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진구 (1896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진구는 (1896년 ~ ?) 일제강점기 친일 행위로 비판받는 인물이다. 충청북도 괴산군 출신으로 청주농학교를 중퇴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유학했다. 귀국 후 야담가로 활동하며 김옥균을 숭배하고 갑신정변을 재평가하는 등 문화운동을 펼쳤다. 1930년대 중반부터는 내선일체론을 주장하며 일본의 대륙 침략을 지지하고, 창씨개명과 대동아공영권론을 옹호하는 등 친일 행적을 보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희극인 - 신정언
    신정언은 일제강점기 야담 무대 공연, 라디오 방송, 소설 집필 등 다양한 활동을 했으며, 친일 행적으로 인해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될 예정인 인물이다.
  • 만담가 - 신정언
    신정언은 일제강점기 야담 무대 공연, 라디오 방송, 소설 집필 등 다양한 활동을 했으며, 친일 행적으로 인해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될 예정인 인물이다.
  • 만담가 - 신불출
    신불출은 일제강점기 사회 부조리 풍자와 항일 정신을 담은 만담으로 인기를 얻었으나, 해방 후 월북하여 북한에서 활동하며 숙청당했다는 설이 있는 만담가이다.
  • 주성초등학교 동문 - 신경식
    신경식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제13대, 14대, 15대, 16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 주성초등학교 동문 - 김종대 (1966년)
    김종대(1966년)는 국방 분야 전문가이자 언론인 출신 정치인으로, 제20대 국회의원(정의당 비례대표)을 역임하고 국방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며 군 개혁을 주장했으며 현재는 연세대 통일연구원 겸임교수 및 정의당 비상대책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김진구 (1896년) - [인물]에 관한 문서
예술가 정보
이름김진구(金振九)
별칭학보(鶴步)
출생일1896년 12월 23일
출생지대한제국 충청북도 괴산군 청안군 문방리
사망일?
국적일제 강점기 조선
분야야담, 민중교화운동
교육청주농학교, 도쿄에서 고학
직업야담가, 학감
영향받음김옥균

2. 생애

조선 말기 충청북도 괴산군 청안군 문방리의 빈농 평민 집안에서 출생하여, 서당에 다니다가 청주공립보통학교를 거쳐 1914년 3월 청주농학교에 입학했다.[1] 그러나 집안이 가난하여 1학년만 마치고 자퇴한 뒤 1910년대 후반에 일본 도쿄로 건너가 고학하였다.[1] 1925년 한국에 돌아와 야담가로 활동하면서 일반 대중이나 학생을 대상으로 강연하거나 글을 발표하였다.[1]

1930년대에는 전주 이씨 종약소에 있는 창명여학교 학감을 지냈다.[1] 호는 학보(鶴步)이다.[1]

3. 김옥균 숭배

김진구는 김옥균을 숭배했으며, 야담운동을 통해 민족운동에 기여한다고 생각했다.[1] 1930년대 중반에는 열렬한 내선일체론자가 되었다.

3. 1. 갑신정변 재평가

1919년 3.1 운동 이후 한국에는 근대 문명을 받아들인 신지식층이 많아졌고, 이들은 문명개화와 국가 독립을 당면 과제로 설정하고 여러 계몽 운동을 펴나갔다. 김진구는 1920년, 1930년대의 신지식층으로 문화운동을 전개했다. 그는 김옥균 숭배자임을 자처하고, 야담운동을 통해 민족운동에 기여한다고 생각했다. 1930년대 중반에는 열렬한 내선일체론자가 되어 있었다.

규슈, 오사카, 도쿄 등에서 노동일을 하면서 도쿄에서 학교에 다녔다. 현양사, 흑룡회 등 우익단체 인사들인 일본 국회의원이나 낭인들과 어울리면서, 전봉준, 손병희, 특히 김옥균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특히 도야마 미쓰루와 만나 김옥균에 대한 찬사를 듣고, 일본 각지를 다니면서 김옥균에 대한 자료를 수집했다.

1925년 김철효와 함께 김옥균에 대한 출판 계획으로 귀국했는데, 민태원이 김옥균 전기를 출간 준비하는 것을 보고 그 일을 돕게 되었다. 이후 김옥균 전집 간행회를 조직하고, 잡지에 김옥균 관련 글을 발표하였다. 갑신정변을 한국 근대사의 ‘劃時期的一大革命’(획시기적일대혁명)으로 묘사하고, ‘민중본위’라 하면서 민의 열렬한 희망, ‘排淸獨立’(배청독립), ‘開化進取’(개화진취)를 갑신정변의 성격으로 규정하였다. 《학생》지에 김옥균의 최후를 장렬하게 극화한 희곡 ‘대무대의 붕괴’를 연재한 후 조선시대극연구회를 만들어 순회 공연하였다. 시대극을 민인 계몽의 수단으로, 위인을 대중 역사 교육의 소재로 삼아 김옥균 등 갑신정변에 참여한 인물들을 영웅화해, 김옥균에 대한 부정적 인식 대신 혁명가로 부각시켰다.[1]

4. 야담운동

1927년 11월 13일 천도교 기념관에서 김옥균의 최후를 강연하면서 한국 야담운동이 시작되었다. 11월 23일 김종원, 민효식, 김익환, 신중현과 함께 《조선야담사》를 창립하고, 최남선, 민태원, 양건식, 신상찬, 이윤재, 방정환을 고문으로 하여 이사장에 취임했다. 1928년까지 1년간 조선강담사 주최 야담 공개대회를 다섯 차례나 여는 등 윤백남과 함께 당대 최대의 야담가로 불렸다.[2]

4. 1. 야담의 특징

說書|중국 설서중국어와 講談|일본 강담일본어 - 그 중에서도 신강담(계리언 일파의 신운동)을 끌어다가 그 장점을 취하고 단점을 보완하여 그 위에 조선적 정신을 집어넣어서 절대로 조선화시킨 것이 야담이다. 야담운동은 역사적 민중 신교화 운동으로, 입과 붓, 단상과 지상의 두 가지 방식으로 전개되었다.[2]

김진구의 야담은 조선 전래의 야담과는 달리 역사적 민중교화운동이었다는 특징을 지닌다.

  • 대중을 계몽할 목적으로 역사적 사실에 바탕을 두고 재현되었다.
  • 국문을 쓰고 있었다.


그는 “역사를 국민의 정신의 양식이며 따라서 생활의 근거”라고 했다. 정사가 봉건 특권계급의 추악함을 가리고 그들의 역사를 미화한 반면, 야사는 억압과 기휘의 눈을 피해 민중의 의사와 실적을 기록했다고 보았다. 따라서 야담은 민중의 역사를 전달하는 데 유효한 수단이며, 야담이 다루는 역사는 왕조사나 궁정비사가 아닌 민중사였다.

이러한 점에서 김진구의 야담운동은 조선의 정사를 뼈대로, 야사를 살로 삼는 일종의 고유 정신 발양 운동으로, 홍명희의 역사 소설을 통한 대중 계몽과도 비슷한 점이 있었다.[1]

5. 친일 행적과 내선일체론

김진구는 일본이 국제연맹을 탈퇴하고 군축회담에서 빠지면서 국제적으로 고립되자, 동양의 파국적 위기라며 일제에 적극 협력할 것을 강조하였다. 중일 전쟁 이후에는 대동아공영권론을 설파하고, 김옥균의 일본 이름 이와다 미와(岩田三和)를 본따 이와다 와쥬(岩田三成)로 창씨개명했다. 김옥균의 삼화주의(三和主義)를 적극 선전하였는데, 이는 조선, 일본, 청국이 하나 되어 동양 민족 화합을 꾀하고 복지를 증진하자는 것으로, 대동아전쟁의 대명사인 대동아 공영권론의 원형으로 치켜세웠다.[1]

5. 1. 내선일체론의 주요 내용

김진구는 1937년 '국암절개'(國癌切開)를 집필하면서 내선일체론의 이데올로그로 활동하였다. 그는 조선의 독립을 염원하여 문화운동에 가담하였지만, 전망이 불투명하다고 판단하여 중도에 전환하였다. 당시 만주사변으로 일본의 대륙 침략이 본격화되자, 일본이 생명선을 확보하기 위해 대륙에 진출하듯 조선도 운명을 같이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조선 인구가 증가하므로 만주몽골의 토지를 확보해야 하며, 조선의 문맹률이 높아 다른 나라와 대항하여 이길 수 없다고 판단했다.[1]

김진구는 조선의 문화를 발전시키고, 일본과 조선 양측의 결함과 고질을 고치며, 지식계급을 앞세워 대중의 생활 수준을 향상시키고, 양쪽 문화를 조화롭게 병행하면 조선 통치가 영원할 것이라고 주장하며, 근치구체안(根治具體案)을 제시했다.

근치구체안(根治具體案) 주요 내용


5. 2. 친일 행적에 대한 비판

김진구는 문명개화론자로서, 다른 신지식층과 마찬가지로 사회진화론을 신봉하였다. 그는 조선의 역사와 문화를 비판하면서 특히 중국 사대주의자였던 송시열을 비난했다. 한학을 중국 유교 문명으로 조선인을 사대주의와 존주주의로 몰아간 원흉이라 하고, 조선총독부향교 재산을 몰수한 것을 대영단이라고 평가했다.[1]

1937년, 김진구는 '나라의 암을 절개하여 일본인과 조선인의 갈등을 봉합하고 융화하겠다'는 뜻을 가진 '국암절개'(國癌切開)를 집필하면서 내선일체론의 이데올로그로 활동하였다. 그는 조선의 독립을 염원하여 문화운동에 가담하였지만, 전망이 불투명하게 보이자 중도 전환하였다. 당시는 만주사변으로 일본의 대륙 침략이 본격화한 시기로, 김진구는 일본이 생명선을 확보하기 위해 대륙에 진출하듯 조선도 운명을 같이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조선 인구가 증가하므로 만주몽골의 토지를 확보해야 하며, 조선의 문맹률이 85%로 다른 나라와 대항하여 이길 수 없다고 판단했다.[1]

김진구는 일본이 국제연맹을 탈퇴하고 군축회담에서 빠지면서 국제적으로 고립되자, 동양의 파국적 위기라며 일제에 적극 협력할 것을 강조하였다. 그는 조선의 문화를 발양하고 쌍방의 결함과 고질을 단연 절개하며 지식계급을 진두에 서게 하여 대중의 생활 향상을 꾀하고 양쪽 문화를 조화 병행하면 조선의 통치는 영원하리라 주장하고, 根治具體案(근치구체안)을 제시했다.

근치구체안(根治具體案) 주요 내용



중일 전쟁 이후 김진구는 대동아공영권론을 설파하고, 김옥균의 일본 이름 이와다 미와(岩田三和)를 본따 이와다 와쥬(岩田三成)로 창씨개명하였다. 그는 김옥균의 삼화주의(三和主義)를 적극 선전하였는데, 이는 조선, 일본, 청국이 하나 되어 동양 민족 화협을 꾀하고 복지를 증진하자는 것으로, 대동아전쟁의 대명사인 대동아 공영권론의 원형으로 치켜세웠다.[1]

5. 3. 창씨개명

중일 전쟁 이후 김진구대동아공영권론을 설파하고, 김옥균의 일본 이름 이와다 미와(岩田三和)를 본따 이와다 와쥬(岩田三成)로 창씨개명하였다. 그는 김옥균의 삼화주의(三和主義)를 적극 선전하였는데,[1] 삼화주의는 조선, 일본, 청국이 하나되어 동양 민족 화합을 꾀하고 복지를 증진하자는 것으로, 대동아전쟁의 대명사인 대동아 공영권론의 원형으로 치켜세웠다.[1]

참조

[1] 논문 일제 강점기 김진구(金振九)의 활동과 내선일체론 2003-12-00
[2] 뉴스 야담출현필연성 동아일보 1928-02-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