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사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공사업은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등이 국민 생활에 도움을 주기 위해 시행하는 사업으로, 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해 왔다. 교통, 수자원 관리, 에너지, 환경, 공공 건물, 주거 시설 등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며, 경기 부양, 사회 불평등 완화, 재난 예방 등 여러 사회적 효과를 가진다. 하지만, 효율성 문제, 민간 투자 위축, 재정 적자 심화, 환경 파괴, 지역 간 불균형, 부정부패 등의 비판과 논란이 존재하며, 한국의 경우 경부고속도로, 4대강 사업, 새만금 간척 사업, 혁신도시 건설 등이 주요 공공사업으로 꼽힌다. 공공사업은 사회 발전에 기여하지만,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효율적인 사업 추진, 환경 보호, 지역 간 균형 발전, 투명한 운영 등이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재정 정책 - 파킨슨의 법칙
파킨슨의 법칙은 시릴 노스코트 파킨슨이 제시한 개념으로, 일의 양과 관계없이 공무원의 수가 증가하며, 일은 주어진 시간을 채우도록 팽창하고 지출은 수입에 도달할 때까지 팽창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 재정 정책 - 래퍼 곡선
래퍼 곡선은 세율과 세수입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경제 이론으로, 세율이 일정 수준을 초과하면 세수입이 감소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세율 인하가 세수 증가를 가져올 수 있다는 주장의 근거로 활용되기도 한다. - 기반 시설 - 파이프라인 수송
파이프라인 수송은 파이프라인을 이용하여 기체나 액체 상태의 물질을 대량 운송하는 방식으로, 주로 석유, 천연가스, 물 등을 장거리, 중거리 수송에 사용하며, 운임이 저렴하고 기후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안전성이 높다. - 기반 시설 - 공중화장실
공중화장실은 대중이 이용하는 화장실 시설로, 시대에 따라 형태와 기능이 변화해 왔으며 위생, 안전, 사생활 보호 등 사회문화적 문제와 관련되어 스마트 화장실 기술 도입, 성 중립 화장실 확대 등 사회적 변화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 공공경제학 - 공공 부문
공공 부문은 정부가 소유 및 운영하며 조세로 재원을 마련하여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제 영역으로, 인프라 제공, 공무원 임금 협상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효율성과 자금 조달 방식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지만 필수적인 서비스 제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공공경제학 - 공공 정책
공공정책은 정부가 사회 문제 해결 및 공공의 이익을 위해 선택하는 행동 또는 비행동으로, 제도적 기반 위에서 다양한 분야에 걸쳐 여러 과정을 거치며 최근 새로운 접근법이 시도되고 있다.
공공사업 | |
---|---|
지도 | |
공공사업 | |
유형 | 기간 시설 공공시설 |
주체 | 정부 |
자금 조달 | 정부 재정 |
건설 주체 | 정부 |
목적 | 경제 발전 사회 복지 증진 국민 생활 개선 |
경제적 효과 | |
고용 창출 | 일자리 제공 |
경제 성장 | 경제 활성화 |
사회적 효과 | |
공공 서비스 | 공공 서비스 개선 |
삶의 질 | 삶의 질 향상 |
교통 편의 | 교통 편의 증진 |
역사 | |
고대 로마 | 네로 황제 시대 공공사업 추진 |
근대 | 다양한 국가에서 공공사업 추진 |
현대 | 대규모 공공사업 추진 및 중요성 증대 |
주요 공공사업 | |
교통 | 도로 건설 철도 건설 항만 건설 공항 건설 |
에너지 | 발전소 건설 송전망 건설 가스관 건설 |
환경 | 댐 건설 상하수도 시설 건설 하수 처리 시설 건설 |
기타 | 학교 건설 병원 건설 공원 조성 문화 시설 건설 |
관련 법률 | |
한국 | 국가재정법, 건설산업기본법 등 |
기타 국가 | 각 국가별 관련 법률 존재 |
문제점 | |
과다 예산 | 예산 초과 및 낭비 가능성 |
환경 파괴 | 환경 오염 및 파괴 가능성 |
부패 | 비리 발생 가능성 |
민원 발생 | 민원 발생 가능성 |
유지 보수 | 시설 유지 보수 문제 |
해결 방안 | |
예산 관리 | 투명한 예산 관리 및 감독 |
환경 영향 평가 | 환경 영향 평가 실시 |
부패 방지 | 부패 방지 시스템 구축 |
주민 참여 | 지역 주민 의견 수렴 |
시설 관리 | 체계적인 시설 관리 시스템 구축 |
참고 문헌 |
2. 역사
이집트 공공사업과 로마 공공사업에서 볼 수 있듯이 공공사업은 고대부터 존재했다. 이집트 왕국에서는 공공사업비가 최대 지출이었다.[37] 이집트 왕국에서는 매년 7월부터 10월까지 나일 강의 대규모 홍수가 발생하여, 그 복구에 많은 백성이 동원되어 급여(곡물)가 지급되었다.[37] 또한 고대 이집트에서는 피라미드와 신전 건설을 위해서도 많은 백성이 동원되었는데, 왕권의 강함을 보여주는 것뿐만 아니라 나일 강의 홍수기에 대한 백성의 실업 대책 및 치안 대책이기도 했다.[37]
고대 로마에서도 아피아 가도와 콜로세움 건설 등 대규모 공공사업이 이루어졌다.[37] 로마에는 선거 제도가 있어 후보자들은 다양한 공공사업을 공약으로 내세우곤 했다.[38] 로마 제국에서는 확장된 영토를 유지하기 위해 군사비와 공공사업비가 막대한 규모가 되었고, 2세기의 5현제 시대에는 국가 재정의 약 절반이 군사 관련에 사용되었다.[38] 이를 보충하기 위해 로마 제국에서는 다양한 명목의 증세가 반복되었지만, 상공업의 쇠퇴를 초래하여 3세기에는 군의 유지도 어려워져 게르만족의 침입을 허용하는 결과로 이어졌다.[38]
2. 1. 한국의 공공사업 역사
한국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농업 생산성 증대를 위한 저수지, 수로 등의 수리 시설 건설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의 식민지 지배를 위한 철도, 도로, 항만 등의 건설이 이루어졌으나, 이는 한국인의 편익보다는 일본의 자원 수탈과 대륙 침략을 위한 목적이 컸다.해방 이후에는 한국전쟁으로 파괴된 국토를 재건하고 경제 발전을 위한 사회 기반 시설 확충에 주력하였다. 특히, 경부고속도로 건설은 한국 경제 발전의 상징적인 사업으로 평가받는다. 1990년대 이후에는 민주화와 지방자치의 발전으로 지역 균형 발전과 주민 복지 증진을 위한 공공사업이 확대되었다. IMF 외환 위기 이후에는 경기 부양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대규모 공공사업이 추진되었으며, 이는 긍정적, 부정적 평가를 동시에 받고 있다.
2. 2. 세계의 공공사업 역사
고대 이집트에서는 나일 강의 범람을 막고 농업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대규모 관개 시설을 건설하였고, 피라미드와 신전 건설을 위해 많은 백성을 동원했다. 이는 왕권 강화뿐 아니라 실업 및 치안 대책의 일환이기도 했다.[37]고대 로마에서는 아피아 가도, 콜로세움 건설 등 대규모 공공사업이 이루어졌다.[37] 선거 제도가 있었던 로마에서는 후보자들이 다양한 공공사업을 공약으로 내세웠다.[38] 로마 제국은 확장된 영토를 유지하기 위해 막대한 군사비와 공공사업비를 지출했으며, 이는 증세로 이어져 상공업 쇠퇴를 초래, 3세기에는 게르만족 침입을 허용하는 결과를 낳았다.[38]
1938년 이후, 미국의 주간 항공 운송은 민간항공위원회(CAB)의 통제를 받았으나,[101] 1978년 항공 규제 완화 법 도입으로 자유 시장 경쟁 체제가 되면서 항공료가 인하되고 항공편이 증가했다.
허리케인 카트리나 상륙 당시, 루이지애나주의 제방과 방조벽은 내구성이 부족하여 방재 시스템으로서 제 기능을 하지 못했다. 미 육군 공병대도 이를 인정할 만큼 당시 허리케인 방재 시스템은 미국의 방재 인프라 경시의 상징이었다.[102] 미국 정부는 이를 반성하여 100년에 한 번 올 정도의 대규모 재해에도 견딜 수 있는 214km에 달하는 제방, 수문, 방조제를 건설 중이다. 이 공공 사업에는 약 145억 달러가 투입되었으며, 방재뿐 아니라 지역 환경도 고려하여 진행되고 있다.[102]
3. 유형 및 분류
3. 1. 목적에 따른 분류
공공사업은 국민 생활에 도움을 주기 위해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등이 시행하는 사업이다.[7] 시장 실패가 발생하는 공공재 생산을 목적으로 하며, 인프라(사회자본) 정비 자체의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교통 시설: 도로, 철도, 공항, 항만 등
- 수자원 관리: 댐, 저수지, 하천 정비, 상하수도 시설 등
- 에너지 시설: 발전소, 송전선, 가스관 등
- 환경 시설: 폐기물 처리 시설, 하수 처리 시설, 공원, 녹지 등
- 공공 건물: 관공서, 학교, 병원, 도서관, 문화 시설 등
- 주거 시설: 공공 임대 주택, 주거 환경 개선 사업 등
불황 시 민간 수요가 감소할 때 유효 수요를 창출하여 경기를 부양하는 전통적인 경제정책의 하나이기도 하다.[7] 건설채권을 이용하여 시행되는 사업도 있으며, 장래에 국가 이익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것에 세금을 투입하는 것을 공공투자라고 한다.[8]
3. 2. 시행 주체에 따른 분류
국가 예산으로 시행되는 사업에는 고속도로, 국도 건설 등이 있으며, 지방자치단체 예산으로 시행되는 사업에는 지방도, 시립 도서관 건설 등이 있다. 한국토지주택공사의 공공 주택 건설과 같이 공공기관의 자체 예산 또는 정부 지원을 받아 시행되는 사업도 있다.민관합동투자사업(Private Finance Initiative, PFI)은 민간의 자본과 경영 능력을 활용하여 공공시설의 건설, 유지관리, 운영을 수행하는 사업 방식이다.[36] 1992년 영국에서 시작되었으며, 일본에서는 1999년 9월 「민간자금 등의 활용에 의한 공공시설 등의 정비 등의 촉진에 관한 법률」(PFI법)이 시행되었다.[36] 민자 고속도로 등이 민관 협력 사업의 예시이다.
3. 3. 재원 조달 방식에 따른 분류
4. 경제적 효과
일반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공공사업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것은 1930년대 경제 위기 이후 인기 있는 정책 수단이었다. 미국의 첫 여성 내각 구성원인 미국 노동부 장관 프랜시스 퍼킨스가 주도한 뉴딜은 시민보존단, 공공사업청, 진보사업청 등 많은 공공재를 노동과 인프라 투자를 통해 창출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냈다.[4]
최근의 사례로는 2008~2009년 중국 경기 부양책, 2020년 인도의 국가 인프라 파이프라인(National Infrastructure Pipeline), 2008년 유럽연합 경기 부양 계획, 그리고 2009년 미국 경기 회복 및 재투자 법(American Recovery and Reinvestment Act of 2009)이 있다.
공공사업에 대한 자본 투자가 실업률 감소에 활용될 수 있다는 주장이 있는 반면, 내부 개선 프로그램의 반대론자들은 공공사업 프로젝트가 종종 비효율적이고 납세자에게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이러한 프로젝트는 민간 부문이 아닌 공공 부문이 수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더 나아가 일부에서는 정부가 공공사업을 과도하게 활용하는 것은 장기적인 경제 개선을 달성하기 위한 '세금과 지출' 정책 때문에 사회주의 및 기타 공공 또는 집단주의적 정부 형태의 특징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민간 부문에서는 기업가들이 자신의 손실을 감수하기 때문에 민간 부문 기업은 일반적으로 손실을 초래하거나 수익을 창출하지 못하는 프로젝트를 기꺼이 수행하지 않는다. 정부는 민간 부문의 이익이 없거나(수익을 창출하는 프로젝트가 아닌 경우) 위험이 민간 기업이 스스로 감수하기에는 너무 큰 경우 사회 전체에 미치는 이익 때문에 공공사업에 투자한다.
올보르 대학교에서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공공사업 프로젝트의 86%가 예산 초과로 끝났다. 연구 결과의 일부는 다음과 같다.[5][6]
- 기술적으로 어려운 프로젝트가 덜 어려운 프로젝트보다 예산을 초과할 가능성이 더 높지는 않았다.
- 프로젝트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사람이 많을수록 예산 초과가 발생하기 쉬웠다.
- 프로젝트 관리자들은 일반적으로 과거에 시도되었던 유사한 프로젝트에서 교훈을 얻지 못했다.
일반적으로 공개 입찰로 수주된 계약에는 예상치 못한 비용(예산 초과)에 대한 조항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계약 금액의 10%에 해당한다. 이 돈은 건설 관리자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만 프로젝트 진행 중에 사용되며, 지출은 일반적으로 서면으로 정당화되어야 한다.
공공사업은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특히, 낙후된 지역에 도로, 철도 등 교통 시설을 확충하면 접근성이 개선되어 인구 유입, 관광객 증가, 기업 유치 등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4. 1. 경기 부양 효과
공공사업은 건설 수요를 창출하여 자재 소비, 고용 증가 등 직접적인 경제적 효과를 가져온다.[9] 교통망 확충, 도시 기반 시설 정비 등을 통해 물류 효율성을 높이고 기업 투자를 촉진하는 간접적인 경제적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9]1930년대 루스벨트 대통령의 뉴딜 정책은 공공사업을 통해 경제 위기를 극복한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4] 당시 시민보존단(Civilian Conservation Corps), 공공사업청(Public Works Administration), 진보사업청(Works Progress Administration) 등 다양한 공공사업 프로그램이 시행되었다.[4] 최근에는 2008~2009년 중국의 경기 부양책, 2020년 인도의 국가 인프라 파이프라인(National Infrastructure Pipeline), 2008년 유럽연합 경기 부양 계획, 그리고 2009년 미국의 경기 회복 및 재투자 법(American Recovery and Reinvestment Act of 2009)이 있다.
존 메이너드 케인스는 불황기에 정부가 공공사업을 통해 실업률을 낮추고 경제를 부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9] 오타케 후미오(大竹文雄)는 공공사업 확충이 고소득자로부터 실업자에게 부를 재분배하는 불평등 완화책이자 실업이라는 비효율성을 해소하는 정책이라고 지적했다.[10]
그러나 공공사업의 경기 부양 효과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공공사업 확대가 일시적인 성장률 상승 효과를 가져올 수는 있지만,[12] 장기적으로는 민간 투자를 위축시키고(크라우딩 아웃)[23]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된다.[76] 산와종합연구소(三和総合研究所)는 공공사업의 경기 부양 효과가 파급되더라도 많은 사람들에게 실질적인 체감 효과는 미미하다고 지적했다.[13] 또한, 만델-플레밍 모델에 따르면, 재정 지출 증가는 엔고를 초래하여 순수출을 감소시키므로 수요 자극 효과가 상쇄된다고 여겨진다.[23]
이케다 노부오(池田信夫)는 1990년대 일본의 "잃어버린 30년" 동안 시행된 공공사업이 오히려 불황을 장기화시켰다고 비판하며, 노동 생산성이 낮은 부문으로 노동력이 이동하면서 경제 전체의 생산성이 저하되었다고 지적했다.[75] 내각부의 추산에 따르면, 1980년부터 1990년까지 공공사업의 승수효과는 1.67에서 1.31로 저하되었으며, 이는 비효율적인 공공사업의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76]
올보르 대학교의 연구에 따르면, 공공사업 프로젝트의 86%가 예산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5][6] 연구 결과에 따르면 기술적 난이도보다는 프로젝트에 영향을 받는 사람의 수가 많을수록 예산 초과 가능성이 높았으며, 프로젝트 관리자들이 과거 유사 프로젝트의 교훈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었다.[5][6]
한편, 아다치 세이지(安達誠司)는 노후화된 인프라 등 사회 자본 정비는 국가 전체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고 주장하며,[79] 와카타베 마사스미(若田部昌澄)는 도시 인프라, 신칸센·고속도로, 지진 대책 등은 필요한 공공사업이라고 지적한다.[80] 이와타 규쿠오(岩田規久男)는 임업 부흥을 위한 도로망 건설, 전력·가스 지역 간 연계선 정비 등을 지방 경제 자립화에 기여하는 공공사업의 예로 제시했다.[86]
4. 2. 승수 효과
공공사업은 그 자체로 수요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공공사업으로 소득을 얻은 사람들이 소비하고, 그것이 더 많은 소비를 유발하는 승수효과가 있다.[19] 공공사업비에는 토지 구입비도 포함되어 있으며, 토지 구입은 부가가치를 창출하지 않으므로 GDP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20]모리나가 타쿠로(森永卓郎)는 공공사업의 경기 확대 효과가 떨어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경기대책으로서 즉효성이 있는 것은 사실이며 적어도 투자 총액만큼의 효과는 있다고 지적한다.[21] 경제학자 폴 크루그먼(Paul Krugman)은 도로·댐 건설 등 사회자본 정비에 사용하는 공공사업의 승수효과는 1.5 정도라고 말하고 있다.[22]
반면, 경제학자 하라다 야스시(原田泰)는 최근(2009-2014년) 연구 결과에서는 1조 엔의 공공사업을 하면 거의 1조 엔의 GDP가 증가한다는 결과가 나오는데, 이는 승수가 1이라는 것이며 승수라고 할 만한 효과는 없다고 지적한다. 더욱이 이것은 금융정책도 발동한 결과이며, 금융정책을 발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승수가 1 이하가 된다고 한다.[23] 오타케 후미오(大竹文雄)는 무의미한 공공사업이 경기대책으로 여겨졌던 것은 정부의 지출은 100% 편익을 높이는 것이 된다는 GDP 계산상의 가정에 의존했을 뿐이라고 지적한다.[10]
경제학자 오노 요시야스(小野善康)는 국민경제계산에서는 공공사업이 소득으로 계상되지만, 공공사업의 진정한 효과는 완성된 것의 가치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수치상의 승수효과만이 강조되고, 비판하는 측도 승수효과가 작다는 것이 문제라고 한다.[24] 경제학자 코시오 타카시(小塩隆士)는 공공사업의 승수효과가 발휘되려면, 일단 끌어올린 공공사업의 수준을 그 이후에도 유지해야 하며, 경기가 상승세가 아닌 단계에서 공공사업의 수준을 원래대로 돌려놓으면 공공사업은 오히려 경기의 하락 요인이 된다고 지적한다.[25]
4. 3. 지역 경제 활성화
공공사업은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특히, 낙후된 지역에 도로, 철도 등 교통 시설을 확충하면 접근성이 개선되어 인구 유입, 관광객 증가, 기업 유치 등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공공사업에 대한 자본 투자가 실업률 감소에 활용될 수 있다는 주장이 있다. 그러나 공공사업 프로젝트가 종종 비효율적이고 납세자에게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민간 부문이 아닌 공공 부문이 수행해야 한다는 비판도 존재한다.[5][6] 올보르 대학교의 연구에 따르면 공공사업 프로젝트의 86%가 예산을 초과했으며, 프로젝트에 영향을 받는 사람이 많을수록 예산 초과가 발생하기 쉬웠다고 한다.[5][6]
5. 사회적 효과
공공고용 프로그램 또는 공공사업 프로그램은 주로 공공재를 특정 임금으로 생산함으로써 다른 일자리를 찾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일종의 사회 안전망 역할을 한다. 공공사업 프로그램은 국가 또는 대리인(또는 현금 대비 노동/CFW)이 임금(현금 또는 현물)을 지불하는 활동이다.[3] 특히 단기 고용을 제공하는 특정 형태의 공공사업이, 특히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와 같은 지역에서 관행을 지배하게 되었다.[3]
일반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공공사업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것은 1930년대 경제 위기 이후 인기 있는 정책 수단이었다. 미국의 첫 여성 내각 구성원인 미국 노동부 장관 프랜시스 퍼킨스가 주도한 뉴딜은 시민보존단, 공공사업청, 진보사업청 등 많은 공공재를 노동과 인프라 투자를 통해 창출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냈다.[4]
최근의 사례로는 2008~2009년 중국 경기 부양책, 2020년 인도의 국가 인프라 파이프라인, 2008년 유럽연합 경기 부양 계획, 그리고 2009년 미국 경기 회복 및 재투자 법이 있다.
공공사업에 대한 자본 투자가 실업률 감소에 활용될 수 있다는 주장이 있는 반면, 내부 개선 프로그램의 반대론자들은 공공사업 프로젝트가 종종 비효율적이고 납세자에게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이러한 프로젝트는 민간 부문이 아닌 공공 부문이 수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더 나아가 일부에서는 정부가 공공사업을 과도하게 활용하는 것은 장기적인 경제 개선을 달성하기 위한 '세금과 지출' 정책 때문에 사회주의 및 기타 공공 또는 집단주의적 정부 형태의 특징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민간 부문에서는 기업가들이 자신의 손실을 감수하기 때문에 민간 부문 기업은 일반적으로 손실을 초래하거나 수익을 창출하지 못하는 프로젝트를 기꺼이 수행하지 않는다. 정부는 민간 부문의 이익이 없거나(수익을 창출하는 프로젝트가 아닌 경우) 위험이 민간 기업이 스스로 감수하기에는 너무 큰 경우 사회 전체에 미치는 이익 때문에 공공사업에 투자한다.
올보르 대학교에서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공공사업 프로젝트의 86%가 예산 초과로 끝났다. 연구 결과의 일부는 다음과 같다.[5][6]
- 기술적으로 어려운 프로젝트가 덜 어려운 프로젝트보다 예산을 초과할 가능성이 더 높지는 않았다.
- 프로젝트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사람이 많을수록 예산 초과가 발생하기 쉬웠다.
- 프로젝트 관리자들은 일반적으로 과거에 시도되었던 유사한 프로젝트에서 교훈을 얻지 못했다.
일반적으로 공개 입찰로 수주된 계약에는 예상치 못한 비용(예산 초과)에 대한 조항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계약 금액의 10%에 해당한다. 이 돈은 건설 관리자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만 프로젝트 진행 중에 사용되며, 지출은 일반적으로 서면으로 정당화되어야 한다.
5. 1. 사회 불평등 완화
공공사업은 공공재 생산을 통해 실업자 등에게 일자리를 제공하여 사회 안전망 역할을 한다.[3] 특히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와 같은 지역에서는 단기 고용을 제공하는 형태의 공공사업이 시행되고 있다.[3]1930년대 경제 위기 이후, 미국에서는 프랜시스 퍼킨스 노동부 장관의 주도로 뉴딜 정책의 일환으로 시민보존단, 공공사업청, 진보사업청 등의 공공사업 프로그램이 시행되었다.[4] 최근에는 2008~2009년 중국 경기 부양책, 2020년 인도의 국가 인프라 파이프라인, 2008년 유럽연합 경기 부양 계획, 2009년 미국 경기 회복 및 재투자 법 등이 공공사업의 사례로 꼽힌다.
공공사업 투자가 실업률 감소에 기여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지만, 일각에서는 공공사업 프로젝트가 비효율적이고 납세자에게 부담이 된다는 비판도 있다.[5][6] 또한, 정부 주도의 공공사업 확대가 사회주의적 정책이라는 주장도 제기된다. 그러나 민간 부문에서는 이윤 추구가 어려워 수행하지 않는 사업을, 정부는 사회 전체의 이익을 위해 추진하기도 한다.
올보르 대학교의 연구에 따르면, 공공사업 프로젝트의 86%가 예산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5][6] 연구 결과에 따르면, 기술적 난이도보다는 프로젝트 관련 이해관계자의 수가 많을수록 예산 초과 가능성이 높아졌다.[5][6] 또한, 프로젝트 관리자들이 과거 유사 프로젝트의 경험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었다.[5][6] 한편, 일반적으로 공개 입찰 계약에는 예상치 못한 비용에 대한 조항(대개 계약 금액의 10%)이 포함되어 있다.
5. 2. 공공 서비스 제공
공공사업은 학교, 병원, 도서관, 문화 시설 건설을 통해 국민들에게 교육, 의료, 문화 등 필수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5][6] 또한 공원, 녹지 등 환경 시설 조성은 쾌적한 생활 환경을 제공하고 국민들의 건강 증진에 기여한다.하지만 올보르 대학교의 연구에 따르면 공공사업 프로젝트의 86%가 예산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5][6] 기술적인 난이도보다는 프로젝트에 영향을 받는 사람의 수가 많을수록 예산 초과 가능성이 높았으며, 과거 유사 프로젝트의 경험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는 문제점도 지적되었다.[5][6]
공공사업은 민간 부문이 감당하기 어려운 위험을 부담하거나, 민간 부문에서는 이익을 기대하기 어려운(수익을 창출하지 않는) 프로젝트에 투자하여 사회 전체의 이익을 도모한다. 일반적으로 공공사업 계약에는 예상치 못한 비용에 대한 조항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계약 금액의 10% 정도이다.
오노 요시야스(小野善康)는 공공사업의 경우, 국민들이 편익은 당연하게 여기지만 부담에는 불만을 느껴 수혜와 부담의 관계가 명확하지 않아 손해를 본다는 느낌을 받기 쉽다고 지적한다.[35]
5. 3. 재난 예방
동일본 대지진 당시 일본 이와테현 푸타이촌의 푸타이 수문(1984년 완공)과 요노정의 방조제는 높이 15.5m로 쓰나미 피해를 막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50][51][52] 푸타이 수문은 건설 당시 과도한 높이라는 비판이 있었으나, 당시 촌장이었던 와무라 코우토쿠[53]가 재해 예방을 위해 15m 이상 높이로 건설할 것을 강력히 주장하여 건설되었다.[54]2012년 7월 규슈 북부 호우 당시 오이타현 다케타시에서는 완공된 댐 지역은 피해가 없었지만, 타마키가와(玉来川) 하류가 범람하여 도시 전체가 광범위하게 침수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자민당은 타마키댐(玉来ダム) 건설이 연기된 것을 홍수 원인으로 주장했지만,[55] 민주당은 완공 예정 시기상 자민·공명 연립정권이 계속되었더라도 댐은 완공되지 않았을 것이라고 반박했다.[56] 한편, 토목학회는 떠내려온 나무토막으로 인한 유수 단면적 감소가 홍수의 원인이라고 추정했다.[57]
2014년 8월 히로시마시에서는 집중호우로 인해 대규모 산사태가 발생했다. 일본 정부는 건설 계획 중이던 9개의 사방댐 중 하나도 완성되지 않아 피해를 최소화하지 못했음을 인정했다.[58] 2010년 기준으로 일본 전국 8만 9천 곳의 사방댐 계획 중 22%만이 건설이 완료된 상태였다.[58]
댐, 저수지, 하천 정비 등 수자원 관리 사업은 홍수, 가뭄 등 자연 재해를 예방하고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대한민국은 여름철 집중 호우로 인한 피해가 자주 발생하므로, 하천 정비, 사방댐 건설 등 재해 예방 사업이 중요하다.
6. 비판 및 논란
공공사업에 대한 자본 투자가 실업률 감소에 활용될 수 있다는 주장이 있는 반면, 내부 개선 프로그램의 반대론자들은 공공사업 프로젝트가 종종 비효율적이고 납세자에게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이러한 프로젝트는 민간 부문이 아닌 공공 부문이 수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더 나아가 일부에서는 정부가 공공사업을 과도하게 활용하는 것은 장기적인 경제 개선을 달성하기 위한 '세금과 지출' 정책 때문에 사회주의 및 기타 공공 또는 집단주의적 정부 형태의 특징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민간 부문에서는 기업가들이 자신의 손실을 감수하기 때문에 민간 부문 기업은 일반적으로 손실을 초래하거나 수익을 창출하지 못하는 프로젝트를 기꺼이 수행하지 않는다. 정부는 민간 부문의 이익이 없거나(수익을 창출하는 프로젝트가 아닌 경우) 위험이 민간 기업이 스스로 감수하기에는 너무 큰 경우 사회 전체에 미치는 이익 때문에 공공사업에 투자한다.
올보르 대학교에서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공공사업 프로젝트의 86%가 예산 초과로 끝났다. 연구 결과의 일부는 다음과 같다.[5][6]
- 기술적으로 어려운 프로젝트가 덜 어려운 프로젝트보다 예산을 초과할 가능성이 더 높지는 않았다.
- 프로젝트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사람이 많을수록 예산 초과가 발생하기 쉬웠다.
- 프로젝트 관리자들은 일반적으로 과거에 시도되었던 유사한 프로젝트에서 교훈을 얻지 못했다.
일반적으로 공개 입찰로 수주된 계약에는 예상치 못한 비용(예산 초과)에 대한 조항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계약 금액의 10%에 해당한다. 이 돈은 건설 관리자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만 프로젝트 진행 중에 사용되며, 지출은 일반적으로 서면으로 정당화되어야 한다.
== 효율성 문제 ==
일부 공공사업은 수요 예측 실패, 부실 시공 등으로 인해 예산 낭비, 환경 파괴 등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5][6] 특히, 타당성 조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채 정치적인 이유로 추진되는 공공사업은 비판의 대상이 된다. 올보르 대학교에서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공공사업 프로젝트의 86%가 예산 초과로 끝났다.[5][6]
일본의 경우, 타케나카 헤이조(竹中平蔵)는 경기 부양책으로 건설업체에 대한 예산 낭비가 계속되었고, 공공사업을 억제하는 사회적 시스템이 없었으며, 1980년대~1990년대에 거액의 경상수지 흑자를 기록했던 점을 공공사업 증가의 이유로 들었다.[60] 경제학자 이이보리 토시히로(井堀利宏)는 1990년대 이후 일본에서 공공사업의 낭비가 심화된 것은 수혜와 부담의 불균형이 심화되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61]
나카노 고시(中野剛志)는 디플레이션 대책을 포함한 재정 투입의 필요성을 주장하며, 노후화된 인프라 개선 투자를 강조했다.[62] 반면, 키요타키 노부히로(清滝信宏)는 기존 방식의 공공사업은 비효율적이므로 인프라 개선 투자가 바람직하다고 지적했다.[67]
아베노믹스(アベノミクス)의 제2의 화살로 공공사업을 늘리자 인력이 모이지 않게 되었다는 지적도 있다.[72] 이는 지방에서 고령화가 진행되어 공공사업에 종사할 사람이 없어졌기 때문이다.[72]
4대강 사업은 이명박 정부에서 추진한 대규모 국책 사업으로, 환경 파괴, 예산 낭비, 효과 미흡 등 여러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 민간 투자 위축 ==
정부가 공공사업에 과도하게 투자하면 민간 투자를 위축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34] 특히, 건설 자재, 인력 등이 부족한 상황에서 공공사업이 확대되면 민간 부문의 건설 비용이 상승하고 투자가 감소할 수 있다는 점이 지적된다.[34]
이와타 노리오(岩田規久男)는 디플레이션에서 벗어나 경기가 회복될 때까지 유용한 공공사업은 가능한 한 마무리해야 하며, 경기가 회복된 후에 유용한 공공사업을 실시하면 민간 활동을 저해한다고 지적했다.[66]
== 재정 적자 심화 ==
대규모 공공사업은 막대한 재정 지출을 필요로 하므로, 국가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27] 특히, 미래 세대에 부담을 전가하는 적자 국채 발행은 신중해야 한다는 지적이 있다.[26]
올보르 대학교의 연구에 따르면, 공공사업 프로젝트의 86%가 예산 초과로 완료되었다.[5][6] 이와타 노리쿠오(岩田規久男)는 "현재의 부채로 실행된 공공투자가 미래의 GDP를 높인다면, GDP 대비 누적 잔고 비율을 낮출 수 있다"고 지적한다.[26] 반면, 하라다 야스시(原田泰)는 건설 물가 상승 시 공공사업의 효과가 감소하며, 경제 효율을 저하시키고 재정 적자를 심화시킨다고 비판한다.[27]
다케나카 헤이조(竹中平蔵)는 불황기에 공공사업을 늘리고, 호황기에 줄이지 않는 관행이 기득권화되어 공공사업 축소에 대한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킨다고 지적한다.[28] 다카하시 요이치(高橋洋一)는 비용 대비 효과가 플러스인 공공사업은 가치가 있지만, 이후 추가되는 비용과 완성 시 편익을 신중히 계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29][30]
다이와 종합연구소(大和総研)는 공공사업 규모의 적정성과 질 향상에 주목해야 하며, 과도한 긴축 재정은 사회 자본 스톡 부족 및 국민 생활의 질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31] 미즈호 종합연구소(みずほ総合研究所)는 단순한 공공사업 감소는 경제에 디플레이션을 가져올 뿐이라고 경고한다.[32]
나카노 고시(中野剛志)는 디플레이션 대책으로 재정 투입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노후화된 인프라 개선 투자를 소홀히 하고 사회보장비 등에 사용하는 것을 비판했다.[62]
== 환경 파괴 ==
도로, 댐, 공항 등 대규모 건설 사업은 자연 환경을 훼손하고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60][61][62] 특히, 개발 제한 구역, 자연 보호 구역 등 보존 가치가 높은 지역에서의 공공사업은 신중하게 추진되어야 한다.
== 지역 간 불균형 ==
공공사업 투자가 특정 지역에 집중되면 지역 간 불균형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93][74] 특히, 수도권과 지방 간의 격차, 도시와 농촌 간의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균형 있는 투자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94]
도도부현별 1인당 공공사업비를 보면, 시마네현(島根県)이 79만 엔으로 가장 많고, 고치현(高知県)이 67만 엔, 도쿠시마현(徳島県)이 65만 엔으로 뒤를 잇는 반면, 가나가와현(神奈川県)은 20만 엔으로 가장 적다(2002년 기준).[93] 미즈호 종합연구소는 각 도도부현의 면적과 사회자본 정비 상황이 다르므로 단순 비교는 어렵지만, 공공사업이 경기 조정 및 소득 재분배 기능을 담당하기 때문에 지역 간 격차는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고 지적한다.[93]
타케모리 슌페이(竹森俊平)는 수도권의 교통 혼잡 해소와 같이 경제적 이점이 있는 공공사업 프로젝트는 여전히 존재하지만, 공공 투자가 지방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고 비판한다.[74] 그는 정치적 과정의 왜곡으로 인해 사람이 살지 않는 곳에도 다리, 도로, 콘서트홀이 건설되는 현실을 지적하며, 이는 공공사업의 무의미하다는 평가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한다.[74]
이케다 노부오(池田信夫)는 공공사업을 대도시와 지방 중핵 도시에 중점적으로 배분하고, 지방 도시는 자연 환경 보호에 예산을 투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94]
원거 소이치(円居総一)는 대부분의 지방자치단체가 댐, 도로, 원자력발전소 건설 등 공공사업에 의존해 왔으며, 이것이 일본 경제의 구조적 약점이라고 지적한다.[88] 그는 원자력발전이 산업정책과 함께 거대한 사업·공공사업으로 추진되었으며, 지방자치단체가 원자력발전 의존에 빠진 요인은 산업 기반의 약화에 있다고 분석한다.[95][96]
== 부정부패 ==
공공사업은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므로, 부정부패의 유혹에 취약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97] 특히 건설업체, 정치인, 공무원 간의 유착 관계는 공공사업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훼손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97] 과거 한국에서도 대규모 국책 사업과 관련하여 정경 유착, 뇌물 수수 등 부정부패 사건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일본의 경우, 벤자민 풀퍼드는 포브스에 기고한 기사에서 일본의 공공사업이 폭력단의 자금원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98] 간사이 국제공항 1단계 공사 비용의 20~30%가 폭력단에 흘러들어갔다는 간사이 지역 중견 건설업체 간부와 경찰 폭력단 담당 형사의 증언이 있었으며,[98][99] 일본변호사연합회의 공공사업 프로젝트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나왔다.[99]
Matsubara Satoshi는 “불필요한 공공사업이 이루어지는 큰 원인은 정치인과 업계, 그리고 관료의 유착에 있다”고 지적한다.[97] 공공사업은 카르텔을 포함한 담합의 온상이 되며, 관료·공무원의 관련 기업으로의 낙하산 인사 등을 통해 정치·경제·관료의 유착 원인이 된다는 지적이 있다.[90]
6. 1. 효율성 문제
일부 공공사업은 수요 예측 실패, 부실 시공 등으로 인해 예산 낭비, 환경 파괴 등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5][6] 특히, 타당성 조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채 정치적인 이유로 추진되는 공공사업은 비판의 대상이 된다. 올보르 대학교에서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공공사업 프로젝트의 86%가 예산 초과로 끝났다.[5][6]일본의 경우, 타케나카 헤이조(竹中平蔵)는 경기 부양책으로 건설업체에 대한 예산 낭비가 계속되었고, 공공사업을 억제하는 사회적 시스템이 없었으며, 1980년대~1990년대에 거액의 경상수지 흑자를 기록했던 점을 공공사업 증가의 이유로 들었다.[60] 경제학자 이이보리 토시히로(井堀利宏)는 1990년대 이후 일본에서 공공사업의 낭비가 심화된 것은 수혜와 부담의 불균형이 심화되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61]
나카노 고시(中野剛志)는 디플레이션 대책을 포함한 재정 투입의 필요성을 주장하며, 노후화된 인프라 개선 투자를 강조했다.[62] 반면, 키요타키 노부히로(清滝信宏)는 기존 방식의 공공사업은 비효율적이므로 인프라 개선 투자가 바람직하다고 지적했다.[67]
아베노믹스(アベノミクス)의 제2의 화살로 공공사업을 늘리자 인력이 모이지 않게 되었다는 지적도 있다.[72] 이는 지방에서 고령화가 진행되어 공공사업에 종사할 사람이 없어졌기 때문이다.[72]
4대강 사업은 이명박 정부에서 추진한 대규모 국책 사업으로, 환경 파괴, 예산 낭비, 효과 미흡 등 여러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6. 2. 민간 투자 위축
정부가 공공사업에 과도하게 투자하면 민간 투자를 위축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34] 특히, 건설 자재, 인력 등이 부족한 상황에서 공공사업이 확대되면 민간 부문의 건설 비용이 상승하고 투자가 감소할 수 있다는 점이 지적된다.[34]이와타 노리오(岩田規久男)는 디플레이션에서 벗어나 경기가 회복될 때까지 유용한 공공사업은 가능한 한 마무리해야 하며, 경기가 회복된 후에 유용한 공공사업을 실시하면 민간 활동을 저해한다고 지적했다.[66]
6. 3. 재정 적자 심화
대규모 공공사업은 막대한 재정 지출을 필요로 하므로, 국가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27] 특히, 미래 세대에 부담을 전가하는 적자 국채 발행은 신중해야 한다는 지적이 있다.[26]올보르 대학교의 연구에 따르면, 공공사업 프로젝트의 86%가 예산 초과로 완료되었다.[5][6] 이와타 노리쿠오(岩田規久男)는 "현재의 부채로 실행된 공공투자가 미래의 GDP를 높인다면, GDP 대비 누적 잔고 비율을 낮출 수 있다"고 지적한다.[26] 반면, 하라다 야스시(原田泰)는 건설 물가 상승 시 공공사업의 효과가 감소하며, 경제 효율을 저하시키고 재정 적자를 심화시킨다고 비판한다.[27]
다케나카 헤이조(竹中平蔵)는 불황기에 공공사업을 늘리고, 호황기에 줄이지 않는 관행이 기득권화되어 공공사업 축소에 대한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킨다고 지적한다.[28] 다카하시 요이치(高橋洋一)는 비용 대비 효과가 플러스인 공공사업은 가치가 있지만, 이후 추가되는 비용과 완성 시 편익을 신중히 계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29][30]
다이와 종합연구소(大和総研)는 공공사업 규모의 적정성과 질 향상에 주목해야 하며, 과도한 긴축 재정은 사회 자본 스톡 부족 및 국민 생활의 질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31] 미즈호 종합연구소(みずほ総合研究所)는 단순한 공공사업 감소는 경제에 디플레이션을 가져올 뿐이라고 경고한다.[32]
나카노 고시(中野剛志)는 디플레이션 대책으로 재정 투입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노후화된 인프라 개선 투자를 소홀히 하고 사회보장비 등에 사용하는 것을 비판했다.[62]
6. 4. 환경 파괴
도로, 댐, 공항 등 대규모 건설 사업은 자연 환경을 훼손하고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60][61][62] 특히, 개발 제한 구역, 자연 보호 구역 등 보존 가치가 높은 지역에서의 공공사업은 신중하게 추진되어야 한다.6. 5. 지역 간 불균형
공공사업 투자가 특정 지역에 집중되면 지역 간 불균형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93][74] 특히, 수도권과 지방 간의 격차, 도시와 농촌 간의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균형 있는 투자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94]도도부현별 1인당 공공사업비를 보면, 시마네현(島根県)이 79만 엔으로 가장 많고, 고치현(高知県)이 67만 엔, 도쿠시마현(徳島県)이 65만 엔으로 뒤를 잇는 반면, 가나가와현(神奈川県)은 20만 엔으로 가장 적다(2002년 기준).[93] 미즈호 종합연구소는 각 도도부현의 면적과 사회자본 정비 상황이 다르므로 단순 비교는 어렵지만, 공공사업이 경기 조정 및 소득 재분배 기능을 담당하기 때문에 지역 간 격차는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고 지적한다.[93]
타케모리 슌페이(竹森俊平)는 수도권의 교통 혼잡 해소와 같이 경제적 이점이 있는 공공사업 프로젝트는 여전히 존재하지만, 공공 투자가 지방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고 비판한다.[74] 그는 정치적 과정의 왜곡으로 인해 사람이 살지 않는 곳에도 다리, 도로, 콘서트홀이 건설되는 현실을 지적하며, 이는 공공사업의 무의미하다는 평가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한다.[74]
이케다 노부오(池田信夫)는 공공사업을 대도시와 지방 중핵 도시에 중점적으로 배분하고, 지방 도시는 자연 환경 보호에 예산을 투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94]
원거 소이치(円居総一)는 대부분의 지방자치단체가 댐, 도로, 원자력발전소 건설 등 공공사업에 의존해 왔으며, 이것이 일본 경제의 구조적 약점이라고 지적한다.[88] 그는 원자력발전이 산업정책과 함께 거대한 사업·공공사업으로 추진되었으며, 지방자치단체가 원자력발전 의존에 빠진 요인은 산업 기반의 약화에 있다고 분석한다.[95][96]
6. 6. 부정부패
공공사업은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므로, 부정부패의 유혹에 취약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97] 특히 건설업체, 정치인, 공무원 간의 유착 관계는 공공사업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훼손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97] 과거 한국에서도 대규모 국책 사업과 관련하여 정경 유착, 뇌물 수수 등 부정부패 사건이 발생하기도 하였다.일본의 경우, 벤자민 풀퍼드는 포브스에 기고한 기사에서 일본의 공공사업이 폭력단의 자금원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98] 간사이 국제공항 1단계 공사 비용의 20~30%가 폭력단에 흘러들어갔다는 간사이 지역 중견 건설업체 간부와 경찰 폭력단 담당 형사의 증언이 있었으며,[98][99] 일본변호사연합회의 공공사업 프로젝트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나왔다.[99]
Matsubara Satoshi는 “불필요한 공공사업이 이루어지는 큰 원인은 정치인과 업계, 그리고 관료의 유착에 있다”고 지적한다.[97] 공공사업은 카르텔을 포함한 담합의 온상이 되며, 관료·공무원의 관련 기업으로의 낙하산 인사 등을 통해 정치·경제·관료의 유착 원인이 된다는 지적이 있다.[90]
7. 한국의 주요 공공사업
7. 1. 경부고속도로 건설
1968년 착공하여 1970년 완공된 경부고속도로는 한국 경제 발전의 상징적인 사업으로 평가받는다. 경부고속도로 건설은 물류 비용 절감, 지역 간 교류 확대, 산업 발전 촉진 등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7. 2. 4대강 사업
이명박 정부에서 추진한 4대강 사업은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등 4대강 유역을 정비하는 대규모 국책 사업이었다. 4대강 사업은 홍수 예방, 가뭄 해소, 수질 개선, 생태 복원 등을 목표로 하였으나, 환경 파괴, 예산 낭비, 효과 미흡 등 여러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과 환경 단체에서는 4대강 사업이 생태계를 파괴하고 수질을 악화시키는 등 부정적인 영향이 크다고 비판하였다.7. 3. 새만금 간척 사업
새만금 간척 사업은 전라북도 군산시, 김제시, 부안군 앞바다를 매립하여 국토를 확장하는 사업이다. 농지 확보, 산업 단지 조성, 관광 단지 개발 등을 목표로 하였으나, 환경 오염, 경제성 부족 등 여러 논란을 불러일으켰다.7. 4. 혁신도시 건설
혁신도시 건설 사업은 수도권에 집중된 공공기관을 지방으로 이전하여 지역 균형 발전을 도모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은 지역 경제 활성화, 인구 분산, 지역 특화 산업 육성 등의 효과를 목표로 한다.8. 결론 및 향후 과제
참조
[1]
논문
Nero's New Deal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71
[2]
웹사이트
The Project
https://web.archive.[...]
2009-05-15
[3]
웹사이트
A typology for Public Works Programming
https://web.archive.[...]
Overseas Development Institute
2008-12
[4]
서적
The woman behind the New Deal : the life of Frances Perkins, FDR's Secretary of Labor and his moral conscience
http://worldcat.org/[...]
Nan A. Talese/Doubleday
2009
[5]
간행물
Natuurwetenschap & Techniek Magazine
2009-04
[6]
논문
Underestimating Costs in Public Works Projects
https://web.archive.[...]
2002-06
[7]
서적
竹中教授のみんなの経済学
幻冬舎
2000
[8]
서적
竹中教授のみんなの経済学
幻冬舎
2000
[9]
논문
The intellectual origins of the Keynesian revolution
http://tcbh.oxfordjo[...]
Oxford Journals
[10]
서적
競争と公平感-市場経済の本当のメリット
中央公論新社
2010
[11]
서적
競争と公平感-市場経済の本当のメリット
中央公論新社
2010
[12]
서적
50語でわかる日本経済
日本経済新聞社
2005
[13]
서적
30語でわかる日本経済
日本経済新聞社
2000
[14]
서적
日本の経済
ナツメ社
2000
[15]
서적
高橋教授の経済超入門
アスペクト
2011
[16]
서적
やさしい経済学
日本経済新聞社
2001
[17]
서적
はじめての経済学〈下〉
日本経済新聞出版社
2004
[18]
서적
「不安」を「希望」に変える経済学
PHP研究所
2010
[19]
서적
「不安」を「希望」に変える経済学
PHP研究所
2010
[20]
서적
高校生のための経済学入門
筑摩書房
2002
[21]
서적
日本経済50の大疑問
講談社
2002
[22]
서적
雇用大崩壊 失業率10%時代の到来
NHK出版
2009
[23]
웹사이트
[アベノミクス第二の矢]ついに暴かれた公共事業の効果〔1〕
http://shuchi.php.co[...]
PHPビジネスオンライン衆知
2014-05-10
[24]
서적
世界を変えた経済学の名著
日本経済新聞社
2013
[25]
서적
高校生のための経済学入門
筑摩書房
2002
[26]
서적
「不安」を「希望」に変える経済学
PHP研究所
2010
[27]
웹사이트
法人税減税とTPPで復活する日本〔1〕
http://shuchi.php.co[...]
PHPビジネスオンライン 衆知
2014-02-10
[28]
서적
経済古典は役に立つ
光文社
2010
[29]
서적
高橋教授の経済超入門
アスペクト
2011
[30]
서적
高橋教授の経済超入門
アスペクト
2011
[31]
서적
最新版 入門の入門 経済のしくみ-見る・読む・わかる
日本実業出版社
2002
[32]
서적
3時間でわかる日本経済-ポイント解説
日本経済新聞社
2002
[33]
서적
最新キーワードでわかる!日本経済入門
日本経済新聞社
2008
[34]
서적
高校生のための経済学入門
筑摩書房
2002
[35]
서적
やさしい経済学
日本経済新聞社
2001
[36]
서적
基本用語からはじめる日本経済
日本経済新聞社
[37]
서적
経済は世界史から学べ
ダイヤモンド社
[38]
서적
経済は世界史から学べ
ダイヤモンド社
[39]
뉴스
昭和ニュース辞典第8巻 昭和17年/昭和20年
毎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40]
서적
ユニクロ型デフレと国家破産
文春新書
[41]
서적
スッキリ!日本経済入門-現代社会を読み解く15の法則
日本経済新聞社
[42]
웹사이트
公共事業の動向(日本と主要国)
http://www.honkawa2.[...]
[43]
서적
景気ってなんだろう
筑摩書房
[44]
서적
日本経済を凋落させた七人
飛鳥新社
[45]
웹사이트
竹中平蔵のポリシー・スクール “国土強靭化政策”をどう受け止める?
http://www.jcer.or.j[...]
日本経済研究センター
2012-08-16
[46]
웹사이트
緊縮財政の輪廻構造
https://www.zenken.c[...]
全日本建設技術協会
[47]
서적
「騙されない!」ための経済学 モリタク流・経済ニュースのウラ読み術
PHP研究所
[48]
서적
競争と公平感-市場経済の本当のメリット
中央公論新社
[49]
웹사이트
公共工事の未消化16兆円 発注増と人手不足で過去最高
http://www.asahi.com[...]
朝日新聞デジタル
2014-09-18
[50]
웹사이트
明治の教訓、15m堤防・水門が村守る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11-04-03
[51]
웹사이트
岩手県普代村は浸水被害ゼロ、水門が効果を発揮
http://www.nikkei.co[...]
日本経済新聞
2011-04-01
[52]
웹사이트
津波で5割超の防潮堤損壊 岩手県が効果検証へ
https://web.archive.[...]
共同通信
2011-04-12
[53]
웹사이트
普代守った巨大水門 被害を最小限に
http://www.iwate-np.[...]
岩手日報
2011-04-24
[54]
웹사이트
明治の教訓、15m堤防・水門が村守る…岩手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11-04-03
[55]
웹사이트
九州豪雨大水害 実は民主党のせいだ。衆議院副議長が怒りの告白
http://www.zakzak.co[...]
zakzak
2012-07-19
[56]
웹사이트
第180回国会 決算委員会 第4号
https://kokkai.ndl.g[...]
参議院会議録
[57]
웹사이트
第8章 大野川水系玉来川の洪水災害
http://committees.js[...]
公益社団法人土木学会
[58]
웹사이트
Planned dams fail to be completed before Hiroshima disaster
http://www.globalpos[...]
Global Post
2014-08-25
[59]
웹사이트
Hiroshima landslide: 'It's a wonder that I survived', says woman whose house was destroyed
http://www.telegraph[...]
The Telegraph
2014-08-21
[60]
서적
竹中教授のみんなの経済学
幻冬舎
[61]
서적
やさしい経済学
日本経済新聞社
[62]
서적
グローバル恐慌の真相
[63]
서적
グローバル恐慌の真相
[64]
서적
レジーム・チェンジ-恐慌を突破する逆転の発想
NHK出版
[65]
서적
日本経済は復活するか
藤原書店
[66]
서적
スッキリ!日本経済入門-現代社会を読み解く15の法則
日本経済新聞社
[67]
웹사이트
清滝米大教授が首相に物価2%達成可能と指摘、政策を進言
https://jp.reuters.c[...]
Reuters
2014-05-28
[68]
서적
あしたの経済学
幻冬舎
[69]
서적
コンパクト日本経済論(コンパクト経済学ライブラリ)
新世社
[70]
웹사이트
誤った認識で3本の矢を狂わせるな
https://wedge.ismedi[...]
WEDGE Infinity(ウェッジ)
2014-03-03
[71]
서적
エコノミスト・ミシュラン
太田出版
2003
[72]
뉴스
地方創生で何をするのか 人口維持発想からの転換を
https://wedge.ismedi[...]
WEDGE Infinity(ウェッジ)
2014-10-13
[73]
서적
日本経済は復活するか
藤原書店
2013
[74]
뉴스
[アベノミクス]一票の格差是正こそ最強の3本目の矢〔1〕
http://shuchi.php.co[...]
PHPビジネスオンライン 衆知
2014-03-20
[75]
서적
希望を捨てる勇気-停滞と成長の経済学
ダイヤモンド社
2009
[76]
서적
3時間でわかる日本経済-ポイント解説
日本経済新聞社〈日経ビジネス人文庫〉
2002
[77]
뉴스
[アベノミクス第二の矢]ついに暴かれた公共事業の効果〔2〕
http://shuchi.php.co[...]
PHPビジネスオンライン衆知
2014-05-10
[78]
웹사이트
Aggregate demand in the open economy
http://homepages.uel[...]
[79]
서적
日本経済は復活するか
藤原書店
2013
[80]
서적
日本経済は復活するか
藤原書店
2013
[81]
서적
日本経済は復活するか
藤原書店
2013
[82]
뉴스
【インタビュー】ラグラム・ラジャン(米シカゴ大学経営大学院教授) 市場任せも過剰介入も間違いだ「適切な規制」で自由な市場経済を守れ
http://www.fsight.jp[...]
Foresight(フォーサイト)
2009-04-01
[83]
웹사이트
政策研究・提言 通商貿易政策 乗数効果はなぜ小さいのか
http://www.tkfd.or.j[...]
東京財団
2011-05-24
[84]
뉴스
賢者の知恵 『21世紀の資本』ピケティ教授が提唱「金持ちの財産にもっと課税せよ」 もし日本で実現したら、を考える 原田泰×田中秀臣
https://gendai.media[...]
現代ビジネス
2015-01-28
[85]
서적
コンパクト日本経済論(コンパクト経済学ライブラリ)
新世社
2009
[86]
서적
「不安」を「希望」に変える経済学
PHP研究所
2010
[87]
서적
日本経済復活 一番かんたんな方法
光文社〈光文社新書〉
2010
[88]
서적
原発に頼らなくても日本は成長できる
ダイヤモンド社
2011
[89]
서적
スッキリ!日本経済入門-現代社会を読み解く15の法則
日本経済新聞社
2003
[90]
서적
スッキリ!日本経済入門-現代社会を読み解く15の法則
日本経済新聞社
2003
[91]
서적
スッキリ!日本経済入門-現代社会を読み解く15の法則
日本経済新聞社
2003
[92]
서적
脱貧困の経済学
筑摩書房〈ちくま文庫〉
2012
[93]
서적
3時間でわかる日本経済-ポイント解説
日本経済新聞社〈日経ビジネス人文庫〉
2002
[94]
서적
希望を捨てる勇気-停滞と成長の経済学
ダイヤモンド社
2009
[95]
서적
原発に頼らなくても日本は成長できる
ダイヤモンド社
2011
[96]
서적
原発に頼らなくても日本は成長できる
ダイヤモンド社
2011
[97]
서적
日本の経済 (図解雑学シリーズ)
ナツメ社
2000
[98]
서적
日本がアルゼンチンタンゴを踊る日
光文社
2002
[99]
서적
まんが八百長経済大国の最期
光文社
2004
[100]
웹사이트
公共事業と環境行政
http://www.jichiro.g[...]
自治労
[101]
웹사이트
CAB(シーエービー)とは
https://kotobank.jp/[...]
2020-04-14
[102]
뉴스
Vast defenses now shielding New Orleans
http://www.nytimes.c[...]
New York Times
2012-06-14
[103]
논문
Nero's New Deal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7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