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광주 노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주 노씨는 당나라 유주 범양 출신 노수를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노수는 877년 황소의 난을 피해 신라로 이주하여 평안도 용강에 정착했으며, 그의 후손들이 광산(현재의 광주광역시)을 관향으로 삼았다. 고려 시대에 정승을 지낸 노만을 1세조로 하는 계통과 감문위 대호군 노서를 1세조로 하는 계통으로 나뉘어 세계를 이어왔다. 광주 노씨는 조선 시대에 문과 급제자 53명, 상신 2명, 대제학 2명, 청백리 2명을 배출했으며, 주요 인물로는 노숭, 노수신, 노무현 등이 있다. 광주 노씨는 광산 노씨라고도 불리며, 경상남도 창녕군, 함경남도 갑산군, 평안북도 정주군, 전라남도 함평군 등에 집성촌을 이루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 노씨 - 노태강
    노태강은 대한민국의 공무원으로, 문재인 정부에서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을 역임했으며 2017년에 임명되었다.
  • 광주 노씨 - 노건일
    노건일은 용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은 후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공직에 입문, 충청북도지사, 내무부 차관, 교통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인하대학교, 명지대학교, 한림대학교 총장을 지냈다.
광주 노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자 표기광산 노씨
로마자 표기Gwangsan No clan
다른 이름광주 노씨(光州盧氏)
유형씨족
국가한국
지역광주
관련 인물Roh Moo-hyun
Lho Shin-yong
Noh Joo-hyun
Noh Jin-hyuk
가문 정보
관향광주광역시
원시조노수(盧穗)
시조노해(盧垓)
중시조노만(盧蔓)
노서(盧恕)
집성촌광주광역시
전라남도 함평군
경상남도 창녕군
함경남도 갑산군
평안북도 정주시
전라남도 장흥군
전라남도 담양군
주요 인물노전, 노숭, 노자형, 노수신, 노응규, 노진설, 노신영, 노정기, 노재봉, 노창희, 노성대, 노건일, 노원호, 노무현, 노재규, 노태돈, 노승락, 노성일, 노현송, 노경수, 노민기, 노연홍, 노혜경, 노관규, 노태강, 노태악, 노정희
년도2015
인구102,329명
기타 정보
광주 노씨 가문 문장
광주 노씨 가문 문장

2. 역사

광주 노씨는 중국 유주 범양(范陽) 출신으로 당나라 한림학사를 지낸 '''노수'''(盧穗)가 877년 황소의 난을 피해 아들 9형제를 데리고 신라로 이주하여 평안도 정주에 정착하였다고 한다.

2. 1. 시조 및 기원

877년 황소의 난을 피해 아들 9형제를 데리고 신라로 이주한[1] 당나라 한림학사 '''노수'''(盧穗)가 시조이다.[1] 노수는 신라 헌강왕평안도 정주에 정착하였다가[1] 이후 신라 효공왕평안도 룡강으로 옮겨 뿌리를 내렸다고 한다.[1]

그의 아들이 광산백(光山伯)에 봉해져 후손들이 그를 득관조로 하고 광산(현재의 광주광역시)을 관향으로 하였다.[1]

그 후 세계가 실전되고 고려 때 정승(政丞)을 지내고 광주군(光州君)에 봉해진 '''노만'''(盧蔓)을 1세조로 하는 계통과[1] 고려 때 감문위 대호군(監門衛 大護軍) '''노서'''(盧恕)를 1세조로 하는 계통으로 갈리어 세계를 계승하고 있다.[1]

3. 분파

광주 노씨는 크게 노만(盧鏋) 계열과 노서(盧恕) 계열로 나뉜다. 노만 계열은 규정공파(糾正公派)와 헌납공파(獻納公派)로, 노서 계열은 증손 노숭(盧崇)의 다섯 아들 대에서 양근공파(楊根公派), 참의공파(參議公派), 사간공파(司諫公派), 경력공파(經歷公派), 판관공파(判官公派)로 분파되었다.[8]

3. 1. 노만 계열


  • 규정공파(糾正公派): 파조는 노승조(盧承肇)이다.
  • 헌납공파(獻納公派): 파조는 노승관(盧承綰)이다.

3. 2. 노서 계열

노서(盧恕)의 아들은 좌우위 대호군 노단(盧亶)이고, 손자는 감찰사 지평 노준경(盧俊卿)이며, 증손자는 고려 때 전라도관찰사를 지내고 조선 태종 때 우의정을 지낸 노숭(盧崇)이다.[8] 증손 우의정 경평공(敬平公) 노숭의 다섯 아들 대에 분파하였다.

파명파조
양근공파(楊根公派)노상인(盧尙仁)
참의공파(參議公派)노상의(盧尙義)
사간공파(司諫公派)노상례(盧尙禮)
경력공파(經歷公派)노상지(盧尙智)
판관공파(判官公派)노상신(盧尙信)


4. 주요 인물


  • 노숭(盧嵩) : 조선 태종 때 검교우의정을 지냈다.
  • 노자형(盧自亨) : 조선 성종 때 성균관 대사성을 지냈다.
  • 노수신(盧守愼) : 조선 선조 때 영의정을 지냈다.
  • 노형규(盧衡奎) : 독립운동가이다.
  • 노신영(盧信永) : 대한민국 제18대 국무총리를 지냈다.
  • 노재봉(盧在鳳) : 대한민국 제22대 국무총리를 지냈다.
  • 노무현(盧武鉉) :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을 지냈다.

5. 본관 및 인구

광주는 대한민국 서남부에 있는 광역시이다. 본래 백제의 무진주(武珍州)였다. 통일신라 때 도독(都督)을 두었으며 757년(경덕왕 16) 무주(武州)로 고쳤다. 892년(진성여왕 6) 견훤후백제를 세워 도읍으로 삼았으나, 940년(고려 태조 23) 왕건이 후백제를 정벌하고 군현을 정비하면서 무진주를 광주(光州)로 개편하고 도독부를 두었다. 995년(성종 14) 관제개혁 때 해양현(海陽縣)이라 불렀고, 1259년(고종 46) 기주(冀州)라 고쳤다가 1275년(충렬왕 1) 다시 무주로 개칭하였다. 1310년(충선왕 2) 화평부(化平府)로, 1362년(공민왕 11) 무진부(武珍府)로, 1373년(공민왕 22) 광주목(光州牧)으로 개편되었다. 1430년(세종 12) 무진군으로 강등되었다가 1451년(문종 1) 광주목으로 복귀, 1489년(성종 20) 광주현으로 격하되었다가 1501년(연산군 7) 광주목으로 환원되었다. 1624년(인조 2) 광산현(光山縣)에 편입되었다가 1634년 다시 광주목으로 독립하였다.[9]

1454년(단종 2) 완성된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전라도 장흥도호부 무진군의 토성(土姓)으로 (卓)·(李)·(金)·(蔡)·노(盧)·장(張)·(鄭)·박(朴)·진(陳)·허(許)·(潘)·성(成)·(承) 13성이 기록되어 있다.[9]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나주부(羅州府) 광주군(光州郡)이 되었다가, 1896년 13도제 실시로 전라남도 도청 소재지가 되었다. 1935년 광주읍(光州邑)이 부(府)로 승격되었고, 광주군은 광산군(光山郡)이 되었다. 1949년 광주시, 1986년 광주직할시로 승격되었다. 1988년 송정시와 광산군을 흡수하여 광산구를 신설하였고, 1995년 광주광역시로 개편되었다.

광주 노씨(광산 노씨)는 노씨 중 가장 인구가 많은 본관이다. 인구는 다음과 같다.

연도광주 노씨 + 광산 노씨합계
1985년(9,481가구, 38,073명) + (8,201가구, 34,281명)72,354명
2000년(15,265가구 48,574명) + (8,747가구, 28,355명)76,929명
2015년61,809명 + 40,520명102,329명


6. 항렬자

항렬자(行列字)는 족보에서 같은 혈족의 세대 구분을 위하여 이름에 공통적으로 넣는 글자를 말한다. 광주 노씨는 계파별로 항렬자를 달리 사용한다.[7]


  • 삼사공계

○세손2425262728293031323334353637
행렬자[7]윤(潤)동(東)응(應)달(達)진(鎭)락(洛)사(思)문(文)명(命)도(道)광(光)경(敬)성(性)재(載)


6. 1. 광주군계 (중시조 노만으로 1세)

盧蔓|노만중국어을 중시조로 하는 계통이다.[7]

○세손2728293031323334353637
행렬자[7]응(應)
기(機)
흠(欽)
수(秀)
상(相)
정(正)
용(容)
희(喜)
렬(烈)
재(在)
규(圭)
지(地)
권(權)
현(鉉)
석(錫)
호(鎬)
규(奎)
태(泰)
순(淳)
영(泳)
종(鍾)
석(錫)
동(東)
식(植)
영(榮)
영(永)
규(奎)
달(達)
준(埈)
병(炳)
용(鏞)
종(鍾)
진(鎭)
섭(燮)
준(浚)
호(浩)
해(海)
기(基)
추(樞)
주(柱)
림(林)
현(鉉)
○세손38394041424344454647
행렬자[7]순(淳)주(柱)광(光)균(均)진(鎭)원(源)근(根)묵(默)주(周)호(鎬)


6. 2. 대호군계 (중시조 노서로 1세)

24세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38세39세40세
口구(九)
병(炳)
형(炯)
연(然)
口기(基)
口규(圭)
口균(均)
재(在)
종(鍾)
호(鎬)
口현(鉉)
口하(河)
口철(徹)
口원(源)
승(承)
권(權)
동(東)
口채(采)
口환(煥)
口훈(焄)
경(坰)
규(奎)
선(瑄)
口현(鉉)
口옥(鈺)
종(鍾)
원(源)
용(溶)
口호(浩)
口채(彩)
口즙(楫)
근(根)
래(來)
영(永)
口식(植)
희(熙)
후(煦)
口재(載)
口배(培)
기(錤)
기(錡)
口석(錫)
口순(淳)
口필(泌)
병(秉)
정(楨)
口수(秀)
口섭(燮)
口황(煌)
열(烈)
두(杜)
口희(熙)
규(珪)
채(綵)



○세손2425262728293031323334
행렬자[7]구(九)
병(炳)
연(然)
병(炳)
시(時)
균(均)
기(基)
규(圭)
재(在)
균(均)
진(鎭)
석(錫)
종(鍾)
호(鎬)
현(鉉)
진(鎭)
덕(德)
승(承)
하(河)
철(澈)
원(源)
택(澤)
동(東)
권(權)
채(采)
동(東)
환(煥)
연(然)
환(煥)
규(奎)
형(炯)
균(均)
준(埈)
호(鎬)
현(鉉)
종(鍾)
석(錫)
영(永)
원(源)
용(溶)
호(浩)
영(永)
주(柱)
채(彩)
근(根)
식(植)
연(然)
희(熙)
형(炯)
환(煥)


7. 집성촌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광주노씨 光州盧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논문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2014
[3]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17
[4] 웹사이트 (143)광주 노씨(光州盧氏)-48,574명 http://www.seoulecon[...] 2015-02-19
[5] 웹사이트 (135)교하 노씨(交河盧氏)-53,203명 http://www.seoulecon[...] 2015-02-19
[6] 웹사이트 소개 http://www.rohs.or.k[...] 노씨중앙종친회 2022-09-04
[7] 웹사이트 노씨(盧氏) 본관(本貫) 광산(光山)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6
[8] 간행물 태종실록 28권, 14년(1414 갑오 / 명 영락(永樂) 12년) 8월 4일(갑진)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9] 간행물 《세종실록》 151권, 지리지 전라도 장흥도호부 무진군 http://sillok.histor[...]
[10] 인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