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교사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사범은 타인에게 범죄를 저지르도록 설득, 권유, 지시, 명령, 유혹, 협박 등의 행위로 범죄 실행을 부추기는 행위를 의미한다. 교사범이 성립하려면 교사자의 교사 행위와 피교사자의 범죄 결의 및 실행 행위가 필요하며, 교사 행위는 명시적, 암시적일 수 있다. 교사범은 간접정범, 공동정범, 종범 등과 구별되며, 미수 교사, 자살 교사, 무고죄 교사, 범인도피죄 교사 등 다양한 형태의 교사 행위가 존재한다. 국제법 및 외국의 법에서도 교사 관련 규정을 두고 있으며, 특히 언론의 자유와 관련된 선동죄에 대한 규정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범죄에 관한 - 책임
    책임은 법률 위반 행위에 대한 법적 제재를 포괄하며, 고의, 과실 등을 고려하여 형사 책임, 민사 책임, 행정 책임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자기 책임론은 사회적 약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범죄에 관한 - 검사
    검사는 검찰권을 행사하는 단독관청으로, 수사기관이자 소추기관이며, 법원에 기소하여 법의 정당한 작용을 보장하며, 기소독점주의와 기소편의주의를 채택하고 있다.
  • 형법 - 속지주의
  • 형법 - 범죄
    범죄는 법률, 사회 규범, 도덕적 기준을 위반하여 개인, 공동체, 국가에 해를 끼치는 행위로, 시대와 문화에 따라 기준이 달라지며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어 여러 학문 분야에서 연구되고 매스미디어에서도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 법에 관한 - 책임
    책임은 법률 위반 행위에 대한 법적 제재를 포괄하며, 고의, 과실 등을 고려하여 형사 책임, 민사 책임, 행정 책임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자기 책임론은 사회적 약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법에 관한 - 검사
    검사는 검찰권을 행사하는 단독관청으로, 수사기관이자 소추기관이며, 법원에 기소하여 법의 정당한 작용을 보장하며, 기소독점주의와 기소편의주의를 채택하고 있다.
교사범
교사범
유형형법상의 범죄 유형
성립 요건
교사자의 행위타인을 교사하여 범죄 실행 결의를 유발하는 행위
피교사자의 행위교사자의 교사 행위로 인해 범죄 실행 결의를 일으켜 범죄를 실행하는 행위
교사자와 피교사자 간의 관계교사자의 교사 행위와 피교사자의 범죄 실행 간의 인과관계
처벌
대한민국 형법교사자를 정범과 동일하게 처벌 (제31조 제1항)
책임피교사자가 교사자의 의도와 다른 범죄를 실행한 경우, 교사자는 예견 가능한 범위 내에서만 책임 (제31조 제2항)
예외피교사자가 범죄 실행을 승낙했더라도 실행에 착수하지 않은 경우, 교사자만 처벌 (제31조 제3항)

2. 성립 조건

교사범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교사자의 교사 행위와 피교사자(정범)의 범죄 결의 및 실행 행위가 모두 필요하다.[7] 교사죄는 미수범인 공모 및 미수를 뒷받침하는 역할을 한다. 범죄 계획은 다른 사람이 가담하도록 교사하기 전까지는 한 사람의 마음에만 존재하지만, 교사 행위가 이루어지면 사회적 위험이 현실화된다. 이는 종범으로서의 교사 또는 방조죄와 중복된다.

"교사"와 "사주"라는 단어는 방조 및 교사 법 1861 제8조에서 종범의 네 가지 형태 중 두 가지로 채택되었다.[8]

2. 1. 교사자의 교사 행위

타인에게 범죄를 저지르도록 설득, 권유, 지시, 명령, 유혹, 협박 등 다양한 방법으로 범죄 실행을 부추기는 행위를 의미한다.[7] 교사죄는 범죄 행위가 완료되기 전, 즉 피해나 상해가 실제로 발생하기 전에 경찰이 개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존재한다.[7]

''R v Higgins'' 사건에서 교사죄는 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범죄를 저지르도록 교사, 사주 또는 명령할 때, 그 사람이 실제로 범죄를 저질렀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저질러지는 것으로 정의되었다.[7] ''AG’s Reference (No. 1 of 1975)'' 사건에서 위저리 대법원장은 "사주한다는 것은 노력을 통해 만들어낸다는 의미"라고 말했다.[8]

교사범은 범죄를 구성하는 행위와 그 결과에 대해 다른 사람들이 관여하도록 의도해야 하며, 다른 사람들이 관련 ''구성 요건적 고의''를 가질 것임을 알고 있거나 믿어야 한다.[9] ''R v Curr'' 사건에서 피고는 여성들에게 1945년 가족 수당법에 따른 범죄를 저지르도록 교사한 혐의를 받았지만, 검찰이 여성들이 범죄를 구성하는 ''구성 요건적 고의''를 가졌다는 것을 증명하지 못해 유죄 판결이 파기되었다.[9]

''R v Whitehouse'' 사건에서 한 아버지가 15세 된 딸에게 그와 성관계를 갖도록 교사한 혐의로 기소되었으나, 항소심에서 유죄 판결이 파기되었다.[10] Scarman LJ는 15세 소녀가 아버지와 성관계를 갖는 것은 범죄가 될 수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10]

영국 항소 법원은 ''R v Claydon'' 사건에서 이 비판을 반복했다. ''R v Pickford''를[11] 고려한 후, 항소 법원은 교사 행위의 필수 요소는 교사받은 사람이 주요 범죄를 저지를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라고 판결했다.[12]

교사는 명시적일 뿐만 아니라 암시적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할 수 있다. ''R v Fitzmaurice''에서, 설득의 필수 요소는 "보상을 암시하는 약속과 함께 제안, 제의 또는 요청"으로 충족된다고 판결되었다. ''Race Relations Board v Applin''에서, 데닝 경은 사람이 설득뿐만 아니라 위협이나 압력을 통해 다른 사람에게 행위를 교사할 수 있다고 말했다.

2. 2. 피교사자의 범죄 결의 및 실행 행위

교사자의 교사가 있어야 하며 피교사자(정범)의 범죄 결의 및 실행 행위가 있어야 한다.[7] 교사죄는 미수범인 공모 및 미수를 뒷받침한다. 범죄를 저지를 계획은 다른 사람들이 이에 가담하도록 교사하기 전까지는 한 사람의 마음속에만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시점에서 사회적 위험은 더욱 현실화된다. 이 범죄는 종범으로서의 교사 또는 방조죄와 중복된다. 초기 사건인 ''R v Higgins''에서 교사죄는 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범죄를 저지르도록 교사, 사주 또는 명령할 때, 그 사람이 실제로 범죄를 저질렀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저질러지는 것으로 정의되었다. "교사"와 "사주"라는 단어는 이후 방조 및 교사 법 1861 제8조에서 종범의 네 가지 형태 중 두 가지로 채택되었다.[8] ''AG’s Reference (No. 1 of 1975)''에서 위저리 대법원장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 사주한다는 것은 노력을 통해 만들어낸다는 의미입니다. 어떤 일이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 노력하고, 그 일이 일어나도록 적절한 단계를 밟음으로써 사주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두 사람 사이에 어떤 종류의 공모도 없고, 범죄가 어떤 형태를 취해야 하는지에 대한 합의나 논의도 없더라도 다른 사람에 의해 범죄가 저질러지도록 사주했다고 말할 수 있는 많은 경우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그러나 종범의 책임은 파생적이며, 정범에 의한 실질적인 범죄의 실행에 달려 있습니다. 이는 해악을 막기에는 너무 늦습니다. 따라서 교사죄는 경찰이 더 일찍 개입하여 위협받는 해악을 막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보존되었습니다.

3. 구별 개념

교사죄의 근거는 범죄 행위가 완료되기 전, 즉 피해나 상해가 실제로 발생하기 전에 경찰이 개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수범인 공모 및 미수를 뒷받침하는 일반적인 정당성과 일치한다. 특히 두 명 이상이 범죄 행위에 연루된 경우 상당한 중복이 발생한다. 범죄를 저지를 계획은 다른 사람들이 이에 가담하도록 교사하기 전까지는 한 사람의 마음속에만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시점에서 사회적 위험은 더욱 현실화된다. 이 범죄는 종범으로서의 교사 또는 방조죄와 중복된다.

R v Higgins영어[7] 사건에서 교사죄는 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범죄를 저지르도록 교사, 사주 또는 명령할 때, 그 사람이 실제로 범죄를 저질렀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저질러지는 것으로 정의되었다. "교사"와 "사주"라는 단어는 이후 방조 및 교사 법 1861 제8조에서 종범의 네 가지 형태 중 두 가지로 채택되었다. AG’s Reference (No. 1 of 1975)영어[8] 에서 위저리 대법원장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사주한다는 것은 노력을 통해 만들어낸다는 의미입니다. 어떤 일이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 노력하고, 그 일이 일어나도록 적절한 단계를 밟음으로써 사주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두 사람 사이에 어떤 종류의 공모도 없고, 범죄가 어떤 형태를 취해야 하는지에 대한 합의나 논의도 없더라도 다른 사람에 의해 범죄가 저질러지도록 사주했다고 말할 수 있는 많은 경우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종범의 책임은 파생적이며, 정범에 의한 실질적인 범죄의 실행에 달려 있다. 이는 해악을 막기에는 너무 늦다. 따라서 교사죄는 경찰이 더 일찍 개입하여 위협받는 해악을 막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보존되었다.

교사범은 정범에 종속되는 공범이라는 점에서, 정범으로 처벌될 수 없거나 과실범으로 처벌되는 자를 이용하여 의사를 지배하는 간접정범과 구별된다. 교사범은 행위 지배가 없는 공범이라는 점에서, 기능적 행위 지배를 하는 공동정범과 구별된다. 교사범은 타인에게 범죄 결의를 유발시킨다는 점에서, 타인의 범행 결의를 전제로 그 실행을 유형, 무형으로 원조하는 종범과 구별된다.

4. 미수의 교사 (함정수사)

피교사자가 미수에 그칠 것을 예견하면서 범죄를 교사한 경우, 피교사자는 (불능)미수범으로 처벌되지만(통설), 교사자에게 어떠한 형사 책임을 물을 수 있는지는 법리적으로 논쟁의 여지가 있다. 예를 들어, X가 Y에게 Z를 살해하도록 교사했지만, Z가 이미 사망한 상태였다면 살인은 불가능하므로 교사죄는 성립하지 않는다.

''R v Fitzmaurice'' 사건에서는 불능 방어(impossibility defence)를 제한적으로 허용했다. 이 사건에서 X는 현금 수송 차량 강도(robbery) 음모를 경찰에 알려 보상을 받으려 했고, 피고인을 모집하여 강도를 교사한 것처럼 꾸몄다. 법원은 일반적인 강도 교사는 유죄가 될 수 있지만, 구체적이지만 가상의 범죄에 대한 합의는 무죄가 될 수 있다고 판결했다.

반면, ''DPP v Armstrong'' 사건에서는 교사된 범죄의 불가능성이 유죄와 무관하다는 판결이 내려졌다.

5. 범죄가 아닌 경우의 교사

범죄가 아닌 행위의 교사는 죄가 되지 않지만, 많은 나라에서 자살교사·방조죄를 두어 자살을 교사한 경우를 처벌하고 있다.

6. 대한민국의 판례

대한민국 판례는 교사범의 성립 범위와 관련하여 다양한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 자기 형사사건의 증거 인멸을 위해 타인을 교사한 경우에도 교사범의 죄책을 진다.[42]
  • 신분 관계에 따라 형의 경중이 달라지는 경우, 신분 있는 자가 신분 없는 자를 교사하면 형법 제33조 단서가 우선 적용되어 교사범이 정범보다 중하게 처벌된다.[36]
  • 판례는 간접교사도 인정한다.[37]

6. 1. 무고죄 교사

자기 무고는 무고죄의 구성 요건에 해당하지 않으나, 피무고자의 교사하에 제3자가 피무고자에 대한 허위 사실을 공무소에 신고한 경우에는 피무고자도 무고죄의 교사범의 죄책을 진다.[24]

6. 2. 범인도피죄 교사

범인 자신이 타인에게 허위 자백을 하게 하여 자신을 도피시킨 경우 범인도피죄의 교사범이 성립한다.[25]

범인이 자신을 위하여 타인으로 하여금 허위의 자백을 하게 하여 범인도피죄를 범하게 하는 행위는 방어권의 남용으로 범인도피교사죄에 해당한다. 이 경우 그 타인이 형법 제151조 제2항에 의하여 처벌을 받지 아니하는 친족, 호주 또는 동거 가족에 해당한다 하여 달리 볼 것은 아니다.[30]

6. 3. 위증죄 교사

자기의 형사 사건에 관하여 타인을 교사하여 위증죄를 범하게 한 경우 위증죄의 교사범이 성립한다.[26] 피교사자가 위증죄가 성립하지 않으면 위증을 교사한 교사자에게도 위증교사죄는 성립하지 않는다.[27]

6. 4. 무면허 의료 행위 교사

치과의사가 환자를 많이 유치하기 위해 치과 기공사에게 내원 환자들을 진료하도록 지시하여, 치과 기공사들이 단독으로 발치, 주사, 투약 등의 진료 행위를 하였다면 무면허 의료 행위 교사범에 해당한다.[28]

6. 5. 허위 공문서 작성 교사

피고인이 건축물조사 및 가옥대장 정리업무를 담당하는 지방행정서기를 교사하여 무허가 건물을 허가받은 건축물인 것처럼 가옥대장 등에 등재하게 하여 허위공문서 등을 작성하게 한 사실이 인정된다면, 허위공문서작성죄의 교사범에 해당한다.[29]

6. 6. 친족 간 범인 도피 교사

범인이 자신을 위하여 타인으로 하여금 허위 자백을 하게 하여 범인도피죄를 범하게 하는 행위는 방어권 남용으로 범인도피교사죄에 해당한다. 이 경우 그 타인이 형법 제151조 제2항에 의하여 처벌받지 않는 친족, 호주 또는 동거 가족에 해당한다고 하여도 결과는 달라지지 않는다.[30]

6. 7. 허위 진단서 작성 교사

의사가 아닌 사람을 교사하여 허위진단서작성죄를 범하게 하면 허위진단서작성죄의 교사범이 성립한다.[31]

6. 8. 결과적 가중범의 교사

교사자가 피교사자에게 상해 또는 중상해를 교사하였는데, 피교사자가 이를 넘어 살인을 실행한 경우, 일반적으로 교사자는 상해죄 또는 중상해죄의 교사범이 된다. 하지만 교사자에게 피해자의 사망이라는 결과에 대하여 과실 또는 예견가능성이 있는 때에는 상해치사죄의 교사범으로서의 죄책을 지울 수 있다.[32][33][41] 예를 들어, 교사자가 피교사자에게 "정신 차릴 정도로 때려주라"고 교사하였다면 이는 상해에 대한 교사로 봄이 상당하다.[34]

6. 9. 교사의 고의와 정범의 실행

교사범의 교사가 정범의 범죄 실행의 유일한 조건일 필요는 없으며, 정범에게 범죄 습벽이 있더라도 교사 행위가 범죄 실행의 원인이 되었다면 교사범이 성립한다.[35][39] 교사범이 성립하려면 교사자의 교사 행위와 정범의 실행 행위가 있어야 하며, 정범의 범죄 행위 인정은 교사범 성립의 전제 조건이다.[40]

피교사자가 이미 범죄의 결의를 가지고 있을 때에는 교사범이 성립할 여지가 없다.[38]

6. 10. 교사범의 이탈

교사범이 피교사자와의 공범 관계에서 이탈하려면 피교사자가 범죄 실행 행위에 나아가기 전에 교사 행위에 의해 형성된 피교사자의 범죄 실행 결의를 해소해야 한다.[43] 이때 교사범은 피교사자에게 교사 행위를 철회한다는 의사를 표시하고 피교사자도 이에 따르거나, 교사범이 명시적으로 교사 행위를 철회하고 피교사자의 범죄 실행을 막기 위한 진지한 노력을 하여 당초 피교사자가 범죄를 결의하게 된 사정을 제거해야 한다. 즉, 객관적이고 실질적으로 보아 교사범에게 교사의 고의가 계속 존재한다고 보기 어렵고 당초의 교사 행위에 의해 형성된 피교사자의 범죄 실행 결의가 더 이상 유지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될 수 있어야 한다.[43]

이렇게 교사범이 공범 관계에서 이탈한 후 피교사자가 범죄를 저지른 경우, 이는 당초의 교사 행위가 아닌 새로운 범죄 실행 결의에 따른 것이므로 교사자는 형법 제31조 제2항에 의한 죄책은 별론으로 하고, 제31조 제1항에 의한 교사범으로서의 죄책은 지지 않는다.[43]

피교사자가 범죄 실행에 착수한 경우, 그 범행 결의가 교사자의 교사 행위에 의한 것인지는 다음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사건 전체를 객관적으로 판단한다.[44]

고려 요소
교사자와 피교사자의 관계
교사 행위의 내용 및 정도
피교사자가 범행에 이르게 된 과정
교사자의 교사 행위가 없더라도 피교사자가 범행을 저지를 다른 원인의 존재 여부



이러한 판단 방법에 의할 때, 피교사자가 교사 행위 당시에는 범행을 승낙하지 않은 것으로 보여도 이후 교사 행위에 의해 범행을 결의한 것으로 인정되면 교사범 성립에는 영향이 없다.[44]

7. 국제법 및 외국의 법

국제법상으로는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20조에서 차별, 적대 행위 또는 폭력을 선동하는 국가적, 인종적 또는 종교적 증오를 선동하는 모든 행위를 법으로 금지하고 있다.[1]

영국과 웨일스에서는 과거 관습법범죄였던 선동이 2007년 심각한 범죄법에 의해 폐지되고 범죄 조장 또는 지원에 대한 세 가지 새로운 성문법 위반 행위로 대체되었다.[5]

이스라엘 법에서는 폭력이나 테러를 선동할 목적으로 출판물을 낼 경우 선동죄가 적용되며, 이는 특정 출판물이 폭력 행위나 테러 행위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을 때에 한한다. 예상되는 처벌은 5년 징역형이다.[17] 서안 지구의 이스라엘 방위군 관리 지역에서는 군사 법률에 의해 최대 10년의 징역형을 받을 수 있다.[18][19]

터키 형법은 교사(제38조)와 방조(제39조)의 범죄를 구분하고 있으며, 교사는 방조에 관한 규정에 포함된다.

뉴질랜드에서는 범죄를 교사한 사람은 그 범죄의 공범으로 유죄이며, 범죄를 저지른 사람과 동일한 형벌을 받는다.[20]

미국에서는 미국 수정 헌법 제1조에 따라 언론의 자유가 보장되지만, 1969년 대법원 판결인 ''브란덴버그 대 오하이오'' 사건에서 제시된 임박한 불법 행위 기준에 따라 "임박한" 불법 행위의 조장은 보호되지 않는다.[22] 2021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국회의사당 공격 사건을 유발한 혐의로 탄핵되었지만, 이후 무죄 판결을 받았다.

7. 1. 국제법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20조는 차별, 적대 행위 또는 폭력을 선동하는 국가적, 인종적 또는 종교적 증오를 선동하는 모든 행위를 법으로 금지하도록 규정하고 있다.[1]

7. 2. 영국과 웨일스

영국과 웨일스에서 선동은 과거 관습법범죄였으나, 2007년 심각한 범죄법에 의해 폐지되고 범죄 조장 또는 지원에 대한 세 가지 새로운 성문법 위반 행위로 대체되었다.[5] 교사죄는 범죄 행위 이전에 경찰이 개입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한다.

교사범은 범죄 행위와 그 결과에 대한 의도를 가져야 하며, 다른 사람들의 관련 구성 요건적 고의를 인지해야 한다. ''R v Curr'' 사건[9]에서 피고의 유죄 판결은 검찰이 여성들이 범죄를 구성하는 ''구성 요건적 고의''를 가졌다는 것을 증명하지 못했기 때문에 파기되었다.

교사 행위는 명시적, 암시적일 수 있으며, 특정 개인, 그룹, 또는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할 수 있다. ''R v Marlow'' [1997] Crim LR 897 사건에서, 피고인은 대마 재배에 관한 책을 쓰고 출판하여 약 500부를 판매했는데, 항소 법원은 그 책이 다른 사람들이 해당 약물을 생산하도록 장려하거나 설득할 수 있는지에 대한 배심원 지시는 잘못되지 않았다고 판단했다.

7. 3. 이스라엘

이스라엘 법에 따르면, 폭력이나 테러를 선동할 목적으로 어떤 것을 출판하는 경우에 선동죄가 적용되며, 특정 출판물이 폭력 행위나 테러 행위를 유발할 구체적인 가능성이 있을 때에 한한다. 예상되는 처벌은 5년의 징역형이다.[17]

서안 지구의 이스라엘 방위군이 관리하는 지역에서 선동죄는 군사 법률에 의해 재판을 받으며 최대 10년의 징역형을 받는다. 이는 다음과 같이 묘사된다.

> "선동" 혐의는 군사 법률에 의해 매우 광범위하게 정의되며, 공공 안전 또는 공공 질서를 해칠 수 있는 방식으로 여론에 영향을 미치려는 모든 행위를 포함한다. . . . 선동죄는 군사 법원에서 점령에 반대하는 포스터를 걸거나 슬로건을 쓰는 등, 다른 여러 행위에 대해 팔레스타인인들을 재판하는 데 사용된다.[18][19]

7. 4. 터키

터키 형법은 교사(제38조)와 방조(제39조)의 범죄를 구분한다. 제39조 제2항 (a)호에 따르면, 교사는 방조에 관한 규정에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법은 범죄 방조가 누군가에게 범죄를 저지르도록 격려하고 그 후에 돕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여기에는 범죄에 필요한 도구를 제공하거나, 범인을 숨길 것을 약속하거나, 교사로 알려진, 이미 범죄를 저지르기로 결정한 사람을 강화하는 행위가 포함된다.

처음에는 범죄를 저지를 의사가 없었던 사람에게 범죄를 교사한 사람은 종범으로 불린다. 그들은 교사한 범죄에 대해 기소된다.

7. 5. 뉴질랜드

뉴질랜드에서는 범죄를 교사한 사람은 그 범죄의 공범으로 유죄이며, 범죄를 저지른 사람과 동일한 형벌을 받는다.[20]

다른 사람에게 실제로 저질러지지 않은 범죄를 교사한 경우, 그 사람은 실제로 저질러지지 않은 범죄를 미수한 사람과 동일한 형벌을 받는다. 이때 형벌은 해당 범죄의 최고 형벌이 종신형이면 10년 이하의 징역형이며, 그 외에는 최고 형벌의 절반까지이다.[21]

7. 6. 미국

미국 수정 헌법 제1조언론의 자유를 보장하며, 선동이 보호되는 언론의 자유의 정도는 1969년 대법원 판결인 ''브란덴버그 대 오하이오'' 사건에서 제시된 임박한 불법 행위 기준에 의해 결정된다. 법원은 불특정 미래의 사건 선동은 보호되지만, "임박한" 불법 행위의 조장은 보호되지 않는다고 판결했다. 이러한 견해는 오랫동안 확립된 법을 반영하며 연방주의자 협회, 미국 시민 자유 연합, 개인의 권리와 표현을 위한 재단과 견해를 같이 한다.[22] 2021년,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는 2021년 1월 6일 미국 국회의사당 공격 사건을 유발한 혐의로 "반란 선동"으로 탄핵되었지만, 이후 미국 상원의 소수 의견으로 무죄 판결을 받았다.

폭동 선동은 미국 연방법에 따라 불법이다.[23]

참조

[1] 법률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Article 20, 2
[2] 논문 Why have few journalists been prosecuted for incitement to war crimes? http://journals.sage[...] 2018-07-28
[3] 서적 Criminal Law https://books.google[...] Pearson Education
[4] 웹사이트 The Serious Crime Act 2007 (Commencement No. 3) Order 2008 http://www.opsi.gov.[...] 2008-09-29
[5] 법률 Serious Crime Act 2007 http://www.opsi.gov.[...]
[6] 법률 ibid.
[7] 판례 R v Higgins http://www.commonlii[...]
[8] 판례 Attorney General's Reference (No 1 of 1975)
[9] 판례 R v Curr
[10] 판례 R v Whitehouse
[11] 판례 R v Pickford
[12] 판례 R v Pickford
[13] 판례 R v Fitzmaurice
[14] 판례 Race Relations Board v Applin
[15] 판례 R v Whitehouse
[16] 판례 R v Tyrrell
[17] 논문 One Rule, Two Legal Systems: Israel's Regime of Laws in the West Bank http://din-online.in[...] The Association for Civil Rights in Israel 2014-10
[18] 논문 Limor et al
[19]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Arab-Israeli Conflict: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ABC-CLIO
[20] 법률 The Crimes Act 1961 http://www.legislati[...]
[21] 법률 The Crimes Act 1961 http://www.legislati[...]
[22] 뉴스 Judith Butler Overestimates the Power of Hateful Speech https://www.theatlan[...] The Atlantic 2017-12-12
[23] 웹사이트 18 U.S.C. § 2101 – U.S. Code Title 18. Crimes and Criminal Procedure § 2101 – FindLaw http://codes.lp.find[...] 2017-02-26
[24] 판례 2008도4852
[25] 판례 2000도20
[26] 판례 2003도5114
[27] 판례 74도1231
[28] 판례 86도749
[29] 판례 83도1458
[30] 판례 2005도3707
[31] 판례 66도1586
[32] 판례 93도1873
[33] 판례 2002도4089
[34] 판례 97도1075
[35] 판례 91도542
[36] 문서 93도1002
[37] 문서 73도3104
[38] 문서 91도542
[39] 문서 91도542
[40] 문서 99도1252
[41] 문서 2002도4089
[42] 문서 99도5275
[43] 문서 2012도7407
[44] 문서 2012도274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