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시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시묵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1722년에 태어나 1772년에 사망했다. 현종의 비 명성왕후의 고손이며, 김성응의 아들이다. 영조의 총애를 받았으며, 지평, 도승지, 대사헌, 이조참판, 호조판서, 병조판서, 공조판서, 어영대장 등 여러 관직을 역임했다. 은언군과 은신군에게 수레와 가마를 제공한 혐의로 탄핵되기도 했으나 석방되었다. 사후 좌의정에 추증되었고, 정조 때 영의정에 추증되고 청원부원군에 봉해졌다. 시호는 정익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72년 사망 - 아흐마드 샤 두라니
아흐마드 샤 두라니는 1747년부터 1772년까지 아프가니스탄을 통치하며 두라니 제국을 건국한 초대 샤이자, 나디르 샤 암살 후 권력을 장악하여 아프가니스탄을 통일하고 인도를 여러 차례 침공하는 등 군사적 업적을 남겼으며, 그의 통치는 아프가니스탄 독립과 인도 대륙 정치 지형 변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772년 사망 - 에마누엘 스베덴보리
에마누엘 스베덴보리는 스웨덴의 과학자, 철학자, 신학자이자 신비주의 사상가로서 자연 과학과 공학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으며, 후에는 신비주의적 경험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신학 사상을 전개하여 현대 스피리츄얼리티와 뉴에이지 운동에 영향을 주었다. - 1722년 출생 - 아흐마드 샤 두라니
아흐마드 샤 두라니는 1747년부터 1772년까지 아프가니스탄을 통치하며 두라니 제국을 건국한 초대 샤이자, 나디르 샤 암살 후 권력을 장악하여 아프가니스탄을 통일하고 인도를 여러 차례 침공하는 등 군사적 업적을 남겼으며, 그의 통치는 아프가니스탄 독립과 인도 대륙 정치 지형 변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722년 출생 - 홍인한
홍인한은 조선 후기 풍산 홍씨 가문 출신 문신으로, 영조와 정조 시대에 요직을 역임했으나 정조 즉위 후 탄핵받아 사사되었고, 철종 때 복권되었다. - 청풍 김씨 - 김규식
김규식은 대한제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 교육자, 학자로서, 미국 유학 후 독립운동과 교육에 헌신하며 대한민국 임시정부 부통령을 역임하고, 해방 후 좌우합작운동과 남북협상에 참여하여 조국의 통일과 독립을 위해 노력했으나 한국 전쟁 중 납북되어 사망했다. - 청풍 김씨 - 김병관 (성우)
김병관은 대한민국 성우로서, 다양한 애니메이션과 외화 더빙에 참여했으며 특히 모건 프리먼, 토미 리 존스, 로버트 쇼 등의 전담 성우로 알려져 있고, 《정의의 용사 카봇》, 《나루토》, 《쇼생크 탈출》, 《죠스》 등의 작품에 출연했다.
김시묵 | |
---|---|
기본 정보 | |
이름 | 김시묵 |
작위 | 청원부원군 淸原府院君 |
배우자 | 의춘부부인 남씨 당성부부인 홍씨 |
자녀 | 아들 김기대, 김기종 딸 효의왕후 |
가문 | 청풍 김씨 |
아버지 | 김성응 |
어머니 | 남양 홍씨 홍우녕의 딸 |
출생일 | 1722년 |
출생지 | 조선 |
사망일 | 1772년 음력 7월 29일 |
사망지 | 조선 |
사망 원인 | 병사 |
매장지 | 김시묵묘 (경기도 남양주시 삼패동) |
국적 | 조선 |
2. 생애
1722년(경종 2년) 김우명의 고손자이자 김성응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어머니는 남양 홍씨 홍우녕의 딸이다. 훗날 김성집에게 입양되어 김우명의 봉사손이 되었다[1]. 본관은 청풍, 자는 이신(而愼 또는 爾愼)이다.
1741년(영조 17년) 진사가 되었고, 1750년(영조 26년) 한림 회권에서 4명 중 1명으로 선발되었다[2]. 이후 여러 관직을 거쳤으나, 1771년(영조 47년) 은언군, 은신군에게 수레와 가마를 제공한 혐의로 탄핵되었다가 석방되었다[3][4][5]
1772년(영조 48년) 51세로 사망하였고[1], 사후 좌의정에 추증되었다. 정조 즉위 후 영의정에 추증되고 청원부원군(淸原府院君)에 봉해졌다[6]. 시호는 정익(靖翼)이다[7]. 묘소는 경기도 남양주시 삼패동 청풍김씨문의공파묘역에 있으며, 두 부인과 합장되어 있다[8].
2. 1. 가계와 초기 생애
1722년(경종 2년)에 태어났다. 현종비 명성왕후의 아버지인 김우명의 고손자이며, 아버지는 병조판서를 지낸 김성응이고, 어머니는 남양 홍씨 홍우녕의 딸이다. 훗날 김성집에게 입양되었으며, 김우명의 봉사손이 되었다[1]. 본관은 청풍, 파계는 문의공파이며, 자는 이신(而愼 또는 爾愼)이다.1741년(영조 17년)에 진사가 되었다[2].
2. 2. 관직 생활
1741년(영조 17년)에 진사가 되었으며, 1750년(영조 26년) 한림의 회권을 행할 때 4명 중 1명으로 선발되었다.[2] 이후 지평, 부수찬, 정언, 교리, 장령, 집의, 대사간, 도승지, 경기감사, 수어사, 대사헌, 이조참판, 호조참판, 호조판서, 병조판서, 공조판서, 어영대장 등 대내외의 관직을 두루 지냈다. 그러나 1771년(영조 47년) 은언군과 은신군에게 수레와 가마를 제공한 혐의로[3] 일시적으로 탄핵되었다가[4] 이내 석방되기도 하였다.[5]2. 3. 사망과 추증
영조의 총애를 받았으나, 1772년(영조 48년) 음력 7월 29일에 향년 51세로 사망하였다[1]. 사후 좌의정에 추증되었다. 정조 즉위 후 영의정에 추증되고 청원부원군(淸原府院君)의 작위가 더해졌다[6]. 시호는 정익(靖翼)이다[7].그의 묘소는 경기도 남양주시 삼패동의 청풍김씨문의공파묘역에 있으며, 두 부인과 합장되어 있다[8].
3. 가족 관계
구분 | 관계 | 이름 | 비고 |
---|---|---|---|
본가 | 친부 | 김성응 | 1699~1764 |
본가 | 친모 | 남양 홍씨 | 홍우녕의 딸 |
본가 | 친동생 | 김지묵 | 1724~1799 |
본가 | 친동생 | 김치묵 | |
본가 | 양부 | 김성집 | |
처가 | 장인 | 의령 남씨 남직관 | |
처가 | 첫 번째 부인 | 증 의춘부부인 남씨 | |
처가 | 장남 | 김기대 | |
처가 | 손자 | 김종선 | 1766~1810[9] |
처가 | 장인 | 남양 홍씨 홍상언 | 증 찬성 |
처가 | 두 번째 부인 | 당성부부인 홍씨 | ?~1791[10], 증 찬성 홍상언의 딸 |
처가 | 장녀 | 효의왕후 | 1753~1821 |
3. 1. 본가
- 친부: 김성응(1699~1764)
- 친모: 남양 홍씨 홍우녕의 딸
- 친동생: 김지묵(1724~1799)
- 친동생: 김치묵
- 양부: 김성집
3. 2. 처가
참조
[1]
영조실록
영조실록 119권, 영조 48년 7월 29일 임술 7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2]
영조실록
영조실록 71권, 영조 26년 6월 19일 경인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3]
두산백과
은신군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4]
영조실록
영조실록 116권, 영조 47년 2월 5일 병자 8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5]
영조실록
영조실록 116권, 영조 47년 3월 7일 무신 3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6]
정조실록
정조실록 1권, 정조 즉위년 4월 7일 무신 3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7]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김시묵
https://terms.naver.[...]
한국민족문화대백과
[8]
문화재청
청풍김씨문의공파묘역
http://www.cha.go.kr[...]
문화재청
[9]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김종선
https://terms.naver.[...]
한국민족문화대백과
[10]
정조실록
정조실록 32권, 정조 15년 1월 26일 신축 5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