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개시장운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개시장운영은 중앙은행이 증권 매매를 통해 통화량을 조절하는 정책 수단이다. 중앙은행이 증권을 매입하면 통화 공급이 증가하고 금리가 하락하며, 반대로 매각하면 통화 공급이 감소하고 금리가 상승한다. 이러한 유동성 변화는 실물경제에 영향을 미친다. 공개시장운영은 동태적 운영과 방어적 운영으로 구분되며, 통화안정증권 발행, RP매매 등이 주요 수단으로 사용된다. 각국 중앙은행은 자국의 경제 상황에 맞춰 공개시장운영을 수행하며, 한국은행은 통화안정증권 발행, 증권 단순매매, RP매매 등을 통해 유동성을 조절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통화 정책 - 은본위제
은본위제는 화폐 가치를 은에 고정하는 통화 제도로, 메소포타미아에서 기원하여 수천 년간 사용되었으나 19세기 말 금본위제로 전환되며 20세기 초 대부분 국가에서 사라졌다. - 통화 정책 - 통화 동맹
통화 동맹은 국가 간 거래 비용 절감 및 환율 변동성 감소를 통해 경제적 효율성을 높이는 경제 통합 형태이지만, 통화 정책 독립성 상실 및 경제적 충격에 대한 공동 대응의 어려움 등의 단점도 존재하며, 성공 여부는 경제 구조 유사성, 정치적 통합 수준, 위기 관리 체계 등 다양한 요인에 좌우된다. - 경제 정책 - 세계 경쟁력 보고서
세계 경쟁력 보고서는 세계 경제 포럼이 발표하며, 다양한 요소와 지표로 국가별 경쟁력을 평가하고 순위를 매기는 보고서로, 세계경쟁력지수를 통해 12가지 핵심 요소를 평가하고 경제 발전 단계에 따라 가중치를 다르게 적용하여 경쟁력 지수를 산출한다. - 경제 정책 - 국제개발연구센터
국제개발연구센터는 개발도상국의 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 기술 및 지식 연구를 지원하며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캐나다의 연구 지원 기관이다. - 중앙은행 - 잉글랜드 은행
잉글랜드 은행은 1694년 영국 정부의 군사비 조달을 위해 설립되어 정부 대출 및 국채 관리 업무를 수행하다가 19세기 이후 중앙은행으로서 통화정책 결정, 금융 안정 유지, 금융기관 감독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1997년 통화정책 독립성을 확보하는 등 여러 금융 위기를 거치면서 역할과 책임이 변화해 온 중앙은행이다. - 중앙은행 - 나이지리아 중앙은행
나이지리아 중앙은행은 1958년 설립되어 1959년부터 영업을 시작한 나이지리아의 중앙은행으로, 통화 발행, 외환보유고 관리, 금융 시스템 감독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통화정책위원회를 통해 통화 정책을 결정하고 금융 혁신을 추진하지만 정책 시행 과정에서 논란도 있다.
공개시장운영 | |
---|---|
개요 | |
유형 | 통화 정책 |
목표 | 인플레이션 조절 경기 안정화 |
도구 | 기준금리 조정 지급준비율 변경 공개 시장 조작 |
정의 | |
정의 | 중앙은행이 단기 금리를 조절하기 위해 국채 등을 사고 파는 행위 |
목적 | |
목표 금리 | 단기 금리 목표치를 달성하기 위함 |
통화량 조절 | 시중 통화량에 영향을 미침 |
신용 공급 | 은행의 신용 공급 능력에 영향 |
방법 | |
매수 | 중앙은행이 국채 등을 매입하여 시중에 통화 공급 |
매도 | 중앙은행이 국채 등을 매도하여 시중에 통화 흡수 |
환매조건부 채권 (Repo) | 일정 기간 후 되사는 조건으로 채권을 매매 |
효과 | |
금리 변동 | 단기 금리에 직접적인 영향 |
인플레이션 | 통화량 조절을 통해 인플레이션에 간접적인 영향 |
경제 성장 | 금리 인하 시 투자 및 소비 촉진을 통해 경제 성장에 기여 |
장단점 | |
장점 | 신속한 정책 결정 및 집행 가능 유연한 정책 대응 가능 |
단점 | 시장 상황에 따라 효과 미흡 가능성 존재 예상치 못한 부작용 발생 가능성 존재 |
기타 | |
관련 정책 | 기준금리 정책 지급준비율 정책 |
2. 공개시장운영의 개념 및 원리
공개시장운영은 중앙은행이 공개시장에서 금융기관을 상대로 증권(주로 국채)을 매매하여 통화량을 조절하는 정책 수단이다. 중앙은행이 증권을 매입하면 시중에 통화가 공급되어 유동성이 증가하고, 반대로 증권을 매각하면 시중 통화가 중앙은행으로 흡수되어 유동성이 감소한다. 이러한 유동성 변화는 금리 변동으로 이어지며, 이는 다시 가계의 소비와 기업의 투자 등 실물경제에 영향을 미친다.
고전 경제 이론에 따르면, 중앙은행 통화는 다른 상품과 마찬가지로 수요가 증가하면 가격(금리)이 상승한다. 본원 통화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 중앙은행은 단기 금리를 유지하기 위해 본원 통화 공급을 늘린다. 즉, 공개 시장에서 국채와 같은 금융 자산을 매입하고, 이에 대한 대금으로 판매자의 로로 계정에 새로운 중앙은행 통화를 생성하여 경제 전체의 본원 통화 총액을 증가시킨다. 반대로 중앙은행이 공개 시장에서 자산을 매각하면 본원 통화가 감소한다.
중앙은행은 통화를 생성하고 소멸시킬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과정이 가능하다. 중앙은행은 전체 시스템에서 무제한으로 통화를 생산할 수 있는 유일한 기관이다. 다른 조직이 일시적으로 공개 시장에 영향을 줄 수는 있지만, 중앙은행은 무한한 통화 공급으로 그들의 영향력을 압도할 수 있다.[2]
자유 변동 통화를 가진 국가는 무제한의 순 금융 자산(채권)을 생산할 수 있는 유사한 능력을 갖는다.
일본 은행에서는 다음과 같은 종류의 자금 공급 및 흡수 오퍼레이션을 실시하고 있다.[15]
종류 | 설명 |
---|---|
자금 공급 오퍼레이션 | |
공통 담보 자금 공급 오퍼레이션 | 금융 자산을 담보로 자금 공급 |
국채 매입 | |
국고 단기 증권 매입 | |
기업 어음・사채 매입 | |
국채 매입 현물환 오퍼레이션 | |
CP 등 매입 현물환 오퍼레이션 | |
자금 흡수 오퍼레이션 | |
어음 매각 오퍼레이션 | |
국채 매도 현물환 오퍼레이션 | |
국고 단기 증권 매각 오퍼레이션 |
2. 1. 지급준비금 제도와의 관계
공개시장운영은 은행의 지급준비를 위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한 콜시장에서 유가증권 거래를 통해 통화량을 조절한다. 중앙은행이 은행으로부터 시중의 국공채를 매입하면 은행의 지급준비금이 증가하고, 시장의 금리는 하락하게 된다. 반대로 중앙은행이 은행에 국공채를 매각하는 경우에는 은행의 지급준비금은 감소하고 금리가 상승한다.[15]
공개시장운영을 통해 은행의 지급준비금 수준을 변동시키고, 은행 시스템에서 대출을 통해 통화 팽창을 일으킴으로써 중앙은행은 통화량을 조절하게 된다. 중앙은행은 상업 은행을 위해 로로 계정을 유지하며, 이 계정의 잔고는 중앙은행 통화를 나타낸다.
공개 시장 조작은 은행이 중앙은행에 보유한 준비금 계좌의 전자 화폐 금액을 늘리거나 줄임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대부분의 선진국에서 중앙은행은 적절한 자산을 담보로 요구하지 않고는 대출을 해주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중앙은행이 증권을 매각하면 통화 공급이 감소하고 금리가 상승하여 인플레이션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반대로 중앙은행이 증권을 매입하면 통화 공급이 증가하고 금리가 하락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3. 공개시장운영의 유형
공개시장운영은 크게 동태적 운영과 방어적 운영으로 구분된다. 동태적 공개시장운영은 중앙은행이 국공채를 매입하거나 매도하여 통화량 수준을 변동시키는 것이다. 방어적 공개시장운영은 시장 금리나 통화량의 일시적인 변동을 상쇄하기 위해 시행된다.[20]
방어적 공개시장운영에는 환매조건부채권(RP) 거래 방식이 활용된다. RP 매입은 중앙은행이 일시적으로 국공채를 매입하여 은행 간 시장에 지급준비금을 공급하는 것이고, RP 매각은 반대로 지급준비금을 흡수하는 것이다.[20]
인플레이션 타겟팅 하에서 공개시장운영은 채무 시장에서 특정 단기 금리를 목표로 하며, 이 목표는 주기적으로 변경된다. 미국 연방 준비 제도, 영국 중앙 은행, 유럽 중앙 은행은 금리 목표를 사용하여 공개시장운영을 한다. 금리 목표 외에도 통화 공급 축소, 고정 환율 달성 등 다른 목표를 가질 수 있다. 중앙은행은 상황에 따라 정책을 혼합하여 사용하며, 환율을 고정하거나 외환 바스켓을 목표로 할 수도 있다. 또한, 공개시장운영 외에 지급준비금 요건 변경, 자본 통제 등 다른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일본 은행은 자금 흡수 오퍼레이션으로 어음 매각, 국채 매도 현물환, 국고 단기 증권 매각 오퍼레이션을 실시한다.[15]
3. 1. 동태적 공개시장운영
동태적 공개시장운영은 중앙은행이 국공채를 매입하거나 매도하여 통화량 수준을 변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20] 중앙은행이 국채를 매입하면 시중에 통화량이 증가하고, 국채를 매도하면 통화량이 감소한다.중앙은행이 증권을 매각하면, 증권 대금이 경제에서 중앙은행으로 이동하여 통화 공급이 줄어든다. 이는 제품, 서비스, 인력에 대한 수요를 감소시키고, 금리를 상승시켜 인플레이션을 낮춘다. 반대로 중앙은행이 증권을 매입하면 통화 공급이 증가하여 반대 효과가 나타난다.
인플레이션 타겟팅 하에서 공개시장운영은 채무 시장에서 특정 단기 금리를 목표로 한다. 미국 연방 준비 제도, 영국 중앙 은행, 유럽 중앙 은행은 금리 목표를 사용하여 공개시장운영을 한다. 금리 목표 외에도 통화 공급 축소, 고정 환율 유지 등 다른 목표를 가질 수 있다.
3. 2. 방어적 공개시장운영
방어적 공개시장운영은 시장 금리나 통화량의 일시적인 변동을 상쇄하기 위해 시행된다. 예를 들어, 해외 요인으로 인해 국내 통화량이 일시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할 때, 중앙은행은 이를 상쇄하기 위해 방어적 공개시장운영을 실시한다.[20]방어적 공개시장운영에는 환매조건부채권(RP) 거래 방식이 활용된다. 중앙은행은 RP 매매를 통해 은행 간 시장에서 지급준비금 공급을 조절하고, 단기적인 유동성 조절에 나선다.
3. 2. 1. 환매조건부채권(RP) 거래
환매조건부채권(RP) 거래는 중앙은행이 시중 유동성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하는 공개시장운영의 한 방법이다.RP 매입은 중앙은행이 금융기관으로부터 환매조건부채권(RP)을 매입하고, 일정 기간 후에 다시 매각하는 조건으로 자금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이는 시중에 통화량을 늘려 금리를 낮추는 효과를 가져온다.[20] 경기 침체로 자금 공급이 줄거나, 해외 금융 불안정으로 국내 은행이 자금 공급을 꺼릴 때 시행된다.
RP 매각은 중앙은행이 금융기관에 RP를 매각하고, 일정 기간 후에 다시 매입하는 조건으로 자금을 흡수하는 방식이다. 이는 시중 통화량을 줄여 금리를 올리는 효과를 가져온다.[20]
한국은행은 RP 거래를 통해 단기 금리 변동성을 완화하고, 시장의 유동성을 조절한다. 일본 은행의 경우, 다음과 같은 자금 공급 및 흡수 오퍼레이션을 실시한다.[15]
구분 | 내용 |
---|---|
자금 공급 오퍼레이션 (RP 매입) | |
자금 흡수 오퍼레이션 (RP 매각) |
4. 공개시장운영의 수단
유럽 중앙 은행(ECB)은 유로존의 금리를 관리하고 시장의 유동성을 조절하며, 통화 정책의 방향을 알리기 위해 공개시장운영을 활용한다.[8] ECB는 주로 환매 조건부 채권(repo) 형태의 재융자 운영을 통해 은행 시스템에 유동성을 공급한다. 은행은 ECB에 담보를 제공하고 현금을 빌리는 방식이다.[8]
ECB는 다음과 같은 주요 재융자 운영 수단을 활용한다.
재융자 운영은 경매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ECB는 경매를 통해 조달할 유동성 금액을 지정하고, 은행은 입찰에 참여한다. 고정 금리 입찰에서는 ECB가 돈을 빌려줄 금리를 명시하고, 변동 금리 입찰에서는 은행들이 경쟁하여 금리가 결정된다. MRO 경매는 월요일에 열리고, 자금 지급은 수요일에 이루어진다. 2008년 10월 6일 경매에서 ECB는 최소 금리 4.25%로 2.5억유로를 제공했고, 2.71억유로의 입찰을 받았다. 할당된 금액(2.5억유로)은 평균 가중 금리 4.99%로 배정되었다. 2008년 10월 중순부터 ECB는 "전액 할당"과 함께 고정 금리 MRO라는 임시 절차를 따르고 있다. ECB는 금리를 지정하지만 제공되는 신용 금액은 제한하지 않아, 은행은 충분한 담보만 있다면 원하는 만큼 요청할 수 있다.
일본 은행은 경기 침체에 대응하고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다양한 자금 공급 오퍼레이션을 실시해왔다.[15]
- 공통 담보 자금 공급 오퍼레이션: 금융 자산을 담보로 자금을 공급한다.
- 국채 매입
- 국고 단기 증권 매입
- 기업 어음(CP)・사채 매입
- 국채 매입 현물환 오퍼레이션
- CP 등 매입 현물환 오퍼레이션
매입 대금은 은행의 일본 은행 당좌 예금으로 입금된다. 민간 금융 기관은 일본 은행의 요구를 반드시 수용할 필요는 없으며, 민간 금융 기관의 판단에 따라 응찰하기 때문에 찰과도 발생할 수 있다.
일본 은행은 금융 조절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2010년 10월 28일부터 2024년 3월 19일까지 상장지수 펀드(ETF)・J-REIT 매입을 실시했다. 이는 신탁 은행을 통해 시장에서 매입하는 방식이다.[16] ETF의 매입 대상은 TOPIX 등[17][18]에 연동된 것이다.
4. 1. 미국 (연방준비제도)
미국에서 금융 위기 이전 연방준비제도(Fed)는 공개 시장 조작을 통해 핵심 정책 금리인 연방 기금 금리를 연방 공개 시장 위원회(FOMC)가 설정한 목표 수준으로 유지했다. 이는 상업 은행의 지급 준비금 공급을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이루어졌다.[3]2008년 금융위기 이후 연준은 통화 정책 시행 방식을 크게 변경했다.[3] 이전의 제한된 지급 준비금 체제와 달리, 충분한 지급 준비금 체제를 시행하여 시장 금리가 공개 시장 조작이 아닌, 지급 준비금 금리(IORB) 및 익일 역환매 조건부 채권 제공 금리(ON RRP 금리) 변경을 통해 직접 조정된다.[4]
이에 따라 공개 시장 조작은 더 이상 연방 기금 금리 조절에 사용되지 않지만, 전반적인 통화 정책 도구의 일부로서 충분한 지급준비금 공급을 유지하는 데 사용된다.[5][6] 2019년, 연준은 이러한 시행 체제를 장기적으로 사용할 것이라고 발표했다.[4] 이 시스템은 국제적으로 바닥 시스템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전의 회랑 시스템과는 대조적이다.[7]
연방준비제도는 1920년대부터 연방 공개 시장 위원회의 지시에 따라 뉴욕 연방 준비 은행의 공개 시장 데스크를 통해 공개 시장 조작을 수행해 왔다.
4. 2. 유로존 (유럽중앙은행)
유럽 중앙 은행(ECB)은 공개시장운영을 통해 유로존의 금리를 관리하고 시장의 유동성 상황을 조절하며, 통화 정책의 입장을 알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8] ECB는 주로 환매 조건부 채권(repo) 형태의 재융자 운영을 통해 은행 시스템의 유동성을 관리하는데, 은행은 ECB에 허용 가능한 담보를 제공하고 그 대가로 현금 대출을 받는 방식이다.[8]ECB는 다음과 같은 주요 재융자 운영 수단을 활용한다.
재융자 운영은 경매 메커니즘을 통해 이루어진다. ECB는 경매를 통해 조달하려는 유동성 금액(할당액)을 지정하고, 은행은 입찰 의사를 제출한다. 고정 금리 입찰에서는 ECB가 돈을 빌려줄 금리도 명시한다. 변동 금리 입찰에서는 금리가 명시되지 않으며, 은행은 ECB가 지정한 최소 입찰 금리에 따라 사용 가능한 유동성에 접근하기 위해 서로 경쟁한다.
MRO 경매는 월요일에 열리고, 자금 지급은 그 다음 수요일에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2008년 10월 6일 경매에서 ECB는 최소 금리 4.25%로 2.5억유로를 제공했고, 2.71억유로의 입찰을 받았다. 할당된 금액(2.5억유로)은 평균 가중 금리 4.99%로 배정되었다.
2008년 10월 중순부터 ECB는 "전액 할당"과 함께 고정 금리 MRO라는 절차를 임시로 따르고 있다. ECB는 금리를 지정하지만 제공되는 신용 금액은 지정하지 않으며, 은행은 충분한 담보를 제공하는 한 원하는 만큼 요청할 수 있다. 이 절차는 2008년 금융 위기로 인해 필요해졌으며, 향후 종료될 예정이다.
4. 3. 일본 (일본은행)
일본 은행은 경기 침체에 대응하고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다양한 자금 공급 오퍼레이션을 실시해왔다.[15]- 공통 담보 자금 공급 오퍼레이션: 금융 자산을 담보로 자금을 공급한다.
- 국채 매입
- 국고 단기 증권 매입
- 기업 어음(CP)・사채 매입
- 국채 매입 현물환 오퍼레이션
- CP 등 매입 현물환 오퍼레이션
매입 대금은 거래를 중개하는 은행의 일본 은행 당좌 예금으로 입금된다. 민간 금융 기관은 일본 은행의 요구를 반드시 수용할 필요는 없으며, 민간 금융 기관의 판단에 따라 응찰하기 때문에 찰과도 발생할 수 있다.
일본 은행은 금융 조절을 더욱 원활하게 하기 위해 2010년 10월 28일부터 2024년 3월 19일까지 상장지수 펀드(ETF)・J-REIT 매입을 실시했다. 이는 신탁 은행을 창구로 하여 시장에서 매입하는 것이다.[16] ETF의 매입 대상은 TOPIX 등[17][18]에 연동된 것이다. 이 ETF는 지정 참가자(특정 증권 회사)가 토픽스를 구성하는 주식을 출연함으로써 수익 증권을 설정하여 시장에 방출하는 것이다. 즉, 간접적으로 도쿄 증시에 상장된 주식을 매입하는 것이 된다.[19]
5. 공개시장운영의 효과 및 한계
고전 경제 이론에 따르면 중앙은행의 통화 공급과 단기 금리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통화는 다른 상품처럼 수요가 늘면 가격(금리)이 오른다.[2] 본원 통화 수요가 증가하면 중앙은행은 단기 금리 유지를 위해 본원 통화 공급을 늘려야 한다. 즉, 공개시장에서 국채 등 금융 자산을 매입하고, 그 대가로 판매자의 로로 계정에 새로운 중앙은행 통화를 생성하여 경제 전체의 본원 통화 총량을 늘린다. 반대로 중앙은행이 공개시장에서 자산을 매각하면 본원 통화는 감소한다.[2]
이러한 과정은 중앙은행만이 통화를 발행하고 소멸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중앙은행은 전체 시스템에서 무제한으로 통화를 생산할 수 있는 유일한 기관이다. 다른 조직이 일시적으로 공개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중앙은행은 무한한 통화 공급으로 그들의 영향력을 압도할 수 있다.[2]
어떤 상품이나 다른 통화에 고정되지 않은 자유 변동 통화를 가진 국가는 무제한의 순 금융 자산(채권)을 생산할 수 있다.
공개시장운영은 인플레이션 타겟팅, 통화 공급, 통화 위원회, 금본위제 등 다양한 목표를 가질 수 있으며, 중앙은행은 상황에 따라 정책 설정을 혼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5. 1. 효과
고전 경제 이론에 따르면 중앙은행의 통화 공급과 단기 금리 사이에는 특별한 관계가 있다.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통화(본원 통화)는 다른 상품처럼 수요가 늘면 가격, 즉 금리가 오르는 경향이 있다.[2]
본원 통화 수요가 증가했을 때, 중앙은행이 단기 금리를 유지하려면 본원 통화 공급을 늘려야 한다. 이를 위해 중앙은행은 공개시장에서 국채 같은 금융 자산을 매입한다. 이 자산의 대금을 지급하면서 판매자의 로로 계정에 새로운 중앙은행 통화가 생성되고, 이는 경제 전체의 본원 통화 총량을 증가시킨다. 반대로 중앙은행이 공개시장에서 자산을 매각하면 본원 통화는 감소한다.[2]
이러한 과정이 가능한 이유는 중앙은행만이 통화를 발행하고 소멸시킬 수 있는 권한을 가졌기 때문이다. 다른 기관도 일시적으로 공개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중앙은행은 무제한적인 통화 공급 능력을 통해 그들의 영향력을 압도할 수 있다.[2]
어떤 상품이나 다른 통화에 고정되지 않고 자유롭게 변동하는 통화를 가진 국가는 무제한으로 순 금융 자산(채권)을 발행할 수 있다. 정부는 이러한 능력을 실업률, 공공 서비스(군사, 교육, 보건 등) 규모와 같은 다른 정치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활용하려 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중앙은행은 법률이나 관례에 따라 이러한 요구에 굴복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으며, 적격 자산과 교환하여 중앙은행 통화만을 생성해야 한다.[2]
공개시장운영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인플레이션 타겟팅 하에서 공개시장운영은 채무 시장에서 특정 단기 금리를 목표로 한다. 이 목표는 주기적으로 변경되며, 목표 범위 내에서 인플레이션율을 달성하고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미국 연방 준비 제도, 영국 중앙 은행, 유럽 중앙 은행 등은 공개시장운영을 위해 금리 목표제를 활용한다.
- 금리 목표 외에도,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초 폴 볼커 연준 의장 시절 미국처럼 통화 공급 축소를 목표로 할 수 있다.
- 통화 위원회 제도 하에서는 특정 외환과의 고정 환율을 달성하고 유지하는 데 사용된다.
- 금본위제 하에서는 지폐를 금으로 바꿀 수 있으므로, 통화 가치를 금에 대해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중앙은행은 상황에 따라 정책 설정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환율을 통화 위원회처럼 강하게 고정할 수도 있고, 느슨하게 고정하여 금리 등 다른 변수를 목표로 할 여지를 둘 수도 있다. 또한 단일 통화가 아닌 외환 바스켓을 목표로 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지급 준비금 요건 변경, 자본 통제 등 다른 수단을 함께 사용하여 통화 정책을 수행하기도 한다.
5. 2. 한계
고전 경제 이론에 따르면 중앙은행의 통화 공급과 단기 금리 사이에는 특별한 관계가 있다. 중앙은행 통화는 다른 상품처럼 수요가 늘면 가격(금리)이 오르는 경향이 있다. 본원 통화 수요가 증가할 때, 중앙은행이 단기 금리를 유지하려면 본원 통화 공급을 늘려야 한다. 즉, 공개 시장에서 국채 같은 금융 자산을 매입하여 대응한다. 이 자산 대금 지급을 위해 판매자의 로로 계정에 새로운 중앙은행 통화가 만들어져 경제 전체의 본원 통화 총액이 증가한다. 반대로 중앙은행이 공개 시장에서 자산을 매각하면 본원 통화는 감소한다.[2]이러한 과정은 중앙은행만이 통화를 만들고 없앨 수 있는 권한을 가졌기 때문에 가능하다. 중앙은행은 전체 시스템에서 제한 없이 통화를 생산할 수 있는 유일한 기관이다. 다른 조직도 일시적으로 공개 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중앙은행은 무한한 통화 공급으로 이들의 영향력을 압도할 수 있다.[2]
인플레이션 타겟팅하에서 공개 시장 운영은 채무 시장에서 특정 단기 금리를 목표로 한다. 이 목표는 주기적으로 변경되어 목표 범위 내에서 인플레이션율을 유지한다. 미국 연방 준비 제도, 영국 중앙 은행, 유럽 중앙 은행은 공개 시장 운영 지침으로 금리 목표를 활용한다. 금리 목표 외에도 통화 공급 축소(1970년대 후반~1980년대 초 폴 볼커 연준 의장 시기 미국), 통화 위원회하의 고정 환율 유지, 금본위제하의 통화 가치 유지 등 다른 목표도 가능하다. 중앙은행은 상황에 따라 정책을 혼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환율 고정 강도에 따라 중앙은행의 다른 변수(금리 등) 목표 설정 여지가 달라진다. 단일 통화 대신 외환 바스켓을 목표로 할 수도 있고, 지급 준비금 요건 변경, 자본 통제 등 추가 수단을 동원할 수도 있다.
6. 한국의 공개시장운영 현황 및 과제
1997년 외환위기 이후 한국은행은 통화 정책 체제를 금리 중심으로 전환하면서 공개시장운영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는 한국은행이 RP 매매, 통안채 발행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유동성을 공급하며 금융시장 안정에 기여했다.
최근에는 가계부채 증가, 부동산 시장 과열 등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통화 정책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Fixed exchange rate policy
https://www.national[...]
2023-08-16
[2]
웹사이트
Federal Reserve: How and Why Do They Change Interest Rates?
http://www.radbrains[...]
www.radbrains.com
2013-09-17
[3]
웹사이트
Open Market Operations
https://www.federalr[...]
2023-07-26
[4]
웹사이트
Teaching the Linkage Between Banks and the Fed: R.I.P. Money Multiplier
https://research.stl[...]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2021-09
[5]
웹사이트
The Fed Explained: What the Central Bank Does
https://www.federalr[...]
Federal Reserve System Publication
2021-08
[6]
웹사이트
The Fed’s New Monetary Policy Tools
https://research.stl[...]
2020-08
[7]
웹사이트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on Monetary Policy Implementation Systems
https://www.rba.gov.[...]
Reserve Bank of Australia
2022-06-16
[8]
웹사이트
European Central Bank
http://www.fxpedia.c[...]
FXPedia
2011-09-19
[9]
뉴스
ECB offers longer-term finance via six-month LTROs
http://www.euromoney[...]
2008-05
[10]
웹사이트
Monetary policy instruments (situation in 2009)
http://www.snb.ch/en[...]
Swiss National Bank
2011-03-01
[11]
웹사이트
Open Market Operation
http://www.centralba[...]
[12]
서적
Economics
https://books.google[...]
Tata McGraw Hill
2010
[13]
뉴스
Features of stabilization scheme
http://www.hindu.com[...]
[14]
웹사이트
Implementation Of Monetary Policy
http://rbi.org.in/sc[...]
[15]
웹사이트
オペレーション(公開市場操作)にはどのような種類がありますか?
https://www.boj.or.j[...]
[16]
웹사이트
指数連動型上場投資信託受益権等買入等基本要領
https://www.boj.or.j[...]
[17]
문서
時期によって他の東証指数のもの等も加わっていた。
[18]
웹사이트
日銀がETFを買い入れていたのはなぜ?どのETFを買い入れていたの?買い入れの概要や対象だったETFもご紹介
https://www.nikkoam.[...]
[19]
문서
一般に投資信託に組み入れられた株式の議決権は運用会社が行使する
[20]
웹인용
Repo and Reverse Repo Agreements
https://www.newyorkf[...]
2022-03-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