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성래는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이자 코치이다. 1984년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하여 1980년대 중후반 팀의 주축 타자로 활약하며 2루수 부문 골든 글러브 2회, 1987년 홈런왕을 수상했다. 1993년에는 1루수로 포지션을 변경한 후 MVP를 수상하며 재기에 성공했다. 선수 은퇴 후 SK 와이번스, 삼성 라이온즈, 한화 이글스 등에서 코치로 활동했으며, 통산 17시즌 동안 1008안타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 프로 야구 1000안타 클럽 - 박정태
박정태는 롯데 자이언츠의 전직 프로 야구 선수로, '탱크'라는 별명과 독특한 '흔들 타법'으로 인기를 얻었으며, KBO 리그 최다 연속 경기 안타 기록과 2루수 골든글러브 5회 수상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은퇴 후 음주운전으로 물의를 빚기도 했다. - 한국 프로 야구 1000안타 클럽 - 진갑용
진갑용은 전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의 포수이자 현 KIA 타이거즈의 수석코치로, 삼성 라이온즈의 주전 포수로서 한국시리즈 우승을 이끌었으며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야구 국가대표팀 주장을 맡아 금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 KBO 홈런상 수상자 - 이승엽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이자 현 두산 베어스 감독인 이승엽은 KBO 리그 최초 50홈런 및 단일 시즌 최다 홈런 기록을 세우며 '국민 타자'로 활약했고, 일본 프로야구 선수 생활 후 KBO 리그로 복귀하여 은퇴, 이후 방송 해설 및 사회 활동을 거쳐 두산 베어스 감독으로 부임했다. - KBO 홈런상 수상자 - 김재환 (야구 선수)
김재환은 두산 베어스 소속의 프로 야구 외야수로, 2008년 포수로 입단하여 외야수로 전향 후 장타력을 바탕으로 주전으로 활약하며 홈런왕과 타점왕을 차지했고, 아시안 게임 국가대표로도 활동했으며, 금지약물 복용 징계와 메이저 리그 진출 실패 후 FA 재계약을 맺었다. - KBO 출루율상 수상자 - 이승엽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이자 현 두산 베어스 감독인 이승엽은 KBO 리그 최초 50홈런 및 단일 시즌 최다 홈런 기록을 세우며 '국민 타자'로 활약했고, 일본 프로야구 선수 생활 후 KBO 리그로 복귀하여 은퇴, 이후 방송 해설 및 사회 활동을 거쳐 두산 베어스 감독으로 부임했다. - KBO 출루율상 수상자 - 홍현우
홍현우는 해태 타이거즈에서 주로 활약하며 4번의 우승에 기여하고 역대 최연소 1000안타 기록을 세운 전 야구 선수로, 은퇴 후 지도자로서 활동하며 골든글러브를 수상하기도 했다.
김성래 | |
---|---|
기본 정보 | |
선수 이름 | 김성래 |
본명 | 김성래 |
영어 표기 | Kim Sung-lae |
한자 표기 | 金聲來 |
로마자 표기 | Kim,Sung-lae |
출생지 | 대구광역시 |
생년월일 | 1961년 12월 3일 |
신장 | 185 |
체중 | 87 |
투구 | 우 |
타석 | 우 |
수비 위치 | 2루수, 1루수, 3루수, 유격수, 좌익수 |
프로 입단 년도 | 1984년 |
드래프트 순위 | 1984년 1차 3순위 (삼성 라이온즈) |
첫 출장 | KBO 리그 / 1984년 4월 24일 대구 대 삼미전 |
마지막 경기 | KBO 리그 / 2000년 8월 13일 인천 대 LG전 |
선수 경력 | |
선수 경력 | 삼성 라이온즈 (1984년 ~ 1996년) 쌍방울 레이더스 (1997년 ~ 1999년) SK 와이번스 (2000년) |
코치 경력 | |
코치 경력 | SK 와이번스 타격코치 (2001년 ~ 2009년) 오릭스 버펄로스 연수코치 (2010년) 삼성 라이온즈 타격코치 (2011년) 삼성 라이온즈 수석코치 겸 타격코치 (2012년) 삼성 라이온즈 수석코치 (2013년 ~ 2016년) 한화 이글스 2군 타격코치 (2017년 ~ 2019년) 한화 이글스 1군 타격코치 (2020년) 한양대학교 야구부 인스트럭터 (2021년 ~ 현재) |
수상 내역 | |
수상 내역 | 1986년 ~ 1988년 KBO 리그 골든 글러브(2루수) 1987년 KBO 리그 홈런왕 1993년 KBO 리그 홈런왕, 타점왕, 최우수 선수 |
2. 선수 시절
2. 1. [[삼성 라이온즈]] 시절
1984년 1차 3순위 지명을 받아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했다.[1] 첫 해에는 별다른 활약을 보이지 못했지만, 1985년부터 2할대 후반 타율과 13홈런을 기록하며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1] 당시 삼성 라이온즈는 이만수와 장효조를 제외하면 믿을 만한 타자가 부족하여 1984년 한국시리즈에서 준우승에 머물렀다.[1]1986년과 1987년에는 2년 연속 2루수 부문 골든 글러브를 수상했다.[1] 특히 1987년에는 22홈런으로 홈런왕을 차지했다.[1] 그러나 1988년 9월 6일 해태 타이거즈와의 경기에서 1루수 김성한과 충돌하여 무릎 십자 인대가 끊어지는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2] 이 부상으로 인해 제대로 경기를 소화할수 없게 되었고, 팀은 김훈기마저 허리 부상으로[2] 플레이오프에 출전하지 못하면서 결국 한국시리즈 진출에 실패했다.[2]
부상 복귀 후, 강기웅의 등장으로 입지가 줄어들었고, 좌익수, 1루수로 포지션을 변경해야 했다. 1993년 1루수로 포지션을 변경한 후, 5년 만에 3할 타율, 28홈런, 91타점을 기록하며 1루수 부문 골든 글러브와 정규 시즌 MVP를 수상하며 재기에 성공했다.[3]
하지만 1993년 이후 다시 허벅지 근육통으로 부진에 빠졌고, 백인천 감독의 세대 교체 단행으로 이종두, 이정훈, 김성현, 강기웅과 함께 방출되었다.[3]
2. 2. [[쌍방울 레이더스]] 시절
1999년 5년 만에 100경기 이상 출전해 2할대 중후반 타율과 9홈런을 기록했다. 이는 쌍방울 레이더스의 마지막 해였다.2. 3. [[SK 와이번스]] 시절
2000년 SK 와이번스에서 선수 생활을 마감했으며, 통산 네 자릿수 안타(1008개)를 달성했다.[4]3. 야구선수 은퇴 후
2001년부터 2009년까지 SK 와이번스 타격코치를 역임했다.[5] 2009년 시즌 중에는 2군 타격코치로 보직이 변경되기도 했다.[5] 시즌 후 일본 오릭스 버펄로스에서 지도자 연수를 받았다.[5] 2010년에는 오릭스 버펄로스에서 코치 연수를 받고 2군에서 선수들의 타격 지도를 했다.
2010년 LG 트윈스의 타격코치 제의를 받았으나,[6]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친정팀 삼성 라이온즈에서 코치(수석코치, 타격코치 겸임)를 역임했다.[7] 2016년 시즌 후 재계약에 실패하여 한화 이글스 2군 타격 코치로 자리를 옮겼다.[8] 2020년을 마지막으로 한화 이글스와 재계약하지 않고, 한양대학교 야구부 인스트럭터로 활동했다.[9]
4. 출신 학교
김성래는 1968년부터 1974년까지 대구옥산초등학교를 다녔다. 1974년부터 1977년까지는 대구 경운중학교를, 1977년부터 1980년까지는 경북고등학교를 졸업했다.(61회) 1980년에는 연세대학교에 입학하여 1984년에 졸업했다.(1980학번)
5. 통산 기록
김성래는 KBO 리그에서 17시즌 동안 활동한 선수이다. 통산 1277경기에 출장하여 타율 0.277, 1008안타, 170 2루타, 10 3루타, 147홈런, 595타점, 490득점, 24도루, 24도루실패, 502볼넷, 620삼진, 88병살타, 95몸에 맞는 볼, 44희생 번트, 39희생 플라이, 20고의 사구를 기록했다. 출루율은 0.376, 장타율은 0.451, OPS는 0.827이다.
1987년과 1993년에는 홈런왕을 차지했고, 1988년에는 최고 출루율을 기록했다. 1993년에는 타점왕도 차지했다.
연 도 | 소 속 | 나 이 | 출 장 | 타 석 | 타 수 | 득 점 | 안 타 | 2 루 타 | 3 루 타 | 홈 런 | 타 점 | 도 루 | 도 실 | 볼 넷 | 삼 진 | 타 율 | 출 루 율 | 장 타 율 | O P S | 루 타 | 병 살 타 | 몸 맞 | 희 타 | 희 플 | 고 4 |
---|---|---|---|---|---|---|---|---|---|---|---|---|---|---|---|---|---|---|---|---|---|---|---|---|---|
1984 | 삼성 | 24 | 39 | 70 | 59 | 6 | 11 | 2 | 0 | 1 | 3 | 0 | 1 | 8 | 13 | .186 | .290 | .271 | .561 | 16 | 0 | 1 | 1 | 1 | 0 |
1985 | 25 | 103 | 359 | 300 | 40 | 85 | 16 | 0 | 13 | 51 | 5 | 3 | 41 | 39 | .283 | .390 | .467 | .857 | 140 | 8 | 13 | 3 | 2 | 1 | |
1986 | 26 | 102 | 391 | 344 | 47 | 99 | 22 | 1 | 8 | 48 | 3 | 1 | 34 | 42 | .288 | .362 | .427 | .789 | 147 | 7 | 7 | 4 | 2 | 1 | |
1987 | 27 | 99 | 385 | 334 | 59 | 111 | 11 | 1 | 22 | 70 | 2 | 5 | 45 | 38 | .332 | .413 | .569 | .982 | 190 | 8 | 3 | 0 | 3 | 3 | |
1988 | 28 | 96 | 386 | 314 | 54 | 110 | 18 | 2 | 10 | 54 | 7 | 4 | 58 | 43 | .350 | .459 | .516 | .975 | 162 | 6 | 7 | 5 | 2 | 2 | |
1989 | 29 | 39 | 87 | 77 | 7 | 19 | 3 | 0 | 2 | 13 | 0 | 0 | 6 | 12 | .247 | .314 | .364 | .678 | 28 | 2 | 2 | 1 | 1 | 1 | |
1990 | 30 | 54 | 164 | 141 | 20 | 28 | 3 | 0 | 6 | 20 | 0 | 0 | 13 | 23 | .199 | .303 | .348 | .650 | 49 | 2 | 8 | 2 | 0 | 0 | |
1991 | 31 | 30 | 68 | 51 | 7 | 8 | 1 | 0 | 3 | 5 | 0 | 1 | 11 | 10 | .157 | .328 | .353 | .681 | 18 | 2 | 3 | 1 | 2 | 0 | |
1992 | 32 | 86 | 266 | 226 | 31 | 66 | 13 | 0 | 11 | 50 | 1 | 2 | 34 | 38 | .292 | .392 | .496 | .887 | 112 | 4 | 3 | 3 | 0 | 0 | |
1993 | 33 | 124 | 521 | 436 | 64 | 131 | 18 | 2 | 28 | 91 | 2 | 1 | 69 | 72 | .300 | .395 | .544 | .939 | 237 | 17 | 5 | 2 | 9 | 0 | |
1994 | 34 | 105 | 349 | 276 | 39 | 68 | 10 | 1 | 14 | 43 | 3 | 1 | 56 | 54 | .246 | .395 | .442 | .837 | 122 | 5 | 14 | 0 | 3 | 1 | |
1995 | 35 | 44 | 144 | 124 | 13 | 32 | 4 | 0 | 3 | 17 | 0 | 2 | 11 | 26 | .258 | .345 | .363 | .708 | 45 | 1 | 6 | 2 | 1 | 0 | |
1996 | 36 | 22 | 42 | 37 | 5 | 6 | 2 | 0 | 1 | 3 | 0 | 0 | 4 | 11 | .162 | .262 | .297 | .559 | 11 | 0 | 1 | 0 | 0 | 0 | |
1997 | 쌍방울 | 37 | 99 | 325 | 266 | 27 | 68 | 14 | 0 | 9 | 45 | 0 | 1 | 34 | 53 | .256 | .348 | .410 | .758 | 109 | 10 | 8 | 9 | 8 | 3 |
1998 | 38 | 93 | 281 | 238 | 21 | 55 | 14 | 3 | 5 | 26 | 0 | 0 | 28 | 54 | .231 | .314 | .378 | .692 | 90 | 6 | 2 | 9 | 3 | 5 | |
1999 | 39 | 113 | 401 | 346 | 43 | 94 | 19 | 0 | 9 | 48 | 1 | 2 | 41 | 73 | .272 | .363 | .405 | .768 | 140 | 9 | 10 | 2 | 2 | 3 | |
2000 | SK | 40 | 29 | 75 | 64 | 7 | 17 | 0 | 0 | 2 | 8 | 0 | 0 | 9 | 19 | .266 | .373 | .359 | .733 | 23 | 1 | 2 | 0 | 0 | 0 |
KBO 통산 : 17년 | 1277 | 4314 | 3633 | 490 | 1008 | 170 | 10 | 147 | 595 | 24 | 24 | 502 | 620 | .277 | .376 | .451 | .827 | 1639 | 88 | 95 | 44 | 39 | 20 |
- 시즌 기록 중 '''굵은 글씨'''는 해당 시즌 최고 기록이다.
6. 등번호
김성래는 선수 시절에는 삼성 라이온즈에서 1984년부터 1996년까지 등번호 '5'번을 사용했고, 1997년부터 2000년까지 쌍방울 레이더스와 SK 와이번스에서 '9'번을 사용했다. 코치 시절에는 2001년부터 2009년까지 SK 와이번스에서 '79'번, 2010년 오릭스 버펄로스에서 '93'번,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삼성 라이온즈에서 '80'번, 2017년부터 2020년까지 한화 이글스에서 '70'번을 사용했다.
참조
[1]
뉴스
라이온즈,에이스 부진(不振)으로 정상(頂上)도전 불안(不安)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2020-09-24
[2]
뉴스
프로야구 「한국시리즈」티킷을 잡아라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2020-09-10
[3]
뉴스
프로야구특집 Ⅱ-전력점검> ③삼성 라이온즈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4]
뉴스
김성래 "그라운드여 안녕"…17년 현역 마감
https://sports.news.[...]
동아일보
[5]
뉴스
SK 김성래 코치, 일본 오릭스 2군 코치로 연수 시작
https://n.news.naver[...]
스포츠조선
[6]
뉴스
[코치, 그들을 말한다] 김성래 코치 “1993년 1루수 MVP 내 인생 최고의 해”
https://sports.news.[...]
스포츠동아
2020-02-24
[7]
뉴스
삼성, 김성래 수석코치 등 3명과 재계약 불가 통보
http://sports.news.n[...]
OSEN
[8]
뉴스
한화, "김성래 코치 영입, 김성근 감독도 원했다"
http://sports.news.n[...]
OSEN
[9]
뉴스
'홈런 공동 2위' 키움 박찬혁, 괴물 신인 탄생?
https://sports.news.[...]
오마이뉴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