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그래스호퍼 (곤충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뚜기는 꼬마날개아목에 속하는 곤충으로, 짧은 더듬이를 가진 것이 특징이다. 전 세계 열대 지역에 주로 분포하며, 초식성 곤충 중 가장 오래된 그룹으로 추정된다. 메뚜기는 머리, 가슴, 배로 구성되어 있으며, 겹눈, 촉각, 씹는 입을 가지고 있다. 뒷다리가 발달하여 점프에 특화되어 있으며, 소리를 내는 종도 있다. 메뚜기는 불완전 변태를 거치며, 알, 약충, 성충 단계를 거친다. 떼를 지어 다니는 메뚜기는 농작물에 큰 피해를 줄 수 있으며, 천적, 기생충, 병원체에 의해 공격받는다. 일부 메뚜기는 식용으로 사용되며, 예술 작품이나 상징으로도 등장한다. 또한, 폭발물 감지에 활용되는 "사이버그 메뚜기"가 개발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뚜기아목 - 메뚜기상과
    메뚜기상과는 메뚜기과, 주름메뚜기과, 알락메뚜기과 등 12개의 과를 포함하는 곤충 분류군으로, 일부 과에서는 독특한 염색체 특징이 나타난다.
  • 곤충 관련 문화 - 로커스트 (메뚜기)
    로커스트는 평소에는 고립된 메뚜기이지만 특정 조건 하에 대규모 떼를 형성하여 농작물에 심각한 피해를 입히는 현상 또는 그러한 메뚜기 떼를 지칭하며, 국제적인 감시와 방제 노력, 친환경 방제 연구, 실험 모델 활용, 식용 곤충으로서의 가치도 지닌다.
  • 곤충 관련 문화 - 유해 생물
    유해 생물은 인간, 재산, 환경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생물로 농작물 피해, 질병 매개, 건물 손상 등 다양한 문제를 일으키므로 관리와 방제가 중요하다.
그래스호퍼 (곤충군)
기본 정보
이름메뚜기
학명Acridomorpha
바퀴벌레목
아목메뚜기아목
생물 분류Acridoidea
Eumastacoidea
Pneumoroidea
Proscopioidea
Pyrgomorphoidea
Tanaoceroidea
Trigonopterygoidea
미국 메뚜기 (Schistocerca americana)
미국 메뚜기 (Schistocerca americana)
기타 정보
식량농림수산성에서 이나고의 츠쿠다니를 소개하고 있음.

2. 계통 발생

메뚜기는 꼬마날개아목(Caelifera)에 속하며, 유지목(귀뚜라미, 여치 등)과 함께 메뚜기목을 구성한다.[9][10] 꼬마날개아목의 계통 발생은 미토콘드리아 리보솜 RNA를 기반으로 연구되었으며, 알락메뚜기과(Pamphagoidea)를 제외한 모든 메뚜기 상과는 단계통군으로 보인다.[9][10]

꼬마날개아목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세발가락메뚜기상과
  • 방게메뚜기상과
  • 비단메뚜기상과
  • 자벌레메뚜기상과
  • 부풀메뚜기상과
  • 땅딸이메뚜기상과
  • 메뚜기상과


진화론적 관점에서 꼬마날개아목과 유지목의 분기는 페름기-트라이아스기 경계 이후에 일어났다.[11] 가장 초기의 꼬마날개아목 곤충은 약 2억 5천만 년 전 트라이아스기 초기의 멸종된 Locustopseidae과와 Locustavidae과에 속한다. 이들은 트라이아스기 동안 다양해졌고, 현재까지 중요한 식물 식충 동물로 남아 있다. 최초의 현대 과는 백악기에 나타났지만, 일부는 쥐라기 초기에도 발견된다.[12][13]

꼬마날개아목은 약 2,400개의 유효한 속과 약 11,000종의 알려진 종을 포함하며, 특히 열대 우림 지역에 많은 미기재 종이 존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은 주로 열대 지역에 분포하며, 온대 지역에는 적은 종이 알려져 있지만, 대부분의 상과는 전 세계에 분포한다. 꼬마날개아목은 거의 전적으로 초식성이며, 씹어 먹는 초식성 곤충의 가장 오래된 생존 그룹일 가능성이 높다.[14]

가장 다양한 상과는 약 8,000종을 가진 메뚜기상과이다. 메뚜기상과의 두 주요 과는 전 세계에 분포하는 메뚜기과(메뚜기와 풀무치)와 주로 신세계에서 발견되는 방아벌레과(대형 메뚜기)이다.[12]

3. 특징

메뚜기는 머리, 가슴, 배로 이루어진 전형적인 곤충의 몸 구조를 갖는다. 머리에는 모든 방향을 볼 수 있는 큰 한 쌍의 겹눈과 빛과 어둠을 감지하는 세 개의 홑눈, 촉각과 냄새에 민감한 한 쌍의 촉각이 있다. 아래쪽으로 향하는 입은 씹는 데 적합하며, 앞에는 두 개의 감각 촉수가 있다.[16]

가슴과 배는 분절되어 있으며 키틴으로 구성된 겹쳐진 판으로 이루어진 단단한 표피를 갖는다. 세 개의 융합된 가슴 마디에는 세 쌍의 다리와 두 쌍의 날개가 있다. 앞날개는 좁고 가죽 같으며, 뒷날개는 크고 막질이며 정맥이 강도를 제공한다. 뒷다리는 특히 발달하여 뛰어오르는 데 사용된다.[17] 넓적다리는 튼튼하며, 일부 종에서는 내부 융기에 스트리둘레이션 페그가 있다. 경골의 뒷가장자리에는 가시가 이중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하단 근처에는 한 쌍의 관절이 있는 가시가 있다. 가슴 내부는 날개와 다리를 제어하는 근육을 수용한다.[16]

뒷다리의 경골을 따라 가시가 보이는 두 마리의 차등 메뚜기


배는 11개의 마디로 구성되며, 첫 번째 마디는 가슴과 융합되어 고막 기관과 청각 시스템을 포함한다. 암컷 메뚜기는 일반적으로 성적 이형성이 있으며, 짧은 산란관을 갖는다.[16]

메뚜기의 청각 기관은 배의 첫 번째 마디 양쪽에 위치한 한 쌍의 막으로 구성된 고막 기관이다. 이 기관은 음파에 반응하여 진동하며, 메뚜기가 다른 메뚜기의 소리를 들을 수 있게 해준다.[19]

수컷은 주로 뒷다리의 톱니줄을 앞날개 가장자리에 비벼 소리를 낸다(스트리둘레이션).[20]

메뚜기는 귀뚜라미와 혼동될 수 있지만, 촉각 마디 수, 산란관의 구조, 고막 기관의 위치 등에서 다르다.[21] 메뚜기아목은 몸보다 훨씬 길 수 있고 20~24개 이상의 마디를 가진 촉각을 가지는 반면, 메뚜기목은 더 짧고 튼튼한 촉각에 마디가 적다.[20]

이집트 메뚜기(''Anacridium aegyptium'')의 정면 모습, 겹눈, 작은 홑눈을 보여준다.


메뚜기는 전형적인 곤충의 신경계를 가지며, 광범위한 외부 감각 기관을 갖는다. 머리 측면에는 넓은 시야를 제공하고 움직임, 형태, 색상 및 거리를 감지할 수 있는 한 쌍의 큰 겹눈이 있다. 또한 이마에는 빛의 강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세 개의 홑눈(단안)과 후각 및 촉각 수용기를 포함하는 한 쌍의 더듬이, 미각 수용기를 포함하는 구기(입 부분)가 있다.[29] 몸 전체를 덮고 있는 수많은 미세한 털(강모)은 기계 수용기(촉각 및 바람 감지기) 역할을 하며, 이는 더듬이, 촉수 및 복부 끝의 미모에 가장 밀집되어 있다.[30] 다리 큐티클에 내장된 특수 수용기(종상 감각기)는 압력과 큐티클 변형을 감지한다.[31]

메뚜기는 개방 순환계를 가지며 체강은 혈림프로 채워져 있다. 혈림프는 상처 치유, 열 전달 및 정수압을 제공하지만, 순환계는 기체 교환에 관여하지 않는다.[32] 호흡은 기관을 통해 이루어지며, 더 큰 곤충은 몸을 능동적으로 환기시켜야 할 수 있다.[33]

귀뚜라미는 크고 긴 뒷다리를 뻗어 점프한다. 근육은 높은 힘과 높은 속도로 동시에 수축할 수 없기 때문에, 귀뚜라미는 근육이 생성하는 기계적 동력을 증폭시키기 위해 투석기 메커니즘을 사용한다.[36]

점프는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37] 첫째, 다리 아랫부분(경골)을 윗부분(넙다리)에 대해 완전히 구부린다. 둘째, 깃털 모양 신전 경골 근육에서 힘이 축적되는 동시 수축 기간이 있지만, 경골은 굴근 경골 근육의 동시 수축으로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한다. 신전 근육은 굴근 근육보다 강하지만, 굴근 근육은 경골이 완전히 구부러졌을 때 큰 기계적 이점을 제공하는 관절 특수화에 의해 지원된다.[38] 동시 수축은 최대 0.5초까지 지속되며, 이 기간 동안 신전 근육은 짧아지고 다리의 단단한 큐티클 구조를 변형시켜 탄성 변형 에너지를 저장한다.[39] 셋째, 굴근 근육의 방아쇠 이완으로 경골을 해제한다. 그 후 빠른 경골 신전은 신전 근육의 추가적인 단축보다는 기계적 탄성 구조의 이완에 의해 주로 구동된다. 단단한 큐티클은 투석기의 탄성처럼 작용하여, 에너지는 느리지만 강한 근육 수축을 통해 저동력으로 저장소에 들어가고, 기계적 탄성 구조의 빠른 이완을 통해 고동력으로 회수된다.[40]

4. 생태

대부분의 메뚜기는 여러 식물을 먹는 잡식성이지만,[22] 일부는 동물 조직이나 동물의 배설물도 먹는다.[23] 이들은 작물로 재배되는 곡물을 포함한 풀을 선호한다.[24] 소화 기관은 곤충의 전형적인 구조를 가지며, 말피기 소관이 중장에 배출된다. 탄수화물은 주로 작물에서 소화되고 단백질은 중장의 맹장에서 소화된다. 침은 풍부하지만 효소가 거의 없어 음식과 말피기 분비물을 장을 따라 이동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일부 메뚜기는 셀룰라아제를 가지고 있어 식물 세포벽을 부드럽게 하여 소화 효소가 식물 세포 내용물에 접근할 수 있게 한다.[25] 떼를 지어 다닐 때는 식인 풍습을 보이기도 한다.[26][27][28]

메뚜기는 전형적인 곤충의 신경계를 가지며, 광범위한 외부 감각 기관을 가지고 있다. 머리 측면에는 넓은 시야를 제공하고 움직임, 형태, 색상 및 거리를 감지할 수 있는 한 쌍의 큰 겹눈이 있다. 이마에는 빛의 강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세 개의 홑눈(단안)과 후각 및 촉각 수용기를 포함하는 한 쌍의 더듬이, 미각 수용기를 포함하는 구기(입 부분)가 있다.[29] 복부 앞쪽 끝에는 소리 수용을 위한 한 쌍의 고막 기관이 있다. 몸 전체를 덮고 있는 강모는 기계 수용기(촉각 및 바람 감지기) 역할을 하며, 더듬이, 촉수 및 미모에 가장 밀집되어 있다.[30] 다리 큐티클에 내장된 종상 감각기는 압력과 큐티클 변형을 감지한다.[31] 골격 관절 부위의 위치와 움직임을 감지하는 내부 "경막" 감각 기관도 있다. 수용기는 감각 뉴런을 통해 중추 신경계에 정보를 전달한다.[30]

다른 곤충과 마찬가지로, 메뚜기는 개방 순환계를 가지고 있으며 체강은 혈림프로 채워져 있다. 복부 윗부분에 있는 심장과 유사한 구조가 혈림프를 머리쪽으로 펌프질한다. 이 시스템은 영양분을 몸 전체로 순환시키고 대사 노폐물을 운반하여 내장으로 배설한다. 혈림프의 다른 기능으로는 상처 치유, 열 전달 등이 있지만, 순환계는 기체 교환에 관여하지 않는다.[32] 호흡은 기관을 사용하여 수행되는데, 기관은 공기로 채워진 관으로 흉부와 복부 표면에서 밸브가 있는 기관공 쌍을 통해 열린다. 더 큰 곤충은 복부 근육을 사용하여 몸을 능동적으로 환기시켜야 할 수 있다.[33]

메뚜기는 뒷다리를 뻗어 기질을 밀어 점프한다. 반작용력은 그들을 공중으로 밀어 올린다.[34] 포식자로부터 탈출하거나, 비행을 시작하거나, 이동하기 위해 점프를 한다. 탈출 점프의 경우, 도약 속도를 최대화하려는 강한 선택 압력이 가해지는데, 이는 점프 거리를 결정하기 때문이다. 다리가 높은 힘과 높은 속도로 땅을 밀어야 한다. 근육은 높은 힘과 높은 속도로 동시에 수축할 수 없다는 기본적인 특성을 가진다. 메뚜기는 근육이 생성하는 기계적 동력을 증폭시키기 위해 투석기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이를 극복한다.[36] 점프는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37] 첫째, 다리 아랫부분(경골)을 윗부분(넙다리)에 대해 완전히 구부린다. 둘째, 깃털 모양 신전 경골 근육에서 힘이 축적되는 동시 수축 기간이 있지만, 경골은 굴근 경골 근육의 동시 수축으로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한다. 동시 수축은 최대 0.5초까지 지속될 수 있으며, 이 기간 동안 신전 근육은 짧아지고 다리의 단단한 큐티클 구조를 변형시켜 탄성 변형 에너지를 저장한다.[39] 셋째, 굴근 근육의 방아쇠 이완으로, 구부러진 위치에서 경골을 해제한다. 그 후 빠른 경골 신전은 기계적 탄성 구조의 이완에 의해 주로 구동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단한 큐티클은 투석기의 탄성처럼 작용한다. 에너지는 느리지만 강한 근육 수축을 통해 저동력으로 저장소에 들어가고, 기계적 탄성 구조의 빠른 이완을 통해 고동력으로 저장소에서 회수된다.[40]

수컷 메뚜기는 스트리듀레이션을 통해 소리를 내어 암컷을 유인한다. 암컷도 스트리듀레이션을 하지만, 수컷에 비하면 그 노력은 미미하다. 노래는 의사소통의 수단이며, 수컷의 스트리듀레이션은 생식적 성숙, 사회적 결속, 개별적인 안녕을 표현하는 것으로 보인다. 메뚜기는 멀리 뛰거나 날 수 있기 때문에 사회적 결속이 필요하며, 노래는 분산을 제한하고 다른 개체를 유리한 서식지로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반적인 노래는 어구와 강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경쟁 수컷이 있을 때는 수정되고, 암컷이 근처에 있을 때는 구애의 노래로 다시 바뀐다.[41]

4. 1. 생애 주기

메뚜기는 알, 약충, 성충의 단계를 거치는 불완전 변태를 한다. 갓 부화한 암컷 메뚜기는 체중이 증가하고 알이 성숙되는 동안 1~2주 동안 산란 전 기간을 거친다. 대부분의 종의 암컷은 짝짓기 후 산란관으로 구멍을 파고, 일반적으로 여름에 먹이 식물 근처 땅속에 알 덩어리를 낳는다. 알을 낳은 후에는 구멍을 흙과 낙엽으로 덮는다.[16] 반수생인 ''Cornops aquaticum''과 같은 일부 종은 알 덩어리를 식물 조직에 직접 낳는다.[43]

''Romalea microptera'' 메뚜기: 암컷(더 큼)이 알을 낳고 수컷이 옆에 있다.


몇 주간의 발달 후, 온대 기후에 사는 대부분의 종의 알은 휴면 상태에 들어가 이 상태에서 겨울을 난다. 휴면은 충분히 낮은 지표면 온도로 인해 깨지며, 지표면이 특정 임계 온도 이상으로 따뜻해지면 발달이 재개된다. 일반적으로 알 덩어리 안의 배아는 서로 몇 분 안에 부화한다. 그들은 곧 막을 벗고 외골격이 굳어진다. 이러한 첫 번째 약충은 포식자로부터 멀리 뛰어갈 수 있다.[44]

메뚜기는 탈피를 반복하며 각 령이 더 커지고 성충과 더 비슷해지며, 날개 봉오리가 각 단계에서 크기가 증가한다. 령의 수는 종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6이다. 마지막 탈피 후, 날개는 팽창하고 완전히 기능하게 된다. 이주 메뚜기인 ''Melanoplus sanguinipes''는 성별과 온도에 따라 약충으로 약 25~30일을 보내고 성충으로 약 51일을 산다.[44]

6단계(유충) 발달 과정, 갓 부화한 약충에서 완전히 날개 달린 성충까지

4. 2. 떼

메뚜기는 메뚜기과(Acrididae)에 속하는 특정 종의 짧은 뿔을 가진 메뚜기의 떼를 짓는 단계이다. 떼를 짓는 행동은 과밀에 대한 반응이다. 뒷다리에 대한 촉각 자극이 증가하면 세로토닌 수치가 증가한다.[45] 이는 메뚜기가 색깔을 바꾸고, 더 많이 먹고, 더 빨리 번식하게 한다. 고립된 개체가 떼를 짓는 개체로 변하는 것은 짧은 기간 동안 분당 여러 번의 접촉에 의해 유도된다.[46]

이러한 변환 이후, 적절한 조건 하에서 "호퍼"로 알려진 날지 못하는 약충의 밀집된 유목 밴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서로를 끌어당기는 페로몬을 생성한다. 1년에 여러 세대가 발생하면서, 메뚜기 개체군은 지역 그룹에서 떼라고 알려진 거대한 비행 곤충 무리로 증가하여 마주치는 모든 식물을 먹어 치울 수 있다. 가장 큰 메뚜기 떼는 1875년에 멸종된 로키산 메뚜기에 의해 형성되었다. 떼의 길이는 약 2896.81km이고 폭은 약 177.03km였으며,[47] 한 추정치는 관련된 메뚜기의 수를 3조 5천억 마리로 추산한다.[48] 성체 사막 메뚜기는 매일 약 2g의 식물 재료를 먹을 수 있으므로, 대규모 떼의 수십억 마리의 곤충은 매우 파괴적일 수 있으며, 영향을 받는 지역의 식물에서 모든 잎을 제거하고 줄기, 꽃, 열매, 씨앗 및 나무 껍질을 섭취한다.[85]

고대 이집트 무덤 (기원전 1422년~1411년경)


한어의 '蝗'(황)은 일본에서 이나고(메뚜기)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벼메뚜기가 상변이를 일으켜 떼를 지어 다니는 것을 가리킨다.[108] 이것이 대군을 이루어 집단 이동하는 현상을 '''비황'''(날아다니는 메뚜기), 이로 인한 피해를 '''황해'''(메뚜기 피해)라고 부른다. 은나라 시대의 갑골 문자에는 '蝗'을 의미하는 문자가 있어, 이미 황해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109]

일본에서는 볏짚 메뚜기가 '蝗', 즉 군생 상태가 될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일본 열도의 지리적 조건이나 자연 환경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거의 볼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蝗'가 한적에 의해 일본에 소개되었을 때, ''''이나고''''(메뚜기)의 훈독이 붙여졌고, 또한 멸구나 도열병에 의한 벼의 큰 피해에 대해 '황해'라는 말이 사용되었다.

일본의 황해 기록은 에도 시대에 발생한 것[110]이나 메이지 시대에 홋카이도에서 발생한 것, 1986년가고시마현의 마게시마에서 일어난 것 등이 알려져 있다.

5. 천적, 기생충 및 병원체

메뚜기는 다양한 생물에게 잡아먹히며, 기생충이나 질병에 감염되기도 한다. 알은 벌파리, 땅벌레, 반날개 등에게 먹히고, 애벌레와 성충은 개미, 털파리, 말벌, 거미고양이를 포함한 여러 새와 포유류에게 잡아먹힌다.[49]

목화머리타마린 원숭이가 메뚜기를 먹고 있다.


검정파리, 살파리, 털파리 등이 메뚜기 알과 약충에 기생하며, 진드기는 성충과 약충 모두에게 외부 기생충으로 존재한다.[49] 진드기에 감염된 암컷 메뚜기는 알을 적게 낳아 번식에 영향을 받는다.[50]

기생 진드기가 있는 메뚜기


메뚜기 선충(`Mermis nigrescens`)은 메뚜기의 혈강에 기생하는 가늘고 긴 벌레이다. 성충이 식물에 알을 낳으면 메뚜기가 잎을 먹다가 감염된다.[51] `Spinochordodes tellinii`와 `Paragordius tricuspidatus`는 메뚜기를 감염시켜 물가로 유도해 익사하게 만든 후, 물속에서 다음 생명 주기를 이어간다.[52][53]



메뚜기는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원생생물에 의한 질병에도 취약하다. `Serratia marcescens`와 `Pseudomonas aeruginosa` 세균, 그리고 곤충병원성 곰팡이인 `Beauveria bassiana` 등이 메뚜기에게 질병을 일으킨다. `Beauveria bassiana`는 널리 사용되는 곰팡이지만, 햇볕에 쬐면 메뚜기 체온이 곰팡이의 생존 임계 온도 이상으로 올라가 감염이 치명적이지 않을 수 있다.[55] 곰팡이 병원체 `Entomophaga grylli`는 메뚜기가 식물 꼭대기에 매달려 죽게 하여 곰팡이 포자가 널리 퍼지도록 한다.[56]

곰팡이 병원체 `Metarhizium acridum`은 아프리카, 호주, 브라질 등에서 발견되며, 메뚜기 방제를 위한 미생물 살충제로 연구되고 있다.[55] 미포자충 곰팡이 `Nosema locustae`는 메뚜기에게 치명적일 수 있으며, 미끼 기반 상업용 미생물 살충제의 기초가 된다. 그 외 다양한 미포자충 및 원생동물이 메뚜기 장에서 발견된다.[55]

5. 1. 방어 기제

메뚜기는 포식자 회피 적응을 통해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한다. 대표적인 방법은 위장으로, 주변 환경과 비슷한 색깔이나 무늬를 띠어 눈에 잘 띄지 않게 한다. 일부 종은 주변 환경에 맞게 색상을 변경할 수도 있다.[57]

Phyllochoreia ramakrishnai와 같은 몇몇 종은 잎을 정교하게 의태하며, 막대기 메뚜기(Proscopiidae)는 형태와 색상이 나무 막대기와 흡사하다.[58] 또한, 메뚜기는 종종 날개에 경계 반응 패턴을 가지고 있어, 갑작스럽게 밝은 색상을 드러내 포식자를 놀라게 하고 도망갈 시간을 번다.[59]

경고색을 띠는 종도 있는데, 이들은 밝은 색상과 함께 독성 물질을 분비하여 포식자를 쫓아낸다. ''Dictyophorus productus''(Pyrgomorphidae)는 밝은 빨간색 복부를 가지고 있으며, ''Cercopithecus'' 원숭이가 이 종을 먹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60] 애리조나의 무지개 메뚜기 또는 채색 메뚜기 ''Dactylotum bicolor''(Acridoidea) 역시 줄무늬꼬리도마뱀을 이용한 실험에서 경고색을 띤다는 것이 밝혀졌다.[61] 얼룩 메뚜기 ''Aularches miliaris''는 독성 거품과 경고 색상으로 자신을 방어한다.[62]

메뚜기의 방어 기제
방어 기제설명예시
위장주변 환경과 비슷하게 몸 색깔이나 무늬를 변화시켜 포식자의 눈에 띄지 않게 함.화려한 메뚜기 (Atractomorpha lata)
경계 반응갑작스럽게 밝은 색상을 드러내 포식자를 놀라게 함.루버 메뚜기 (Titanacris albipes)
의태다른 물체나 생물체의 모습, 색깔, 행동을 모방하여 포식자를 속임.잎 메뚜기 (Phyllochoreia ramakrishnai)
경고색밝고 눈에 띄는 색깔을 띠어 포식자에게 자신이 위험하다는 것을 알림.채색 메뚜기 (Dactylotum bicolor)
독성 거품포식자를 쫓아내는 독성 거품을 분비함.얼룩 메뚜기 (Aularches miliaris)



잎 메뚜기, ''Phyllochoreia ramakrishnai''는 녹색 잎을 의태한다.

6. 인간과의 관계

메뚜기는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해충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식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73]

멕시코 남부에서는 '차풀린'이라 불리는 메뚜기를 칠리 소스를 곁들인 토르티야 등 다양한 요리에 사용한다.[74] 중국 음식 시장에서는 메뚜기를 꼬치에 꽂아 판매하기도 하며,[75] 인도네시아 자바 족자카르타 특별주 군웅 키둘 섭정에서는 튀긴 메뚜기(''왈랑 고렝'')를 먹는다.[76] 우간다에서는 메뚜기를 튀겨 먹는 것이 일반적이다.[77] 성경에는 세례자 요한이 광야에서 메뚜기와 야생 꿀을 먹었다는 기록이 있다.[79]

인도네시아 족자카르타 특별주 군웅 키둘 섭정에서 튀긴 메뚜기


일본의 달콤 짭짤한 메뚜기 요리(''이나고노 츠쿠다니'')


일본에서는 곤충식이 신슈 (나가노현) 등 일부 내륙 지역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이지 않지만, 메뚜기는 벼농사 중 또는 벼 베기 후의 에서 해충 구제를 겸하여 대량으로 포획할 수 있었기 때문에 해산물이 적은 산간 지역에서 식용으로 이용되었다.[101] 꼬치에 꿰어 숯불에 굽거나, 냄비에 볶거나, 간장이나 설탕을 더해 달콤 짭짤하게 졸인 '''메뚜기 츠쿠다니''' 등으로 조리한다. 태평양 전쟁 중이나 종전 직후의 식량난 시대를 살았던 세대에게는 메뚜기를 먹고 굶주림을 견뎠던 경험을 가진 사람도 있다.[101]

최근에는 대체 단백질원 및 지속 가능한 단백질원에 대한 관심과 함께 메뚜기 농장을 운영하는 상업 회사들이 메뚜기를 식용 및 단백질 보충제로 사용하고 있다.

2014년에는 와카야마현에서 콩 대신 메뚜기를 사용한 간장풍 조미료가 개발되었다.[107]

메뚜기는 성충과 유충 모두 많은 양의 잎을 먹어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해충이 될 수 있다. 목초지, 곡물, 사료, 채소 등 다양한 작물에 피해를 입힌다.[82] 특히 떼를 지어 이동하는 습성을 가진 메뚜기 종은 매우 파괴적일 수 있다.[85]

6. 1. 예술과 미디어

메뚜기는 예술 작품에 종종 묘사된다. 네덜란드 황금 시대 화가 발타자르 판 데르 아스트의 정물화 유화 ''조개와 곤충이 있는 꽃병의 꽃''(1630년경)에 메뚜기가 묘사되어 있으며, 현재는 런던 국립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63] 라헬 뤼쉬의 정물화 ''꽃병의 꽃''(1685년경)에도 메뚜기목 곤충이 등장한다. 갤러리 큐레이터 베치 바이즈먼에 따르면, 겉보기에 정적인 이 장면에 "뛰어오를 것 같은 테이블 위의 귀뚜라미"가 생동감을 부여하며, 거미, 개미, 두 마리의 애벌레를 포함한 다른 무척추 동물들도 함께 등장한다.[64][65]

메뚜기는 영화에도 등장한다. 1957년 영화 ''시작과 끝''은 거대한 메뚜기가 시카고를 공격하는 모습을 그렸다.[66] 1998년 디즈니/픽사 애니메이션 영화 ''벅스 라이프''에서는 메뚜기 떼가 악당으로 등장하며, 그들의 리더 호퍼가 주요 악당이다.[67]

1971년 특촬 시리즈 ''가면라이더''의 주인공들은 주로 메뚜기를 모티브로 한다(예: 가면라이더 블랙의 바타 맨 형태). 이 모티브는 이후 파생된 미디어 프랜차이즈의 대부분의 작품에서 기본적인 시각적 템플릿으로 계속 사용되고 있다.

6. 2. 상징

토머스 그레샴 경의 금도금 메뚜기 상징, 런던 롬바드 스트리트, 1563


메뚜기는 때때로 상징으로 사용된다.[70] 고대 그리스 시대에 메뚜기는 아테네의 ''폴리스''를 상징했다.[68] 아마도 메뚜기가 아티카의 건조한 평원에서 가장 흔한 곤충 중 하나였기 때문일 것이다.[68] 한동안 아테네 토착민들은 순수한 아테네 혈통으로 외국인 조상이 없음을 상징하기 위해 금 메뚜기 브로치를 착용했다.[68] 페이시스트라토스는 일종의 메뚜기 형상을 아테네 아크로폴리스 앞에 주술로서 걸어놓았다.[69]

메뚜기의 또 다른 상징적 사용례는 1563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토머스 그레샴 경의 런던 롬바드 스트리트에 있는 금도금 메뚜기이다. 이 건물은 한동안 가디언 로열 익스체인지의 본사였지만, 회사는 메뚜기와의 혼동을 우려하여 이 상징을 사용하는 것을 거부했다.[71]

꿈에 나타나는 메뚜기는 "자유, 독립, 정신적 깨달음, 정착하거나 결정에 전념할 수 없음"의 상징으로 해석되어 왔다. 메뚜기는 농부에게는 작물 황폐화, 농부가 아닌 경우에는 "사악한 남녀", "집시"에게는 "사치, 불행, 덧없는 행복"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72]

6. 3. 식용



메뚜기는 일부 국가에서 식용으로 사용된다.[73] 멕시코 남부에서는 ''차풀린''이라고 불리는 메뚜기를 칠리 소스를 곁들인 토르티야 등 다양한 요리에 사용하며,[74] 중국 음식 시장에서는 메뚜기를 꼬치에 꽂아 판매하기도 한다.[75] 튀긴 메뚜기(''왈랑 고렝'')는 인도네시아 자바 족자카르타 특별주 군웅 키둘 섭정에서 먹는다.[76] 우간다에서는 메뚜기를 튀겨서 먹는 것이 일반적이다.[77] 성경에는 세례자 요한이 광야에서 메뚜기와 야생 꿀을 먹었다는 기록이 있다.[79]

최근에는 대체 단백질원 및 지속 가능한 단백질원에 대한 관심과 함께 메뚜기 농장을 운영하는 상업 회사들이 메뚜기를 식용 및 단백질 보충제로 사용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곤충식이 신슈 (나가노현) 등 일부 내륙 지역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이지 않지만, 메뚜기는 벼농사 중 또는 벼 베기 후의 에서 해충 구제를 겸하여 대량으로 포획할 수 있었기 때문에 해산물이 적은 산간 지역에서 식용으로 이용되었다.[101] 메뚜기는 꼬치에 꿰어 숯불에 굽거나, 냄비에 볶거나, 간장이나 설탕을 더해 달콤 짭짤하게 졸인 '''메뚜기 츠쿠다니''' 등으로 조리한다. 메뚜기는 예전부터 내륙부의 벼농사 민족에게 부족하기 쉬운 단백질칼슘의 보급원으로 이용되었으며, 태평양 전쟁 중이나 종전 직후의 식량난 시대를 살았던 세대에게는 메뚜기를 먹고 굶주림을 견뎠던 경험을 가진 사람도 있다.[101]

2014년에는 와카야마현에서 콩 대신 메뚜기를 사용한 간장풍 조미료가 개발되었다.[107]

구약성서에서는 곤충을 먹으면 안 되지만, "아르베, 사르암, 하르고르, 하가브"의 4종류는 먹어도 좋다고 규정하고 있다.[111]

6. 4. 해충

메뚜기는 성충과 유충 모두 많은 양의 잎을 먹어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해충이 될 수 있다. 목초지, 곡물, 사료, 채소 등 다양한 작물에 피해를 입힌다.[82] 특히 떼를 지어 이동하는 습성을 가진 메뚜기 종은 매우 파괴적일 수 있다.[85]

메뚜기는 따뜻하고 햇볕이 잘 드는 환경에서 번성하기 때문에 가뭄은 메뚜기 개체수 증가를 유발한다. 여러 번의 건조한 계절이 이어지고, 그 사이 겨울이 온화하면 더 많은 수의 약충이 살아남아 개체수가 급증한다.[82]

메뚜기 피해를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환경을 조작하는 것이다. 나무 그늘을 만들어 메뚜기를 막거나, 휴경지나 밭둑의 거친 식물을 제거하여 메뚜기가 작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82] 메뚜기 개체수가 증가하면 포식자 수도 늘어나지만, 이것만으로는 개체수를 크게 줄이기 어렵다.

생물학적 방제 방법으로는 원생동물 기생충 ''Nosema locustae''의 포자를 먹이에 섞어 사용하는 것이 연구되었으며, 미성숙한 곤충에게 더 효과적이다.[83] 소규모로는 멀구슬나무 제품이 먹이 억제 및 약충 발달 방해 효과를 낼 수 있다.[83] 살충제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성충 메뚜기는 죽이기 어렵고 주변에서 다시 유입될 수 있어 효과가 제한적이다.[82]

중국에서는 벼메뚜기가 벼농사에 큰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쟁기질을 통해 밭 표면에 있는 알을 노출시켜 햇볕에 파괴하거나 천적에게 먹히게 할 수 있다. 일부 알은 너무 깊이 묻혀 부화하지 못하게 된다.[84]

6. 5. 문학

메뚜기 또는 풀무치를 뜻하는 이집트 단어는 자음 상형 문자 표기법으로 'snḥm'으로 표기되었다. 람세스 2세히타이트 군대를 메뚜기에 비유했다.[90]

이집트 상형 문자 "snḥm"


이솝 우화 중 하나인 개미와 베짱이에서 개미는 여름 내내 열심히 일하는 반면, 베짱이는 논다. 겨울에 개미는 준비가 되어 있지만 베짱이는 굶어 죽는다. 서머싯 몸의 단편 소설 "개미와 베짱이"는 복잡한 구성을 통해 우화의 상징성을 탐구한다.[91]

나쓰메 소세키의 소설 도련님에서, 교사 도련님은 숙직 때 중학교 학생들에게 모기장 안에 이나고(메뚜기)를 넣어 곤란을 겪는다. 여기서는, 이나고를 "바타"라고 부르는 도쿄 출신의 주인공에 대해, 이나고는 "바타"가 아니라고 하는 마쓰야마의 학생이 그려져 있다.

6. 6. 기타

2020년 2월, 세인트루이스 워싱턴 대학교의 연구진은 폭발물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사이버그 메뚜기"를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미국 해군 연구소의 자금 지원을 받은 이 프로젝트에서 연구진은 메뚜기에게 안테나엽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고 컴퓨터로 전송하는 경량 센서 배낭을 장착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메뚜기는 폭발물의 최고 농도 지점을 감지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진은 여러 메뚜기의 감각 정보를 결합하여 탐지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했다. 7마리 메뚜기의 신경 활동은 평균 80%의 탐지 정확도를 보였고, 한 마리의 메뚜기는 60%의 정확도를 보였다.[88][89]

그래스호퍼 빔 엔진, 1847


"그래스호퍼"라는 이름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정찰 및 기타 지원 임무에 사용된 Aeronca L-3와 Piper L-4 경비행기에 붙여졌다. 이 이름은 Innis P. Swift 소장이 파이퍼가 거친 착륙을 하는 것을 보고, 마치 메뚜기가 튀는 것처럼 보인다고 말한 데서 유래했다고 한다.[94][95][96]

그래스호퍼 빔 엔진은 한쪽 끝이 회전축으로 고정된 빔 엔진으로, 긴 수평 팔이 메뚜기의 뒷다리를 닮았다. 이 유형은 1803년 William Freemantle에 의해 특허를 받았다.[97][98][99]

참조

[1] 웹사이트 grasshopper ! Description, Features, & Species https://www.britanni[...] 2021-09-29
[2] 웹사이트 A Plague of Locusts Descends Upon the Holy Land, Just in Time for Passover https://www.smithson[...] 2013-03-06
[3] 웹사이트 Caelifera:Grasshoppers and Locusts http://eol.org/pages[...] Encyclopedia of Life 2017-08-04
[4] 웹사이트 Suborder Caelifera – Grasshoppers http://bugguide.net/[...] BugGuide 2017-08-04
[5] 웹사이트 About Orthoptera: Crickets and grasshoppers https://www.orthopte[...] Orthoptera.org.uk
[6] 서적 Evolution of the Insect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웹사이트 ITIS Standard Report Page: Acrididea https://www.itis.gov[...]
[8] 간행물 A General Textbook of Entomology Methuen 1970
[9] 논문 The Phylogeny of the Caelifera (Insecta, Orthoptera) as Deduced from mtrRNA Gene Sequences 1997
[10] 논문 The phylogeny of the Orthoptera (Insecta) as deduced from mitogenomic gene sequences 2013
[11] 서적 Fossil Orthoptera Ensifera British Museum Natural History 1939
[12] 서적 Evolution of the Insect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논문 Mesacridites Riek, 1954 (Middle Triassic; Australia) transferred from Protorthoptera to Orthoptera: Locustavidae 2005
[14] 웹사이트 Caelifera: Shorthorned Grasshoppers, Locusts and Relatives http://tolweb.org/tr[...] 2015-04-03
[15] 논문 Alternate tactics in male bladder grasshoppers Bullacris membracioides (Orthoptera: Pneumoridae) http://caspar.bgsu.e[...]
[16] 문서 1994
[17] 웹사이트 10 Fascinating Facts About Grasshoppers https://www.thoughtc[...] 2024-08-06
[18] 서적 Cricket Radio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9] 웹사이트 10 Fascinating Facts About Grasshoppers https://www.thoughtc[...] 2024-08-06
[20] 웹사이트 Grasshoppers, crickets, katydids and locusts: Order Orthoptera https://australian.m[...] Australian Museum 2015-04-06
[21] 서적 Aims and Methods in Neuroethology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2] 웹사이트 Grasshoppers http://www.desertmus[...] Arizona-Sonora Desert Museum 2015-05-04
[23] 논문 Grasshopper (Orthoptera: Acrididae) Foraging on Grasshopper Feces: Observational and Rubidium-Labeling Studies https://academic.oup[...] 1997-12-01
[24] 논문 Grasshopper (Orthoptera: Acrididae) Foraging on Grasshopper Feces: Observational and Rubidium-Labeling Studies
[25] 서적 Insect Molecular Biology and Biochemistry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6] 서적 Lifespan https://www.worldcat[...] 2019
[27] 웹사이트 March of the locusts – individuals start moving to avoid cannibals https://www.national[...] 2008-05-08
[28] 웹사이트 From solo to sociable—how locusts try to avoid cannibalism https://phys.org/new[...] 2012-08-29
[29] 서적 Invertebrate Zoology, 7th edition Cengage Learning
[30] 문서 2013
[31] 문서 2013
[32] 웹사이트 Circulatory system https://projects.ncs[...] NC State University 2015-04-12
[33] 웹사이트 Insect physiology: Respiratory system https://projects.ncs[...] NC State University 2015-04-12
[34] 웹사이트 How Grasshoppers Jump http://www.st-andrew[...] University of St Andrews 2007-01
[35] 웹사이트 Performance http://www.st-andrew[...] University of St Andrews 2007-01
[36] 웹사이트 Energy and Power http://www.st-andrew[...] University of St Andrews 2015-05-05
[37] 논문 Motor patterns during kicking movements in the locust
[38] 논문 The locust jump III. Structural specialisations of the metathoracic tibiae http://jeb.biologist[...]
[39] 논문 The energetics of the jump of the locust ''Schistocerca gregaria'' http://jeb.biologist[...]
[40] 서적 Animal Locomo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1] 논문 Communication among social insects https://archive.org/[...]
[42] 논문 Ferocious Fighting between Male Grasshoppers
[43] 논문 Host specificity of the grasshopper, ''Cornops aquaticum'', a natural enemy of water hyacinth http://www.invasive.[...] Montana State University
[44] 웹사이트 Diagrams https://web.archive.[...] Pfadt 1994
[45] 뉴스 Locust swarms 'high' on serotonin http://news.bbc.co.u[...] 2009-01-29
[46] 논문 Mechanosensory-induced behavioral gregarization in the desert locust ''Schistocerca gregaria'' http://jeb.biologist[...]
[47] 뉴스 Looking Back at the Days of the Locust https://www.nytimes.[...] 2002-04-23
[48] 서적 Locust: the Devastating Rise and Mysterious Disappearance of the Insect that Shaped the American Frontier Basic Books
[49] 문서 Capinera 2008
[50] 논문 Effects of a parasite mite on life-history variation in two grasshopper species
[51] 웹사이트 Grasshopper nematode: ''Mermis nigrescens'' http://entnemdept.uf[...] IFAS, University of Florida 2015-03-28
[52] 논문 Do hairworms (Nematomorpha) manipulate the water seeking behaviour of their terrestrial hosts? 2002-05
[53] 논문 Host–parasite relations and seasonal occurrence of ''Paragordius tricuspidatus'' and ''Spinochordodes tellinii'' (Nematomorpha) in Southern France https://hal.science/[...]
[54] 웹사이트 CSIRO ScienceImage 1367 Locusts attacked by the fungus Metarhizium http://www.scienceim[...] CSIRO 2015-04-01
[55] 문서 Capinera 2008
[56] 논문 Host Range and Recorded Distribution of ''Entomophaga grylli'' (Zygomycetes: Entomophthorales), a Fungal Pathogen of Grasshoppers (Orthoptera: Acrididae), in North Dakota
[57] 문서 Cott
[58] 서적 Latin American Insects and Entomolog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9] 문서 Cott
[60] 문서 Cott
[61] 논문 Field Experiments on Prey Selection by the Whiptail Lizard, Cnemidophorus inornatus, in Arizona 1984
[62] 논문 The liquid-squirting habit of oriental grasshoppers
[63] 웹사이트 Flowers in a Vase with Shells and Insects http://www.nationalg[...] The National Gallery 2015-03-31
[64] 웹사이트 Flowers in a Vase http://www.nationalg[...] The National Gallery 2015-03-31
[65] 웹사이트 The National Gallery Podcast: Episode Nineteen http://www.nationalg[...] The National Gallery 2008-05
[66] 서적 A Year of Fear: A Day-by-Day Guide to 366 Horror Films https://books.google[...] McFarland
[67] 웹사이트 A Bug's Life: Colonial Allegory https://princetonbuf[...] Princeton Buffer 2014-01-04
[68] 서적 Aristophanes: The Complete Plays: A New Translation by Paul Roche New American Library 2005
[69]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1890), Fascinum https://www.perseus.[...]
[70] 서적 Elizabethan Silent Languag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71] 웹사이트 The City's golden grasshopper https://www.timeshig[...] Times Higher Education Supplement 1998-01-09
[72] 간행물 The Curious Connection Between Insects and Dreams 2012
[73] 간행물 Grasshoppers as a food source? A review http://popups.ulg.ac[...]
[74] 서적 Oaxaca al Gusto: An Infinite Gastronom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exas Press
[75] 웹사이트 Dōnghuámén Night Market http://www.lonelypla[...] Lonely Planet 2015-05-05
[76] 웹사이트 Walang Goreng Khas Gunung Kidul http://umkmjogja.com[...] UMKM Jogja 2015-03-30
[77] 뉴스 The Ugandan love of grasshoppers - and how to harvest them https://www.bbc.com/[...] 2018-12-02
[78] 서적 The Ohlone Way: Indian Life in the San Francisco–Monterey Bay Area https://books.google[...] Heyday 2012-10
[79] 문서 Bibleverse
[80] 웹사이트 St John the Baptist's diet – according to some early Eastern Christian sources https://www.sjc.ox.a[...] St John's College, Oxford 2015-05-04
[81] 간행물 Did John the Baptist Eat Like a Former Essene? Locust-Eating in the Ancient Near East and at Qumran http://urn.kb.se/res[...] 2004
[82] 문서 Capinera, 2008. pp. 1710–1712
[83] 웹사이트 "Nosema Locustae'' (117001) Fact Sheet" https://www3.epa.gov[...]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00-10
[84] 웹사이트 Rice grasshopper (Oxya chinensis) http://www.plantwise[...] Plantwise 2015-12-16
[85] 문서 Capinera, 2008. pp 1181–1183
[86] 웹사이트 Control http://www.fao.org/a[...]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15-04-02
[87] 간행물 Biological Control of Locusts and Grasshoppers
[88] 웹사이트 Bomb-sniffing grasshoppers tested by scientists https://www.msn.com/[...] 2020-02-20
[89] 웹사이트 'Cyborg' grasshopper engineered to sniff explosives https://eandt.theiet[...] 2020-02-18
[90] 웹사이트 Insects http://www.reshafim.[...] Reshafim 2010-01
[91] 간행물 Somerset Maugham's "The Ant and the Grasshopper": The Literary Implications of Its Multilayered Structure https://www.questia.[...] 2015-03-30
[92] 서적 The Cambridge Introduction to Chekhov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93] 웹사이트 Movie Review: The Grasshopper (1969) https://www.nytimes.[...] 2015-04-01
[94] 웹사이트 Aeronca L-3B Grasshopper http://www.museumoff[...] The Museum of Flight 2016-12-11
[95] 웹사이트 L-4 Grasshopper http://ww2db.com/air[...] Lava Development 2016-12-11
[96] 웹사이트 Piper L-4 Grasshopper Light Observation Aircraft (1941) http://www.militaryf[...] Military Factory 2016-12-11
[97] 서적 The Beam Engine Senecio
[98] 웹사이트 Grasshopper Beam Engine http://www.animatede[...] Animated Engines 2016-12-11
[99]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steam engin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0] 문서 "イナゴとは" https://kotobank.jp/[...]
[101] 웹사이트 いなごの佃煮 長野県 https://www.maff.go.[...] 2023-02-23
[102] 문서 文一総合出版『ポケット図鑑 日本の昆虫1400 ①チョウ・バッタ・セミ』159頁
[103] 문서 村井貴史・伊藤ふくお(2011)『バッタ・コオロギ・キリギリス生態図鑑』北海道大学出版 348頁
[104] 문서 『信州の民間薬』全212頁中79頁医療タイムス社昭和46年12月10日発行信濃生薬研究会林兼道編集
[105] 문서 『美食三昧―ロートレックの料理書』([[좌우보간행회]])『로트레크의 요리법』([[미술공론사]])로서 번역되고 있다.
[106] 문서 ヨハネが活動を開始した時、荒野でイナゴと野蜜を食べていたことから。
[107] 뉴스 イナゴ調味料いかが?=しょうゆ風、評判上々-和歌山のNPO代表開発 http://www.jiji.com/[...] 時事ドットコム
[108] 서적 虫の惑星 早川書房 1968
[109] 논문 殷代の蝗 東海学院大学 2013-03
[110] 간행물 享保17(1732)年の蝗害に伴なう西南日本の作柄分布 https://doi.org/10.2[...] 地理科学学会 1994
[111] 문서 レビ記(口語訳)#第11章
[112] 웹사이트 LOCUST http://www.bible-his[...] bible-history.com - ISBE 19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