 시라카와 이남의 연장부에 해당하며, 최종적으로 하코다테까지 이르는 주요 가도.
- 우슈 가도: 나카쿠와리주쿠에서 코사카 고개, 가네야마 고개를 넘어 야마가타, 아키타에서 아오모리로 이르는 가도.
- 아이즈 니시 가도: 닛코 가이도의 이마이치주쿠에서 아이즈의 와카마쓰 성 아래로 이르는 가도.
- 요네자와 가도: 와카마쓰 성 아래에서 요네자와 성 아래로 향하는 가도.
- 산인도: 교에서 단바를 거쳐 산인 지방으로 향하는 가도.
- 곤피라 가도: 곤피라 궁으로의 참배길.
- 사누키 가도: 사누키국에 이르는 가도.
- 도사 가도: 도사국에 이르는 가도.
- 닛코 곁길: 고슈 가이도하치오지에서 닛코로 향하는 닛코 가이도의 곁길.
- 지치부 왕환: 나카센도 구마가야주쿠에서 지치부 오미야를 거쳐 고슈 고후에 이르는 가도.
- 나가사키 가도: 산요도에 연결되는 부젠 고쿠라에서 나가사키에 이르는 가도.[9]
- 사쓰마 가도: 나가사키 가도에서 분기되어, 야마가주쿠에서 가고시마 성에 이르는 가도
- 이이다 가도: 도쿠가와 이에야스에 의해 만들어진, 오와리 나고야에서 신슈 이이다에 이르는 가도.
- 도가네 오나리 가도: 쇼군이 매사냥을 하기 위해 도이 도시카쓰에 의해 조성된 가도. 후나바시에서 가즈사국도가네에 이른다.
- 사도 길:
- 소금의 길: 해안에서 산중으로 해산물을 운반하기 위해 사용된 길의 총칭.
참조
[1]
백과사전
Gokaidō
http://rekishi.jkn21[...]
Shogakukan
2012-11-10
[2]
논문
Post Station and Assisting Villages. Corvέe Labor and Peasant Contention
1986
[3]
서적
Highways, Byways, and Road Systems in the Pre-Modern World
2012
[4]
서적
Utagawa Hiroshige's 53 Stations of the Tokaido
Cognoscenti Books
2014
[5]
웹사이트
WebJapan Atlas: Nakasendo
http://web-japan.org[...]
2007-08-02
[6]
웹사이트
Yumekaidō: Kōshū Kaidō Map
http://www.yumekaido[...]
2007-09-04
[7]
웹사이트
Yumekaidō: Ōshū Kaidō Map
http://www.yumekaido[...]
2007-09-04
[8]
웹사이트
Nikkōdō
http://www.ikedakai.[...]
2007-12-08
[9]
웹사이트
Nagasaki Kaidō
http://www.pref.naga[...]
2008-03-12
[10]
문서
徳川禁令考五十二拝借銭による。
[11]
서적
五街道
弘文堂
2006
[12]
문서
2000
[13]
문서
1985
[14]
문서
1970
[15]
문서
197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