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회당은 기독교 예배를 위해 사용되는 건축물로, '주님의 집'을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다. 초기 기독교 시대에는 가정 교회에서 시작하여, 바실리카 양식, 로마네스크, 고딕 건축 양식으로 발전해왔다. 르네상스, 바로크 시대를 거치며 다양한 지역과 시대에 걸쳐 독특한 건축 양식을 보여준다. 한국에서는 개화기 이후 고딕 양식의 교회당이 건립되었으며, 현대에는 서구식과 한국적 요소를 결합한 다양한 형태의 교회 건축이 나타나고 있다. 교회당은 바실리카, 대성당, 예배당, 교구 교회 등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며, 십자가 모양, 첨탑, 동쪽을 향하는 제단 등 공통적인 특징을 갖는다.
"Church"(교회)라는 단어는 '기독교 예배를 위해 지정된 집합 장소'를 의미하는 고대 영어 단어 ciriceang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게르만 조어 ''kirika''에서 파생되었다. 이것은 그리스어 kyriake (oikia)|퀴리아케 (오이키아)grc(kyriakon doma|퀴리아콘 도마grc) , '주의 집'에서 빌려온 것으로, kyrios|퀴리오스grc('지배자, 주')에서 유래되었다.[6]
한국에서 교회당 건축은 개화기 문화가 제대로 정착되기도 전에 문화유산 강탈과 강점 지배, 광복 후 좌우 대립과 한국전쟁을 겪으며 고유문화를 담아낼 기반을 잃었다. 개화기에 세워진 네오 고딕 양식의 약현성당과 명동성당이 한국 교회당의 전형이 되었다. 개화기에 여러 한옥식 교회당이 건립되었으나, 이는 건축 기술과 경제적 이유 때문으로 여겨진다.[90] 이후 근대적 교회당 건축이 시도되었으나, 외국인 신부의 개인 활동과 서구 근대 성당 건축의 영향으로 한국 문화와 지역성을 충분히 살리지 못했다. 현대에 들어 한국 건축가들의 작업이 활발하지만, 전통 양식의 정서를 표피적으로 모방하는 데 그치거나, 서구 근현대 성당의 형태와 공간 개념을 모방하는 경우가 많다.[90]
한국의 교회당 건축은 개화기 네오 고딕 양식인 약현성당과 명동성당이 주류를 이루었다.[90] 이는 한국 고유 문화가 정착되기 전 문화유산 강탈, 강점 지배, 광복 후 좌우 대립과 동족상잔의 비극을 겪으면서 고유 문화를 담아낼 기반을 잃었기 때문이다.[90] 개화기에 건축 기술과 경제적 이유로 한옥식 교회당이 건립되기도 했으나, 이후 서구 근대 성당 건축의 영향을 받아 한국 문화와 지역성을 충분히 살리지 못했다.[90] 현대에는 한국 건축가들의 작업이 활발하지만, 전통 양식의 정서를 표피적으로 모사하거나 서구 근현대 성당의 형태와 공간 개념을 모방하는 경향이 있다.[90]
한국은 개화기에 문화가 제대로 정착되기도 전에 문화유산 강탈, 강점 지배, 광복 이후 좌우사상 대립과 동족상잔의 비극을 겪었다. 한국 교회당 건축은 초기부터 고유문화를 담아낼 기반을 박탈당했으며, 네오 고딕 양식의 약현성당과 명동성당이 한국 교회당의 전형이 되었다. 개화기에 여러 한옥식 교회당이 건립되었으나, 이는 건축 기술 및 경제적 이유 때문이었다. 이후 근대적 교회당 건축이 시도되었으나, 외국인 신부의 영향과 서구 근대 성당 건축의 영향으로 한국 문화와 지역성을 충분히 살리지 못하였다. 현대에는 한국 건축가들의 작업이 활발하지만, 전통양식의 정서를 표피적으로 모사하는 경향이 있다.[90]
모더니즘 건축 이후 교회 건축은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복음주의 교회는 소박함을 특징으로 하며,[23][24] 라틴 십자가를 상징으로 사용한다.[25][26] 일부 예배는 극장, 학교 또는 다목적실을 임대하여 진행되기도 한다.[27][28][29] 교회 앞쪽에는 성가대석이 있거나 침례를 위한 별도의 방에 세례대가 있는 경우가 일반적이다.[30][31]
교회당은 신앙의 장소이며, 신자나 성직자가 모여 오랜 시간 그 안에 머물면서 신앙을 키우는 공간이므로 건물의 내부 공간 설계와 양식이 중시된다. 교파에 따라 양식이 다르며, 정교회, 가톨릭교회, 성공회는 교회당(성당) 내부를 웅장하게 장식하는 경우가 많다. 로마 제국의 동서 분열과 동서 교회의 분열은 교회당 양식에 큰 영향을 미쳐, 정교회(동방 교회)와 서방 교회(가톨릭교회 등)는 양식이 크게 다르다.
2. 어원
그리스어 kyriakon|퀴리아콘grc('주의')는 특히 동방에서 기독교 예배당으로 사용되었지만, ekklesia|에클레시아grc 또는 basilike|바실리케grc보다는 덜 일반적인 의미로 사용되었다.[7]
3. 역사
일본에서는 1549년 기독교 전래 이후 도쿠가와 막부의 기독교 금지령 이전까지 각지에 교회당이 세워졌으나, 이 시대 건물은 현존하지 않고 자료나 출토 유물로만 확인 가능하다. 당시 "교회당"은 서양 건축풍이 아니라 다다미를 깔고 불교 사찰풍 외관에 십자가를 설치한 형태였으며, "남만사" 등으로 불렸다.
본격적인 서양풍 교회는 막말 무렵부터 건축되기 시작했다. 메이지 이후 문명 개화와 함께 서양 건축 기술이 도입되면서 본격적인 서양풍 교회를 지을 기회가 무르익었다. 옛 가톨릭 교회당은 "천주"를 본떠 "'''천주당'''"이라고도 불렸다. 나가사키의 교회군 등 목조의 소박한 건물부터 벽돌 건물까지 다양한 형태로 신앙의 모습을 보여준다. 외국 선교사나 일본인이 설계한 다양한 교회당 중, 테츠카와 요스케는 전국 시대부터의 키리시탄 전통이 남아 있는 나가사키를 중심으로 규슈에 수십 채의 천주당 건축에 기여했다.[89]
전통적인 양식을 채택하지 않고 일반 건축물 수법으로 건축하거나, 임대 출점 또는 테넌트 형태로 이용되기도 한다.
3. 1. 고대
초기 기독교 시대에는 가정 교회(''domus ecclesiae'') 형태가 일반적이었으며, 3세기 후반부터 예배를 위한 건물 홀(''aula ecclesiae'')이 건설되기 시작했다.[1] 233년에서 256년 사이에 설립된 두라-유로포스 교회는 초기에 고고학적으로 확인된 기독교 교회이다.[1] 콘스탄티누스 1세 황제 치하에서 더욱 크고 정교한 교회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8]
3. 2. 중세
11세기부터 14세기까지 서유럽 전역에서 대규모 성당 및 소규모 교구 교회 건설이 일어났다. 교회는 예배 장소 외에도 지역 사회의 집회 장소로 활용되어 길드 회의, 연회, 미스터리극, 장터 등 다양한 행사가 개최되었다. 교회 부지와 건물은 곡물을 탈곡하고 저장하는 데에도 사용되었다.[90]
3. 2. 1. 로마네스크 건축
1000년에서 1200년 사이에 유럽 전역에서 로마네스크 건축 양식이 유행했다. 로마네스크 양식은 크고 육중한 건물로 정의되며, 일반적으로 단순하고 콤팩트하며 장식이 거의 없는 기하학적 구조로 구성된다. 로마네스크 교회의 특징으로는 아치, 둥글거나 팔각형의 탑, 기둥의 쿠션 주두 등이 있다. 초기 로마네스크 시대에는 천장의 코퍼가 유행했고, 같은 시대 후기에는 교차 볼트가 인기를 얻었다. 실내는 넓어졌고, 조각의 모티프는 더욱 서사적인 특징과 주제를 띠게 되었다.[90] 11세기 이후에는 바실리카 형식의 평면에 볼트 가구를 도입한 로마네스크 양식의 교회당이 지어졌다. 볼트에 의한 측벽의 면외 방향으로의 하중을 벽을 두껍게 함으로써 받는다. 지역, 종파에 따른 다양성이 있으며, 양식으로서의 통일성은 옅다.
3. 2. 2. 고딕 건축
고딕 건축 양식은 1140년경 일 드 프랑스에서 시작되어 이후 유럽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고딕 양식의 교회는 로마네스크 시대의 콤팩트한 특징을 잃었고, 장식에는 종종 상징적이고 우화적인 특징이 포함되었다. 최초의 뾰족 아치, 리브 볼트, 부벽이 나타났는데, 이들은 모두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크고 튼튼한 벽의 필요성을 줄여주는 기하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또한 창문의 크기를 늘려 더 밝고 가벼운 실내를 만들 수 있게 했다. 네이브 천장이 높아지고 기둥과 첨탑도 높아졌다. 많은 건축가들은 이러한 발전을 활용하여 구조적 가능성의 한계를 밀어붙였는데, 그 결과 의도치 않게 견고함의 경계를 초과한 설계를 가진 여러 탑이 무너졌다. 독일, 네덜란드, 스페인에서는 모든 볼트를 같은 높이로 건설하는 양식인 홀 교회를 짓는 것이 유행했다.
고딕 대성당은 로마네스크 시대와 마찬가지로 화려하게 설계되었으며 많은 부분이 로마네스크의 특징을 공유한다. 그러나 일부는 장식에서 전례 없는 수준의 디테일과 복잡성을 보여준다. 프랑스에 있는 노트르담 대성당과 랭스 대성당, 이탈리아 팔레르모에 있는 산 프란체스코 다시시 교회, 영국의 솔즈베리 대성당과 울 교회, 인도 첸나이의 산토메 교회는 고딕 대성당의 특징적인 정교한 스타일을 보여준다.
가장 잘 알려진 고딕 양식의 교회 중 일부는 이 양식이 인기를 잃은 후 수세기 동안 미완성으로 남아 있었다. 그러한 예 중 하나는 1248년에 시작되어 1473년에 중단되었고 1842년에야 재개된 쾰른 대성당의 건설이다.[11] 리브 볼트, 뾰족 아치, 플라잉 버트레스의 작용으로 로마네스크 건축의 두꺼운 벽면과는 대조적으로 벽을 최대한 줄이고 스테인드글라스로 채색된 빛이 넘치는 공간을 실현했다. 고딕 건축의 교회당은 스테인드글라스, 높은 천장 등 가장 교회당다운 형태를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3. 3. 르네상스
15세기와 16세기에 르네상스와 종교 개혁으로 인한 윤리와 사회 변화는 교회 건축에도 영향을 미쳤다. 일반적인 양식은 고딕 양식과 매우 유사했지만 단순화되었다. 바실리카는 더 이상 가장 인기 있는 교회 유형이 아니었으며, 대신 홀 교회가 건축되었다. 전형적인 특징은 기둥과 고전적인 주두이다.[12]
3. 4. 바로크 건축
바로크 건축 양식은 1575년경 이탈리아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이후 유럽의 다른 지역과 유럽 식민지로 퍼져나갔다. 바로크 시대에는 건축 산업이 크게 증가했다. 교회와 같은 건물은 부, 권위, 영향력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다. 르네상스 시대부터 알려진 형태의 사용이 극도로 과장되었다. 돔과 주두는 몰딩으로 장식되었고, 이전의 회반죽 조각은 천장의 프레스코화로 대체되었다. 처음으로 교회는 하나의 연결된 예술 작품으로 여겨졌고, 일관된 예술적 개념이 개발되었다. 긴 건물 대신 더 많은 중앙 평면 건물이 만들어졌다. 꽃 장식과 신화적 동기로 장식된 화려한 장식은 로코코 시대인 약 1720년까지 지속되었다.[13]
바로크 양식의 교회당은 로마, 스페인 등에서 많이 지어졌으며, 가톨릭 반(反) 종교 개혁을 배경으로 역동적이고 극적인 공간 구성이 특징이다.
4. 지역별 건축 양식
많은 기독교 교회 건축 양식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은 십자가 모양, 돔이나 아치형 공간, 첨탑 등이다. 또한, 정면 제단이 동쪽을 향하는 경우가 많다.
4. 1. 동방 교회
비잔틴 양식의 성당은 돔을 중심으로 하는 수직축을 중시한 공간 구성, 그리스 십자형(집중식) 평면을 취하며, 돔에는 모자이크로 그리스도상이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16] 동로마 제국(비잔틴 제국)을 통해 정교회의 성당 건축 양식으로 동유럽의 슬라브 문화권으로 퍼져나갔다.[16]
4. 1. 1.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정교회의 건축물은 비잔틴 건축을 기반으로 한다. 돔 지붕 형태에 여러 개의 세로 능선 모서리가 들어간 것이 주요 특징이며,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다른 양식을 발전시켜 왔다.
4. 1. 2. 러시아
러시아 건축에서의 성당(교회당)은 비잔틴 건축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러시아 특유의 양식과 서유럽의 영향을 받아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발전해 갔다.
4. 2. 서방 교회
로마네스크 양식의 교회당은 11세기 이후에 지어졌으며, 볼트 가구를 도입했다. 볼트에 의한 측벽의 면외 방향으로의 하중을 벽을 두껍게 함으로써 받는다. 지역, 종파에 따른 다양성이 있으며, 양식으로서의 통일성은 옅다.
고딕 양식의 교회당은 북프랑스에서 시작되어 12세기 후반부터 유럽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리브 볼트, 뾰족 아치, 플라잉 버트레스의 작용으로 로마네스크 건축의 두꺼운 벽면과는 대조적으로 벽을 최대한 줄이고 스테인드글라스로 채색된 빛이 넘치는 공간을 실현했다. 고딕 건축의 교회당은 스테인드글라스, 높은 천장 등 가장 교회당다운 형태를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르네상스 양식의 교회당은 15세기에 이탈리아에서 시작되었다. 로마 건축 양식을 부흥시켜 고전적이고 조화로운 명쾌한 양식이다.
바로크 양식의 교회당은 로마, 스페인 등에서 많이 지어졌으며, 가톨릭 반(反) 종교 개혁을 배경으로 역동적이고 극적인 공간 구성이 특징이다.
5. 한국의 교회
6.25 전쟁 이후, 남한에서는 서구식 교회 건축이 급증하였고, 특히 개신교 교회의 수가 크게 늘어났다. 이는 미국의 원조와 선교사들의 활동, 그리고 급속한 경제 성장과 도시화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최근에는 전통적인 교회 건축 양식에서 벗어나 현대적인 디자인을 채택하거나, 지역 사회와의 소통을 강조하는 교회 건축이 나타나고 있다. 일부 교회는 대형화, 상업화되면서 사회적 비판을 받기도 한다.
6. 현대 건축
메가처치와 같이 대규모 예배 공간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일부 메가처치에서는 매주 일요일 10,000명 이상이 모인다. 여의도순복음교회는 세계적으로 큰 규모의 교회 중 하나이다.[34]
7. 유형
정교회는 이콘을 배치하고, 가톨릭교회나 성공회는 스테인드글라스나 벽화를 사용하여 시각적으로 신앙을 설명하는 반면, 개신교 교회는 집회나 설교를 위한 실용적인 장소로, 장식은 억제되고 깔끔한 양식에 간소한 십자가를 설치하거나 십자가조차 놓지 않는 경우도 있다.
7. 1. 바실리카
라틴어 단어 "바실리카"는 원래 고대 로마의 포럼에 위치한 공공 건물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다.[17][18] 로마 제국이 공식적으로 기독교가 된 후, 이 용어는 교황으로부터 특별한 의례적 권한을 부여받은 크고 영향력 있는 교회로 확장되어 사용되었다.[19] 따라서 이 단어는 오늘날 건축적 의미와 교회적 의미, 두 가지 의미를 모두 가지고 있다.
고대에는 고대 로마의 집회소인 바실리카를 계승한 직사각형 형태이며, 이를 '''바실리카 양식 교회당'''이라고 부른다. 중앙 신랑 양쪽에 열주로 구분된 측랑이 있고, 정면 안쪽에는 반원형 평면의 앱스가 있는 평면 구성이다. 지붕은 목조 골조이다. 중앙 신랑의 천장은 한 단 높으며, 측벽에는 클리어스토리라고 불리는 높은 창이 있다. 후에 익랑을 추가하여 라틴 십자형을 기본으로 하는 형식을 취하게 되었다.
7. 2. 대성당 (Cathedral)
대성당은 일반적으로 로마 가톨릭 교회, 성공회, 오리엔트 정교회 또는 동방 정교회의 교회로, 주교의 좌석이 있는 곳이다. '대성당'이라는 단어는 주교의 자리인 카테드라(cathedra)에서 유래되었다. 이 용어는 때때로 규모가 큰 모든 교회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대성당 기능을 가진 교회가 반드시 큰 건물일 필요는 없다. 영국 옥스퍼드의 크라이스트 처치 대성당, 핀란드 포르보의 포르보 대성당과 같이 작을 수도 있다. 그러나, 자주 대성당은 일부 수도원 교회와 함께 해당 지역에서 가장 큰 건물이기도 했다.
대성당은 더 높은 수준의 현대 건축 양식과 숙련된 장인의 작품을 전시하는 경향이 있으며, 일반 교구 교회는 거의 갖지 못하는 교회적 및 사회적 지위를 차지한다. 이러한 교회는 일반적으로 지역에서 가장 훌륭한 건물 중 하나이며 국가 및 지역의 자부심의 원천이며,[20] 많은 대성당이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건축 작품에 속한다.[21]
7. 3. 예배당 (Chapel)
예배당(Chapel)은 대성당, 수도원, 교구 또는 기타 교회 내부의 제단이 있는 독립된 공간이거나, 더 큰 교회와 연결되지 않고 특정 병원, 학교, 대학교, 교도소, 사적인 집, 궁전, 성, 또는 기타 기관을 위해 사용되는 독립된 소규모 교회 건물 또는 방을 의미한다. 종종 소유 교회와 소규모 수도원 교회가 이 용어로 불린다.
7. 4. 교구 교회 (Parish church)
교구 교회는 교구라고 불리는 지리적 구역 내에 지역 주민들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지어진 교회이다. 가톨릭, 정교회, 성공회, 루터교 교회 건물의 대다수가 이 범주에 속한다. 교구 교회는 바실리카, 대성당, 수도원 교회, 단과 대학 교회, 순례지일 수도 있지만, 대다수의 교구 교회는 그러한 특권을 누리지 못한다.
교구 교회 외에도 각 교구는 사제관, 교구 회관, 교구 학교, 수도원과 같은 보조 조직 및 시설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는 종종 교회와 같은 구내 또는 인접한 곳에 위치한다.[2]
7. 5. 순례 교회 (Pilgrimage church)
순례가 이루어지는 교회이거나 순례 경로를 따라 위치한 교회이다. 종종 성인의 무덤, 기적적인 특성을 지닌 유물이나 성상, 마리아 발현 장소 등에 위치해 있다.[1]
7. 6. 기타
샤리아 또는 공산주의를 적용하는 세계 일부 국가에서는 기독교인에 대한 정부의 예배 허가가 복잡하다.[35][36][37] 기독교 박해로 인해 복음주의 가정 교회가 발전해왔다.[38] 예를 들어, 중국의 복음주의 가정 교회 운동이 있다.[39] 따라서, 모임은 개인 주택에서 비밀리에, "불법"으로 진행된다.[40]
8. 기타 특징
교회 건축 양식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은 십자가 모양이다. 교회는 천국을 나타내거나 주목시키기 위해 실내에 돔이나 아치형 공간을 갖는 경우가 많다. 또한 영원을 나타내는 원, 교회가 세상에 빛을 가져다주는 것을 나타내는 팔각형이나 별 모양도 흔히 볼 수 있다. 또 다른 일반적인 특징은 교회 "서쪽" 끝이나 교차부 위에 있는 높은 탑인 첨탑이다.
신앙의 장소인 교회는 신자나 성직자가 모여 오랜 시간 머물면서 신앙을 키우는 공간이므로 건물의 내부 공간 설계와 양식이 중시된다.
교파에 따라 양식이 다르다. 정교회, 가톨릭교회, 성공회의 교회당(성당) 내부는 웅장하게 장식하는 경우가 많다. 로마 제국이 395년에 동서로 분열된 것과 동서 교회의 분열의 영향으로 정교회(동방 교회)와 서방 교회(가톨릭교회 등)는 양식이 크게 다르다. 정교회는 이콘을 배치하고, 가톨릭교회나 성공회는 스테인드글라스나 벽화를 사용하여 시각적으로 알기 쉽게 신앙을 설명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 개신교 교회는 집회나 설교를 위한 실용적인 장소로, 장식을 억제하고 비교적 깔끔한 양식으로 간소한 십자가 정도만 설치하거나, 아예 십자가를 놓지 않는 경우도 있다.
8. 1. 방향
많은 기독교 교회에서 정면 제단은 동쪽 방향을 향하는 것이 일반적인 특징이다.[15] 흔히 제단은 정동쪽이 아닌 해가 뜨는 방향을 향한다. 이 전통은 4세기에 비잔티움에서 시작되어 8, 9세기에 서방 세계에서 널리 퍼졌다. 제단을 서쪽에 두고 입구를 동쪽에 두는 오래된 로마 관습은 페터스하우젠 (콘스탄츠), 밤베르크 대성당, 아우크스부르크 대성당, 레겐스부르크 대성당, 힐데스하임 대성당과 같이 프랑크족의 지배를 받던 북유럽 지역에서도 11세기까지 지켜졌다.[16]
참조
[1]
서적
Ante Pacem: Archaeological Evidence of Church Life Before Constantine
Mercer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The Manichaean Church
https://www.britanni[...]
2015-05-03
[3]
간행물
US IRS Tax Guide for Churches & Religious Organizations
https://www.irs.gov/[...]
2019-04-07
[4]
웹사이트
Church | Definition, History, & Type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6-22
[5]
서적
Law and Religious Cultural Heritage in Europe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6]
웹사이트
church {{!}} Etymology of church by etymonline
https://www.etymonli[...]
2024-11-20
[7]
웹사이트
Church
http://www.etymonlin[...]
2016-08-08
[8]
서적
The Contemporary Church and the Early Church: Case Studies in Ressourcement
https://books.google[...]
Pickwick Publications
2010-02-01
[9]
서적
Cathedrals and the Church
[10]
서적
Romanesque: Architecture, Sculpture, Painting
https://books.google[...]
h.f.ullmann
2015-04-30
[11]
서적
Gothic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00
[12]
서적
Renaissance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3-02-28
[13]
서적
Pietro Da Cortona and Roman Baroque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08
[14]
서적
Remarks on Church Architecture ...
https://books.google[...]
J. Burns
1841
[15]
웹사이트
The Institute for Sacred Architecture {{!}} Articles {{!}} Sacred Places: The Significance of the Church Building
http://www.sacredarc[...]
2017-08-16
[16]
서적
Handbuch der kirchlichen Kunst-Archäologie des deutschen Mittelalters
https://books.google[...]
Leipzig
[17]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Christian Art and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18]
웹사이트
The Institute for Sacred Architecture - Articles- The Eschatological Dimension of Church Architecture
http://www.sacredarc[...]
2016-04-08
[19]
웹사이트
basilica {{!}} Etymology, origin and meaning of basilica by etymonline
https://www.etymonli[...]
2023-08-17
[20]
문서
Batsford and Fry
[21]
서적
The Cathedral as Time Machine: Art, Architecture, and Religion
Brepols
[22]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Chapel
http://www.newadvent[...]
2005-04-10
[23]
서적
Houses of God: Region, Religion, and Architecture in the United States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4]
서적
The Globalization of Pentecostalism: A Religion Made to Travel
Wipf and Stock Publishers
[25]
서적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in the Global South, Volume 2
Rowman & Littlefield
[26]
서적
From Meetinghouse to Megachurch: A Material and Cultural History
University of Missouri Press
[27]
뉴스
Vivre grâce aux dons et au bénévolat
https://www.ledevoir[...]
2018-11-10
[28]
서적
Religious Pluralism and the City: Inquiries into Postsecular Urbanism
Bloomsbury Publishing
[29]
서적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in the United States, Volume 5
Rowman & Littlefield
[30]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Baptists
Scarecrow Press
[31]
서적
Contemporary American Religion, Volume 1
Macmillan
[32]
서적
Megachurches: Origins, Ministry, and Prospects
Wipf and Stock Publishers
[33]
뉴스
Megachurch Research - Terminology
http://www.christian[...]
2008-10-09
[34]
뉴스
From Megachurch to "Gigachurch"
http://www.cbsnews.c[...]
2012-04-06
[35]
서적
The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Volume 4
Wm. B. Eerdmans Publishing
[36]
웹사이트
Yves Mamou: «Les persécutions de chrétiens ont lieu en majorité dans des pays musulmans»
https://www.lefigaro[...]
2019-03-20
[37]
웹사이트
In Xi we trust - Is China cracking down on Christianity?
https://www.dw.com/e[...]
2018-01-19
[38]
서적
An Introduction to Pentecostalism: Global Charismatic Christian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9]
서적
Evangelicals Around the World: A Global Handbook for the 21st Century
Thomas Nelson
[40]
서적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in the Global South, Volume 2
Rowman & Littlefield
[41]
뉴스
Church conversions
http://property.time[...]
The Times
2010-04-30
[42]
웹사이트
quality food and drink
http://www.pitcheran[...]
Pitcher and Piano
2011-10-18
[43]
웹사이트
Welcome to the Family Church Christchurch Dorset
http://www.familychu[...]
The Family Church Christchurch
2011-10-18
[44]
웹사이트
Welcome to The Hope Church, Manchester... A Newfrontiers Church based in Salford, Greater Manchester UK
http://www.the-hope.[...]
The-hope.org.uk
2011-10-18
[45]
웹사이트
Jubilee Church London
http://www.jubileech[...]
2010-12-23
[46]
웹사이트
Welcome to Hillsong Church
http://hillsong.com/[...]
2016-11-25
[47]
웹사이트
CITY CHURCH NEWCASTLE & GATESHEAD – enjoying God...making friends...changing lives – Welcome
http://www.city-chur[...]
City-church.co.uk
2011-10-18
[48]
웹사이트
Aylsham Community Church
http://www.aylshamco[...]
Aylsham Community Church
2011-10-18
[49]
서적
Things are different now: A short history of Winchester Family Church
Winchester Family Church
[50]
웹사이트
ABOUT
http://www.barnabasc[...]
2016-12-05
[51]
웹사이트
Where We Meet
http://www.citychurc[...]
2016-12-05
[52]
뉴스
Local and General
Leeds Mercury
1872-06-10
[53]
뉴스
Churches Redeveloping Properties to Give Them New Life
https://www.wsj.com/[...]
The Wall Street Journal
2015-10-23
[54]
서적
The World of the Crusades: A Daily Life Encyclopedia [2 volumes]
ABC-CLIO
[55]
서적
A Quick Look at Christian History: A Chronological Timeline Through the Centuries
Harvest House Publishers
[56]
뉴스
Afghan Church Endures Amid War and Strife
https://www.wsj.com/[...]
Wall Street Journal
2016-05-31
[57]
서적
Consolata Missionaries in the World (1901-2001)
Paulines
2014-04-06
[58]
웹사이트
Somaliland's only Catholic church closed days after re-opening due to 'public pressures '
https://www.thetable[...]
[59]
서적
A Quick Look at Christian History: A Chronological Timeline Through the Centuries
Harvest House Publishers
[60]
웹사이트
How Many Churches Does America Have? More Than Expected
https://www.christia[...]
Christianity Today
2017-09-14
[61]
서적
The Churches and Democracy in Brazil: Towards a Public Theology Focused on Citizenship
Wipf and Stock Publishers
[62]
웹사이트
Religious buildings are part of Europe’s heritage. They should be part of its future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8-10-29
[63]
웹사이트
Religion: Diversity
http://www.samemory.[...]
2013-11-15
[64]
백과사전
Ani
[65]
서적
The Church, Dictatorships, and Democracy in Latin America
Wipf and Stock Publishers
2009-09-01
[66]
웹사이트
Kościoły Krakowa (The churches of Kraków)
https://web.archive.[...]
2012-12-23
[67]
학술지
onlinelibrary.wiley.com
onlinelibrary.wiley.com
2008-06-28
[68]
웹사이트
Notre-Dame de Paris fire: How safe are Montreal's heritage churches?
https://montrealgaze[...]
2021-03-13
[69]
웹사이트
Naples
http://www.red-trave[...]
Red Travel
2008-01-08
[70]
서적
Between Past and Future: Civil-military Relations in the Post-communist Balkans
Bloomsbury Academic
[71]
웹사이트
The Churches of Rome: Major and Minor
http://www.stuardtcl[...]
Stuardt Clarkes Rome
2012-01-26
[72]
서적
A history of Eastern Europe: crisis and change
Routledge
1998
[73]
서적
The Epic of New York City: A Narrative History
Basic Books
[74]
웹사이트
St. Peter's Basilica (Basilica di San Pietro) in Rome, Italy
http://www.reidsital[...]
2020-08-02
[75]
웹사이트
Global Christianity – A Report on the Size and Distribution of the World's Christian Population
https://assets.pewre[...]
Pew Research Center
[76]
저널
Christianity in the Gulf during the first centuries of Islam
https://onlinelibrar[...]
2008
[77]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Christianity in Asia
Oxford University Press
[78]
서적
The Maldives
http://dx.doi.org/10[...]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24-07-10
[79]
서적
A Quick Look at Christian History: A Chronological Timeline Through the Centuries
Harvest House Publishers
[80]
웹사이트
Christianity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22-08-13
[81]
웹사이트
Global Christianity – A Report on the Size and Distribution of the World's Christian Population
https://assets.pewre[...]
Pew Research Center
[82]
웹사이트
Faith in Antarctica – Religion in the land of eternal snow
https://polar-news.c[...]
Polar News
2016-04-27
[83]
웹사이트
Prayer on Ice: The Six Churches Giving Sermons to Scientists on Antarctica
http://motherboard.v[...]
Vice
2013-03-18
[84]
웹사이트
To the time of Constantine (71–312)
http://www.newadvent[...]
Catholic Encyclopedia
2013-11-15
[85]
웹사이트
Dura-Europos: Crossroad of Cultures
http://archive.archa[...]
Archaeology
2013-11-16
[86]
서적
Encyclopedia of the Peoples of Africa and the Middle East
Infobase Publishing
[87]
서적
Armenia
https://archive.org/[...]
Marshall Cavendish
[88]
서적
Armenian Architecture: 4th to 17th Century
Editions A. Morancé
[89]
서적
天主堂物語
新潮社
[90]
저널
한국 성당건축의 정체성 모색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