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과민성 폐장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과민성 폐장염은 특정 항원에 대한 과도한 면역 반응으로 발생하는 폐 질환이다. 급성, 아급성, 만성 형태로 나타나며, 발열, 기침,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을 보인다. 곰팡이, 애완동물 유래 유기 분진, 화학 물질 등 다양한 원인 물질에 의해 발생하며, 농부 폐, 조류 사육사 폐 등이 대표적인 유형이다. 진단은 증상, 흉부 엑스레이, 폐 기능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폐 생검으로 확진할 수 있다. 치료는 항원 회피가 가장 중요하며, 스테로이드 투여가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만성적인 노출은 폐 섬유증을 유발하여 예후가 좋지 않을 수 있으며, 폐 이식이 필요할 수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직업병 - 규폐증
    규폐증은 실리카 먼지 흡입으로 발생하는 만성 폐 질환이며, 폐에 염증과 섬유화를 일으켜 호흡 곤란, 기침, 피로 등의 증상을 유발하고, 예방을 위해 실리카 노출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며 현재 완치법은 없다.
  • 직업병 - 중피종
    중피종은 석면 노출이 주요 원인이며 20~50년의 잠복기를 거쳐 흉막, 복막 등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진단은 영상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지고 수술, 항암 치료 등을 병행하며 예후는 좋지 않다.
과민성 폐장염
개요
만성 과민성 폐장염의 조직학적 소견
만성 과민성 폐장염의 조직학적 소견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
진료 분야호흡기내과
산업 안전 보건
산업 의학
면역학
동의어알레르기성 폐포염
백파이프 폐
외인성 알레르기성 폐포염 (EAA)
증상호흡곤란
발열
오한
기침
피로
체중 감소
발병 시기노출 유형에 따라 수 시간에서 수 년
지속 기간노출 유형에 따라 수 시간에서 수 년
유형급성, 아급성, 만성 또는 섬유화 vs. 비섬유화
원인농업, 식품 가공, 동물 취급 및 다양한 직업 환경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호흡기 항원
합병증만성 간질성 폐질환
진단가정 및 환경 노출 이력 조사 후 영상 촬영, 폐활량 측정, 혈청 검사, 기관지 내시경 검사, 심지어 폐 생검.
감별 진단특발성 폐섬유증
직업성 천식
사르코이드증
예방항원 노출 회피
치료항원 노출 회피 및 때로는 스테로이드
추가 정보
PMID32764556
ISSN2056-676X

2. 징후 및 증상

과민성 폐장염(HP)은 발병 기간에 따라 급성, 아급성, 만성으로 분류된다.[51] 증상은 노출된 사람 중 극소수에게서 나타나며, 대부분 노출 및 감작으로부터 수 주에서 수 개월이 걸린다.

과민성 폐렴의 주요 유형 및 증상
유형주요 증상 및 특징
급성유발 항원에 과도하게 노출된 후 4~6시간 동안 발열, 오한, 권태감, 기침, 가슴 답답함, 호흡곤란, 발진, 부기,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항원 노출을 중단하면 12시간에서 수일 이내에 해결된다.
아급성점차적으로 생산적인 기침, 호흡곤란, 피로, 식욕 부진, 체중 감소, 흉막염 이 발생한다. 증상은 급성 형태와 유사하지만 덜 심각하고 더 오래 지속된다.
만성기침, 진행성 호흡곤란, 피로, 체중 감소가 서서히 시작된다. 곤봉지가 나타날 수 있고, 빈호흡, 호흡 곤란, 하부 폐 영역에서의 흡기 시 수포음이 나타날 수 있다.



과민성 폐장염은 특정 환경과 관련하여 발병하며, 환경에서 벗어나면 자연스럽게 회복되는 것이 특징[45]이므로 가족 내 발병 사례도 많다.[32] 동일 가족 내에서도 발병에 차이가 있으며, 개인차의 원인으로 백혈구의 유전자형의 관여가 추정된다.[32] 천식이나 계절성 알레르기는 해당 질환 발병의 원인이 되지 않는다.[33]

외인성 알레르기성 폐포염이나 과민성 폐장염이라고도 불리며, 애조가 폐(조류 사육병), 농부 폐, 와인 생산자 폐와 같이 직업명 등에 "폐"를 부가한 질환명으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33]

주요 과민성 폐렴
병명원인 항원
여름형 과민성 폐렴[34]가옥의 트리코스포론
주거 관련 과민성 폐렴가옥의 진균(협의로는 트리코스포론 이외)
조류 사육병・조류 관련 과민성 폐렴조류 분변, 깃털 제품(다운 재킷, 깃털 이불)
농부 폐목초에 증식하는 호열성 방선균
도장공 폐페인트에 포함된 이소시아네이트
가습기가습기에 증식하는 세균・진균
버섯 재배자 폐버섯 포자, 재배 환경의 세균・진균


2. 1. 급성

과민성 폐장염의 급성 형태에서는 유발 항원에 과도하게 노출된 후 4~6시간 동안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증상으로는 발열, 오한, 권태감, 기침, 가슴 답답함, 호흡곤란, 발진, 부기, 두통 등이 있다. 이미 감작된 사람이 고농도의 항원을 흡입하면 급성으로 발생한다. 노출 후 4~8시간 정도에 발열, 오한, 기침, 답답한 흉통,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식욕 부진, 메스꺼움, 구토를 보이는 경우도 있다.[33] 항원으로부터 격리되면 증상은 12시간에서 수일 이내에 빠르게 호전된다.[52]

2. 2. 아급성

아급성 과민성 폐장염 환자는 점차적으로 생산적인 기침, 호흡곤란, 피로, 식욕 부진, 체중 감소, 흉막염 증세를 보인다. 이러한 증상은 급성 형태와 유사하지만 덜 심각하고 더 오래 지속된다.[53] 반복적인 급성 발작을 경험한 환자에게서 이러한 소견이 나타날 수 있으며, 수일에서 수 주에 걸쳐 기침, 호흡 곤란, 피로, 식욕 부진이 나타나기도 한다. 때로는 만성 형태의 증상과 급성 형태의 증상이 겹쳐 나타나기도 한다.[33]

2. 3. 만성

만성 과민성 폐장염 환자는 종종 급성 발병의 병력이 없다. 기침, 진행성 호흡곤란, 피로, 체중 감소가 서서히 시작된다. 이는 부분적이거나, 완전하지만 점진적인 가역성과 관련이 있다. 더 이상의 노출을 피하는 것이 좋다. 곤봉지는 환자의 50%에서 관찰된다.[5] 빈호흡, 호흡 곤란, 하부 폐 영역에서의 흡기 시 수포음이 자주 나타난다.[5]

저농도의 항원에 수 개월에서 수 년 동안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염증이 만성화되어 폐가 굳어지는 섬유화가 발생한다. 운동 시 호흡 곤란, 습성 기침, 피로, 체중 감소가 수 개월에서 수 년에 걸쳐 나타난다.[33] 만성 과민성 폐장염은 특발성 간질성 폐렴, 특히 특발성 폐섬유증 및 비특이성 간질성 폐렴과 유사한 임상상을 보인다. 항원으로부터 격리해도 치유되지 않고, 폐의 섬유화 및 기종화가 진행되어 예후가 불량하며 만성 폐쇄성 폐 질환으로 이어진다.[47] 실제로 과민성 폐장염은 많은 환자가 저산소증을 경험한다는 점에서 폐 섬유화와 관련하여 종종 IPF와 유사할 수 있다.[26]

3. 병태생리학

과민성 폐렴은 항원 흡입을 포함하며, 이는 과장된 면역 반응(과민증)으로 이어진다. 원인에 따라 3형 과민반응과 4형 과민반응이 모두 나타날 수 있다.[56][6][7] 일반적으로 급성 과민성 폐렴(HP)은 3형 과민반응에 기인하는 것으로 의심되며, 아급성 및 만성 유형은 T 세포 침윤 및 육아종 형성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의심된다.[25]

항원 노출에 대해 개인이 다르게 반응하므로 정확한 메커니즘은 불분명하지만, 유전적 요인 및 숙주 요인이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1] 일부 사람들은 임상 소견 없이 항원 노출에 정상적인 반응을 보이는 반면, 다른 사람들은 과도한 면역 반응을 경험하는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문헌에서는 두 차례 타격 가설을 자주 언급한다. 이 가설에서 "첫 번째 타격"은 유전적 감수성 및 주변 환경 요인으로 제안되며, "두 번째 타격"은 과도한 면역 반응을 유발하는 항원의 호흡기 시스템 도입이다.[28]

4. 원인 물질

과민성 폐장염은 항원 흡입으로 인해 과장된 면역 반응(과민증)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3형 과민반응과 4형 과민반응이 모두 원인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56]

300가지가 넘는 원인 물질이 확인되었으며,[35] 이 중 많은 수는 진균(곰팡이)[35], 애완동물 유래의 유기 분진이다. 페인트[43], 우레탄 폼[44], 농약[33] 등도 원인이 될 수 있다.

곰팡이는 주로 청소가 불충분한 에어컨, 온수 욕조, 가습기, 실내 화분 등에서 발생한다.[36] 직업성 질환으로는 농부 폐[37]가 대표적인데, 축산용 건조 사료(곰팡이가 핀 곡물, 저장 목초), 어분 먼지[33], 버섯 포자(버섯 재배자 폐)[38][33], 농약(황산동)[33], 동물 모피의 먼지 등이 원인이 된다. 동물 유래 원인 물질로는 실내에서 사육하는 조류, 인근 야생 조류, 닭똥 비료, 깃털 제품(다운 재킷, 깃털 이불[39][40]) 등이 있다. 화학 물질 중에서는 이소시아네이트[43][44]가 원인 물질로 알려져 있다.

4. 1. 주요 과민성 폐렴

과민성 폐장염은 유발하는 항원에 따라 여러 다른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다음은 주요 과민성 폐렴의 유형, 특정 항원, 노출 경로를 정리한 표이다.[11]

유형특정 항원노출
조류 사육사 폐(Bird fancier's lung)
(조류 사육사 폐, 비둘기 사육사 폐, 가금류 작업자 폐라고도 함)
조류 단백질깃털 및 조류 배설물[12]
바가소시스(Bagassosis)
(곰팡이가 핀 당밀에 노출)
호열성 방선균[12]곰팡이가 핀 바가스(압착된 사탕수수)
Cephalosporium HP Cephalosporium오염된 지하실(하수도)
치즈 세척공 폐Penicillium casei[12] 또는 P. roqueforti치즈 케이싱
화학 작업자 폐 – 이소시아네이트 HP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DI) 또는 메틸렌 비스페닐 이소시아네이트(MDI)페인트, 수지 및 폴리우레탄 폼
화학 작업자 폐[12] – 트리멜리트산 무수물(TMA) HP트리멜리트산 무수물[12]플라스틱, 수지 및 페인트
커피 작업자 폐커피 원두 단백질커피 원두 먼지
퇴비 폐Aspergillus퇴비
세제 작업자 질환Bacillus subtilis 효소세제
농부 폐(Farmer's lung)곰팡이곰팡이가 핀 건초
온수 욕조 폐Mycobacterium avium 복합체온수 욕조에서 발생하는 미스트
가습기 폐박테리아고인 물에서 기계가 생성하는 미스트
일본 여름철 주택 HP
(일본 여름형 HP라고도 함)
Trichosporon cutaneum축축한 나무와 매트
실험실 작업자 폐수컷 쥐 소변 단백질실험실 쥐
Lycoperdonosis말불버섯 포자성숙한 말불버섯의 포자 먼지[13]
맥아 작업자 폐Aspergillus clavatus[12]곰팡이가 핀 보리
단풍나무 껍질 질환Cryptostroma corticale[12]곰팡이가 핀 단풍나무 껍질
금속 가공 유체 HP비결핵성 미코박테리아금속 가공 유체에서 발생하는 미스트
제분공 폐Sitophilus granarius (밀 바구미)[12]먼지로 오염된 곡물[12]
연체동물 껍질 HP수생 동물 단백질연체동물 껍질 먼지
버섯 작업자 폐호열성 방선균버섯 퇴비
이탄 이끼 작업자 폐Monocillium sp.Penicillium citreonigrum에 의해 발생이탄 이끼
뇌하수체 냄새 흡입자 폐뇌하수체 흡입제약물(요붕증)
사우나 작업자 폐Aureobasidium, Graphium spp오염된 사우나 물
세콰이아증Aureobasidium, Graphium spp레 Redwood 껍질, 톱밥
Streptomyces HPStreptomyces albus오염된 비료
수베로시스(Suberosis)Penicillium glabrum (이전에는 Penicillium frequentans로 알려짐)곰팡이가 핀 코르크 먼지
수돗물 HP알 수 없음오염된 수돗물
초가집 질환Saccharomonospora viridis말린 풀
담배 작업자 폐Aspergillus spp곰팡이가 핀 담배
트롬본 연주자 폐(금관 악기 연주자 폐)Mycobacterium chelonae악기 내부의 다양한 미코박테리아[14][15]
와인 재배자 폐Botrytis cinerea 곰팡이곰팡이가 핀 포도
목공 작업자 폐Alternaria, Penicillium spp펄프, 먼지



이러한 유형 중 농부 폐와 조류 사육사 폐가 가장 흔하다.[5]

한국에서는 다음과 같은 과민성 폐렴이 주로 발생한다.


  • 여름형 과민성 폐렴[34]: 가옥의 트리코스포론이 원인 항원이다.
  • 주거 관련 과민성 폐렴: 가옥의 진균(트리코스포론 이외)이 원인이다.
  • 조류 사육병・조류 관련 과민성 폐렴: 조류 분변, 깃털 제품(다운 재킷, 깃털 이불)이 원인이다.
  • 농부 폐: 목초에 증식하는 호열성 방선균이 원인이다.
  • 도장공 폐: 페인트에 포함된 이소시아네이트가 원인이다.
  • 가습기 폐: 가습기에 증식하는 세균・진균이 원인이다.
  • 버섯 재배자 폐: 버섯 포자, 재배 환경의 세균・진균이 원인이다.

4. 2. 원인 물질의 예

과민성 폐장염은 유발하는 항원에 따라 여러 다른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다음은 그 예시이다.

유형[11]특정 항원노출
조류 사육사 폐(Bird fancier's lung)
조류 사육사 폐, 비둘기 사육사 폐, 가금류 작업자 폐라고도 한다.
조류 단백질깃털 및 조류 배설물[12]
바가소시스(Bagassosis)
곰팡이가 핀 당밀에 노출
호열성 방선균[12]곰팡이가 핀 바가스(압착된 사탕수수)
Cephalosporium HP Cephalosporium오염된 지하실(하수도)
치즈 세척공 폐Penicillium casei[12] 또는 P. roqueforti치즈 케이싱
화학 작업자 폐 – 이소시아네이트 HP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DI) 또는 메틸렌 비스페닐 이소시아네이트(MDI)페인트, 수지 및 폴리우레탄 폼
화학 작업자 폐[12] – 트리멜리트산 무수물(TMA) HP트리멜리트산 무수물[12]플라스틱, 수지 및 페인트
커피 작업자 폐커피 원두 단백질커피 원두 먼지
퇴비 폐Aspergillus퇴비
세제 작업자 질환Bacillus subtilis 효소세제
농부 폐(Farmer's lung)곰팡이곰팡이가 핀 건초
온수 욕조 폐Mycobacterium avium 복합체온수 욕조에서 발생하는 미스트
가습기 폐박테리아고인 물에서 기계가 생성하는 미스트
일본 여름철 주택 HP
일본 여름형 HP라고도 한다.
Trichosporon cutaneum축축한 나무와 매트
실험실 작업자 폐수컷 쥐 소변 단백질실험실 쥐
Lycoperdonosis말불버섯 포자성숙한 말불버섯의 포자 먼지[13]
맥아 작업자 폐Aspergillus clavatus[12]곰팡이가 핀 보리
단풍나무 껍질 질환Cryptostroma corticale[12]곰팡이가 핀 단풍나무 껍질
금속 가공 유체 HP비결핵성 미코박테리아금속 가공 유체에서 발생하는 미스트
제분공 폐Sitophilus granarius (밀 바구미)[12]먼지로 오염된 곡물[12]
연체동물 껍질 HP수생 동물 단백질연체동물 껍질 먼지
버섯 작업자 폐호열성 방선균버섯 퇴비
이탄 이끼 작업자 폐Monocillium sp.Penicillium citreonigrum에 의해 발생이탄 이끼
뇌하수체 냄새 흡입자 폐뇌하수체 흡입제약물(요붕증)
사우나 작업자 폐Aureobasidium, Graphium spp오염된 사우나 물
세콰이아증Aureobasidium, Graphium spp레 Redwood 껍질, 톱밥
Streptomyces HPStreptomyces albus오염된 비료
수베로시스(Suberosis)Penicillium glabrum (이전에는 Penicillium frequentans로 알려짐)곰팡이가 핀 코르크 먼지
수돗물 HP알 수 없음오염된 수돗물
초가집 질환Saccharomonospora viridis말린 풀
담배 작업자 폐Aspergillus spp곰팡이가 핀 담배
트롬본 연주자 폐(금관 악기 연주자 폐)Mycobacterium chelonae악기 내부의 다양한 미코박테리아[14][15]
와인 재배자 폐Botrytis cinerea 곰팡이곰팡이가 핀 포도
목공 작업자 폐Alternaria, Penicillium spp펄프, 먼지



이러한 유형 중 농부 폐와 조류 사육사 폐가 가장 흔하다. 연구에 따르면 농부의 경우 연간 10만 명당 8-540건, 비둘기 사육사의 경우 연간 10만 명당 6,000-21,000건의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5] 산발적인 발병 시 높은 발병률이 문서화된다. 유병률은 지역, 기후 및 농업 관행에 따라 다르다. 과민성 폐장염은 농업 인구의 0.4–7%에 영향을 미친다.[5] 조류 애호가 사이의 보고된 유병률은 위험에 처한 10만 명당 20-20,000건으로 추정된다.[5]

300가지가 넘는 원인 물질이 확인되었다.[35] 이중 많은 수는 진균(곰팡이)[35], 애완동물 유래의 유기 분진이 항원이 되지만, 페인트[43], 우레탄 폼[44], 농약[33] 등도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곰팡이 발생원으로는 청소가 불충분한 에어컨, 온수 욕조, 가습기, 실내 화분 등이 있다.[36] 일본에서 가장 많은 것은 여름형 과민성 폐렴이며, 진균이나 담자균의 트리코스포론속(''Trichosporon cutaneum'', ''Trichosporon asahii'', ''Trichosporon. mucoides'')이 원인 항원이 되어 하계(4월부터 10월)에 발생한다.

직업성 질환으로는 농부 폐[37]가 있는데, 축산용 건조 사료(곰팡이가 핀 곡물, 저장 목초), 어분 먼지[33], 버섯 포자(버섯 재배자 폐)[38][33], 농약(황산동)[33], 동물 모피의 먼지 등이 원인이 된다.

동물 유래의 원인 물질은 실내에서 사육하는 조류가 많지만, 인근의 야생 조류, 닭똥 비료, 깃털 제품(다운 재킷, 깃털 이불[39][40]) 등의 의류도 원인이 된다.

화학 물질로는 이소시아네이트[43][44]가 원인이 될 수 있다.

5. 역사

과민성 폐장염은 외인성 알레르기성 폐포염이라고도 불리며, 특정 환경에 노출되었을 때 발생하는 폐 질환이다. 원인 항원에 따라 조류 사육병, 농부 폐, 와인 생산자 폐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33]


  • 1920년대 영국에서 농부 폐가 처음 보고되었으며, 당시에는 직업성 발열 질환으로 여겨졌다.[45]
  • 1950년대에 면역학적 연구를 통해 알레르기 질환임이 밝혀졌다.[45]
  • 1960년대 일본에서 사탕수수 폐, 농부 폐, 조류 사육병 등이 보고되었다.
  • 1973년경 일본에서 하절기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재발성 폐 질환이 보고되었다.
  • 1977년 일본 관서 지방에서 하절기 과민성 폐렴 42건이 보고되었다.[46]
  • 1991년 일본에서 전국적인 조사가 처음 실시되었다.
  • 1999년 일본에서 만성형 과민성 폐렴에 대한 조사가 실시되었다.

6. 진단

알레르기 항원 노출 병력과 임상 검사를 통해 과민성 폐장염을 진단한다. 의사는 염증 징후 확인을 위해 혈액 검사를 하고, 흉부 엑스레이 및 폐 기능 검사로 폐 기능 손실 여부를 확인한다.[57][58] 만성 과민성 폐렴은 폐 생검을 통해 림프구에 의한 간질 확장, 다핵 거대 세포, 느슨한 육아종 등을 확인할 수 있다.[57][58]

이 질환은 단일하고 보편적인 진단 기준이 없어, 여러 소견을 종합하여 임상적으로 판단한다.[8][26] 상세한 노출 이력 확인, 영상 검사, 조직 병리학, 폐 기능 검사, 혈청 검사, 기관지경 검사 등 일련의 임상 검사를 통해 진단한다.[26][8] 2020년 미국 흉부 학회, 일본 호흡기 학회, 라틴 아메리카 흉부 협회에서 공식 가이드라인을 발표했으며, 고해상도 컴퓨터 단층 촬영을 이용한 진단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방식을 제공한다.[8]

주거 환경, 직업력, 영상 소견을 통해 과민성 폐장염을 의심하며, 흉부 X-선 및 고해상도 CT(HRCT), 폐 기능 검사, 기관지 폐포 세척, 조직학적 검사, 혈청학적 검사, 환경 유발 시험을 조합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한다.

6. 1. 진단 기준

진단은 알레르기 항원에 노출된 후 증상의 병력과 임상 검사를 기반으로 한다. 의사는 염증 징후를 확인하기 위해 혈액 검사를 할 수 있으며, 흉부 엑스레이 및 폐 기능 검사도 진행할 수 있다. 환자는 제한적인 폐 기능 손실을 보인다.[57][58]

생검은 만성 과민성 폐렴의 경우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폐 생검에서 만성 과민성 폐렴의 주요 특징은 간헐적으로 다핵 거대 세포 또는 느슨한 육아종이 동반되는 림프구에 의한 간질 확장이다.[57][58]

이 질환에 대한 단일하고 보편적인 진단 기준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여러 소견을 조합하여 임상적 판단을 통해 진단이 이루어진다.[8][26] 일반적으로 상세한 노출 이력을 확인한 다음, 영상 검사, 조직 병리학, 폐 기능 검사, 혈청 검사, 기관지경 검사 등을 포함한 일련의 임상 검사를 통해 진단한다.[26][8] 2020년에는 미국 흉부 학회(American Thoracic Society), 일본 호흡기 학회(Japanese Respiratory Society), 및 라틴 아메리카 흉부 협회(Asociación Latinoamericana del Tórax)에서 공식 가이드라인이 발표되었으며, 이 가이드라인은 고해상도 컴퓨터 단층 촬영에 의존하는 과민성 폐장염 진단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방식을 제공한다.[8]

주거 환경, 직업력, 영상 소견을 통해 과민성 폐장염을 의심하며, 흉부 X-선 및 고해상도 CT(HRCT), 폐 기능 검사, 기관지 폐포 세척, 조직학적 검사, 혈청학적 검사, 환경 유발 시험을 조합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한다.

급성 과민성 폐장염의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다.[30]

급성 과민성 폐장염 진단 기준[30]
구분항목내용
임상 증상 및 소견1. 기침다음 중 2개 이상 해당2. 숨 가쁨3. 발열4. 염발음 또는 소수포성 라음
검사 소견1. 흉부 X선상 미만성 산포성 입자 음영(또는 유리 모양 음영)다음 중 1개 이상 해당2. 구속성 환기 기능 장애3. 혈침치 항진, 호중구 증가, CRP 양성 중 하나4. 저산소 혈증(안정 시 또는 운동 후)
발병 환경1. 여름형 과민성 폐장염은 하절기(5~10월)에 고온 다습한 주택에서 발생다음 중 1개 이상 해당2. 조류 사육병은 조류 사육 또는 깃털과 관련하여 발생3. 농부 폐는 곰팡이가 핀 마른 풀 취급과 관련하여 발생4. 공조병, 가습기 폐는 이러한 기기의 사용과 관련하여 발생5. 유기진애 항원에 노출되는 환경에서의 생활력6. 특정 화학 물질과 관련하여 발생
면역학적 소견1. 항원에 대한 특이 항체 양성(혈청 또는 BAL액 중)다음 중 1개 이상 해당2. 특이 항원에 의한 림프구 증식 반응 양성(말초 혈액 또는 BAL 림프구)3. BAL 소견(림프구 증가, T 림프구 증가)
흡입 유발1. 특이 항체 흡입에 의한 임상상의 재현다음 중 1개 이상 해당2. 환경 노출에 의한 임상상의 재현
병리학적 소견1. 육아종 형성다음 중 2개 이상 해당2. 격막염3. Masson체


  • 확실: A, B, D 또는 A, B, C, E를 만족하는 경우
  • 강한 의심: A를 포함하는 3개 항목을 만족하는 경우
  • 의심: A를 포함하는 2개 항목을 만족하는 경우


증상은 항원 노출 4~8시간 후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환경에서 벗어나면 자연스럽게 경감된다.

6. 2. 영상 소견

흉부 방사선 촬영과 고해상도 CT(HRCT)에서 모두 정상 소견이 나타날 수 있지만[5][8], 특징적인 소견이 나타나기도 한다. 급성 과민성 폐장염에서는 하부 및 중부 폐 구역에서 경계가 불분명한 미세 결절성 간질 패턴 및 유리 음영(ground-glass opacities)이 나타날 수 있다. 아급성 과민성 폐장염에서는 중부에서 하부 폐 구역에 망상 결절성 혼탁이 나타날 수 있다.[5] 만성 형태는 섬유성 변화를 보이며 특발성 폐 섬유증과 유사하게 나타날 수 있다.[26]

흉부 CT에서 과민성 폐장염은 섬유화 소견과 비섬유화 소견의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비섬유화 형태는 간유리 음영, 모자이크 감쇠, 경계가 불분명한 중심 소엽 결절(5mm 미만), 공기 포획을 특징으로 한다.[8] 섬유화 형태는 불규칙한 선상 음영/거친 망상 음영, 견인성 기관지 확장증, 벌집 폐, 얼룩덜룩한 간유리 음영, 중심 소엽 결절, 모자이크 감쇠를 특징으로 한다.[8][16] 삼중 밀도 패턴(헤드 치즈 징후)은 폐의 한 영역에서 세 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유형의 감쇠를 나타내는 방사선학적 징후로, 섬유화 유형의 전형적인 징후일 수 있다.[8]

급성 및 아급성 흉부 X선 사진에서는 양쪽 폐에 걸쳐 나타나는 미만성의 과립상 음영, 유리 조각 음영이 관찰된다. 특히 에서는 특징적인 소엽 중심성 과립상 음영과 폐야 농도 상승이 관찰된다. 만성형 흉부 X선 및 CT에서는 양쪽 폐에 걸쳐 나타나는 미만성의 선상 망상 음영과 폐 위축이 관찰된다.

6. 3. 검사 소견

과민성 폐장염 진단은 알레르기 항원에 노출된 병력과 임상 검사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의사는 염증 징후를 확인하기 위해 혈액 검사를 하고, 흉부 엑스레이 및 폐 기능 검사를 할 수 있다. 환자는 폐 기능이 제한적으로 손실되는 모습을 보인다.[57][58]

만성 과민성 폐렴의 경우 폐 생검이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폐 생검을 통해 림프구에 의한 간질 확장과 다핵 거대 세포 또는 느슨한 육아종을 확인할 수 있다.[57][58]

과민성 폐장염에 대한 단일하고 보편적인 진단 기준은 없기 때문에, 여러 소견을 조합하여 임상적 판단을 내린다.[8][26] 일반적으로 상세한 노출 이력을 확인하고, 영상 검사, 조직 병리학, 폐 기능 검사, 혈청 검사, 기관지경 검사 등을 포함한 일련의 임상 검사를 통해 진단한다.[26][8] 2020년에는 미국 흉부 학회, 일본 호흡기 학회, 라틴 아메리카 흉부 협회에서 공식 가이드라인을 발표했으며, 이 가이드라인은 고해상도 컴퓨터 단층 촬영을 이용한 과민성 폐장염 진단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방식을 제공한다.[8]

폐기능 검사(PFT)는 제한성 폐쇄 패턴을 나타낼 수 있지만,[5] 제한성 또는 폐쇄성 패턴, 혹은 두 패턴 모두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폐기능 검사는 진단보다는 의심되는 항원을 제거하거나 추가한 후 폐 기능의 개선 또는 악화를 추적하는 데 유용하다.[26] 또한 일산화탄소에 대한 폐의 확산 능력 감소(DLCO)를 나타낼 수 있다.

혈청 IgG 검사는 항원 노출 가능성을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되며 노출의 지표로 사용된다.[8][7] 그러나 항원에 노출되었지만 질병이 없는 사람들에게서도 혈청 항체 수치가 종종 상승하기 때문에 확진 진단을 내리는 데는 한계가 있다.[8][26][5] 항원에 노출된 사람의 최대 90%가 침강체를 가지고 있지만, 유사하게 노출되었음에도 증상이 없는 사람 중 50%만이 동일한 침강체를 가지고 있다.[7] 많은 항원에 대한 검사 시약 부족으로 인해 혈청 침강체 검사에서 거짓 음성이 흔하게 나타난다.[26]

진균 또는 조류 항원에 대한 침강 IgG 항체는 전통적인 Ouchterlony 면역 확산법을 사용하여 실험실에서 검출할 수 있다. 그러나 시간이 오래 걸리고 노동 집약적인 침강법은 자동화된 IgG 항체 검사로 대체되었다. 이러한 검사는 아스페르길루스 푸미가투스(농부 폐 또는 ABPA) 또는 조류 항원(조류 사육자 폐)을 포함한 다양한 잠재적 유발인자에 대한 IgG 항체를 검출할 수 있으며, ImmunoCAP 또는 IMMULITE와 같은 자동 면역 분석 시스템에서 일상적으로 수행된다.[21][22]

주거 환경, 직업력, 영상 소견을 통해 과민성 폐장염을 의심하며, 흉부 X-선 및 고해상도 CT(HRCT), 폐 기능 검사, 기관지 폐포 세척, 조직학적 검사, 혈청학적 검사, 환경 유발 시험을 조합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한다.

하절형 과민성 폐장염에서는 항 트리코스포론·아사히 항체가 감별에 유용하다. (민감도(의학)|민감도]] 92.3%, 특이도 92.8%)[48]

백혈구, C 반응성 단백(CRP), 적혈구 침강 속도의 현저한 상승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있다.

6. 4. 기관지 폐포 세척

기관지 폐포 세척술(BAL)은 폐 기도에서 염증을 감지하는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이다. 기관지 내시경으로 기도에서 채취한 세척액을 분석하면 T 림프구 비율 증가와 함께 총 세포 수가 증가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사르코이드증, 감염, 특발성 폐섬유증 등 다른 유사한 폐 질환을 배제하는 데 도움이 된다.[28]

세척액 내 림프구는 60%를 초과하여 증가하며, CD4+/CD8+ 비율은 1.0 미만이다. 또한, 급성 노출 후에는 비만 세포 수가 1%를 초과하고, 호중구 및 호산구가 증가한다.

6. 5. 병리조직학적 소견

생검은 만성 과민성 폐렴의 경우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진단을 시사하고 알레르겐을 찾거나 그 강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폐 생검에서 만성 과민성 폐장염의 주요 특징은 드물게 다핵 거대 세포 또는 느슨한 육아종을 동반한 림프구에 의한 간질의 확장이다.[57][58]

만성 과민성 폐장염의 조직학적 소견(저배율). 간질이 만성 염증성 침윤으로 확장되어 있다. 왼쪽 간질 내에서 두 개의 다핵 거대 세포가 보이며, 왼쪽 하단에는 조직화된 폐렴 덩어리가 있다.


급성 형태는 불완전하게 형성된 비건락성 간질 육아종과 현저한 거대 세포를 동반한 기관지 주위 분포의 단핵 세포 침윤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5] 아급성 또는 간헐적 형태는 더 잘 형성된 비건락성 육아종, 조직화 폐렴의 유무에 따른 세기관지염 및 간질 섬유증을 생성한다.[5] 콜레스테롤 절개 또는 별체가 육아종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한다.[5]

만성 과민성 폐장염에서 섬유화가 진행되면, 폐 생검에서의 감별 진단에는 특발성 간질성 폐렴이 포함된다.[20] 이 질환군에는 통상적 간질성 폐렴, 비특이성 간질성 폐렴, 특발성 폐렴 등이 포함된다.[18][19]

기관지 폐 생검을 실시하면 비건락성 육아종을 관찰하는 경우가 많다. 그 외에 림프구 침윤을 주체로 하는 소포 중격염이나, Masson체를 때때로 관찰할 수 있다. 이러한 소견을 나타내는 육아종성 간질성 폐렴이 관찰된다.

7. 감별 진단

유기 먼지 독성 증후군은 곰팡이 독소에 노출된 후 몇 시간 후에 발열, 오한과 유사하게 나타나지만, 이는 사전 감작 없이 초기 노출 시 발생하므로 진정한 과민 반응은 아니다.[5]

만성 질환의 경우, 과민성 폐장염은 매우 유사하게 나타나는 특발성 폐섬유증과 감별해야 한다.[8]

많은 경우 중복되지만, 과민성 폐장염은 직업적 노출에만 국한되지 않고, 천식은 일반적으로 제1형 과민 반응으로 분류된다는 점에서 직업성 천식과 구별될 수 있다.[23][24] 천식과 달리, 과민성 폐장염은 폐포를 표적으로 삼는다.[25]

사르코이드증은 비건락성 육아종 형성을 보이지만, 흉부 방사선 사진에서 흉부 림프절 비대가 종종 관찰된다.[8]

8. 치료

만성 노출은 영구적인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가장 좋은 치료법은 유발하는 알레르겐을 피하는 것이다. 프레드니솔론과 같은 코르티코스테로이드는 증상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59] 유발 항원과 그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노출 평가를 실시해야 한다. 집 청소는 항원 회피의 한 가지 방법이다.[10] 일부 직장 노출과 같이 회피가 불가능한 경우, 개인 보호 장비(PPE)의 사용이나 작업장의 적절한 환기를 포함한 다양한 수단을 통해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26] 만성적인 노출로 인해 심각한 말기 폐 섬유증이 발생하는 경우, 폐 이식이 유일한 실행 가능한 옵션일 수 있다.[26] 섬유성 질환에 대한 스테로이드 외에도, 다른 면역억제제 (아자티오프린, 마이코페놀산)와 항섬유화제 (닌테다닙)를 사용할 수 있지만, 그 효과는 불분명하다.[1] 급성형 또는 아급성형의 경우 염증을 억제하기 위한 투약으로는 스테로이드 투여가 일반적이지만, 예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보고가 있다.

9. 합병증

폐고혈압, 폐암

10. 예후

과민성 폐장염 환자의 장기적인 예후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미국의 한 연구에서는 사망률이 인구 백만 명당 약 0.09~0.29명 증가했지만, 구체적인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28] 수집된 결과의 대부분은 농부 폐 또는 조류 사육사 폐로 진단받은 환자에게서 얻은 것이므로, 이 자료를 다른 유형의 과민성 폐장염에 얼마나 적용할 수 있을지는 확실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급성 질환 환자의 경우, 과민성 폐장염의 예후는 노출을 피하면 매우 좋다. 그러나 아급성 또는 만성 유형, 특히 생검을 통해 섬유증이 확인된 환자의 경우 예후가 훨씬 좋지 않으며, 간질성 폐섬유증으로 진단받은 사람과 비슷한 사망률을 보인다.[28]

참조

[1] 논문 Hypersensitivity pneumonitis 2020-12
[2] 논문 Occupational hypersensitivity pneumonitis: an EAACI position paper 2016-06
[3] 논문 Extrinsic allergic alveolitis 2006-05
[4] 웹사이트 Hypersensitivity Pneumonitis: Signs and Symptoms http://www.ucsfhealt[...]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5] 논문 Hypersensitivity Pneumonitis http://www.emedicine[...] 2006-06
[6] 논문 Hypersensitivity pneumonitis 2004-09
[7] 서적 Current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https://www.worldcat[...] McGraw-Hill 2014
[8] 논문 Diagnosis of Hypersensitivity Pneumonitis in Adults. An Official ATS/JRS/ALAT Clinical Practice Guideline 2020-08
[9] 논문 Exposure assessment in hypersensitivity pneumonitis: a comprehensive review and proposed screening questionnaire 2020-07
[10] 논문 Exposure Assessment Tools for Hypersensitivity Pneumonitis. An Official American Thoracic Society Workshop Report 2020-12-01
[11] 서적 Fishman's Pulmonary Diseases and Disorders McGraw-Hill
[12] 문서
[13] 논문 Lycoperdonosis: Report of two cases and discussion of the disease
[14] 논문 Trombone player's lung: a probable new cause of hypersensitivity pneumonitis 2010-09
[15] 웹사이트 Sour Note: Sax Can Cause Lung Disease https://abcnews.go.c[...] 2018-04-04
[16] 논문 Hypersensitivity pneumonitis https://radiopaedia.[...] 2022-12-01
[17] 논문 The pathogenesis of chronic hypersensitivity pneumonitis in common with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expression of apoptotic markers 2010-10
[18] 문서 Pathology of Hypersensitivity Pneumonitis http://emedicine.med[...]
[19] 논문 Granulomatous lung disease: an approach to the differential diagnosis 2010-05
[20] 논문 Chronic bird fancier's lung: histopathological and clinical correlation. An application of the 2002 ATS/ERS consensus classification of the idiopathic interstitial pneumonias 2005-08
[21] 논문 Making the case for using the Aspergillus immunoglobulin G enzyme linked immunoassay than the precipitin test in the diagnosis of allergic bronchopulmonary aspergillosis http://www.ijaai.in/[...] 2018-04-04
[22] 문서 Aspergillus serology: Have we arrived yet? https://doi.org/10.1[...]
[23] 웹사이트 Lecture 14: Hypersensitivity http://www-immuno.pa[...] 2008-09-18
[24] 웹사이트 Allergy & Asthma Disease Management Center: Ask the Expert http://www.aaaai.org[...] 2008-09-18
[25] 서적 Robbins Basic Pathology Saunders
[26] 서적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https://www.worldcat[...] 2018
[27] 웹사이트 Hypersensitivity Pneumonitis Treatment - Conditions & Treatments - UCSF Medical Center http://www.ucsfhealt[...] 2018-04-04
[28] 논문 Hypersensitivity Pneumonitis: Insights in Diagnosis and Pathobiology http://www.atsjourna[...] 2012-08-15
[29] 논문 夏型過敏性肺炎
[30] 논문 過敏性肺炎の診断と治療
[31] 웹사이트 アレルギー性肺疾患 過敏性肺炎 http://www.jrs.or.jp[...] 日本呼吸器学会
[32] 논문 夫婦で短期間に同時発症した夏型過敏性肺炎症例
[33] 웹사이트 過敏性肺炎 https://www.msdmanua[...] MSDマニュアル プロフェッショナル版
[34] 논문 夏型過敏性肺炎
[35] 논문 住環境に起因するアレルギー
[36] 논문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Neosartorya species from house dust as hazardous indoor pollutants 1996
[37] 논문 鹿児島県で発症した農夫肺の2同胞例 https://doi.org/10.1[...] 1992
[38] 논문 職業アレルギー https://doi.org/10.1[...] 2016
[39] 논문 羽毛ふとんによる鳥飼病(羽毛ふとん肺)の臨床的検討 https://doi.org/10.1[...] 2003
[40] 논문 羽毛寝具の使用中に発症した慢性鳥飼病の3例 http://www.jrs.or.jp[...] 2006
[41] 뉴스 その難治性肺炎、ダウンジャケットが原因かも http://medical.nikke[...] 日経メディカルオンライン 2016-10-21
[42] 논문 咳嗽の診療 2016-05-15
[43] 논문 趣味の塗装により発症したイソシアネートによると考えられる過敏性肺炎の1例 http://www.jrs.or.jp[...] 2009
[44] 논문 イソシアネートによる過敏性肺炎の1例 https://doi.org/10.2[...] 1998
[45] 논문 過敏性肺炎の最近の動向 https://doi.org/10.2[...] 2016
[46] 논문 夏に発症し抗 Cryptococcus 抗体をもつ過敏性肺臓炎 (自験42例について) https://doi.org/10.1[...] 1978
[47] 논문 【原著】慢性過敏性肺炎の臨床的検討 http://www.jrs.or.jp[...] 2002
[48] 논문 2000
[49] 웹인용 Hypersensitivity Pneumonitis https://www.nhlbi.ni[...]
[50] 저널 Occupational hypersensitivity pneumonitis: an EAACI position paper 2016
[51] 웹사이트 signs and symptoms http://www.ucsfhealt[...]
[52] 웹사이트 Hypersensitivity Pneumonitis http://www.emedicine[...] 2006-06-01
[53] 웹사이트 Hypersensitivity Pneumonitis http://www.emedicine[...] 2006-06-01
[54] 웹사이트 Hypersensitivity Pneumonitis http://www.emedicine[...] 2006-06-01
[55] 웹사이트 Hypersensitivity Pneumonitis http://www.emedicine[...] 2006-06-01
[56] 저널 Hypersensitivity pneumonitis 2004-09
[57] 웹사이트 Pathology of Hypersensitivity Pneumonitis http://emedicine.med[...] 2013-05-03
[58] 저널 Granulomatous lung disease: an approach to the differential diagnosis https://archive.org/[...] 2010
[59] 웹인용 Hypersensitivity Pneumonitis Treatment - Conditions & Treatments - UCSF Medical Center http://www.ucsfhealt[...] 2018-04-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