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산군·대덕군·연기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금산군·대덕군·연기군은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금산군 선거구와 대덕군·연기군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신설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금산군 선거구와 대덕군·연기군 선거구로 분할되면서 폐지되었다. 이 선거구에서는 유진산, 김제원, 이준섭, 유한열, 천영성 의원 등이 당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전 대덕구의 정치 - 대덕구청장 선거
대덕구청장 선거는 대전광역시 대덕구의 구청장을 선출하는 선거로, 1995년 민선 구청장 선거가 시작된 이래 오희중, 김창수, 정용기, 박수범, 박정현을 거쳐 현재 최충규 구청장이 재임 중이며, 선거 결과는 정당별 지지율 변화와 정부 평가 등에 영향을 받았다. - 대전 대덕구의 정치 - 대덕군 (선거구)
대덕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었으나 1963년 일부 지역이 대전시로 편입됨에 따라 폐지되었으며, 송진백, 김종회, 송우범, 박병배 등이 이 선거구에서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 연기군 - 공주시·연기군
공주시·연기군은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공주시 선거구와 연기군 선거구가 통합되어 2000년부터 2012년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였으나, 2012년 연기군 지역이 세종특별자치시로 편입되면서 폐지되었다. - 연기군 - 연기군수
연기군수는 연기군의 행정을 담당하는 수장으로, 지방자치제 실시 전에는 임명직이었고 이후 주민 직선으로 선출되었으며, 세종특별자치시 출범으로 마지막 민선 군수가 세종특별자치시장에 출마하기도 했다. - 금산군의 정치 - 금산군수
금산군수는 금산군의 행정을 책임지는 자리로, 광복 이후 관선 군수 시대를 거쳐 민선 지방자치제 시행 이후에는 민선 군수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 금산군의 정치 - 논산시·계룡시·금산군
충청남도 논산시, 계룡시, 금산군으로 구성된 논산시·계룡시·금산군 선거구는 2004년 신설되어 이인제, 김종민 의원을 거쳐 2024년 황명선 의원이 당선되었다.
금산군·대덕군·연기군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선거구 정보 | |
이름 | 금산군·대덕군·연기군 |
의회 | 국회 |
지도 연도 | 해당 없음 |
연도 | 1973년 |
폐지 | 1988년 |
유형 | 국회 |
이전 선거구 | 대덕군·연기군 금산군 |
이후 선거구 | 대덕군·연기군 금산군 |
유권자 | 해당 없음 |
의원 | 해당 없음 |
정당 | 해당 없음 |
지방 의회 | 해당 없음 |
지방 선거구 | 해당 없음 |
인구 | 해당 없음 |
의원 수 | 2인 |
2. 역사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금산군 선거구와 대덕군·연기군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신설되었다.
이 선거구에서 치러진 역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금산군 선거구와 대덕군·연기군 선거구로 다시 분할되면서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4. 역대 선거 결과
4. 1. 제9대 국회의원 선거 (1973년)
대한민국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유진산 후보와 민주공화당 김제원 후보가 당선되었다. 민주통일당 송좌빈 후보는 14.46%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유진산 | 신민당 | 54,670 | 43.42 |
김제원 | 민주공화당 | 44,123 | 35.05 |
송좌빈 | 민주통일당 | 18,208 | 14.46 |
최경수 | 무소속 | 8,882 | 7.05 |
합계 | 125,883 | 100 | |
무효표 | 3,121 |
4. 2.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1978년)
대한민국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이준섭 후보와 신민당 유한열 후보가 당선되었다. 무소속 최경수 후보는 14.33%의 득표율을 기록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이준섭 | 민주공화당 | 63,585 | 41.09 |
유한열 | 신민당 | 52,135 | 33.69 |
최경수 | 무소속 | 22,180 | 14.33 |
송석린 | 무소속 | 6,484 | 4.19 |
장재복 | 무소속 | 5,063 | 3.27 |
이천영 | 민주통일당 | 2,909 | 1.88 |
송준빈 | 무소속 | 2,360 | 1.52 |
합계 | 154,716 | 100 | |
무효표 | 2,195 | - |
4. 3.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1981년)
대한민국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천영성 후보와 민주한국당 유한열 후보가 당선되었다. 민권당 박천식 후보와 신정당 박은영 후보는 각각 8.52%, 7.40%의 득표율을 기록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천영성 | 민주정의당 | 70,472 | 43.52 |
유한열 | 민주한국당 | 65,635 | 40.53 |
박천식 | 민권당 | 13,802 | 8.52 |
박은영 | 신정당 | 11,993 | 7.40 |
합계 | 161,902 | 100 | |
무효표 | 2,057 | ||
유권자 | 200,137 |
4. 4.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1985년)
대한민국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천영성 후보와 민주한국당 유한열 후보가 당선되었다. 신한민주당 박희부 후보는 17.45%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3위를 차지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천영성 | 민주정의당 | 61,930 | 44.27 |
유한열 | 민주한국당 | 45,712 | 32.67 |
박희부 | 신한민주당 | 24,419 | 17.45 |
류관석 | 한국국민당 | 7,820 | 5.59 |
합계 | 139,881 | ||
무효표 | 3,211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