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곡예비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곡예비행은 항공기를 이용하여 공중에서 다양한 기동을 선보이는 기술로,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발전해왔다. 군사 훈련, 에어쇼, 대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특히 한국 공군의 블랙이글스 팀은 국제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곡예비행에는 해머헤드, 테일 슬라이드, 쿠반 에이트 등 여러 종류의 기동이 있으며, 이를 위해 특별히 설계된 곡예기가 사용된다. 또한, 곡예 비행은 영화, 비디오 게임 등 대중문화에서도 다루어지고 있으며, 무선 조종 모형 항공기를 이용한 곡예비행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항공 스포츠 - 카이트서핑
    카이트서핑은 연과 보드를 사용하여 바람의 힘으로 물 위를 활강하는 수상 스포츠로, 다양한 스타일이 있으며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세계적인 스포츠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항공 스포츠 - 기구 (비행체)
    기구는 주변 대기보다 가벼운 기체를 이용해 부력을 얻어 하늘을 나는 비행체로, 무인 열기구에서 시작하여 유인 열기구 시대를 거쳐 쇠퇴 후 레저 스포츠로 부활했으며, 현재는 기상 관측, 광고, 과학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고, 열기구, 가스 기구, 로지에 기구 등이 있다.
  • 프랑스의 발명품 - 마가린
    마가린은 식물성 또는 동물성 유지를 가공하여 만든 버터 대체품으로, 다양한 종류와 용도로 생산되며 트랜스 지방산, 포화 지방산, 콜레스테롤 함량 등 여러 측면에서 논의가 이루어진다.
  • 프랑스의 발명품 - 비키니
    여성용 투피스 수영복인 비키니는 1946년 루이 레아르가 고안하여 핵실험 장소인 비키니 환초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노출에 대한 사회적 저항을 극복하고 배우들의 착용과 영화 등장으로 대중화되어 다양한 디자인으로 스포츠 유니폼으로도 활용된다.
  • 러시아의 발명품 - 텔레비전
    텔레비전은 움직이는 영상과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 다시 영상과 소리로 바꾸는 기술을 이용한 매체로, 닙코프 원판을 이용한 초기 기계식 방식에서 음극선관 발명을 통해 전자식으로 발전하여 디지털 기술과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 발전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사회, 문화, 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만 건강 문제 및 부정적 콘텐츠 노출 등의 부작용도 존재한다.
  • 러시아의 발명품 - 태양 전지
    태양전지는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여 발전 효율이 크게 향상되었고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으며, 고집광 태양전지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등의 새로운 기술 개발과 투자가 지속적으로 요구되는 지속 가능한 에너지원이다.
곡예비행
곡예비행
곡예비행용 항공기
곡예비행용 항공기
개요
정의정상적인 비행 자세에서 벗어난 기동을 포함하는 항공기 비행
다른 이름에어 로바틱스 (air-robatics), 스턴트 비행 (stunt flying)
기술
주요 기동롤 (Roll)
루프 (Loop)
임멜만 턴 (Immelmann turn)
스핀 (Spin)
해머헤드 턴 (Hammerhead turn)
규제
제한 사항곡예비행은 허가된 고도 및 장소에서만 수행해야 함
조종사는 곡예비행을 위한 자격 및 훈련을 받아야 함
탑승객은 곡예비행 시 안전 장비를 갖추어야 함
곡예비행 관련 법규미국 연방 항공 규정 91.303 (FAR 91.303)
미국 연방 항공 규정 91.307(c) (FAR 91.307(c))
뉴질랜드 민간 항공 규칙 파트 1
역사
초기 곡예비행1910년대 제1차 세계대전 이전 군사 훈련에서 시작
1920년대부터 곡예비행 기술 및 기체가 발전
1930년대 곡예비행 경연대회가 인기를 얻음
현대 곡예비행곡예비행은 에어쇼, 항공 경연 대회, 군사 훈련 등에서 활용
전문적인 곡예비행 팀 및 조종사들이 활약
곡예비행 종류
항공기 종류특수 설계된 곡예비행용 항공기
다양한 크기와 엔진을 가진 항공기
헬리콥터
곡예비행 대회
주요 대회국제 곡예비행 클럽 (International Aerobatic Club) 주최 대회
레드불 에어 레이스 (Red Bull Air Race)
기타
곡예비행의 특징고도의 기술과 집중력을 요구함
항공기 조작 및 상황 판단 능력이 중요함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함

2. 역사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복엽기 시대부터 존재해 온, 오랜 역사를 가진 항공기 곡예비행이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전투 조종사로서 공중전을 경험하며 높은 비행 기술을 익혔으나, 전쟁 종전 후 평화와 전간기 군축으로 직업을 잃은 전직 군인 조종사들이 그 기술을 살려 항공기를 이용한 곡예 비행을 선보이며 여러 곳을 순회 공연하면서 발전해 왔다. 이러한 경위로 비교적 일찍부터 항공기에 익숙해진 유럽이나 미국 등의 서구권에서는 널리 알려져 있으며, 군과 민간을 막론하고 곡예비행팀도 많이 존재한다.

과거에는 비행 중 복엽기 날개 사이를 걷거나 옆 기체로 뛰어넘는 "윙워크(wing walk)"가 행해졌지만, 현대에는 날개에 몸을 고정하고 연기하는 스타일이 주류이다.[15]

일본 항공법 제91조에 규정되어 있다.

영국의 Utterly Butterly(Utterly Butterly)가 보잉 스티어먼 모델 75(Boeing Stearman Model 75)를 사용한 연기. 윙워크도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

2. 1. 한국의 곡예비행 역사

한국은 한국 전쟁 이후 공군력 강화와 함께 곡예비행 기술을 발전시켜 왔다. 1960년대부터 대한민국 공군 특수비행팀 블랙이글스가 창설되어 국제 에어쇼에서 활약하며 한국의 위상을 높였다. 블랙이글스는 T-50B 초음속 훈련기를 기반으로 고난도 곡예비행을 선보이며,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곡예비행팀으로 성장했다. 민간 분야에서도 곡예비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에어쇼와 같은 행사를 통해 대중에게 즐거움을 선사하고 있다.

3. 훈련

곡예비행은 군사 전투기 조종사들에게 비행 기술을 향상시키고 전투에서 전술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수단으로 교육된다.[12] 많은 곡예 비행 동작은 실제로 군사적 갈등에서 개발되었는데, 예를 들어 이멜만턴이나 스플릿S가 있다. 곡예비행과 편대비행은 고정익 항공기로만 국한되지 않고, 영국 육군, 영국 해군, 스페인 공군, 인도 공군 등은 헬리콥터 시범팀을 운영하고 있다.

모든 곡예 비행 동작은 사고를 피하기 위해 훈련과 연습이 필요하다. 곡예 비행으로 인한 사고는 곡예 비행 경연에서는 매우 드물고, 대부분의 사고는 에어쇼나 항공 레이스에서 매우 낮은 고도로 편대 비행이나 스턴트 비행을 할 때 발생한다. 저고도 곡예 비행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에어쇼 조종사는 공연 고도를 점진적으로 낮추도록 허용되기 전에 자신의 능력을 증명해야 한다.

EU에서는 곡예 비행을 하려면 특별한 훈련과 자격이 필요하다. 캐나다에서는 곡예 비행을 하는 데 면허가 필요하지 않지만, 곡예 비행 중 승객을 태우려면 조종사는 최소 10시간의 곡예 비행 동작 이중 비행 지시 또는 총 20시간의 곡예 비행 경험이 있어야 한다.[12] 조종사에게 필수적인 기술이 아니므로, 시험에서는 곡예 비행 기술 훈련은 실시되지 않는다.

많은 군대에서는 위험 회피 및 자세가 무너진 상태에서 복구하는 기술을 익히기 위해 기본적인 곡예 비행을 훈련한다. 곡예 비행단이 아니더라도, 항공제 등에서는 비행 교관이 연습기로 기술을 선보이는 경우가 많다.

미국에서는 조종 자격을 취득한 사람에게 곡예 비행 훈련을 실시하는 전문 학교가 다수 존재하며, 무로야 요시히데처럼 기술을 배우기 위해 유학하는 사람도 많다. 실가의 항공학교 내에 곡예 전문 학교를 설립한 마이클 구리안 등, 곡예 비행사의 대부분은 곡예 비행 교관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스페인 공군 콜리브리가 롤링을 선보이고 있다.

4. 곡예 비행의 종류

비행 전시 중에는, 편대나 단독기로 급상승이나 급강하를 하는 여러 가지 기동을 실시한다. 또 스모크를 이용하여 항적을 나타내, 그림이나 문자를 그리는 과목도 있다.

; 해머헤드 (Hammer Head) / 스톨턴 (Stall Turn)

: 망치 머리(Hammer Head)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옆으로 회전하여 정확히 아래를 향하는 모습과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수직 상승 후 공중에 정지한 상태에서 바로 옆으로 실속 반전한다.

; 테일 슬라이드 (Tail Slide)

: 수직 상승 자세에서 공중에 정지한 상태에서 원래 경로를 향해 위쪽 자세를 유지한 채 후진하여 뒤쪽으로 U자를 그린 후 수직 하강한다.

; 쿠반 에이트 (Cuban Eight)

: 8자 궤적을 그리는 곡예. 수직 방향에서는 버티컬 쿠반 에이트라고 부른다.

; 나이프 에지 (Knife Edge)

: 90도 뱅크 자세에서의 수평 직진 비행. 수평 비행을 유지하기 위해 기수는 약간 위쪽을 향하게 한다.

; 하트 루프 (Heart Loop)

: 종주 비행의 정점 부분에서 배면 상태에서 360도 롤을 하여 다시 루프를 계속함으로써 궤적이 하트 모양을 그린다.

: 여러 대의 항공기가 함께 비행하는 경우 다른 한 대가 하트를 관통하듯 연기를 그린다. 원래는 공중제비 중에 롤을 함으로써 주위를 확인하기 위한 공전 기동이다. 수직 방향의 하트 루프는 '''버티컬 큐피드 (Vertical Cupide)'''라고 불린다.

아레스티 카탈로그에서는 각 매뉴버가 기호를 사용하여 기술되어 있다. 조종사는 이러한 기호를 사용하여 일련의 매뉴버를 미리 구성하거나 다른 조종사에게 직관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일본의 블루 임펄스나 미국의 선더버드, 블루엔젤스는 조종사 탑승 장면에서도 연기가 실시되어 이륙 시에도 편대 이륙이나 이륙 후 급상승 등을 한다. 반면, 이탈리아의 후렛체 트리콜로리, 영국의 레드 애로스 같은 유럽계 팀은 지상에서의 연기를 실시하지 않고, 전시 비행만을 실시하고 있다.

4. 1. 주요 기동

해머헤드(Hammer Head) / 스톨턴(Stall Turn)은 망치 머리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옆으로 회전하여 정확히 아래를 향하는 모습과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수직 상승 후 공중에 정지한 상태에서 바로 옆으로 실속 반전한다. 테일 슬라이드(Tail Slide)는 수직 상승 자세에서 공중에 정지한 상태에서 원래 경로를 향해 위쪽 자세를 유지한 채 후진하여 뒤쪽으로 U자를 그린 후 수직 하강하는 기동이다. 쿠반 에이트(Cuban Eight)는 8자 궤적을 그리는 곡예비행이다. 수직 방향에서는 버티컬 쿠반 에이트라고 부른다. 나이프 에지(Knife Edge)는 90도 뱅크 자세에서의 수평 직진 비행이다. 수평 비행을 유지하기 위해 기수는 약간 위쪽을 향하게 한다. 하트 루프(Heart Loop)는 종주 비행의 정점 부분에서 배면 상태에서 360도 롤을 하여 다시 루프를 계속함으로써 궤적이 하트 모양을 그리는 기동이다. 여러 대의 항공기가 함께 비행하는 경우 다른 한 대가 하트를 관통하듯 연기를 그리기도 한다. 수직 방향의 하트 루프는 버티컬 큐피드(Vertical Cupide)라고 불린다. 아레스티 카탈로그에서는 각 매뉴버가 기호를 사용하여 기술되어 있다.

5. 곡예기

곡예비행을 위한 비행기는 '''곡예기(Aerobatic aircraft)'''라고 불린다.

기체는 저익 단면의 주익에 역T자형 수직꼬리날개, 고정식 착륙장치라는 전통적인 설계가 많지만, 익형은 잦은 역비행을 위해 대칭익으로 하고, 최근에는 복합소재와 탄소섬유를 많이 사용하는 기종도 많다. 조종계는 경량화를 위해 케이블식이며, 비행에 영향을 주지 않는 장비는 소화기 등 법률로 정해진 물품 외에는 연막 발생 장치만 있는 기체도 많다. 따라서 장거리 비행에서는 항법컴퓨터를 이용한 항로 수정이 필수적이지만, 최근에는 항공전자장비의 발전으로 경량의 유리조종석이 등장하고 있으므로, 편의성을 우선하여 채택하고 있는 기종도 있다.

엔진은 추력중량비가 1을 초과하는 강력한 모델을 탑재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륙 직후 수직 상승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프로펠러기에서는 기수를 위로 향한 채 반토크로 기체를 롤링시켜 자세를 유지한 채 헬리콥터처럼 공중에 정지하는 기술도 있다.

이러한 설계로 인해 일반 비행기에서는 불가능한 동작이 가능해진다. 엔진이 강력하기 때문에 연료 소비량은 나쁘지만 기체가 가볍기 때문에 어느 정도 상쇄된다.

단점으로는 냉난방 및 가압 장치가 없고, 좁은 조종석에서 케이블식 조종계를 조작하기 때문에 피로가 쌓이기 쉽고, 장시간 비행에는 적합하지 않다. 대책으로 보조익 아래쪽에 '''스페이드'''라고 불리는 삼각형의 작은 날개를 부착하여 조작에 필요한 힘을 줄이는 경우도 있다.[16] 또한, 경량화와 더불어 의도적으로 안정성이 무너지기 쉬운 설계이기 때문에 바람의 영향을 받기 쉬우며, 엔진도 강력하기 때문에 일반 조종에서도 일정 수준 이상의 기술이 필요하다.

군대에서는 예산의 문제로 전투기훈련기에 연막 발생 장치만 부착한 기체도 많다.

항공기 인증에서는 기술의 종류에 대한 규제가 있으며, 제한 없이 곡예를 하려면 "곡예 A" 인증이 필요하다.

에어레이스에서도 곡예기가 사용되지만, 좋은 성적을 거두기 위해 규칙에 맞춰 더욱 조정된 '''에어레이서'''라고 불리는 기체도 존재한다. 변경 사항으로는 공기 저항을 줄이기 위해 바퀴의 스패츠 형상을 최적화하거나 윙렛을 추가하는 등이 있다.

5. 1. 글라이더 곡예비행

글라이더를 이용한 곡예 비행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고도가 낮아져도 상승 기류를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장시간의 연기를 하려면 일정 고도 이상으로 상승해야 한다. 이 때문에 윈치나 자동차에 의한 견인만으로는 부족하며, 비행기에 의한 견인이나 모터 글라이더를 이용한 자력 발진이 많이 사용된다. 특히 제트 엔진을 장착한 글라이더는 재상승뿐 아니라 비행기에 가까운 곡예도 가능하다.

제트 글라이더에 의한 곡예 비행

6. 곡예비행팀

곡예비행팀은 군의 홍보 부대나 민간 사업체 형태로 운영된다. 연습기, 전투기, 헬리콥터 등을 이용하여 곡예비행을 실시한다. 군 곡예비행팀은 예술적인 기동 외에 편대 기동을 선보이며, 화려한 도장을 한 기체를 사용한다. 자국 파일럿의 숙련도를 과시하는 목적도 있다. 아메리칸 스타일과 유럽 스타일의 곡예비행팀은 연출 방식에 차이가 있다. (지상 연기 유무, 편대 이륙, 급상승 등)

세계 각국에는 다양한 곡예비행팀이 활동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군블랙이글스, 일본 항공 자위대의 블루 임펄스, 미국 해군의 블루엔젤스, 미국 공군선더버즈, 이탈리아 공군프레체 트리콜로리, 러시아 공군의 르스키에 비체즈, 스위스 공군의 파트르이유 스위스, 영국 공군의 레드에로우, 프랑스 공군의 파트르이유 드 프랑스 등이 대표적이다.

블루엔젤스


프레체 트리콜로리


파트르이유 스위스


파트르이유 드 프랑스


이 외에도 육상 자위대의 스카이호-넷, 아케노 레인보우, 허밍 버드, 해상 자위대의 브랑 엘, 사업자 팀인 에아록크 에어로 납결 염색 팀, 팀 딥 블루스, 우크라이나 공군의 우크라이스키 소코르, 스페인 공군의 파트르라 아기라, 러시아 공군의 스트리지, 네베이스누에 그서르, 르스, 소코르 롯스이, 베이르크트, 브라질 공군의 에스카드리라 다 후마사, 칠레 공군의 아르코네스, 캐나다 국방군의 스노우 버즈, 터키 공군의 타킷슈 스타즈, 폴란드 공군의 팀 의자 곳간, 핀란드 공군의 미드나이트 호크스, 스웨덴 공군의 팀 60, 중국 인민 해방군 공군의 8일표연비행대(오가스트 원), 대만 공군의 뢰호특기소조(선더 타이거스), 인도 공군의 스르야 키란, 로열 요르다니안 파르콘즈, 마르쉐 벨트, 시르바파르콘즈 등이 있다.

6. 1. 주요 곡예비행팀

세계 각국에는 다양한 곡예비행팀이 활동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군블랙이글스, 일본 항공 자위대의 블루 임펄스, 미국 해군의 블루엔젤스, 미국 공군선더버즈, 이탈리아 공군프레체 트리콜로리, 러시아 공군의 르스키에 비체즈, 스위스 공군의 파트르이유 스위스, 영국 공군의 레드에로우, 프랑스 공군의 파트르이유 드 프랑스 등이 대표적이다.

이 외에도 육상 자위대의 스카이호-넷, 아케노 레인보우, 허밍 버드, 해상 자위대의 브랑 엘, 사업자 팀인 에아록크 에어로 납결 염색 팀, 팀 딥 블루스, 우크라이나 공군의 우크라이스키 소코르, 스페인 공군의 파트르라 아기라, 러시아 공군의 스트리지, 네베이스누에 그서르, 르스, 소코르 롯스이, 베이르크트, 브라질 공군의 에스카드리라 다 후마사, 칠레 공군의 아르코네스, 캐나다 국방군의 스노우 버즈, 터키 공군의 타킷슈 스타즈, 폴란드 공군의 팀 의자 곳간, 핀란드 공군의 미드나이트 호크스, 스웨덴 공군의 팀 60, 중국 인민 해방군 공군의 8일표연비행대(오가스트 원), 대만 공군의 뢰호특기소조(선더 타이거스), 인도 공군의 스르야 키란, 로열 요르다니안 파르콘즈, 마르쉐 벨트, 시르바파르콘즈 등이 있다.

7. 대회

곡예비행 경연은 전 세계적으로 열리며, 국제항공연맹 곡예비행 위원회(CIVA)에서 규정한다.[13] 경연은 초급부터 시작하여 스포츠맨, 중급, 고급 단계를 거쳐 최고 수준인 무제한 단계까지 진행된다. 경험이 많은 곡예 비행 조종사는 짧은 시간 동안 ±5G를 기록하며, 무제한 부문 조종사는 +8/−6G까지도 경험할 수 있다.[13] 양의 G 한계는 음의 G 한계보다 높은데, 이는 양의 G 기동 시 혈액 풀링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몇 초 이상 +9G는 의식 상실(G-LOC)로 이어진다.[13][14]

주요 곡예비행 대회로는 FAI 세계 곡예비행 선수권 대회(1960년 ~), FAI 유럽 곡예비행 선수권 대회(1977년 ~), 세계 글라이더 선수권 대회(1937년 ~), 유럽 글라이더 선수권 대회(1982년 ~) 등이 있다.

8. 대중문화 속 곡예비행



곡예 비행은 대중들이 에어쇼에서 묘기 비행 형태로 가장 많이 볼 수 있다. 곡예 비행 경연 대회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안전 고도에서 비행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많은 관중을 끌어들이지는 않는다.


  • '''영화'''
  • * 클라우드 댄서(Cloud Dancer) – 데이비드 캐러딘 주연의 1980년 드라마 영화이다.
  • * 위대한 월도 페퍼(The Great Waldo Pepper) – 로버트 레드포드, 보 스벤손, 수잔 서랜든, 에드워드 허먼 주연의 1975년 영화이다.

8. 1. 영화


  • 클라우드 댄서(Cloud Dancer) – 데이비드 캐러딘 주연의 1980년 드라마 영화이다.
  • 위대한 월도 페퍼(The Great Waldo Pepper) – 로버트 레드포드, 보 스벤손, 수잔 서랜든, 에드워드 허먼 주연의 1975년 영화이다.

8. 2. 비디오 게임

9. 모형 항공기

무선 조종 모형 항공기를 이용한 곡예비행도 존재한다.

참조

[1] 웹사이트 Civil Aviation Rules Part 1 http://www.caa.govt.[...] New Zealand Civil Aviation Authority 2008-10-23
[2] 웹사이트 FAR 91.303 http://rgl.faa.gov/R[...] USA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2009-05-01
[3] 웹사이트 Red Bull Bo-105 CBS Helicopter http://www.redbullus[...] Red Bull 2009-05-28
[4] 서적 Aerobatics Airlife Publishing Ltd 1975
[5] 서적 Stick and Rudder https://archive.org/[...] McGraw Hill, Inc. 1944
[6] 웹사이트 FAR 91.307(c) http://rgl.faa.gov/R[...] USA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2009-05-01
[7] 서적 Official Contest Rules International Aerobatic Club 2009
[8] 문서 The record is a 22-aircraft formation in 1958.
[9] 웹사이트 northwestaerobatics.com http://www.northwest[...]
[10] 웹사이트 Patentscope: 1. (WO2006096918) Smoke Generator http://patentscope.w[...] World Intellectual Property Association 2006-09-21
[11] 웹사이트 "In June 1957 738 squadron was chosen to take part in a combined Naval display at the Farnborough Airshow in September 1957, despite having a full operational programme. It was decided to have a team of five Hawker Seahawks. They were the first aerobatic team to produce smoke at will, by modifying the fuel injection system." http://www.seayourhi[...] 2009-07-21
[12] 웹사이트 Canadian Aviation Regulations http://laws-lois.jus[...] Transport Canada 2023-06-21
[13] 웹사이트 Effects of G forces on aerobatic pilots https://historic.aer[...] 2021-03-07
[14] 간행물 FAA Advisory Circular 91-61 1984-02-28
[15] 뉴스 約200km/hで飛ぶ航空機の翼上でパフォーマンス 安藤美姫さんも挑戦 https://trafficnews.[...] 乗りものニュース
[16] 뉴스 レッドブル・エアレース千葉2016を控える室屋義秀選手にふくしまスカイパークでいろいろ聞いてきました https://gigazine.net[...] GIGAZINE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