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영환 (1921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영환은 1921년 일본에서 태어나 일제강점기 경성부에서 성장한 한국 공군 장교이다. 그는 1946년 군사영어학교를 졸업하고 육군 소위로 임관하여 국군 창설에 기여했으며,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공군 제10전투비행전단장 등을 역임했다. 특히 해인사 폭격 명령을 거부하여 팔만대장경을 지킨 공로를 인정받아 금관문화훈장을 수여받았다. 1954년 10전투비행전단 창설 기념 행사 중 비행기 추락 사고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육군참모학교 동문 - 송호성
    송호성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을 하고 광복군에서 활동했으며 대한민국 육군 창설에 기여하여 초대 조선경비대 총사령관과 육군 총사령관을 지냈으나 한국 전쟁 중 납북되어 사망했다.
  • 육군참모학교 동문 - 이진용 (1920년)
    일제강점기 한국광복군으로 활동하고 대한민국 건국 후 군인으로 활동하며 제주 4·3 사건과 6.25 전쟁 등에 참전했으며 김창룡 저격 사건에 연루되기도 했던 이진용은 언론인, 기업인, 국회의원, 정당인으로도 활동했다.
  • 대한민국 공군 준장 - 대한민국의 공군참모총장
    대한민국의 공군참모총장은 국방부 장관의 명을 받아 대한민국 공군을 지휘·감독하는 최고위직이며, 초대 공군참모총장은 김정렬이다.
  • 대한민국 공군 준장 - 강호륜
    강호륜은 일제강점기 비행훈련을 받고 6.25 전쟁에 참전하여 평양대공습 작전을 수행했으며, 공군본부 요직과 교통부 항공국장을 역임하다 1990년에 별세한 인물이다.
  • 미국 공군참모대학교 동문 - 서동렬
    서동렬은 공군 준장으로 임관하여 공군참모총장까지 역임한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공군 발전에 기여했으나 5·18 민주화운동 탄압 가담 등 신군부 시절 행적에 대한 비판도 있으며, 군 복무 후 한국에너지관리공단 이사장을 역임하고 정계에서도 활동했다.
  • 미국 공군참모대학교 동문 - 장지량 (1924년)
    장지량은 일제강점기 일본 육군사관학교와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공군 창설에 기여했으며, 공군참모총장, 외교관, 대한중석광업 사장,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1997년 대한민국 성우회 회장을 지내다 2015년에 사망했다.
김영환 (1921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씨명김영환
한자 표기金英煥
국어 표기김영환
로마자 표기Gim Yeong-hwan
별칭창공
출생일1921년 1월 8일
출생지일본 제국 시코쿠 도쿠시마현 도쿠시마
사망일1954년 3월 4일 (향년 33세)
사망지대한민국 강원도 명주 묵호 상공 (항공기 추락사)
묘소국립서울현충원 장군 제1묘역 58호
소속 조직
소속대일본제국 육군
대한민국 공군
군 경력
복무 기간1945년 ~ 1954년
최종 계급일본군: 소위
대한민국 국군: 준장 (공군)
근무공군 제1전투비행전단
지휘공군 제1전투비행전단장
참전태평양 전쟁
한국 전쟁
공직 정보
종교불교
직책미군정청 통위부 정보국 국장
수상안재홍 미군정청 민정 장관
장관존 리드 하지 미군정청 군정 장관
임기1947년 4월 21일 ~ 1948년 4월 1일
정당무소속
가족 관계
부모부: 김준원
모: 변상희
친척큰아버지: 김기원
형제형: 김정렬

2. 생애

김영환은 1921년 일본 도쿠시마현 도쿠시마시에서 태어나 경성부 종로구 사직동에서 성장했다. 1938년 경기공립중학교를 졸업하고 1944년 간사이 대학 법과대학에 유학했으나 1년 중퇴 후 1945년 학병 징집되어 일본 육군 예비사관학교를 졸업하였다. 관동군 포병 소위로 함경남도 함흥시에 주둔 중 광복을 맞았다.

1946년 1월 15일 군사영어학교를 졸업하고 육군 참위(소위)로 임관한 후, 경상북도 대구 주둔 육군 제6연대의 초대 연대장 및 조선경비대 총사령부 고급부관 등으로 근무하면서 국군 창설에 기여하였다. 1947년 육군 부위(중위)로 통위부 정보국장을 지냈고, 1948년 4월 1일 공군 창설 7인 간부 중 한 명으로 공군 창설의 산파역을 수행하였다.

1948년 7월 21일 육군 항공기지사령부 작전과장 겸 인사과장, 1949년 3월 15일 공군 소령 재임관 후 공군 제1전투비행전단 대대장을 거쳐 1950년 2월 20일 공군 중령으로 진급, 한국 전쟁 발발 당시 공군 제1전투비행전단 제5대대 대대장으로 재임하였다. 1951년 8월 1일 공군 제1전투비행전단 제10대대 대대장, 9월 25일 공군 강원도 강릉전진기지사령부 부참모장을 역임하였다.

1952년 6월 18일 공군 제1전투비행전단 부전단장, 1953년 2월 15일 공군 제10전투비행전단장으로 대한민국 공군의 출격 작전을 수행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한국 전쟁 중 해인사 폭격 명령을 받았으나 고려 팔만대장경 보호를 위해 폭격을 중지하기도 했다.

전쟁 중 1951년 충무무공훈장, 1952년 미국 비행 훈장 등을 수여받았고, 1953년에는 대통령수장과 을지무공훈장을, 1954년에는 대통령수장, 유엔종군기장, 미국 공로 훈장을 수여받았다.

1953년 12월 15일 공군 제1전투비행전단장으로 전보되어 전투조종사 양성에 주력하던 중 1954년 1월 28일 공군 준장으로 진급하였으나, 1954년 3월 4일 공군 제10전투비행전단 창설 기념행사에서 비행 중 기체 추락으로 사망했다.

대한민국 공군의 상징인 "빨간 머플러"를 고안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앞줄 왼쪽이 김영환]]

2. 2. 군 경력

1946년 1월 15일 군사영어학교를 졸업하고 육군 참위(소위)로 임관하였으며[3], 군번은 10016번이었다. 2월 18일 경상북도 대구에 주둔한 육군 제6연대의 초대 연대장을 맡았으나, 대원 대다수가 공산주의 성향이라 의견이 맞지 않아 사임했다. 이후 조선경비대 총사령부 고급부관을 지냈다.

1947년 4월 육군 부위(중위) 신분으로 통위부 정보국장을 지냈으며, 1948년 4월 1일 공군 창설 간부 7인 중 한 명으로 조선경비대 보병학교에 입교하여 5월 2일 졸업하였다. 곧이어 국군경비사관학교에 입대하여 미식 훈련을 받은 다음, 1947년 5월 14일 육군 정위(대위)로 재임관(군번 50007번)하여 육군항공총감부에 근무하면서 공군 창설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미군 고문을 설득하여 1948년 9월 1일 항공기지 부대를 편성하였고, 이후 항공기지 부대는 육군 항공대가 되었으며, 1949년 10월 대한민국 공군이 탄생하였다.

1948년 7월 21일 육군 항공기지사령부로 전속되어 작전과장 겸 인사과장을 역임하였다. 1949년 3월 15일 공군 소령으로 재임관 직후 공군 제1전투비행전단으로 이동하여 대대장으로 근무하였고, 1950년 2월 20일 공군 중령으로 진급하여 한국 전쟁 발발 당시 공군 제1전투비행전단 제5대대 대대장을 맡고 있었다. 이근석 등과 함께 머스탱 조종 요원으로 이타즈케에 파견되었다.

1950년 6월 27일, P-51을 수령하고 미군 장교로부터 설명을 듣는 대한민국 공군 요원 (앞줄 왼쪽이 김영환)


1951년 8월 1일 공군 제1전투비행전단 제10대대 대대장, 9월 25일 공군 강원도 강릉전진기지사령부 부참모장으로 보임되었다. 1952년 6월 18일 공군 제1전투비행전단 부전단장을 거쳐 1953년 2월 15일 공군 제10전투비행전단장으로 취임하여 출격 항공기에 대한 제1선 지휘관으로서 작전부대 지휘 및 운영을 관장하며 대한민국 공군의 출격 작전을 수행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1951년 12월 빨치산 토벌 작전 당시 해인사 폭격 명령을 받았으나 고려 팔만대장경을 보호하기 위해 폭격을 중지하였다.

휴전 협정 체결 이후인 1953년 12월 15일 공군 제1전투비행전단장으로 전보되어 전투 조종사 양성에 주력하였다.

2. 3. 한국전쟁 참전과 활약

앞줄 왼쪽이 김영환]]

1950년 2월 20일, 대한민국 공군 중령으로 진급한 김영환은 한국 전쟁 발발 당시 공군 제1전투비행전단 제5대대 대대장으로 재임하고 있었다.[3] 그는 이근석 등과 함께 머스탱 조종 요원으로 이타즈케에 파견되었다.

1951년 8월 1일 공군 제1전투비행전단 제10대대 대대장으로 임명되었고, 9월 25일 강원도 강릉전진기지사령부 부참모장으로 보임되었다.[3] 그해 12월, 빨치산 토벌 작전에서 해인사 폭격 명령을 받았으나 고려 팔만대장경을 보호하기 위해 폭격을 중지했다.

2. 4. 해인사 폭격 명령 거부

한국 전쟁 당시인 1951년 가야산에 숨은 인민군을 폭격하라는 명령을 받았으나, 민족의 문화유산을 없앨 수 없다며 거부했다.[4]

같은 해 1951년 12월, 빨치산 토벌 작전에서 해인사 폭격 명령을 받았지만 고려 팔만대장경 보호를 위해 폭격을 중지했다.[4]

2010년 대한민국 정부해인사 폭격을 거부하여 세계문화유산인 팔만대장경과 장경판전을 지킨 공로로 금관문화훈장(1급)을 추서했다.[5]

2. 5. 사망

1954년 3월 4일 대한민국 공군 제10전투비행전단 창설 기념 행사 도중, 김영환은 비행기 추락 사고로 사망했다.[3]

3. 가족 관계


4. 학력

5. 일화

한국 전쟁 당시인 1951년 가야산에 숨은 인민군을 소탕하기 위해 해인사를 폭격하라는 명령을 받았으나, 민족의 문화유산을 없앨 수 없다며 명령을 어겼다.[4]

2010년 대한민국 정부해인사 폭격을 거부하여 세계문화유산인 팔만대장경과 장경판전을 지킨 공로를 인정, 금관문화훈장(1급)을 추서했다.[5]

5. 1. 빨간 마후라

김영환은 대한민국 공군의 상징인 빨간 머플러를 고안한 인물로, 동명의 영화 주인공으로도 여겨진다.[2]

6. 서훈

김영환은 1951년 금성 무공훈장을 받았고, 1952년에는 항공 메달과 공비토벌기장, 한국 전쟁 참전 기념장|한국 전쟁 참전 기념장영어을 받았다. 1953년1954년에는 대통령 수장을, 1953년에는 금성 을지 무공훈장을, 1954년에는 공로훈장과 유엔 한국 참전 메달|유엔 한국 참전 메달영어을 받았다. 2010년에는 금관 문화훈장을 받았다.

6. 1. 대한민국 훈장

훈장수여 년도
금성 무공훈장1951년
항공 메달1952년
공비토벌기장1952년
한국 전쟁 참전 기념장|한국 전쟁 참전 기념장영어1952년
대통령 수장1953년
금성 을지 무공훈장1953년
대통령 수장1954년
유엔 한국 참전 메달|유엔 한국 참전 메달영어1954년
공로훈장1954년
금관 문화훈장2010년


6. 2. 외국 훈장


  • Distinguished Flying Cross|미국 비행 훈장영어[1]
  • 항공 메달[2]
  • Legion of Merit|공로 훈장영어
  • United Nations Korea Medal|유엔 한국 참전 메달영어
  • Korean War Service Medal|한국 전쟁 참전 기념장영어[4]

6. 3. 기타 표창

수여 년도훈장 및 표창명
1952년공비토벌기장
1952년한국 전쟁 참전 기념장|한국 전쟁 참전 기념장영어
1953년대통령 수장
1954년대통령 수장
1954년유엔 한국 참전 메달|유엔 한국 참전 메달영어


참조

[1] 웹사이트 김영환(金英煥) https://encykorea.ak[...] 2023-09-12
[2] 웹사이트 ‘해인사 팔만대장경’ 살려낸 김영환 장군, 지하에서 통곡 https://www.joongang[...] 2023-09-26
[3] 뉴스 공군의 최초 전투기 F-51 인수.출격 재연식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21-11-09
[4] 서적 해인사에 가자
[5] 뉴스 보도 자료 리스트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2010-08-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