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집 붕괴 현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군집 붕괴 현상(CCD)은 19세기 후반부터 보고된 꿀벌 개체 수 감소 현상으로, 2006년 미국에서 '군집 붕괴 현상'이라는 용어가 널리 사용되면서 알려졌다. 꿀벌 군집 내 일벌의 감소, 여왕벌의 존재, 꿀과 꽃가루의 비축 등 특징을 보이며, 살충제, 진드기, 질병, 영양 부족, 기후 변화 등 다양한 요인이 원인으로 추정된다. CCD는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며, 양봉 산업과 농업 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꿀벌 보호를 위한 관리 및 대체 수분 기술 개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관련 미디어를 통해 대중의 인식을 높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곤충 질병 - 낭충봉아부패병
낭충봉아부패병은 꿀벌 유충에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감염된 유충은 부패하여 폐사하며, 아시아 지역 재래꿀벌에 큰 피해를 주고 대한민국 토종벌 개체 수 감소의 주요 원인이 되었으며, 치료제나 예방약이 없어 격리 및 소각, 철저한 사양 관리가 중요하다. - 곤충 질병 - 토종벌낭충봉아부패병
토종벌낭충봉아부패병은 한국형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KSBV)가 원인인 토종벌의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치료법이 없어 감염 시 토종벌이 전멸하는 심각한 피해를 발생시킨다. - 실종 - 행방불명
행방불명은 소재를 알 수 없다는 의미로, 법률상 일정 기간 생사가 불분명한 경우를 뜻하며, 사람뿐만 아니라 물건에도 사용되고 재해, 전쟁 등 다양한 상황에서 발생한다. - 실종 - 가미카쿠시
가미카쿠시는 일본에서 사람이 신령이나 요괴에 홀려 갑자기 사라지는 현상으로 여겨지지만, 미아, 가출, 유괴 등의 현실적인 원인과 사회적 약자에게 더 빈번하게 나타나는 경향, 심리적 불안정, 사회적 고립과도 관련이 있으며, 현대 문화 콘텐츠의 소재로 활용되고 한국 사회에도 시사점을 던진다. - 환경 논란 - 폭스바겐 배기가스 조작 사건
2015년 미국 환경보호청이 폭스바겐 디젤 차량에 배출가스 기준을 속이는 불법 소프트웨어가 장착되었음을 밝혀내어 환경 오염과 공중 보건 위협을 야기했으며, 폭스바겐 CEO 사임, 주가 폭락, 벌금, 손해배상, 리콜 사태를 초래하여 자동차 업계에 큰 파장을 일으킨 사건이다. - 환경 논란 - 인구 밀도
인구 밀도는 특정 지역의 인구수를 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인구 분포와 과밀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다양한 계산 방법과 함께 도시 계획, 환경 관리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높거나 낮은 밀도는 사회·경제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군집 붕괴 현상 | |
---|---|
개요 | |
질병 종류 | 꿀벌 질병 |
주요 증상 | 벌집에서 갑자기 벌들이 사라짐 여왕벌은 남아 있지만 일벌, 애벌레, 번데기 등이 사라짐 벌집에 먹이가 남아 있음 죽은 벌이 거의 없음 |
원인 | 불명확 (기생충, 바이러스, 살충제, 영양 부족, 환경 스트레스 등의 복합적인 요인으로 추정) |
영향 | 농작물 수확량 감소 생태계 교란 경제적 손실 |
명칭 | |
영어 | Colony Collapse Disorder (CCD) |
한국어 | 꿀벌 군집 붕괴 현상 |
일본어 | 봉군붕괴증후군 (蜂群崩壊症候群, Hōgun hōkai shōkōgun) |
원인 (추정) | |
주요 원인 | 이스라엘 급성 마비 바이러스 (IAPV) 미포자자충류 노제마 살충제 (특히 네오니코티노이드) 응애 |
복합적 요인 | 벌 종류 균류 벌 관리 방법 환경 및 기후 변화 영양 기타 질병 유전자 변형 작물 (GMO) |
발생 현황 | |
최초 보고 시기 | 2006년 말 ~ 2007년 초 |
발생 지역 | 북아메리카, 유럽 등 전 세계적 |
대응 및 연구 | |
연구 | 원인 규명 및 해결책 모색을 위한 연구 진행 중 |
참고 자료 | 미국 EPA - 꿀벌 군집 붕괴 장애 독일 연방 통계청 - 꿀벌 군집: 전 세계적으로 증가 추세 |
추가 정보 | |
세계 꿀벌 개체수 | 2021년 기준 약 1억 160만 개 군집 (1990년 대비 47% 증가) |
2. 역사
꿀벌 군집 붕괴 현상은 19세기 후반부터 여러 이름으로 불리며 보고되었다. 1869년 이전에 이미 군집 붕괴와 유사한 현상이 문서화되었고,[20][21] 1891년과 1896년에는 콜로라도에서 "5월 질병"이라고 불렸다.[22]
군집 붕괴 현상(CCD)은 단순한 군집 감소와는 다르며, 여왕벌의 건강, 바로아 응애 감염, 영양 상태, 질병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할 수 있다.[41] 붕괴된 군집에서는 벌집 안팎에서 죽은 벌이 거의 발견되지 않고, 마치 벌집이 버려진 것처럼 보인다.[38]
1906년 와이트 섬에서 시작된 대규모 꿀벌 손실은 영국 전역으로 퍼졌는데, 이는 불리한 기상 조건, 부적절한 먹이 공급, Acarine (기관) 진드기, 만성 꿀벌 마비 바이러스의 복합적인 영향으로 여겨졌다.[23] 1918년과 1919년 미국에서도 유사한 현상이 나타나 "미스터리 질병", "소실 질병" 등으로 불렸다.[25][26][27][28]
1960년대부터 미국에서 꿀벌 군집 수가 감소해왔으나, 2006년 말부터 감소율이 급증하면서 "군집 붕괴 현상(CCD)"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했다.[19][30] 2006년 11월 플로리다에서 처음 보고된 이후,[3] 2007년에는 미국 여러 주와 5개 캐나다 주, 유럽, 남미, 중앙 아메리카, 아시아 국가들에서도 군집 손실이 보고되었다.[31][110] 1990년대 이후 유럽, 인도, 브라질, 일본 등에서도 유사한 꿀벌 소실 현상이 보고되었다.[237][222][223]
2010년 미국 농무부는 2010년 전체 꿀벌 손실이 약 34%라고 보고했으며,[110] 2013-2014년 겨울에는 손실이 다소 개선되었다.[32] 환경 보호국과 농무부는 태스크 포스를 구성하고,[33] 의회는 2014년 농업법을 통해 수분 산업에 보조금을 지급했다.[34] 2018년 농업 개선법은 비상 지원 한도를 늘렸다.[34]
메릴랜드 대학교와 오번 대학교의 2023년 설문 조사에 따르면, 미국 꿀벌 군집 수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이었지만, 2023년 4월 1일까지 48%의 손실이 발생했다.[19] 2024년 미국 농업 인구 조사는 상업용 꿀벌 벌집의 역대 최고치를 보고했다.[37]
3. 증상
군집 붕괴 현상으로 붕괴된 군집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동시에 보인다:[39][40]
군집 붕괴 전에는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군집 붕괴 현상의 증상이 나타나기 전, 붕괴되는 군집의 벌들은 부드러운 분변, 반쯤 채워진 직장, 직장 내 결석, 말피기관 무지개빛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특징은 영양 섭취 장애, 수분 불균형, 배설 기능 이상을 나타내며, 변비와 삼투압 조절 부실로 이어질 수 있다.[46]
또한, 꿀벌 군집 붕괴 현상에 대한 감수성을 나타내는 유전적 징후가 장에서 발견된다. 65개의 전사체가 군집 붕괴 현상의 잠재적 징후로 확인되었으며, 이들의 유전자 발현은 건강한 벌과 비교했을 때 다르게 나타났다. 마이크로어레이 분석과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통해 군집 붕괴 현상 벌의 장에서 리보솜 RNA (rRNA)의 비정상적인 단편이 발견되었으며, 여기에는 폴리아데닐화가 풍부한 3' 꼬리가 포함되어 있었다.[47] 변형날개 바이러스와 이스라엘 급성 마비 바이러스의 존재, 그리고 poly(A)-rRNA의 발현은 군집 붕괴 현상의 출현에 대한 유전적 징후이다.[47]
캐나다 양봉 협의회(Canadian Honey Council)에 따르면, 군집 붕괴 현상이 발생한 벌집에서는 다음과 같은 징후가 최종적인 벌집 붕괴 전에 공통적으로 나타난다:[217]
4. 원인
군집 붕괴 현상(CCD)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러 가설이 제기되고 있다. 초기 연구에서는 전파 경로가 전염병과 유사하다고 보았으나, 면역 억제 메커니즘이 관련되어 있을 수 있다는 의견도 제시되었다.[75]
주요 원인 가설은 다음과 같다.
- '''살충제''' (특히 네오니코티노이드 계열): 이미다클로프리드를 포함한 일부 살충제는 꿀벌의 신경계에 작용하여 방향 감각 상실, 학습 능력 저하 등을 유발할 수 있다.
- '''진드기 및 질병''': 바로아응애(Varroa destructor)는 꿀벌의 면역 체계를 약화시키고 변형날개바이러스를 전파하여 꿀벌 군집에 심각한 피해를 준다.
- '''병원체''': 이스라엘 급성 마비 바이러스(IAPV)는 한때 CCD의 원인으로 여겨졌으며, 미포자충 곰팡이인 ''Nosema apis''(노제마 아피스)와 ''Nosema ceranae''(노제마 세라나)도 CCD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 '''기타 요인''': 영양 부족, 양봉 방식, 기후 변화, 전자기파, 유전자 변형 작물 등도 CCD의 잠재적 원인으로 거론된다.
최근 연구에서는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CCD를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살충제와 병원체의 복합 작용, 꿀벌의 면역력 약화, 서식지 감소 및 생물 다양성 감소 등이 CCD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4. 1. 살충제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는 전신성 농약으로, 식물이 자라면서 잎에 살포하는 농약 사용을 줄이기 위해 씨앗 처리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135] 농업에 사용되는 주요 화합물은 이미다클로프리드, 클로티아니딘, 티아메톡삼이다.[114] 이들은 꿀벌의 신경계에 작용하여 방향 감각 상실, 학습 능력 저하, 귀소 본능 약화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미국 농무부는 살충제가 군집 붕괴 현상에 기여할 수 있다고 밝혔다.[110] 과학자들은 오랫동안 살충제, 심지어 일부 살균제가 벌을 즉사시키지는 않지만 발달과 행동에 해를 끼치는 아치사 효과를 미칠 수 있다고 우려해 왔다.[111][112]
꿀벌 게놈 염기 서열 분석 결과, 꿀벌은 시토크롬 P450 모노옥시게나제(P450), 글루타티온-S-전이효소, 카르복실에스테라제 등 해독 효소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수가 부족하여 살충제에 민감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13]
피프로닐은 페닐피라졸 살충제의 일종으로, '독성 미끼' 과정을 통해 꿀벌과 유사한 말벌(''독일말벌'') 등 군집 해충을 제거하도록 설계되었다. 이 과정에서 벌집으로 돌아가는 곤충이 살충제를 유충에게 퍼뜨린다.[156]
2003년 프랑스에서는 꿀벌 사망 사례가 피프로닐 급성 독성과 관련 있다고 결론 내렸고,[157] 2010년 프랑스 연구에서는 피프로닐이 꿀벌의 귀소 능력을 손상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했다.[158]
2013년 연구에 따르면 벌집에서 채취한 꽃가루에는 평균 9가지 종류의 살충제와 살균제가 들어 있었으며, 살균제가 든 꽃가루를 먹은 벌은 기생충 감염 확률이 더 높았다.[160]
유럽에서는 2013년 12월부터 클로티아니딘, 이미다클로프리드, 티아메톡삼 등 네오니코티노이드계 농약 3종 사용 규제가 도입되었다.[266] 프랑스에서는 2018년 9월부터 네오니코티노이드제 사용이 금지되었고, 2020년 7월부터 전면 금지될 예정이다.[268] 독일과 이탈리아에서도 2008년에 이미다클로프리드와 클로티아니딘 사용이 금지되었다.
일본에서는 2009년 나가사키현에서 꿀벌 대량 사망이 발생했고, 네오니코티노이드계 농약과의 관련성이 보고되었다.[269] 일본의 네오니코티노이드 허용 기준치는 유럽 연합보다 훨씬 느슨하다.[269] 2013년 가나자와 대학 연구에서는 네오니코티노이드계 농약이 꿀벌 군집을 절멸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280]
4. 2. 진드기 및 질병
초기 연구자들은 전파 경로가 전염병과 유사하게 작용한다고 언급했지만, 일부에서는 이 질환이 면역 억제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트레스와 연관되어 면역 체계가 약화될 수 있다는 의견이 있었다.[75] 2007년 펜실베이니아 주립 대학교 연구에서는 성인 꿀벌에서 감지된 감염성 병원체의 규모가 면역 억제를 시사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바로우 응애 감염과 군집 붕괴 현상(CCD) 사이의 연관성을 제시하며, 꿀벌 응애, 변형 날개 바이러스 (응애가 전파), 박테리아의 조합이 면역 억제 및 CCD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3][76]
2007년 기사에 따르면, 응애인 벌집먼지응애(Varroa destructor)는 변형날개바이러스와 급성벌마비바이러스를 포함하여 꿀벌을 죽이는 세계에서 가장 파괴적인 요인이며, 이 두 바이러스는 군집 붕괴 현상과 관련이 있다.[76][78] ''벌집먼지응애'' 감염은 꿀벌의 면역 체계를 약화시킨다.
''벌집먼지응애''(Varroa destructor)는 꿀벌의 혈림프를 섭취하여 꿀벌집에 서식하며 꿀벌을 잡아먹는 기생 응애이다. 포식 단계에서 ''벌집먼지응애''는 번식 단계로 이어지는 더 높은 적합성을 얻기 위해 간호벌에 부착하는 것을 선호한다. 그런 다음 응애는 번식 단계 동안 유충을 먹고, 증가된 적합성은 응애의 다산성(암컷 자손의 수)을 증가시킨다.[81]
2020년 과학자들은 변형날개 바이러스 감염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벌집먼지응애''의 생존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특별히 유전자 변형된 플라스미드를 가진 박테리아를 현장 시험하는 초기 단계에 있다고 발표했다.[82]
2004년, 이스라엘 급성 마비 바이러스(IAPV)가 이스라엘에서 발견되었으며 한때 군집 붕괴 현상의 원인으로 여겨졌다. 2007년 9월, 피해를 입은 군집과 피해를 입지 않은 군집에 대한 대규모 통계적 RNA 염기 서열 분석 연구 결과, IAPV 바이러스만이 군집 붕괴 현상과 유의미한 연관성을 보였다. 이 바이러스는 검사된 30개의 군집 붕괴 현상 군집 중 25개에서 발견되었고, 검사된 21개의 군집 붕괴 현상 미발생 군집 중에서는 1개에서만 발견되었다.[77][83]
2009년 연구에 따르면 단백질 생산 장애의 지표가 군집 붕괴 현상에 걸린 모든 꿀벌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IAPV 감염과 일치하는 패턴이다. IAPV와 같은 이중가닥 RNA 바이러스과가 리보솜을 분해하여 세포의 단백질 합성을 담당하며, 이러한 리보솜 기능 저하로 인해 꿀벌이 약해져 그렇지 않으면 치명적이지 않을 수 있는 요인에 더 취약해진다는 추측이 제기되었다.[47][84]
미포자충 곰팡이인 ''Nosema apis''(노제마 아피스)가 군집 붕괴 현상(CCD)의 실체일 수 있다는 설이 있다. 펜실베이니아주 벌집 표본에서 높은 비율의 ''Nosema''(노제마) 감염이 보고되었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이러한 패턴이 보고되지 않았다.[3]
''Nosema ceranae''(노제마 세라나)에 감염된 서양 꿀벌 벌집은 8일 이내에 전멸하여 군집 붕괴 현상(CCD)이 ''N. ceranae''(노제마 세라나)에 의해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85] 2009년 미국 CCD 발생 벌집 조사에서는 CCD 및 대조군에서 표본 추출된 벌집의 약 절반만이 ''N. ceranae''(노제마 세라나)에 감염된 것을 발견했다.[25]
건강한 벌에게 살균제, 살충제 및 이미다클로프리드를 포함한 기타 농화학 물질이 채워진 화분을 먹이면, ''N. ceranae''(노제마 세라나)에 감염될 가능성이 더 높아져 군집 붕괴 현상(CCD)과의 잠재적 관련성을 시사한다.[101][102]
2010년 10월, 몬태나 대학교 등의 과학자 팀은 새로운 DNA 바이러스인 무척추동물 홍반 바이러스 6형 (IIV-6)과 곰팡이 ''Nosema ceranae''가 그룹이 연구한 모든 사망한 군집에서 발견되었다는 논문을 발표했다. 바이러스와 ''N. ceranae''의 조합은 항상 100% 치명적이었다.[103][104][105]
4. 3. 기타 요인
군집 붕괴 현상(CCD)에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영양 부족, 양봉 방식, 기후 변화, 전자기파, 유전자 변형 작물 등이 거론된다.- 영양 부족: 꿀벌은 다양한 식물에서 꿀과 꽃가루를 섭취하며 영양을 얻는다. 그러나 단일 재배(monoculture) 환경에서는 특정 식물의 꽃가루만 섭취하게 되어 영양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고과당 옥수수 시럽(HFCS)을 먹이는 관행은 꿀벌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172] 2013년 연구에 따르면 꿀에 존재하는 p-쿠마르산이 꿀벌의 해독 작용을 돕는데, 인공 영양소에 이 성분이 부족하면 살충제에 취약해질 수 있다.[178]
- 양봉 방식: 1908년 미국의 양봉가 네피 밀러가 처음으로 겨울을 나기 위해 벌통을 전국 각지로 옮기기 시작한 이후, 이동 양봉은 미국에서 널리 퍼졌다.[168] 그러나 장거리 이동 양봉은 꿀벌에게 스트레스를 주고, 다른 지역의 꿀벌과 섞이면서 바이러스나 진드기가 확산될 위험을 높인다.[169]
- 기후 변화: 기후 변화로 인한 온도 및 강수량 변화는 꿀벌의 생존과 번식에 영향을 미친다.[166] 극심한 기상 현상은 꿀벌의 먹이 활동을 제한하고, 개화 시기 변화는 꿀벌의 먹이 공급을 불안정하게 만든다.[167]
- 전자기파: 휴대 전화나 무선 전화기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가 꿀벌의 귀소 능력을 저하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181] 그러나 전자기파와 CCD의 직접적인 연관성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183][184]
- 유전자 변형 작물: 유전자 변형 작물(GMO)이 꿀벌에게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지만,[238] 현재까지 꿀벌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309]
5. 범위 및 분포
미국, 유럽, 아시아 등 전 세계적으로 군집 붕괴 현상(CCD)이 보고되고 있으며, 지역별로 피해 규모와 원인에 차이가 있다.
미국에서는 2006년 이후 CCD로 인한 꿀벌 군집 손실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3] 2023년 4월 1일에 종료된 해에는 군집의 48%가 손실되었으며, 12년 평균 연간 사망률은 39.6%였다.[19] 2024년 미국 농업 인구 조사는 상업용 꿀벌 벌집의 역대 최고치를 보고하여, 미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가축 부문임을 나타냈다.[37]
유럽에서는 2000년대 후반부터 CCD 유사 현상이 보고되고 있으며,[226] 프랑스, 벨기에, 이탈리아, 독일, 스위스, 스페인, 그리스, 폴란드, 네덜란드 등 여러 국가에서 발생하고 있다.[220]
아시아에서는 중국, 일본, 타이완 등에서 CCD 유사 현상이 보고되고 있다.[220][223]
대한민국에서는 2022년에 꿀벌 실종 및 폐사 현상이 심각하게 발생하여 양봉 산업에 큰 피해를 입혔다.
6. 관리
대서양 중부 양봉 연구 및 확장 컨소시엄(MAAREC)은 2007년 3월 1일 기준으로 군집 붕괴 현상의 징후를 보이는 양봉업자들에게 다음과 같은 잠정적인 권고안을 제시했다.
- 붕괴된 군집과 강한 군집을 합치지 않는다.
- 붕괴된 군집이 발견되면, 벌이 접근할 수 없도록 예방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장소에 장비를 보관한다.
- 벌에게 설탕 시럽을 먹이는 경우, 푸마질린을 사용한다.
- 군집 붕괴를 경험하고 유럽 부저병과 같은 2차 감염이 보이면, 타일로신이 아닌 옥시테트라사이클린으로 군집을 치료한다.
수분 작물 재배 농가를 위한 또 다른 제안된 해결책은 양봉업자를 이용하는 대신 토종벌, 예를 들어 호박벌과 벽돌벌을 사용하는 것이다.[189][190] 토종벌은 적절한 둥지 위치와 벌이 먹이를 얻을 수 있는 추가 작물을 제공하여 스스로 정착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191][192]
영국의 한 양봉업자는 꿀벌 진드기에 저항하는 꿀벌 품종을 성공적으로 개발했다.[193][194][195] 러시아 꿀벌도 벌 진드기 감염에 저항하지만, 군집 붕괴 현상과 관련된 다른 요인에 여전히 취약하며, 상업적 양봉에 적용하는 것을 제한하는 해로운 특성을 가지고 있다.
영국에서는 2009년 3월, 이전 2년 동안 꿀벌 개체수가 15% 감소한 결과로 군집 붕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전국 꿀벌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었다.[196] 환경, 식량 및 농촌부의 자금 지원을 받고 국립 꿀벌 부대에서 관리하는 이 등록소는 건강 동향을 모니터링하고 꿀 산업이 군집 붕괴 현상으로 추정되는 위협을 받고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데 사용될 것이다. 2010년 10월, 영국 양봉업자 협회의 데이비드 애스턴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197][198]
We still do not believe that CCD is the cause of colony losses in the UK, however, we continue to experience colony losses, the majority of which are explainable. The approach we are taking in the UK bee keeping industry is to raise the importance of integrated bee health management, that is, to identify and remove factors which predispose colonies to poor health status. This includes raising the skill level of beekeepers through training and education, raising awareness of the impact of habitat destruction and forage (honey and pollen) availability and of course, more substantial research and development into the incidence and distribution of diseases and conditions within the UK and the provision of solutions.|우리는 여전히 군집 붕괴 현상이 영국에서 군집 손실의 원인이라고 믿지 않지만, 우리는 계속해서 군집 손실을 경험하고 있으며, 대부분은 설명할 수 있습니다. 영국 양봉업계에서 취하고 있는 접근 방식은 통합 꿀벌 건강 관리의 중요성을 높이는 것이며, 즉, 군집의 건강 상태를 저하시키는 요인을 식별하고 제거하려는 것입니다. 여기에는 훈련 및 교육을 통해 양봉업자의 기술 수준을 높이고, 서식지 파괴와 사료(꿀과 꽃가루) 가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것과 물론 영국 내 질병 및 상태의 발생 및 분포에 대한 연구와 솔루션 제공에 대한 보다 실질적인 연구 개발이 포함됩니다.영어
2007년 미국 농무부(USDA)는 "CCD(군집 붕괴 현상) 대책"[233]을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CCD 위기에 대해 조사 및 데이터 수집, 샘플 분석, 가설에 기반한 연구, 완화책 및 방지책의 "4가지 전략"이 있다고 보고했다.
7. 경제 및 생태학적 영향
꿀벌은 아메리카 대륙 원산이 아니지만, 단일 경작 상황과 같이 토종 벌의 능력을 넘어서는 수분 매개충 집중이 필요한 경우 꿀벌 수분이 중요하다.[199] 특히 꿀벌이 주요 수분 매개충인 캘리포니아의 아몬드 재배에 큰 영향을 미친다.[202] 2000년에는 꿀벌 수분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미국의 작물 가치가 총 150억달러를 초과하는 것으로 추산되었다.[200] 전 세계적으로 꿀벌은 약 2000억달러의 수분 서비스를 제공한다.
꿀벌은 수분의 약 3분의 1을 담당하며, 아몬드, 복숭아, 사과, 배, 체리, 라즈베리, 블랙베리, 크랜베리, 수박, 멜론, 오이, 딸기 등이 이에 포함된다.[206] 꿀벌은 인간 식량에 직접 사용되는 모든 식물 종의 약 75%에 대해 어느 정도 수분을 수행한다.[208]
꿀벌(''Apis mellifera'')은 원산지인 구세계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수분 매개충 중 하나이며, 인간 사회의 가치(식량 자원 유지) 외에도 자연 서식지를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다.[206] 꿀벌 개체수가 감소하면 식물 개체수도 감소한다.[207] 농업에서 일부 식물은 열매를 생산하기 위해 꿀벌 수분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반면, 다른 식물은 더 좋고 건강한 열매를 생산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꿀벌에 의존한다. 꿀벌은 또한 개화와 결실 사이의 시간을 줄여 해충, 질병, 화학 물질, 날씨 등과 같은 유해 요인으로부터의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206]
집약적 시스템(고밀도 작물)을 가진 농장은 꿀벌에 대한 의존도 때문에 비집약적 시스템(야생 벌에 의존하는 소규모 지역 정원)에 비해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유형의 농장은 꿀벌 수분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높으며, 미국에서만 연간 12.5억달러가 소요된다.[208] 그러나 꿀벌이 수분 매개충으로 전 세계적으로 228억유로에서 570억유로를 창출하기 때문에 이러한 비용은 상쇄된다.[207]
1990년대 초부터 유럽[237] 전역, 프랑스, 벨기에, 이탈리아, 독일, 스위스, 스페인, 그리스, 폴란드,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및 영국[220] 등에서도 꿀벌 소실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226] 그 외에 인도나 브라질에서도 보고되었으며[222], 일본에서도 유사 사례가 보고되었다.[223]
8. 미디어
다음은 군집 붕괴 현상(CCD)을 다룬 미디어 작품 목록이다.
- 해프닝[209]
- 2007년 네이처 "꿀벌의 침묵"[209]
- 2009년 꿀벌의 멸종 (다큐멘터리)[210]
- 2010년 태양의 여왕: 꿀벌이 우리에게 무엇을 말하는가? (다큐멘터리)[211]
- 2012년 ''니코틴 벌'' (다큐멘터리)[212]
- 2012년 더 댄 허니 (다큐멘터리)[213]
- 엘리멘트리 시즌 3
- 2016년 ''군집 붕괴 현상: 꿀벌 없는 삶'' (단편 영화)[214]
- 블랙 미러 "국민의 적"
- 클록 앤 대거 "Funhouse Mirrors"
- 닥터 후 (2008년, 영국 드라마)
- Colony (다큐멘터리)
- Queen of the Sun (2011년, 미국 다큐멘터리)
- :en:Nicotin Bees (映画) (2010년, 미국 영화)
9. 관련 영화
- 해프닝[209]
- 2007년 방영된 네이처의 한 에피소드인 "꿀벌의 침묵"은 이 현상에 대한 몇 가지 추측성 이유를 제시했다.[209]
- 2009년 다큐멘터리 꿀벌의 멸종은 네오니코티노이드 살충제가 가장 유력한 원인이라고 지적했지만, 인터뷰에 응한 전문가들은 아직 확고한 데이터가 없다는 것을 인정했다.[210]
- 2010년 장편 다큐멘터리 태양의 여왕: 꿀벌이 우리에게 무엇을 말하는가?에는 양봉가, 과학자, 농부, 철학자와의 인터뷰가 실렸다.[211]
- 2012년 다큐멘터리 ''니코틴 벌''은 네오니코티노이드 살충제가 군집 붕괴 현상의 주요 원인이라고 주장했다.[212]
- 2012년 다큐멘터리 더 댄 허니는 인간과 꿀벌의 관계를 살펴보고 군집 붕괴 현상(CCD)의 가능한 원인을 탐구했다.[213]
- TV 시리즈 엘리멘트리의 시즌 3에서 군집 붕괴 현상(CCD)은 반복되는 주제였으며, 10화에서 홈즈는 살충제를 비난하고, 14화에서 치료법을 이론화했다. 23화 "Absconded"에서 홈즈와 왓슨은 미국 북동부에서 군집 붕괴 현상 발생 현장 연구를 수행하던 미국 농무부 연구원의 죽음을 조사했다.
- 2016년 단편 영화 ''군집 붕괴 현상: 꿀벌 없는 삶''은 꿀벌이 사라진 후의 과장된 디스토피아적 미래를 보여주었다.[214]
- 블랙 미러 에피소드 국민의 적은 군집 붕괴 현상(CCD)에 대항하기 위해 기계 꿀벌이 개발된 미래를 보여주었다.
- 클록 앤 대거 에피소드 "Funhouse Mirrors"에서 탠디 보웬과 미나 헤스는 몇십 년마다 미국 뒤영벌의 감소에 대해 논의했다. 시즌 1 마지막회는 "군집 붕괴"였다.
- 해프닝 (영화) - 2008년 미국 영화.
- 닥터 후 - 2008년, 영국 드라마. 꿀벌이 외계 생물이며, 다른 외계 생물의 침략을 예상하여 지구를 탈출한 것으로 꿀벌 군집 붕괴 현상이 소개된다.
- Colony - 꿀벌 군집 붕괴 현상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마츠시마×마치야마 미공개 영화를 보는 TV」에서 2010년 12월 17일과 2010년 12월 24일에 2회에 걸쳐 소개되었다.
- Queen of the Sun (태양의 여왕 - 꿀벌로부터의 질문) - 타가트 시겔 감독. 2011년, 미국. 2012년, 국제 유기 농업 영화제에서 상영.
- :en:Nicotin Bees (映画) - 2010년, 미국 영화. 2005년부터 2006년에 걸쳐 꿀벌은 전 세계에서 갑자기 대량으로 죽기 시작했다. 많은 꿀벌들이 비슷한 증상을 보였다. 미국과 유럽의 양봉가와 유기농 농가에 대한 현장 인터뷰를 통해 소거법으로 원인을 설명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Colony Collapse Disorder
https://www.epa.gov/[...]
2013-08-29
[2]
논문
What's Killing American Honey Bees?
[3]
뉴스
Colony Collapse Disorder Preliminary Report
http://www.beekeepin[...]
Mid-Atlantic Apiculture Research and Extension Consortium (MAAREC) – CCD Working Group
2007-01-05
[4]
논문
Colony Collapse Disorder: A Descriptive Study
2009-08-03
[5]
뉴스
Les abeilles malades de l'homme
http://www.lemonde.f[...]
2007-08-29
[6]
간행물
Weakening, collapse and mortality of bee colonies; November 2008 – Updated April 2009
https://www.anses.fr[...]
anses.fr
[7]
웹사이트
Minutes of Northern Ireland Assembly
https://www.theywork[...]
2009-06-08
[8]
웹사이트
Decline of honey bees now a global phenomenon, says United Nations
https://www.independ[...]
2011-03-10
[9]
웹사이트
Global Honey Bee Colony Disorders and Other Threats to Insect Pollinators
[10]
웹사이트
Bee colonies: Worldwide population on the rise
https://www.destatis[...]
Federal Statistical Office of Germany
2023-03-02
[11]
웹사이트
Spotlight: Protecting the pollinators
http://www.fao.org/a[...]
Fao.org
2013-07-08
[12]
뉴스
Mystery Malady Kills More Bees, Heightening Worry on Farms
https://www.nytimes.[...]
2013-03-28
[13]
서적
Non-Wood Forest Products from Temperate Broad-Leaved Trees
http://www.fao.org/3[...]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2002
[14]
논문
The Global Stock of Domesticated Honey Bees Is Growing Slower Than Agricultural Demand for Pollination
http://www.fao.org/t[...]
2009-06-09
[15]
웹사이트
Production volume of natural honey worldwide from 2010 to 2018 (in 1,000 metric tons)
https://www.statista[...]
2020-04-24
[16]
뉴스
The Beekeepers Who Don't Want You to Buy More Bees
https://www.nytimes.[...]
2023-08-19
[17]
뉴스
Multiple causes for colony collapse – report
http://www.3news.co.[...]
2013-05-03
[18]
논문
Holistic screening of collapsing honey bee colonies in Spain: a case study
2014-09-15
[19]
웹사이트
Struggling beekeepers stabilize U.S. Honeybee population after nearly half of colonies died last year
https://www.pbs.org/[...]
2023-06-22
[20]
뉴스
Colony Collapse Disorder: Have We Seen This Before?
http://ento.psu.edu/[...]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Department of Entomology
[21]
뉴스
Mystery of the dying bees
http://www.cosmosmag[...]
2007-03-07
[22]
PDF
https://nature.berke[...]
2024-08
[23]
논문
Honey bee colony losses
http://sro.sussex.ac[...]
[24]
뉴스
BEE DISEASE MYSTERY SOLVED?: DISCOVERY AT ABERDEEN UNIVERSITY
https://www.proquest[...]
1920
[25]
논문
Strange Behavior
http://www.americanb[...]
[26]
논문
Bees leave hive
http://www.americanb[...]
[27]
논문
The Mystery Disease
[28]
논문
Disappearing Disease in Mexico
[29]
논문
Many bee colonies dead of an unknown cause
[30]
뉴스
Wild bee decline 'catastrophic'
http://news.bbc.co.u[...]
2008-04-23
[31]
웹사이트
Honey Bee Colony Collapse Disorder
http://www.fas.org/s[...]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10-01-07
[32]
웹사이트
Yearly survey shows better results for pollinators, but losses remain significant Release No. 0088.14
http://www.usda.gov/[...]
USDA
[33]
뉴스
US sets up honey bee loss task force
https://www.bbc.com/[...]
2014-06-20
[34]
뉴스
This past winter saw the highest honeybee colony losses on record
https://www.washingt[...]
[35]
웹사이트
Emergency Assistance for Livestock, Honey Bees, and Farm-raised Fish (ELAP)
https://www.fsa.usda[...]
[36]
웹사이트
EPA Actions to Protect Pollinators
https://www.epa.gov/[...]
2013-09-03
[37]
뉴스
Wait, does America suddenly have a record number of bees?
https://www.washingt[...]
2024-03-29
[38]
웹사이트
Colony Collapse Disorder
https://www.epa.gov/[...]
2013-08-29
[39]
웹사이트
Colony Collapse Disorder
http://sfyl.ifas.ufl[...]
UF/IFAS Extension
[40]
웹사이트
Discussion of phenomenon of Colony disorder collapse
http://honeycouncil.[...]
Canadian Honey Council
2007-01-27
[41]
웹사이트
Colony Collapse Disorder
https://pollinator.c[...]
Pollinator Network @ Cornell
[42]
간행물
Colony Collapse Disorder: A Descriptive Study
2009-08-03
[43]
간행물
A historical review of managed honey bee populations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and the factors that may affect them
2010-01
[44]
간행물
A survey of honey bee colony losses in the United States, fall 2008 to spring 2009
2010-01
[45]
간행물
Colony collapse disorder in Europe
2012-02
[46]
웹사이트
Colony Collapse Disorder (CCD) and bee age impact honey bee pathophysiology
https://www.research[...]
[47]
간행물
Changes in transcript abundance relating to colony collapse disorder in honey bees (Apis mellifera)
2009-08-24
[48]
간행물
The presence of rRNA sequences in polyadenylated RNA and its potential functions
2008-08
[49]
간행물
A survey of honey bee colony losses in the U.S., Fall 2007 to Spring 2008
[50]
웹사이트
The mysterious deaths of the honeybees
https://money.cnn.co[...]
2007-03-29
[51]
간행물
An estimate of managed colony losses in the winter of 2006–2007: A report commissioned by the Apiary Inspectors of America
[52]
웹사이트
Despite elevated loss rate since 2006, U.S. honey bee colony numbers are stable
https://www.ers.usd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53]
웹사이트
Economic effects and responses to changes in honey bee health
https://www.ers.usd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54]
웹사이트
Honey bee colonies
https://downloads.us[...]
USDA
[55]
뉴스
'Analysis {{!}} Wait, does America suddenly have a record number of bees?'
https://www.washingt[...]
2024-03-29
[56]
뉴스
Fears for crops as shock figures from America show scale of bee catastrophe
https://www.theguard[...]
2010-05-02
[57]
웹사이트
La mort des abeilles met la planète en danger
http://www.lesechos.[...]
2007-08-20
[58]
웹사이트
Immer weniger Imker – Deutschen Bienen geht es gut
http://www.n-tv.de/w[...]
N-TV
2007-05-11
[59]
뉴스
Hiver fatal pour la moitié des colonies d'abeilles en Suisse
http://www.rts.ch/in[...]
Radio Télévision Suissse
2012-05-22
[60]
간행물
Survey results of honey bee (''Apis mellifera'') colony losses in China (2010–2013)
2016-08-05
[61]
웹사이트
Here's why all the bees are dying
https://www.motherjo[...]
2015-07-09
[62]
간행물
Colony Collapse Disorder in context
[63]
간행물
"Varroa mites and honey bee health: can Varroa explain part of the colony losses?"
https://hal.archives[...]
2010-04-12
[64]
간행물
Towards a systems approach for understanding honeybee decline: a stocktaking and synthesis of existing models
[65]
보고서
Report on the National Stakeholders Conference on Honey Bee Health National Honey Bee Health Stakeholder Conference Steering Committee
http://www.usda.gov/[...]
2012-10-17
[66]
간행물
Honey bee pathology: current threats to honey bees and beekeeping
http://site.xavier.e[...]
[67]
간행물
Pathogens, Pests, and Economics: Drivers of Honey Bee Colony Declines and Losses
[68]
웹사이트
Colony Collapse Disorder Action Plan
http://www.ars.usda.[...]
USDA
2007-06-20
[69]
웹사이트
"CCD Steering Committee, ''Colony Collapse Disorder Progress Report''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Washington, DC, 2009)"
http://www.extension[...]
[70]
간행물
Clarity on Honey Bee Collapse?
[71]
웹사이트
Why are the bees dying?
http://therealnews.c[...]
The Real News Network
2013-08-04
[72]
웹사이트
Stop Selling Bee-Harming Plants
http://therealnews.c[...]
The Real News Network
2014-02-14
[73]
학술지
Bee Declines Driven by Combined Stress from Parasites, Pesticides and Lack of Flowers
http://sro.sussex.ac[...]
2015-02-26
[74]
뉴스
What's behind bee declines and colony collapse? Latest science on stress from parasites, pesticides, habitat loss
http://journalistsre[...]
[75]
학술지
Colony Collapse Disorder
http://fruittimes.ca[...]
2007-01-23
[76]
웹사이트
Bee Mites Suppress Bee Immunity, Open Door For Viruses And Bacteria
https://www.scienced[...]
[77]
뉴스
Mysterious Honeybee Disappearance Linked to Rare Virus
http://www.scientifi[...]
2007-09-07
[78]
웹사이트
Mites and Virus Team Up to Wipe Out Beehives
https://www.livescie[...]
2012-06-07
[79]
학술지
"Varroa destructor" is the main culprit for the death and reduced populations of overwintered honey bee ("Apis mellifera") colonies in Ontario, Canada
https://hal.archives[...]
2010-01-08
[80]
뉴스
Colony Collapse Disorder (CCD) in Honey Bees
http://pestalert.ifa[...]
University of Florida
2007-04-16
[81]
학술지
Why do Varroa mites prefer nurse bees?
2016-06-15
[82]
뉴스
Scientists modify honey bee gut bacterium to fight colony collapse-causing Varroa mite and deformed-wing virus
https://www.abc.net.[...]
ABC Science
2020-01-30
[83]
뉴스
Virus Is Seen as Suspect in Death of Honeybees
https://www.nytimes.[...]
2007-09-07
[84]
웹사이트
Genomic Study Yields Plausible Cause Of Colony Collapse Disorder
https://www.scienced[...]
2009-08-25
[85]
학술지
"Nosema ceranae", a new microsporidian parasite in honeybees in Europe
[86]
문서
Asian Parasite Killing Western Bees – Scientist
[87]
뉴스
Les abeilles sont-elles en train de disparaître?
http://rue89.com/200[...]
Rue 89
2007-08-29
[88]
웹사이트
Tentative Recommendations for Hives Experiencing CCD
http://maarec.cas.ps[...]
Mid-Atlantic Apiculture Research and Extension Consortium
2007-03-01
[89]
학술지
Honeybee colony collapse due to "Nosema ceranae" in professional apiaries
[90]
웹사이트
Cure For Honey Bee Colony Collapse?
https://www.scienced[...]
[91]
학술지
Microbiology: Colony collapse cured?
[92]
웹사이트
"Nosema ceranae" – Asiatischer Nosema-Erreger festgestellt – neu verbreitet oder erst jetzt entdeckt?
http://www.imkerschu[...]
Albert-Ludwigs-Universität Freiburg
[93]
웹사이트
"Nosema ceranae" – Asian Nosema Disease Vector Confirmed – is this a new infestation or only now discovered?
http://www.moraybeek[...]
[94]
뉴스
UCSF scientist tracks down suspect in honeybee deaths
http://www.sfgate.co[...]
2007-04-26
[95]
뉴스
Experts may have found what's bugging the bees
https://www.latimes.[...]
2007-04-26
[96]
뉴스
Honeybee Die-Off Threatens Food Supply, The Associated Press (5/2/2007)
https://news.yahoo.c[...]
2007-05-02
[97]
문서
'"Nosema" and tracheal mites in the north central region – 2008 survey'
[98]
웹사이트
Population genetics and distribution of "N. ceranae" in the United States, University of Arkansas Insect Genetics Lab
http://comp.uark.edu[...]
Comp.uark.edu
[99]
문서
"Molecular diagnostics of ''Nosema ceranae'' and ''N. apis'' from honey bees in New York"
[100]
학술지
Pesticide exposure in honey bees results in increased levels of the gut pathogen Nosema
http://www.boerenlan[...]
2012-02
[101]
뉴스
Buzzfeeds: The effects of colony collapse disorder and other bee news
https://www.theguard[...]
[102]
뉴스
Scientists discover what's killing the bees and it's worse than you thought
http://qz.com/107970[...]
2013-07-24
[103]
학술지
Iridovirus and Microsporidian Linked to Honey Bee Colony Decline
[104]
뉴스
Honeybee Killer Found by Army and Entomologists
https://www.nytimes.[...]
2010-10-06
[105]
간행물
Bee-Killing Disease May Be Combination Attack, Researchers Say
http://www.businessw[...]
2010-10-07
[106]
뉴스
Scientists and Soldiers Solve a Bee Mystery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0-10-06
[107]
뉴스
What a scientist didn't tell the New York Times about his study on bee deaths
https://money.cnn.co[...]
CNN Money
2010-10-08
[108]
간행물
Interpretation of data underlying the link between colony collapse disorder (CCD) and an invertebrate iridescent virus
2011-03
[109]
간행물
The Effect of Using an Inappropriate Protein Database for Proteomic Data Analysis
2011-06-14
[110]
웹사이트
Colony Collapse Disorder Progress Report
http://www.ars.usd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0-06
[111]
간행물
The Sublethal Effects of Pesticides on Beneficial Arthropods
2007-01
[112]
간행물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sublethal pesticide exposure on honey bees: a role for probiotics as mediators of environmental stress
2020
[113]
간행물
Pesticides and honey bee toxicity – USA
https://hal.archives[...]
2010
[114]
간행물
The dose makes the poison: have "field realistic" rates of exposure of bees to neonicotinoid insecticides been overestimated in laboratory studies?
http://sro.sussex.ac[...]
[115]
뉴스
EU to fully ban neonicotinoid insecticides to protect bees
https://www.reuters.[...]
Reuters
2018-04-27
[116]
웹사이트
Paraquat, Imidacloprid Pesticide To Be Banned From January, 2020
https://fijisun.com.[...]
2019-10-11
[117]
웹사이트
Soaring Bee Deaths in 2012 Sound Alarm on Malady
https://www.nytimes.[...]
2013-03-29
[118]
간행물
Multiple Routes of Pesticide Exposure for Honey Bees Living Near Agricultural Fields
2012-01-03
[119]
뉴스
Studies show how pesticides make bees lose their way
https://www.reuters.[...]
Reuters
2012-03-29
[120]
간행물
A Common Pesticide Decreases Foraging Success and Survival in Honey Bees
https://hal.archives[...]
[121]
간행물
Effects of sub-lethal imidacloprid doses on the homing rate and foraging activity of honey bees
http://www.bulletino[...]
[122]
간행물
RFID Tracking of Sublethal Effects of Two Neonicotinoid Insecticides on the Foraging Behavior of Apis mellifera
2012-01-11
[123]
간행물
Cholinergic pesticides cause mushroom body neuronal inactivation in honeybees
2013-03-27
[124]
간행물
Exposure to multiple cholinergic pesticides impairs olfactory learning and memory in honeybees
2013-02-07
[125]
간행물
Behavior effects of pesticides in bees-their potential for use in risk assessment
[126]
간행물
Neonicotinoid Pesticide Reduces Bumble Bee Colony Growth and Queen Production
https://www.science.[...]
2012-03-29
[127]
간행물
"In situ" replication of honey bee colony collapse disorder
http://www.bulletino[...]
[128]
웹사이트
Pesticide tied to bee colony collapse
http://news.harvard.[...]
2012-04-05
[129]
간행물
Neonicotinoids, bee disorders and the sustainability of pollinator services
2013-09
[130]
간행물
Quantification of imidacloprid uptake in maize crops
2005-06-29
[131]
간행물
A meta-analysis of experiments testing the effects of a neonicotinoid insecticide (imidacloprid) on honey bees
2011-01
[132]
간행물
Neonicotinoids in bees: a review on concentrations, side-effects and risk assessment
2012-02-18
[133]
간행물
Assessment of the Environmental Exposure of Honeybees to Particulate Matter Containing Neonicotinoid Insecticides Coming from Corn Coated Seeds
http://www.entomolog[...]
2012-01-31
[134]
간행물
Multiple Routes of Pesticide Exposure for Honey Bees Living Near Agricultural Fields
2012-01-03
[135]
간행물
Evidence for pollinator cost and farming benefits of neonicotinoid seed coatings on oilseed rape
2015-08-20
[136]
뉴스
Pesticides Killing Bees: Study Shows What 'Everybody's Suspected'
https://www.rollings[...]
Rolling Stone
2015-08-26
[137]
웹사이트
Betrayed and sold out – German bee monitoring – Walter Haefeker, Deutscher Berufs- und Erwerbsimkerbund
http://www.beekeepin[...]
2000-08-12
[138]
웹사이트
Schadet Imidacloprid den Bienen – von Eric Zeissloff
http://www.beekeepin[...]
[139]
웹사이트
Gaucho – ein Risiko, Studie: Mitschuld des Bayer-Pestizids für Bienensterben (Neues Deutschland)
http://www.beekeepin[...]
2003-11-23
[140]
웹사이트
Imidaclopride utilisé en enrobage de semences (Gaucho®) et troubles des abeilles – Rapport final – 18 septembre 2003
http://www.agricultu[...]
2003-09-18
[141]
웹사이트
France: Governmental report claims BAYER's pesticide GAUCHO responsible for bee-deaths Coalition against Bayer-Dangers is calling for a ban
https://web.archive.[...]
2003-12-00
[142]
웹사이트
Millions of bees dead – Bayer's Gaucho blamed
http://www.newmediae[...]
2003-11-26
[143]
웹사이트
Re-Regulation of Pesticides
https://www.pbs.org/[...]
Public Broadcasting Service
[144]
웹사이트
State notes small increase in pesticide use
https://web.archive.[...]
[145]
웹사이트
Pesticide Use Reporting
http://www.cdpr.ca.g[...]
[146]
학술지
Conclusion on the peer review of the pesticide risk assessment for bees for the active substance clothianidin
http://www.efsa.euro[...]
[147]
뉴스
To Revive Honey Bees, Europe Proposes a Pesticide Ban
https://web.archive.[...]
Bloomberg
2013-02-19
[148]
뉴스
'Victory for bees' as European Union bans neonicotinoid pesticides blamed for destroying bee population
https://www.independ[...]
2013-04-29
[149]
학술지
Politics meets Science: The case of neonicotinoid insecticides in Europe
https://journals.ope[...]
2014-03-30
[150]
웹사이트
A/CONF.151/26 (Vol. I) Report of the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https://www.un.org/d[...]
[151]
뉴스
Beekeepers sue EPA to ban pesticide, protect bees
https://news.yahoo.c[...]
2013-03-21
[152]
뉴스
Pesticides aren't the biggest factor in honeybee die-off, EPA and USDA say
https://web.archive.[...]
2013-05-02
[153]
웹사이트
Text of the Saving America's Pollinators Act of 2013
https://www.govtrack[...]
2013-07-16
[154]
웹사이트
Blumenauer Announces Legislation to Protect Pollinators, Prevent Mass Bee Die-Offs
https://web.archive.[...]
United States House of Representatives
[155]
문서
Saving America's Pollinators Act (H.R. 1284)
https://www.congress[...]
[156]
학술지
Successful removal of German yellowjackets (Hymenoptera: Vespidae) by toxic baiting
[157]
웹사이트
BASF statement regarding temporary suspension of sales of crop protection products containing fipronil in France
http://www.agro.basf[...]
[158]
웹사이트
Abelhas com microchip
https://web.archive.[...]
GloboRural
2010-06-00
[159]
학술지
No acute mortalities in honey bee colonies (''Apis mellifera'') after the exposure to sunflower cultures
https://web.archive.[...]
2009-01-00
[160]
학술지
Crop Pollination Exposes Honey Bees to Pesticides Which Alters Their Susceptibility to the Gut Pathogen Nosema ceranae
[161]
학술지
Killing Them with Kindness? In-Hive Medications May Inhibit Xenobiotic Efflux Transporters and Endanger Honey Bees
2011-11-02
[162]
학술지
Missing Microbes in Bees: How Systematic Depletion of Key Symbionts Erodes Immunity
https://linkinghub.e[...]
2020-12-00
[163]
학술지
Antibiotic Exposure Perturbs the Gut Microbiota and Elevates Mortality in Honeybees
2017-00-00
[164]
학술지
Varroa-Virus Interaction in Collapsing Honey Bee Colonies
2013-03-19
[165]
웹사이트
Scientists Untangle Multiple Causes of Bee Colony Disorder
https://web.archive.[...]
Environment News Service
[166]
웹사이트
Climate change is killing the bumblebees, study says
https://www.cbsnews.[...]
2020-02-06
[167]
웹사이트
Climate Change Is Ratcheting Up the Pressure on Bees
https://www.ucdavis.[...]
2022-10-14
[168]
웹사이트
Colony Collapse Disorder and Pollinator Decline
https://web.archive.[...]
The National Academies
2007-03-29
[169]
뉴스
Honeybees, Gone With the Wind, Leave Crops and Keepers in Peril
https://select.nytim[...]
2007-02-27
[170]
웹사이트
Colony Collapse Disorder
https://www.epa.gov/[...]
2013-08-29
[171]
웹사이트
Levels of polyandry and intracolonial genetic relationships in Apis koschevnikovi
https://web.archive.[...]
International Bee Research Association
2010-04-21
[172]
뉴스
Das spurlose Sterben
http://www.sueddeuts[...]
2007-03-12
[173]
웹사이트
HFCS and CCD
https://community.ls[...]
2007-02-14
[174]
잡지
Postcard from Hughson
https://web.archive.[...]
2009-03-12
[175]
학술지
Nutrition and health in honey bees
https://hal.archives[...]
2010-04-21
[176]
뉴스
Bee decline linked to falling biodiversity
http://news.bbc.co.u[...]
BBC News
2010-01-20
[177]
학술지
Diet-dependent gene expression in honey bees: honey vs. sucrose or high fructose corn syrup.
2014-07-17
[178]
학술지
Honey constituents up-regulate detoxification and immunity genes in the western honey bee Apis mellifera
[179]
학술지
Flight, orientation, and homing abilities of honeybees following exposure to 2.45-GHz CW microwaves
1981
[180]
웹사이트
How electromagnetic exposure can influence learning process
http://www.bienenarc[...]
[181]
학술지
Can electromagnetic exposure cause a change in behaviour? Studying possible non-thermal influences on honey bees – an approach within the framework of educational informatics
http://agbi.uni-land[...]
[182]
뉴스
Are mobile phones wiping out our bees?
https://www.independ[...]
2019-11-09
[183]
뉴스
Wireless: Case of the disappearing bees creates a buzz about cellphones
http://www.iht.com/a[...]
2007-04-22
[184]
뉴스
Researchers: Often-cited study doesn't relate to bee colony collapse
http://www.fosters.c[...]
2022-02-23
[185]
보고서
Report on possible impact of communication tower on wildlife birds and bees
http://moef.nic.in/d[...]
Government of India
[186]
학술지
Measurement of the threshold sensitivity of honeybees to weak, extremely low-frequency magnetic fields
https://jeb.biologis[...]
[187]
학술지
A meta-analysis of effects of Bt crops on honey bees (Hymenoptera: Apidae)
[188]
학술지
Genetically Engineered Plants and Foods: A Scientist's Analysis of the Issues (Part II)
[189]
웹사이트
Alternative Pollinators: Native Bees (Summary)
http://attra.ncat.or[...]
ATTRA
2012-05-24
[190]
웹사이트
Alternative Pollinators: Native Bees
https://www.scribd.c[...]
Scribd.com
2012-05-24
[191]
웹사이트
Establishing a healthy population of native bees on your land
http://www.conservat[...]
Conservationinformation.org
2010-06-22
[192]
잡지
Use of native bees to counter colony collapse disorder
https://www.wired.co[...]
2009-06-05
[193]
웹사이트
British Beekeepers' Parasite-Resistant Bee Could Save the World
http://www.metro.co.[...]
Metro.co.uk
2010-08-24
[194]
웹사이트
A+ for British Beekeeper as He Develops Mite-Resistant Strain of Honeybee
http://www.fastcompa[...]
Fast Company
2010-08-24
[195]
웹사이트
New Honeybee Breed Key to Combating Colony Collapse Disorder
http://www.treehugge[...]
TreeHugger
2010-08-24
[196]
뉴스
National Bee Database to be set up to monitor colony collapse
https://www.telegrap[...]
2017-08-20
[197]
뉴스
Why are Europe's bees dying?
http://news.bbc.co.u[...]
2008-11-20
[198]
뉴스
Study finds causes of Colony Collapse Disorder in bees
https://www.telegrap[...]
2010-10-08
[199]
학술지
Nesting site density and distribution affect Osmia lignaria (Hymenoptera: Megachilidae) reproductive success and almond yield in a commercial orchard
2013-11
[200]
웹사이트
The value of honey bees as pollinators of US crops in 2000
http://www.beecultur[...]
Cornell University
[201]
웹사이트
2019 California almond forecast
https://www.nass.usd[...]
2019-05-10
[202]
웹사이트
Honey Bees Are Essential for a Successful Almond Crop
http://www.almonds.c[...]
California Almonds
[203]
학술지
The Pollination Efficiency of the Squash Bee (''Peponapis pruinosa'') and the Honey Bee (''Apis mellifera'') on Summer Squash (''Cucurbita pepo'')
1981-04
[204]
문서
Pollination of apples in China
2005-09-02
[205]
학술지
Pollination failure in apple crop and farmers management strategies in Hengduan Mountains, China
[206]
보고서
Global honey bee colony disorders and other threats to insect pollinators
http://archive-ouver[...]
University of Geneva
2010
[207]
학술지
Global pollinator declines: trends, impacts and drivers
2010-06
[208]
학술지
Buzziness as usual? Questioning the global pollination crisis
2005-07
[209]
웹사이트
Silence of the Bees (2011)
https://www.pbs.org/[...]
2011-02-16
[210]
뉴스
Pesticides blamed for vanishing bees
https://www.telegrap[...]
2017-08-20
[211]
웹사이트
What Are the Bees Telling Us? | The Story
http://www.queenofth[...]
Queen of the Sun
2012-05-24
[212]
문서
Pierre Terre Production, 2012, viewable on YouTube
[213]
웹사이트
More than Honey – about the film
http://www.morethanh[...]
2013-07-28
[214]
웹사이트
Colony Collapse Disorder – a life without bees
http://www.spurgo.de[...]
2016-10-27
[215]
간행물
蜂群崩壊症候群 ミツバチが消える
畜産技術協会
2008-03
[216]
뉴스
全米でミツバチ突然消える 被害20州超える
http://www.asahi.com[...]
朝日新聞社
2009-04-12
[217]
웹사이트
Discussion of phenomenon of Colony disorder collapse (蜂群崩壊症候群現象の議論)
http://honeycouncil.[...]
Canadian Honey Council
2008-06-18
[218]
뉴스
Honey Bee Die-Off Alarms Beekeepers, Crop Growers and Researchers (ミツバチの死 養蜂家、農家、研究者に警鐘)
http://www.aginfo.ps[...]
Penn State University College of Agricultural Sciences (ペンシルベニア州立大学農学部)
2008-06-18
[219]
뉴스
Das spurlose Sterben (跡形もなき死)
http://www.sueddeuts[...]
sueddeutsche.de
2008-06-18
[220]
뉴스
La mort des abeilles met la planète en danger (ミツバチの死で地球が危機に)
http://www.lesechos.[...]
Les Échos
2007-08-20
[221]
뉴스
Pollination worries rise as honey bees decline. (ミツバチの減少による受粉の心配の発生)
Science, vol. 265
1994-08-26
[222]
웹사이트
Mysterious honeybee killer could make dinner bland
http://www.cnn.com/2[...]
2011-12-16
[223]
문서
ネオニコチノイド参照
[224]
뉴스
Mystery Bee Disappearances Sweeping U.S. (米国におけるミツバチの謎の消失)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 News
2008-06-18
[225]
웹사이트
Strange times for bees, The Vancouver Courier.com
http://www.vancourie[...]
[226]
뉴스
Les abeilles malades de l'homme (人類によって蜂が病に)
http://www.lemonde.f[...]
ル・モンド
2007-08-29
[227]
뉴스
Immer weniger Imker - Deutschen Bienen geht es gut. (養蜂家がますます減少 ― ドイツの蜂は好調)
http://www.n-tv.de/8[...]
n-tv
2007-05-11
[228]
뉴스
Mystery of the dying bees (死亡する蜂の謎)
http://www.cosmosmag[...]
Cosmos Online
2008-06-18
[229]
논문
What's Killing American Honey Bees? (アメリカミツバチを殺すのは何か?)
http://biology.plosj[...]
2007-05-17
[230]
문서
よって、「春の減少」や「秋の減少」などの名称は不適切となる
[231]
뉴스
Colony Collapse Disorder Preliminary Report (蜂群崩壊症候群予備報告書 (PDFファイル))
http://maarec.cas.ps[...]
Mid-Atlantic Apiculture Research and Extension Consortium (MAAREC) - CCD Working Group
2008-06-18
[232]
웹사이트
http://agdev.anr.ude[...]
[233]
웹사이트
Colony Collapse Disorder: Action Plan
http://www.ars.usda.[...]
[234]
웹사이트
Colony Collapse Disorder Working Group
http://www.ento.psu.[...]
2008-06-18
[235]
뉴스
Virus Is Seen as Suspect in Death of Honeybees (ウイルスがミツバチの死の原因ではないのか)
https://www.nytimes.[...]
ニューヨーク・タイムズ
2008-06-18
[236]
뉴스
Mysterious Honeybee Disappearance Linked to Rare Virus (ミツバチの謎の失踪は珍しいウイルスに関連)
http://www.sciam.com[...]
Scientific American
2008-06-18
[237]
뉴스
Are mobile phones wiping out our bees? (携帯電話がミツバチを消し去った?)
http://news.independ[...]
The Independent
2008-06-18
[238]
웹사이트
"GE and bee Colony Collapse Disorder -- science needed!" (遺伝子工学とミツバチCCD―科学的説明が必要)
http://www.sierraclu[...]
2008-06-18
[239]
뉴스
The mysterious deaths of the honeybees (ミツバチの謎の死)
http://money.cnn.com[...]
CNN Money
2008-06-18
[240]
간행물
Colony Collapse Disorder
http://fruittimes.ca[...]
2007-01-23
[241]
문서
地球温暖化に起因する不安定な気候パターンによって、敏感なミツバチの一群が混乱状態に陥るのかもしれない。米国東北部の養蜂家の中には、寒波の襲来が遅れたために今年のミツバチが損害を被ったのだと言う者も多い
[242]
문서
多くの場合、ハチは花粉から摂取するべきさまざまな栄養を得られないことで弱ってしまいます。そして、私はそれがハチの弱った原因だと考えています。そういった環境では他の全て(の原因)も候補に入れてよいでしょう。そういった原因はたくさんありますし、結び付けて考えればたちまちハチは弱るでしょうね
[243]
문서
昨秋、米国各地で乾燥した気候に見舞われ、良質な蜜が花からあまり出ず、秋の良質な花粉もコロニーにはほとんど入ってこなかった。
[244]
웹사이트
http://www.seattlepi[...]
[245]
웹사이트
http://www.msnbc.msn[...]
[246]
웹사이트
http://www.addisonin[...]
[247]
웹사이트
http://www.seattlepi[...]
[248]
웹사이트
21世紀の新農薬(5)クロチアニジン
https://megalodon.jp[...]
[249]
뉴스
Bienensterben jetzt auch in Deutschland (ドイツで相変わらずのミツバチの死)
http://www.cbgnetwor[...]
CGB Network
2008-06-18
[250]
뉴스
Verstummtes Summen - Französische Forscher: Insektizid ist Grund für Bienensterben (沈默の夏 ― フランス人研究者「殺虫剤がミツバチの死の原因」)
http://www.cbgnetwor[...]
CGB Network
2008-06-18
[251]
웹사이트
Betrayed and sold out –German bee monitoring- (暴露と売り切れ〜ドイツのミツバチ監視〜)
http://www.beekeepin[...]
2000-08-12
[252]
웹사이트
Schadet Imidacloprid den Bienen (イミダクロプリドがハチを殺す?)
http://www.beekeepin[...]
2001-01-01
[253]
웹사이트
Studie: Mitschuld des Bayer-Pestizids für Bienensterben (研究:ミツバチの死に、BAYERの除草剤も同罪)
http://www.beekeepin[...]
2003-11-23
[254]
웹사이트
http://www.ambafranc[...]
[255]
웹사이트
http://www.ffem.fr/a[...]
[256]
논문
Effects of sub-lethal imidacloprid doses on the homing rate and foraging activity of honey bees (致死量に近いイミダクロプリドがミツバチの帰巣本能と摂食活動に与える影響)
[257]
논문
Behavior effects of pesticides in bees-their potential for use in risk assessment (ハチの行動に見られた農薬の影響 ― 危険評価における使用への潜在的可能性)
[258]
웹사이트
Imidaclopride utilisé en enrobage de semences (Gaucho®) et troubles des abeilles (果実に付着したイミダクロプリド(Gaucho®)とミツバチの問題)
http://www.agricultu[...]
2003-09-18
[259]
웹사이트
France: Governmental report claims BAYER's pesticide GAUCHO responsible for bee-deaths Coalition against Bayer-Dangers is calling for a ban (フランス:政府報告書、バイエル社の除草剤ガウチョがミツバチの死の原因と主張 바이엘社の危険に対する反対連合、禁止を求める)
http://www.cbgnetwor[...]
2003-12-01
[260]
웹사이트
Millions of bees dead - Bayer's Gaucho blamed (ミツバチの大群が死亡、バイエル社のガウチョが原因)
http://www.newmediae[...]
2003-11-26
[261]
논문
Quantification of imidacloprid uptake in maize crops (トウモロコシにおけるイミダクロプリドの影響の定量化)
2005-06-29
[262]
논문
Modes of honeybees exposure to systemic insecticides: estimated amounts of contaminated pollen and nectar consumed by different categories of bees (浸透殺虫剤に暴露されたミツバチのモード:異なる範疇のハチが消費する汚染花粉と花蜜の推算)
[263]
논문
Effects of imidacloprid administered in sub-lethal doses on honey bee behaviour. Laboratory tests (致死量に近いイミダクロプリドをミツバチの働き蜂に与えた効果。働き蜂のテスト)
[264]
웹사이트
"Letter from David Hackenberg to American growers from March 14, 2007"(デイビッド・ハッケンベルグから米国養蜂家への書簡、2007年3月14日) (DOC)
http://www.imkerinne[...]
Plattform Imkerinnen — Austria
2011-12-16
[265]
뉴스
Vanishing bees threaten US crops (ミツバチの消失が米国農作物を脅かす)
http://news.bbc.co.u[...]
BBC News
2008-06-18
[266]
웹사이트
http://www.greenpeac[...]
[267]
웹사이트
EFSA Scientific Report (2006) 65, 1-110, Conclusion regarding the peer review of the pesticide risk assessment of the active substance fipronil
http://www.efsa.euro[...]
2011-12-16
[268]
웹사이트
http://www.juno.dti.[...]
[269]
웹사이트
「ミツバチが生きた島、死んだ島―長崎県から報告」alterna,2011年1月24日
http://www.alterna.c[...]
[270]
웹사이트
Pesticide tied to bee colony collapse
http://news.harvard.[...]
Harvard School of Public Health의 Alex Luら。
[271]
웹사이트
Use of Common Pesticide Linked to Bee Colony Collapse
http://www.hsph.harv[...]
Harvard School of Public Health
[272]
웹사이트
Neonicotinoid Pesticide Reduces Bumble Bee Colony Growth and Queen Production
http://www.sciencema[...]
Science
2012-03-29
[273]
문서
電子版。雑誌版では2012年4月20日号
[274]
웹사이트
Field Research on Bees Raises Concern About Low-Dose Pesticides
http://www.sciencema[...]
Science
2012-03-30
[275]
웹사이트
ミツバチの激減、市販殺虫剤が影響の可能性 英仏研究
https://www.afpbb.co[...]
2012-04-03
[276]
웹사이트
農薬がハチを狂わせる 「群れ崩壊」の原因か
https://web.archive.[...]
MSN産経ニュース
2012-03-30
[277]
뉴스
農薬、ハチに悪影響? 英仏チームが女王蜂の減少など確認
日本経済新聞
2012-03-30
[278]
웹사이트
Pesticides May Quell Queen Bees and Hurt Homing Abilities
http://www.businessw[...]
Bloomberg News
2012-03-29
[279]
웹사이트
2 Studies Point to Common Pesticide as a Culprit in Declining Bee Colonie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2-03-29
[280]
웹사이트
「「ミツバチ大量死はネオニコ系農薬と強い相関」、金沢大学の教授らが論文発表」alterna,2013年3月5日
http://www.alterna.c[...]
[281]
웹사이트
Alarm Sounds on Bee-Killing Pesticides (by Julio Godoy) (殺蜂農薬への警鐘)
http://www.tierramer[...]
2004-01-01
[282]
문서
Parliamentary Investigation Commission on Over mortality of Bees
[283]
문서
2007年8月時点ではまだ研究会は開かれていない。
[284]
논문
A Common Pesticide Decreases Foraging Success and Survival in Honey Bees
http://www.sciencema[...]
Science
2012-03-29
[285]
웹사이트
Bee Mites Suppress Bee Immunity, Open Door For Viruses And Bacteria (ミツバチヘギイタダニがハチの免疫を抑制、ウイルスと細菌の研究に新たな鍵)
http://www.scienceda[...]
[286]
간행물
"Nosema ceranae'', a new microsporidian parasite in honeybees in Europe (「ノゼマ病微胞子虫」、ヨーロッパのミツバチでの新たな微胞子虫の真菌)
http://www.ncbi.nlm.[...]
2006-01-01
[287]
뉴스
Les abeilles sont-elles en train de disparaître? (ハチは消えつつあるのか?)
http://rue89.com/200[...]
Rue 89
2007-08-29
[288]
뉴스
"Asian Parasite Killing Western Bees - Scientist"
http://www.planetark[...]
Planet Ark
2007-07-19
[289]
웹사이트
Tentative Recommendations for Hives Experiencing CCD (CCDを発症したハチの巣に対する対症療法)
Mid-Atlantic Apiculture Research and Extension Consortium
2007-03-01
[290]
간행물
Honeybee colony collapse due to Nosema ceranae in professional apiaries
http://www3.intersci[...]
[291]
뉴스
Microbiology: Colony collapse cured?
https://www.nature.c[...]
Nature
2009-04-23
[292]
웹사이트
"Nosema ceranae'' - Asiatischer Nosema-Erreger festgestellt – neu verbreitet oder erst jetzt entdeckt?
Albert-Ludwigs-Universität Freiburg
[293]
웹사이트
"Nosema ceranae'' - Asian Nosema Disease Vector Confirmed – is this a new infestation or only now discovered?
Albert Ludwigs University of Freiburg
[294]
뉴스
UCSF scientist tracks down suspect in honeybee deaths ([[カリフォルニア大学サンフランシスコ校|UCSF]]の科学者、CCDの容疑者を追い詰める)
http://www.sfgate.co[...]
San Francisco Chronicle
2007-04-26
[295]
뉴스
Scientists Identify Pathogens That May Be Causing Global Honeybee Deaths
http://sev.prnewswir[...]
PR Newswire
2007-04-25
[296]
뉴스
Experts may have found what's bugging the bees (専門家はCCDの原因をつかんでいるか?)
http://www.latimes.c[...]
Los Angeles Times
2007-04-26
[297]
뉴스
Honeybee Die-Off Threatens Food Supply
http://www.usatoday.[...]
Associated Press
2007-05-02
[298]
뉴스
Whidbey hives collapse
http://www.whidbeyne[...]
Whidbey News-Times
2007-04-25
[299]
뉴스
Colony Collapse Disorder (CCD) in Honey Bees
http://pestalert.ifa[...]
University of Florida
2007-04-16
[300]
뉴스
Imported Bees Not Source of Virus Associated with Colony Collapse Disorder (輸入蜂はCCDウイルスではない)
http://www.ars.usda.[...]
USDA
2007-11-19
[301]
논문
Originally published in Science Express on 6 September 2007 Science 12 October 2007: Vol. 318. no. 5848, pp. 283 – 287 DOI: 10.1126/science.1146498
http://www.sciencema[...]
[302]
서적
Insect Pollination of Cultivated Crop Plants (栽培された植物の昆虫による受粉)
USDA Agriculture Handbook #496 (USDA農業ハンドブック). USDA-ARS, Washington DC.
1976-01-01
[303]
웹사이트
Offizielle Stellungnahme des DBIB (Deutscher Berufs Imker Bund) für den Agrarausschuss des Deutschen Bundestages (ドイツ連邦議会でのドイツ養蜂家連盟公式コメント)
http://www.bundestag[...]
2005-10-17
[304]
웹사이트
"GM Crops: The First Ten Years — Global Socio-Economic and Environmental Impacts" (遺伝子組み換え作物:最初の10年 ― 社会経済及び環境への衝撃)
http://www.isaaa.org[...]
[305]
웹사이트
"Summary Of Research on the Non-Target Effects of Bt Corn Pollen on Honeybees" (ミツバチにおけるBtトウモロコシの花粉が示す非標的生物への影響に関する研究概要) — Department of Entomology, University of Maryland
http://maarec.cas.ps[...]
2007-03-28
[306]
웹사이트
"Biopesticides Registration Action Documents" (バイオ殺虫剤の登記に関する文書)
http://www.epa.gov/p[...]
[307]
웹사이트
"Bacillus thuringiensis as plant incorporated protectant" (作物内の保護剤としてのBT菌)
http://www.epa.gov/p[...]
2001-10-15
[308]
웹사이트
"Microbial Pesticide Test Guidelines — OPPTS 885.4380 — Honey Bee Testing — Tier I"
http://www.epa.gov/p[...]
[309]
논문
Potential effects of GM crops on honey bee health. Bee World
2004-01-01
[310]
논문
Effects of Cry1Ab protoxin, deltamethrin and imidacloprid on the foraging activity and the learning performances of the honeybee Apis mellifera, a comparative approach (セイヨウミツバチの摂食活動と学習活動に対するCry1Ab前駆体とデルタメトリン、イミダクロプリドの効果:対照アプローチ)
2005-01-01
[311]
웹사이트
Opinion of the Scientific Panel on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on a request from the Commission related to the safeguard clause invoked by Greece according to Article 23 of Directive 2001/18/EC and to Article 18 of Directive 2002/53/EC1 (指令2001/18/EC第23条および指令2002/53/EC1第18条によってギリシアによって提起された保護規定に関連した議会からの要求に基づくGMOに関する科学委員会の意見)
http://www.efsa.euro[...]
2006-11-07
[312]
웹사이트
"Effects of Bt maize pollen on the honeybee" (ミツバチに対するBTトウモロコシ花粉の影響)
http://www.gmo-safet[...]
2005-10-12
[313]
웹사이트
"Are GM Crops Killing Bees?" (GM作物がハチの死因か?)
http://www.spiegel.d[...]
2005-03-22
[314]
문서
Map of affected states within the US
http://maarec.cas.ps[...]
[315]
웹사이트
"Status of Pollinators in North America — Committee on the Status of Pollinators in North America —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Washington, D.C. (北アメリカにおける花粉媒介の状態―北アメリカにおける花粉媒介の状態に関する委員会) www.nap.edu; title page
http://books.nap.edu[...]
[316]
웹사이트
'Status of Pollinators in North America — Committee on the Status of Pollinators in North America —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Washington, D.C. www.nap.edu; page 81'
http://books.nap.edu[...]
2007-04-27
[317]
웹사이트
"Mid-Atlantic Apiculture Research and Extension Consortium"
http://maarec.cas.ps[...]
2007-03-29
[318]
간행물
ミツバチに関する学術雜誌''Apidologie''に掲載予定
[319]
뉴스
No Organic Bee Losses (有機栽培の蜂は異常なし)
http://www.informati[...]
information liberation
2017-06-19
[320]
웹사이트
Honey Bee Colony Collapse Disorder (CCD) I: Should we really be surprised? (本当に驚くべきなのか?)
http://whatsyourecot[...]
[321]
서적
「ハチはなぜ大量死したのか」P.98
[322]
뉴스
The Silence of the Bees (ハチたちの沈默)
http://www.hcn.org/s[...]
High Country News
2007-03-19
[323]
웹사이트
Colony Collapse Disorder and Pollinator Decline (CCDと授粉の減少)
http://www7.national[...]
The National Academies
2008-06-18
[324]
뉴스
Honeybees, Gone With the Wind, Leave Crops and Keepers in Peril (ミツバチは、風と共に去りて、作物と養蜂家を危機に)
http://select.nytime[...]
New York TImes
2008-06-18
[325]
뉴스
Wireless: Case of the disappearing bees creates a buzz about cellphones (無線:消えたハチの事例は携帯電話にうなり声)
http://www.iht.com/a[...]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2007-04-22
[326]
뉴스
Researchers: Often-cited study doesn't relate to bee colony collapse (研究者:被引用回数の多い研究は蜂群崩壊と無関係)
http://www.fosters.c[...]
Foster's Online
2007-04-22
[327]
뉴스
Cellphone researchers claim data misinterpreted (携帯電話研究者はデータの語解釈と主張)
http://colonycollaps[...]
ColonyCollapse.org
[328]
학술지
Can Electromagnetic Exposure Cause a Change in Behaviour? Studying Possible Non-Thermal Influences on Honey Bees – An Approach within the Framework of Educational Informatics (電磁波への暴露で行動が変化するか?ミツバチに対する非熱的影響 ― 教育情報学の枠組みでのアプローチ)
http://agbi.uni-land[...]
[329]
학술지
How Electromagnetic Exposure can influence Learning Process - Modelling Effects of Electromagnetic Exposure on Learning Processes (電磁波への暴露がどのように学習プロセスに影響するか ― 電磁波への暴露が学習プロセスに与える影響のモデル化)
http://www.bienenarc[...]
[330]
웹사이트
Radiation Protection: Non-Ionising Radiations
http://www.safety.ed[...]
2008-06-18
[331]
웹사이트
Questions and Answers about Wireless Phones
http://www.fda.gov/c[...]
2008-06-18
[332]
기타
Morse, R.A.; Calderone, N.W., The Value of Honey Bees as Pollinators of US Crops in 2000. (ミツバチが受粉を行なう2000年の米国穀物収穫高)
Cornell University
2000
[333]
문서
カリフォルニアでは、2006年の作物の収穫高は15億ドルであった。
[334]
웹사이트
Urban Legends Reference Pages: Einstein on Bees
http://www.snopes.co[...]
2008-06-04
[335]
Youtube
Dennis vanEngelsdorp: a plea for bees
http://www.ted.com/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