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도 제114호선 (일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도 제114호선 (일본)은 후쿠시마현 후쿠시마시에서 시작하여 후타바군 나미에정까지 이어지는 총 연장 70.9km의 일반 국도이다. 후쿠시마시에서 국도 4호선과 115호선과 교차하며, 아부쿠마 고원을 지나 가와마타정을 경유한다. 나미에정에서는 국도 399호선 및 459호선과 교차하며, 국도 6호선과 만나는 지점에서 종점이 된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과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로 인해 통행이 제한되었으나, 2017년 9월 20일 전 구간의 통행이 재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쿠시마현의 도로 - 국도 제4호선 (일본)
    국도 제4호선은 도쿄 니혼바시에서 아오모리현 아오모리시를 잇는 총연장 838.6km의 일본 국도로, 아스카 시대의 도산도를 기원하며 에도 시대의 오슈 가도와 닛코 가도의 일부를 계승하여 일본의 주요 간선 도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 후쿠시마현의 도로 - 도산도
    도산도는 나라 시대에 시가현, 기후현, 나가노현 등을 포함하는 지역을 지칭하는 일본의 행정 구역으로, 율령 시대에는 주요 간선 도로였고, 헤이안 시대에는 교통로로 이용되었으며, 현대에는 여러 국도와 철도가 지나가는 중요한 교통로이다.
  • 일본의 국도 - 국도 제494호선 (일본)
    국도 제494호선은 에히메현 마쓰야마시에서 고치현 스사키시를 잇는 총 연장 113.8km의 일반 국도로, 일부 구간은 다른 국도와 중복되며, 1993년 지정 이후 주요 경유지 및 도로 개선 필요 구간을 포함하고, 2022년에는 일부 바이패스 구간의 국도 지정이 해제되었다.
  • 일본의 국도 - 국도 제17호선 (일본)
    국도 제17호선 (일본)은 도쿄도 주오구에서 니가타현 니가타시 주오구까지 총 351.1km를 잇는 일본의 주요 간선 국도로, 관동 지방과 에치고 지방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 나라별 도로 - 니시세토 자동차도
    니시세토 자동차도는 히로시마현과 에히메현 사이의 섬들을 연결하는 시마나미 해도의 자동차 전용 도로로, 여러 개의 다리로 이루어져 혼슈와 시코쿠를 육상으로 연결하며, 자전거와 보행자 전용 도로가 있어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높고 지역 관광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일부 구간은 아직 미개통 상태이다.
  • 나라별 도로 - 반에쓰 자동차도
    반에쓰 자동차도는 후쿠시마현 이와키시와 니가타현 니가타시를 잇는 고속도로이며, 태평양과 동해를 횡단하는 주요 교통로 역할을 한다.
국도 제114호선 (일본)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노선 정보
도로 종류일반 국도
노선 번호114호선
총 연장70.9 km
실제 연장70.7 km
현재 도로69.1 km
제정 연도1953년 (쇼와 28년)
경로 정보
기점후쿠시마현 후쿠시마시 나카마치 교차점 (37)
주요 경유 도시후쿠시마현 다테군 가와마타정
종점후쿠시마현 후타바군 나미에정 지묘지 교차점 (37)
주요 연결 도로국도 4호선
국도 349호선
국도 399호선
조반 자동차도
국도 6호선

2. 노선 정보

국도 제114호선후쿠시마현 후쿠시마시 주겐초 교차로에서 국도 제4호선과 교차하며 시작하여, 후쿠시마현 후타바군 나미에정 지메이지 교차로에서 국도 제6호선과 교차하며 끝나는 일반 국도이다. 이 도로는 후쿠시마현 북중부에 위치한 후쿠시마시에서 시작하여 아부쿠마 고원을 지나 가와마타를 동쪽으로 통과한다. 나미에에 진입하여 국도 제399호선과 합류, 잠시 중복되다가 국도 제459호선과의 분기점에서 남쪽으로 분기한다. 이후 나미에 중심부로 향하는 노선에서 국도 제114호선과 다시 합류한다. 나미에 중심부 바로 서쪽에서 조반 자동차도 나미에 나들목과 만나며, 나미에 중심 지구에서 국도 제6호선과의 교차점에서 끝난다.[9] 주요 경유지는 다테군 가와마타정이다.[10][11]

노선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는 다음과 같다.

항목내용
기점후쿠시마현 후쿠시마시 주겐초 교차로 (국도 제4호선과 교차)[10][11]
종점후쿠시마현 후타바군 나미에정 지메이지 교차로 (국도 제6호선과 교차)[10][11]
주요 경유지다테군 가와마타정[10][11]
총 연장70.9km[12][13]
실제 연장70.9km[12][12]
현도69.3km[12][12]
구도1.6km[12][12]


2. 1. 주요 경로

이 도로는 전적으로 후쿠시마현 내에 위치해 있으며, 주요 경로는 다음과 같다.

소재지km주요 접속 도로비고
후쿠시마시0.0국도 제4호선, 국도 제115호선 – 고리야마시, 센다이시서쪽 종점
후쿠시마시1.2-- 후쿠시마현도 제309호선 – 국도 제115호선, 오카베
후쿠시마시1.4후쿠시마현도 제308호선 – 야마구치
후쿠시마시8.0후쿠시마현도 제306호선(남쪽) – 이노
후쿠시마시11.0후쿠시마현도 제40호선(남쪽) – 이노
가와마타15.0후쿠시마현도 제269호선(북쪽) – 다테
가와마타16.2
E4
후쿠시마현도 제39호선(서쪽) – 도호쿠 자동차도, 니혼마쓰시
가와마타19.0후쿠시마현도 제117호선(서쪽) – 니혼마쓰, 가와마타 체육관
가와마타20.3국도 제349호선 – 이타테촌, 미나미소마시, 다테, 다무라시
가와마타29.0후쿠시마현도 제62호선(서쪽) – 니혼마쓰후쿠시마현도 제62호선 중첩 구간의 서쪽 종점
가와마타30.7후쿠시마현도 제62호선(서쪽) – 미나미소마후쿠시마현도 제62호선 중첩 구간의 동쪽 종점
나미에39.4국도 제399호선 (북쪽) – 이타테국도 제399호선 중첩 구간의 서쪽 종점
나미에40.3국도 제399호선, 국도 제459호선 (남쪽) – 니혼마쓰, 미야코지국도 제399호선 중첩 구간의 동쪽 종점, 국도 제459호선 중첩 구간의 서쪽 종점
나미에53.1후쿠시마현도 제49호선(북쪽) – 미나미소마
나미에54.7후쿠시마현도 제50호선(서쪽) – 가쓰라오촌, 다무라
나미에62.1후쿠시마현도 제34호선(북쪽) – 미나미소마
나미에62.8후쿠시마현도 제35호선(남쪽) – 후타바정
나미에63.9조반 자동차도 – 미토시, 소마시, 도쿄, 센다이나미에 나들목 (E6 출구 21)
나미에65.4후쿠시마현도 제257호선(북쪽) – 소마, 오다카
나미에68.1후쿠시마현도 제120호선(북쪽) – 미나미소마
후쿠시마현도 제253호선(남쪽) – 나미에 중심부
나미에69.0국도 제6호선 – 센다이, 도쿄
후쿠시마현도 제254호선(동쪽) – 우케도
국도 제114호선 및 국도 제459호선의 동쪽 종점; 도로는 후쿠시마현도 제254호선으로 동쪽으로 계속됨

2. 2. 노선 제원

항목내용
기점후쿠시마현 후쿠시마시 주겐초 교차로 (국도 제4호선과 교차)[10][11]
종점후쿠시마현 후타바군 나미에정 지메이지 교차로 (국도 제6호선과 교차)[10][11]
중복되는 경유지다테군 가와마타정[10][11]
총 연장70.9km[10][11]
실제 연장70.9km[10][11]
현도69.3km[10][11]
구도1.6km[10][11]


3. 연혁

3. 1. 지정 및 변경


  • 1953년 5월 18일 : 2급 국도 제114호 후쿠시마 후타바 선으로 지정 시행되었다.[2] 같은 날 일본 내각에 의해 후쿠시마시나미에정 사이의 제2 국도 제114호선으로 지정되었다.[15]
  • 1965년 4월 1일 : 1·2급 구분이 폐지됨과 동시에 일반 국도 114호선으로 재지정되었다.[2]道路法|도로법일본어 개정에 따라 1급·2급 구분이 폐지되어 일반 국도 114호로 지정 시행되었다.[10] 당시 기점은 후쿠시마시 후나바마치 교차로였으며, 현재의 후쿠시마현도 제308호선 야마구치 와타리 선 쇼레이 다리와 후쿠시마현도 제309호선 오카베 와타리 선의 쇼레이 다리 남쪽 종점 측에 해당하는 구간, 후쿠시마 시도 이와시타 카네바라이 선이 국도로 지정되었다.
  • 1973년 4월 17일 : 국도 제4호 후쿠시마 남쪽 우회도로의 국도 지정에 따라, 기점이 후쿠시마시 와타리 벤텐야마 교차로로 변경되었다.
  • 2004년 1월 15일 : 와타리 우회도로 전선 개통에 따라, 기점이 후쿠시마시 나카마마치 교차로로 변경되었다.
  • 2006년 : 가와마타 산악 지역의 도로를 따라 코츠나기 우회도로로 불리는 선형 개량 및 확장 사업이 시작되었다. 9년의 공사 끝에 이 사업은 2015년 6월 28일에 완공되었다.[3]
  • 2011년 3월 11일부터 :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동일본 대지진)의 여파로 인해 통행에 대한 규제가 본격적으로 실시되었다.
  • 2017년 9월 20일 :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으로부터 6년 넘게 지속된 통행 금지 등 일반 차량에 대한 통행 제한 사항이 완전히 해제되었다. 동일본 대지진으로부터 6년 반 만에 귀환 곤란 구역 내 통행 금지를 해제하고, 전선에서 일반 차량의 통행이 재개되었다.

3. 2. 동일본 대지진 및 후쿠시마 원전 사고

2011년 3월 11일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해 통행 규제가 실시되었다.[2]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와 2011년 4월 22일 20킬로미터 피난 구역 설정 이후, 국도 동쪽 종점과 나미에정 시모쓰시마 부근 사이의 구간이 폐쇄되었다.[4]

나미에의 국도 제114호선


2014년 12월 6일, 조반 자동차도 동쪽에서 차량 통행이 재개되어 새로운 자동차도 구간의 교통량이 국도 제6호선과 남쪽의 나머지 자동차도와 연결되었다.[5] 그 후 2017년까지 27km 길이의 국도 구간이 피난 구역 내에서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었다. 조반 자동차도와의 인터체인지는 2015년 3월 1일에 확장되어 나미에와 도미오카 사이의 새로 건설된 자동차도 구간으로의 접근을 가능하게 했다.[6]

2017년 9월 20일, 동일본 대지진 발생 6년 반 만에 귀환 곤란 구역 내 통행 금지가 해제되어, 전 구간에서 일반 차량의 통행이 재개되었다.[7] 그러나 국도를 빠져나갈 수 있는 지점에 대한 일부 제한은 여전히 존재한다.[8]

3. 3. 통행 재개

4. 지리

이 도로는 후쿠시마현 북중부 후쿠시마시에서 국도 4호선 및 국도 115호선과의 교차로에서 시작하여, 나카도리하마도리 지역을 가르는 아부쿠마 고원을 지나 가와마타를 동쪽으로 통과한다. 나미에정에서는 국도 399호선과 합류하여 잠시 중복되다가, 국도 459호선과의 분기점에서 남쪽으로 분기한다. 이후 나미에 중심 지구에서 국도 6호선과의 교차점에서 끝난다.[9] 총 길이는 69.0km이다.

전적으로 후쿠시마현 내에 위치해 있으며, 아부쿠마 고원을 통과한다.

4. 1. 통과하는 지자체

후쿠시마현만을 통과한다. 경유지는 다음과 같다.

4. 2. 교차 도로

고속도로조반 자동차도
국도


5. 도로 시설


  • 가와마타 가이도[16]・도미오카 가이도
  • 와타리 바이패스
  • 가와마타 바이패스
  • 고아나기 바이패스
  • 국도 제399호선 (후타바군 나미에정・야쓰 교차점 - 후타바군 나미에정・마치마에 교차점)
  • 국도 제459호선 (후타바군 나미에정・마치마에 교차점 - 후타바군 나미에정・치묘지 교차점 종점)


이 도로는 다음과 같은 주요 시설을 포함한다.

'''주요 교량'''

좌안 하류 측에서 본 와타리 대교

  • 와타리 대교
  • 이와야 다리
  • 나카야마 다리
  • 미나미가와마타 다리
  • 고산 다리 (1977년 준공)[17]
  • 시오히타시 다리 (1987년 준공)[18]
  • 고구라자와 다리 (2007년 준공)[19]
  • 신히루소네 다리 (1987년 준공)[18]
  • 야구노 대교 (1986년 준공)[20]
  • 오가키 다리 (1979년 준공)[17]
  • 제1사와나카 다리 (1978년 준공)[17]
  • 제2사와나카 다리 (1982년 준공)[17]
  • 세키모리 다리 (1981년 준공)[17]
  • 제1벤케이 다리 (2003년 준공)[17]
  • 제2벤케이 다리 (2004년 준공)[17]
  • 가로 다리 (1986년 준공)[20]
  • 후도 다리 (1970년 준공)[17]
  • 고구라 다리 (1978년 준공)[17]
  • 무로하라 다리 (1985년 준공)[21]
  • 미야시타 육교 (1967년 준공)[17]


'''주요 터널'''

  • 와타리 터널 (후쿠시마시)
  • 에마히라 터널 (후쿠시마시)
  • 가와마타 터널 (다테군 가와마타정)
  • 세키바 터널 (다테군 가와마타정)
  • 아와후키지 터널 (다테군 가와마타정)
  • 고아미키 터널 (다테군 가와마타정)
  • 히루소네 터널 (1994년 3월 준공)[22]
  • 야구노 터널 (1987년 11월 준공)[22]
  • 오가키 터널 (1981년 12월 준공)[22]
  • 사와나카 터널 (1982년 3월 준공)[22]
  • 센닌자와 터널 (1981년 3월 준공)[22]


'''기타 시설'''

  • 가와마타 (다테군 가와마타정)
  • 나미에 (후타바군 나미에정)

5. 1. 주요 교량


  • 와타리 대교
  • 이와야 다리
  • 나카야마 다리
  • 미나미가와마타 다리
  • 고산 다리
  • 전장: 35.5 m
  • 폭원: 9.0 m
  • 준공: 1977년[17]
  • 우케도 강(2급 수계)을 건넌다. (나미에정 미나미쓰시마자 오미야에서 시모쓰시마자 가야후카)
  • 시오히타시 다리
  • 전장: 15.645 m
  • 폭원: 7.5(10.0) m
  • 형식: 단순 PC 프리텐 T 거더교
  • 준공: 1987년
  • 2급 수계 우케도 강 수계 아카우기 강을 건넌다. (나미에정 아카우기)
  • 국도 특수 개량 1종 사업인 시오히타시 지구 정비에 맞춰 가설, 총 공사비는 7000만.[18]
  • 고구라자와 다리
  • 전장: 16.5 m
  • 폭원: 6.0(8.0) m
  • 형식: PC 단순 프리텐 중공 슬래브 거더교
  • 준공: 2007년
  • 시공: 오리엔탈 건설
  • 2급 수계 우케도 강 수계 고구라자와를 건넌다. (나미에정 아카우기자 구누기다이라)
  • 1925년 가설된 구교량(폭원 5.0 m) 노후화 및 협소 문제 해소를 위해 2006년부터 국도 정비 사업으로 건설, 총 공사비는 8900만.[19]
  • 신히루소네 다리
  • 전장: 69.000 m
  • 주 경간: 22.789 m
  • 폭원: 7.5(10.0) m
  • 형식: 4경간 단순 합성 강H판 거더교
  • 준공: 1987년
  • 핵연료세 관련 현 단독 교량 정비 사업으로 건설. 2급 수계 우케도 강의 좌안을 따라 굽은 하천을 건너기 위해 양쪽 끝 2경간은 편측 교량, 교각은 라멘 구조로 특이한 구조. 총 공사비 1.64억.[18]
  • 야구노 대교
  • 전장: 68.0 m
  • 주 경간: 33.3 m
  • 폭원: 7.5(10.0) m
  • 형식: 2경간 PC 포스텐 T 거더교
  • 준공: 1986년
  • 2급 수계 우케도 강을 건넌다. (나미에정 가와부사)
  • 협애하고 악선형의 히루소네 지구 정비를 위해 핵연료세 관련 도로 개량 사업의 일환으로 현 단독 교량 정비 사업에 의해 1985년 착공. 총 사업비 1.71억.[20] 인접한 야구노 터널 착공에 기여.
  • 오가키 다리
  • 전장: 107.0 m
  • 폭원: 9.3 m
  • 준공: 1979년[17]
  • 2급 수계 우케도 강을 건넌다. (나미에정 가와부사자 오가키)
  • 제1사와나카 다리
  • 전장: 55.0 m
  • 폭원: 9.3 m
  • 준공: 1978년[17]
  • 2급 수계 우케도 강 좌안(오가키 댐 호수)의 만을 건넌다. (미나미소마시 오다카구 가와부사)
  • 제2사와나카 다리
  • 전장: 101.2 m
  • 폭원: 9.3 m
  • 준공: 1982년[17]
  • 2급 수계 우케도 강 좌안(오가키 댐 호수)의 만을 건넌다. (미나미소마시 오다카구 가와부사에서 나미에정 무로하라)
  • 세키모리 다리
  • 전장: 296.0 m
  • 폭원: 9.3 m
  • 준공: 1981년[17]
  • 2급 수계 우케도 강을 건넌다. (나미에정 무로하라자 나카자와에서 가와부사)
  • 제1벤케이 다리
  • 전장: 84.0 m
  • 폭원: 10.0 m
  • 준공: 2003년[17]
  • 2급 수계 우케도 강을 건넌다. (나미에정 가와부사에서 무로하라자 나카자와)
  • 제2벤케이 다리
  • 전장: 57.0 m
  • 폭원: 10.0 m
  • 준공: 2004년[17]
  • 2급 수계 우케도 강을 건넌다. (나미에정 무로하라자 나카자와에서 가와부사)
  • 가로 다리
  • 전장: 53.7 m
  • 주 경간: 26.0 m
  • 폭원: 7.5(10.0) m
  • 형식: 2경간 단순 비합성 판 거더교
  • 준공: 1986년
  • 우케도 강(2급 수계)을 건넌다. (나미에정 무로하라)
  • 국도 특수 개량 제1종 사업으로 가설, 총 사업비 1.08억.[20]
  • 후도 다리
  • 전장: 80.0 m
  • 폭원: 8.5 m
  • 준공: 1970년[17]
  • 2급 수계 우케도 강 좌안에 형성된 계곡을 건넌다. (나미에정 무로하라자 타키다이라)
  • 고구라 다리
  • 전장: 33.0 m
  • 폭원: 11.0 m
  • 준공: 1978년[17]
  • 2급 수계 우케도 강 좌안 측 지류의 계곡을 건넌다. (나미에정 무로하라자 니시코야)
  • 무로하라 다리
  • 전장: 105.0 m
  • 주 경간: 40.0 m
  • 폭원: 7.0(12.0) m
  • 형식: 3경간 연속 비합성 강판 거더교
  • 준공: 1985년
  • 우케도 강(2급 하천)을 건넌다. (나미에정 무로하라)
  • 1933년 가설된 구교량 노후화, 협소, 악선형 문제로 국도 교량 정비 사업으로 1981년 착공, 1985년 11월 6일 개통. 상하 대향 2차선, 상하선 양쪽에 보도 설치. 친주는 우케도 강을 거슬러 올라가는 연어 디자인, 오호리 소마야키 타일 사용. 총 사업비 4.591억.[21]
  • 미야시타 육교
  • 전장: 26.0 m
  • 폭원: 7.0 m
  • 준공: 1967년[17]
  • 조반선(동일본 여객철도)을 건넌다. (나미에정 곤겐도자 미나미미야가미에서 자 사야마에, 자 히가시주지)

5. 2. 주요 터널


  • 와타리 터널 (후쿠시마시)
  • 에마히라 터널 (후쿠시마시)
  • 가와마타 터널 (다테군 가와마타정)
  • 세키바 터널 (다테군 가와마타정)
  • 아와후키지 터널 (다테군 가와마타정)
  • 고아미키 터널 (다테군 가와마타정)
  • 히루소네 터널

총 길이725m
폭원6.5m (10.25m})
유효고4.7m
공법NATM(벤치컷 공법)
시공요코야마·도호쿠·이즈미다 건설 공동 기업체
준공1994년 3월



: 후타바군 나미에정 히루소네 글자 히루소네에 위치한다. 우케도강과 급경사면에 끼여 커브가 이어져, 이상 기상 시 통행 규제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던 히루소네 지구의 기존 국도를 개량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1990년 3월에 기공되어, 1992년 11월 2일에 관통, 1994년 4월 1일에 개통되었다. 총 공사비는 26.45억이다.[22]


  • 야구노 터널

총 길이189m
폭원6m (9.75m})
유효고4.7m
공법NATM(벤치컷 공법)
시공쇼지 건설 공업·요코야마 건설 공동 기업체
준공1987년 11월



: 후타바군 나미에정 가와부사 글자 야구노에 위치한다. 야구노 집락을 통과하는 기존 국도를 개량하기 위해, 집락에서 우케도강 건너편의 능선을 관통하도록 건설되었다. 1986년 12월 10일에 기공되어, 1987년 5월 19일에 관통, 7월 19일에 개통되었다. 총 공사비는 4.25억이다.[22]


  • 오가키 터널

총 길이470m
폭원6m (9m})
유효고4.7m
공법상부 반단면 선진 공법
시공후지타 공업
준공1981년 12월



: 후타바군 나미에정 가와부사에서 미나미소마시 오다카구 가와부사에 걸쳐 있다. 오가키 댐 수몰 구간 대체 때문에, 농림수산성 도호쿠 농정국에 의한 우케도강 농업 수리 사업의 일환으로서 1979년부터 사업화되었다. 총 공사비는 8억이다.[22]


  • 사와나카 터널

총 길이140m
폭원6m (9m})
유효고4.7m
공법측벽 도갱 선진 공법
시공소소 건설 공동 기업체
준공1982년 3월



: 미나미소마시 오다카구 가와부사에서 후타바군 나미에정 가와부사에 걸쳐 있다. 1980년에 국도 개량 사업으로서 사업화되어, 1980년 11월 11일에 기공, 1981년 5월 20일에 관통하여, 1982년 3월에 개통되었다. 총 공사비는 3.91억이다.[22]


  • 센닌자와 터널

총 길이1024.44m
폭원6m (9m})
유효고4.7m
공법상부 반단면 선진 공법
시공아오키 건설
준공1981년 3월



: 후타바군 나미에정 가와부사에서 동정 무로하라에 걸쳐 있다. 오가키 댐 수몰 구간 대체 때문에, 농림수산성 도호쿠 농정국에 의한 우케도강 농업 수리 사업의 일환으로서 1977년부터 사업화되었다. 총 공사비는 14.98억이다.[22] 나미에정 내에 있는 각 터널 중에서 가장 길기 때문에, 라디오 방송 수신이 가능하다.

5. 3. 기타 시설


  • 가와마타 (다테군 가와마타정)
  • 나미에 (후타바군 나미에정)

6. 원자력 재해에 따른 교통 규제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발생한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로 인해 국도 제114호선 일부 구간에 교통 규제가 시행되었다. 초기에는 원전 반경 10km 이내 주민 대피 지시에 따라 나미에정 히루소네 터널에서 지묘지(종점)까지의 구간 진입이 제한되었고, 이후 원자력 재해 대책 특별 조치법에 근거한 경계 구역(반경 20km권) 설정으로 나미에정 오아자 시모츠지마 아자 카야후카에서 종점까지의 구간이 정식으로 통행 금지되었다.[23]

피난 구역 재편과 조반 자동차도 나미에IC 개통 등으로 단계적인 통행 금지 해제가 이루어졌으며, 2017년에는 귀환 곤란 구역 내 27km 구간의 통행 금지가 해제되어 일반 차량 통행이 재개되었다. 그러나 귀환 곤란 구역 내에서는 자동차만 통행이 가능했고, 보행자, 자전거, 이륜차는 통행이 금지되었다.[26] 또한, 미나미소마시로 향하는 현도 49호, 현도 34호[27]가쓰라오촌으로 향하는 현도 50호[28][29], 나미에정 내 귀환 곤란 구역으로 향하는 국도 399호, 현도 35호[30]를 제외하고는 허가 차량 외 샛길 진입이 금지되는 등 제한이 있었다.

2023년에는 자동 이륜차, 원동기 부착 자전거, 경차량(자전거) 및 보행자도 특별 통과 교통 대상이 되어 통행증 없이 통행이 가능해졌지만,[25] 샛길 등 일부 구역은 여전히 통행증이 필요하다.[25]

6. 1. 규제 및 해제 과정

2011년 3월 12일,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 사고 발생으로 원자력 긴급 사태가 선언되면서 "반경 10 km 이내 주민 대피 지시"가 내려졌다. 이에 따라 나미에정 히루소네 터널에서 나미에정 지묘지(종점) 구간의 진입이 제한되었다. 이는 법적 근거 없이 후쿠시마현 및 나미에정 재해 대책 본부의 잠정 기준에 따른 조치였다.[4]

2011년 4월 22일,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 사고에 따른 원자력 재해 대책 특별 조치법에 기초하여 경계 구역(반경 20 km권)이 설정되면서, 나미에정 오아자 시모츠지마 아자 카야후카, 후타바 경찰서(나미에 분청사 관할) 츠시마 주재소 부근에서 종점 구간이 정식으로 통행 금지되었다.[23]

2013년 4월 1일, 피난 구역 재편에 따라 나미에정 무로하라에서 지묘지 교차점 구간은 피난 지시 해제 준비 구역·거주 제한 구역(2017년 4월 1일 피난 지시 해제)으로 지정되어 통행 금지가 해제되었다. 동시에 나미에정 츠시마(가와마타마치·나미에정 경계)에서 무로하라 구간은 귀환 곤란 구역으로 지정되어 통행 금지가 계속되었다.

2014년 12월 6일, 조반 자동차도 나미에IC가 개통되면서 나미에IC 동쪽 구간의 통행 금지가 해제되었다.[24]

2017년 9월 20일 오전 6시, 귀환 곤란 구역 내(27 km)의 통행 금지가 해제되어 전 노선에서 일반 차량 통행이 가능해졌다. 단, 귀환 곤란 구역 내에서는 자동차만 통행이 가능하며, 보행자·자전거·이륜차 통행은 금지되었다.[26] 또한, 미나미소마시로 향하는 현도 49호, 현도 34호[27]가쓰라오촌으로 향하는 현도 50호[28][29], 나미에정 내 귀환 곤란 구역으로 향하는 국도 399호, 현도 35호[30]를 제외하고는 허가 차량 외 샛길 진입이 금지되었다.

2023년 3월 31일 오전 10시부터 자동 이륜차, 원동기 부착 자전거, 경차량(자전거) 및 보행자도 특별 통과 교통 대상이 되어 통행증 소지나 확인이 불필요하게 되었다.[25] 단, 해당 도로 샛길이나 샛길에서 들어간 구역은 통행증 소지 및 확인이 필요하다.[25]

참조

[1] 웹사이트 一般国道の路線別、都道府県別道路現況 http://www.mlit.go.j[...]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 2020-02-19
[2] 간행물 一般国道の路線を指定する政令 https://ja.wikisourc[...] Cabinet of Japan 2020-12-22
[3] 웹사이트 国道114号小綱木バイパス2工区が完成します。 http://www.pref.fuku[...] Fukushima Prefecture 2020-12-23
[4] 웹사이트 平成23年(2011年)福島第一及び第二原子力発電所事故に係る原子力災害対策本部長 https://www.meti.go.[...] Ministry of Economy, Trade, and Industry 2020-12-22
[5] 웹사이트 常磐自動車道浪江IC以北開通に伴う帰還困難区域の特別通過交通制度におけるルートの追加について https://www.meti.go.[...] Ministry of Economy, Trade, and Industry 2020-12-22
[6] 웹사이트 About the opening of the entire Joban Expressway https://www.e-nexco.[...] NEXCO East 2020-12-22
[7] 뉴스 復興加速へ 国道114号が20日再開通 https://mainichi.jp/[...] 2020-12-20
[8] 웹사이트 国道114号(津島ゲート~浪江IC間)の通行止め解除のお知らせ https://www.town.kaw[...] Town of Kawamata 2020-12-22
[9] Google Maps National Route 114 https://www.google.c[...] 2020-12-20
[10] 웹사이트 一般国道の路線を指定する政令(昭和40年3月29日政令第58号) https://laws.e-gov.g[...] 総務省行政管理局 2012-12-08
[11] 문서 一般国道の路線を指定する政令の最終改正日である2004年3月19日の政令(平成16年3月19日政令第50号)に基づく表記。
[12] 웹사이트 表26 一般国道の路線別、都道府県別道路現況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道路局 2024-04-07
[13] 문서 2022年3月31日現在
[14] 웹사이트 一般国道の指定区間を指定する政令(昭和33年6月2日政令第164号) https://laws.e-gov.g[...] 総務省行政管理局 2012-12-08
[15] Wikisource 二級国道の路線を指定する政令 (昭和二十八年)
[16] 문서 福島市全図(昭和11年1月 古今堂書店)
[17] 웹사이트 令和4年度橋梁点検結果(地方公共団体)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18] 웹사이트 福島県の橋梁 平成2年度版 https://www.pref.fuk[...] 福島県土木部
[19] PDF 福島県の橋梁 平成23年度版 https://www.pref.fuk[...] 福島県土木部
[20] 웹사이트 福島県の橋梁 昭和61年度版 https://www.pref.fuk[...] 福島県土木部
[21] 웹사이트 福島県の橋梁 昭和60年度版 https://www.pref.fuk[...] 福島県土木部
[22] 웹사이트 福島県のトンネル 相双建設事務所 https://www.pref.fuk[...] 福島県土木部
[23] 웹사이트 津島駐在所 http://www.police.pr[...] 福島県双葉警察署 2012-12-07
[24] 웹사이트 常磐自動車道浪江IC以北開通に伴う帰還困難区域の特別通過交通制度におけるルートの追加について https://www.meti.go.[...] 原子力災害現地対策本部 原子力被災者生活支援チーム 2015-10-17
[25] 웹사이트 南相馬市国道114号、県道49号の帰還困難区域における二輪車、軽車両及び歩行者への特別通過交通制度の適用について https://www.meti.go.[...] 経済産業省 2024-11-08
[26] 뉴스 国道114号、20日から自由通行=帰還困難区域を通過―福島 https://headlines.ya[...] 2017-09-15
[27] 뉴스 国道114号の自由通行再開 県道相馬浪江線と原町浪江線も制限解除 https://headlines.ya[...] 2017-09-20
[28] 웹사이트 県道50号の帰還困難区域の特別通過交通制度の適用について https://www.meti.go.[...] 経済産業省 2018-04-20
[29] 뉴스 19日にも再開通 県道浪江三春線浪江-葛尾間 http://www.minpo.jp/[...] 福島民報社 2018-04-20
[30] 뉴스 浪江4路線の自由通行再開 国道399号など、利便性向上に期待 http://www.minyu-net[...] 福島民友新聞社 2018-08-21
[31] 문서 ただし南相馬市は大柿トンネルと沢中トンネル間のみの区間で境界もトンネル内にある。また、トンネル内の壁面に境界を示す標識があるが「南相馬市」ではなく2023年現在も合併前の「小高町」表記のままとなってい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