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는 한국철도 100주년을 기념하여 1999년에 제작되어 전국 100개 역과 철도박물관에 비치된 것을 시작으로, 2000년 이후에도 코레일 또는 다른 주체에 의해 추가 제작되어 비치되었다. 이 스탬프는 각 역의 매표소나 역무실에서 받을 수 있으며, 일부 역에서는 종합관광안내소에서도 제공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철도 - 광역철도
    광역철도는 둘 이상의 시·도에 걸쳐 운행하며 대도시권의 교통수요를 처리하기 위해 지정된 철도로, 대한민국에서는 특별법에 따라 지정 및 관리되며 주요 대도시권에서 운영되고 국가와 지자체가 건설 비용을 분담하고 노선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철도 - 철도박물관 (대한민국)
    철도박물관은 대한민국 의왕시에 위치하며, 철도 유물과 차량, 모형 등을 전시하고 1만 점에 달하는 소장품 중 다수가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 철도 여행 - 바다열차
    2007년부터 2023년까지 동해안 해안 절경을 감상하며 강릉시, 동해시, 삼척시를 잇는 관광 열차였던 바다열차는 도시통근형 디젤 액압 동차를 개조한 한국철도 9501계 디젤 동차를 사용하여 특실, 가족실, 스낵바 등으로 구성되었으나, 잦은 노선 변경과 차량 노후화, 지자체의 재정 지원 부족으로 인해 운행이 중단되었다.
  • 철도 여행 - 남도해양열차
    남도해양열차는 한국철도공사에서 운행하는 관광 전용 열차로, 경전선과 전라선 계통으로 운행하며, 느린 운행 속도와 다양한 객차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2.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가 비치된 역

1999년 한국철도 100주년을 기념하여 최초로 100개 역에 스탬프가 제작, 비치되었고, 이후 2000년부터 추가로 여러 역에 기념 스탬프가 설치되었다. 또한, 특정 목적을 가진 별도의 기념 스탬프들도 제작되었다.

1999년에 제작된 스탬프는 총 101종이다.[1]

2000년 이후 제작된 역은 다음과 같다.

노선
경부선용산역, 평택역, 옥천역, 심천역, 황간역, 추풍령역, 왜관역, 대구역, 경산역, 남성현역, 상동역[2], 삼랑진역[2], 원동역[2], 물금역[2], 화명역[2], 사상역[2]
경부고속선광명역[3], 천안아산역[3], 오송역[4], 김천(구미)역[4], 경주역[4], 울산역
호남선계룡역, 연산역, 강경역, 함열역, 장성역, 나주역[5], 함평역
호남고속선공주역
전라선임실역, 곡성역, 괴목역, 여천역
장항선광천역, 신창역, 온양온천역
중앙선상봉역, 운길산역, 평은역, 의성역, 탑리역, 화본역, 서경주역
경춘선화랑대역
경원선양주역, 동두천역, 백마고지역, 전곡역, 연천역
경의선임진강역, 도라산역[6], 장단역[7], 행신역, 강매역
영동선춘양역, 분천역, 양원역, 석포역, 통리역, 흥전역, 나한정역, 도계역, 망상역, 묵호역
태백선예미역, 고한역
정선선별어곡역
경전선낙동강역[8][9], 진영역[2], 함안역, 반성역, 완사역, 북천역[10], 횡천역, 득량역, 명봉역, 화순역, 서광주역
동해선부전역[2], 거제해맞이역, 거제역, 교대역, 동래역[2], 안락역, 재송역, 센텀역, 벡스코역, 신해운대역, 송정역[2], 기장역[2], 일광역, 좌천역[2], 남창역[2], 태화강역[11], 호계역[2], 나원역, 양학동역
충북선오근장역, 목행역[8]
경북선예천역, 용궁역
대구선하양역
안산선안산역, 오이도역
과천선대공원역
수인선달월역, 월곶역, 소래포구역, 인천논현역, 호구포역, 남동인더스파크역, 원인재역, 연수역, 인하대역, 숭의역, 신포역
경강선판교역, 이매역, 삼동역, 경기광주역, 초월역, 곤지암역, 신둔도예촌역, 이천역, 부발역, 세종대왕릉역, 여주역



그 외 기념 스탬프는 다음과 같다.



일부 역은 스탬프가 비치되지 않았거나, 다른 역에서 날인해야 한다.

2. 1. 1999년 제작된 100개 역

1999년 한국철도 100주년을 기념하여 제작된 스탬프가 비치된 역 목록이다. 철도박물관에도 기념 스탬프가 비치되어 총 101종이 제작되었다.[1]


2. 2. 2000년 이후 제작된 역

노선
경부선용산역, 평택역, 옥천역, 심천역, 황간역, 추풍령역, 왜관역, 대구역, 경산역, 남성현역, 상동역[2], 삼랑진역[2], 원동역[2], 물금역[2], 화명역[2], 사상역[2]
경부고속선광명역[3], 천안아산역[3], 오송역[4], 김천(구미)역[4], 경주역[4], 울산역
호남선계룡역, 연산역, 강경역, 함열역, 장성역, 나주역[5], 함평역
호남고속선공주역
전라선임실역, 곡성역, 괴목역, 여천역
장항선광천역, 신창역, 온양온천역
중앙선상봉역, 운길산역, 평은역, 의성역, 탑리역, 화본역, 서경주역
경춘선화랑대역
경원선양주역, 동두천역, 백마고지역, 전곡역, 연천역
경의선임진강역, 도라산역[6], 장단역[7], 행신역, 강매역
영동선춘양역, 분천역, 양원역, 석포역, 통리역, 흥전역, 나한정역, 도계역, 망상역, 묵호역
태백선예미역, 고한역
정선선별어곡역
경전선낙동강역[8][9], 진영역[2], 함안역, 반성역, 완사역, 북천역[10], 횡천역, 득량역, 명봉역, 화순역, 서광주역
동해선부전역[2], 거제해맞이역, 거제역, 교대역, 동래역[2], 안락역, 재송역, 센텀역, 벡스코역, 신해운대역, 송정역[2], 기장역[2], 일광역, 좌천역[2], 남창역[2], 태화강역[11], 호계역[2], 나원역, 양학동역
충북선오근장역, 목행역[8]
경북선예천역, 용궁역
대구선하양역
안산선안산역, 오이도역
과천선대공원역
수인선달월역, 월곶역, 소래포구역, 인천논현역, 호구포역, 남동인더스파크역, 원인재역, 연수역, 인하대역, 숭의역, 신포역
경강선판교역, 이매역, 삼동역, 경기광주역, 초월역, 곤지암역, 신둔도예촌역, 이천역, 부발역, 세종대왕릉역, 여주역


2. 3. 그 외의 기념스탬프


증기기관 관광열차 기념 스탬프

  • '''역무원 체험 프로그램 기념 스탬프''' : 연산역에 있다.[2]
  • '''N'Rail 특별 제작 스탬프''' : 역에서 자체 제작된 스탬프로 다른 분천역 스탬프와 같이 보관되어 있다.(잉크가 빨간색인 것이 특징이다.)[3]
  • '''정선아리랑열차 (A-Train) 관광열차 기념 스탬프''' : 정선아리랑열차 유람열차 기념으로 제작된 스탬프로, 민둥산역에 비치되어 있다.[4]

2. 4. 해당 역에 스탬프가 비치되지 않은 역

3. 스탬프를 받는 방법

스탬프는 대부분 매표소에 비치되어 있으며, 서울역과 같이 큰 역에서는 역 내의 종합관광안내소에서 찾을 수 있다.[12] 매표소에 없는 경우에는 역무실에 보관되어 있으니 역무원에게 문의하면 된다.[12] 각 역에는 스탬프 도장과 패드가 비치되어 있어 종이만 있으면 쉽게 스탬프를 받을 수 있다. 일부 역의 스탬프는 도장 자체에 잉크가 들어있어 패드 없이 바로 종이에 찍을 수 있다.

참조

[1] 문서 제물포역-영등포역 스탬프 추가
[2] 문서 코레일 부산지사 자체 제작 스탬프
[3] 문서 한국철도 107주년 기념 스탬프 신설
[4] 문서 경부고속철도 2단계 개통 기념 스탬프 신설
[5] 문서 영산포역 폐역 및 나주역 스탬프 제작
[6] 문서 2종류의 스탬프 및 임진강역 비치
[7] 문서 장단역 증기기관차 기념 스탬프
[8] 문서 명예역장 제작 스탬프
[9] 웹사이트 만나세요 코레일 http://blog.naver.co[...] 코레일 블로그
[10] 문서 4종류의 스탬프 및 크기 차이
[11] 문서 태화강역 스탬프 제작 및 울산역 스탬프 비치
[12] 문서 스탬프 이용 안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