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학규 (1900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학규는 1900년 평안남도 평원군에서 태어난 독립운동가이다. 신흥무관학교를 졸업하고 독립군에 참여하여 조선혁명군 참모장으로 활동했으며, 한국광복군에서 제3지대장과 부참모를 역임했다. 광복 후에는 상하이에서 교민 귀국을 도왔으며, 한국독립당 동북특별위원회 위원장으로 만주에서 활동했다. 1949년 김구 암살 사건에 연루되어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며, 5·16 군사정변 이후 건국훈장 독립장을 받았다. 김희선 의원의 조부 논란, 본관 및 출생년도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1967년 사망하여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혁명군 - 계지풍
    계지풍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해방 후 한국독립당에서 활동한 정치인으로, 조선혁명군 가담을 통해 독립운동을 시작했으며, 광복 후에는 내무부 공보관을 지냈다.
  • 조선혁명군 - 박건배
    박건배는 일제강점기 조선혁명군에서 독립운동에 헌신하고 해방 후 인천광역시장, 부산광역시장, 충청남도지사 직무대행 서리를 지낸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행정가, 정치인이다.
  • 조선민족혁명당 - 신익희
    신익희는 해공이라는 호를 가진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내무총장과 외무부장을 역임하고 국민대학교를 설립했으며, 국회의장과 대통령 후보를 지냈고 사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 조선민족혁명당 - 김규식
    김규식은 대한제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 교육자, 학자로서, 미국 유학 후 독립운동과 교육에 헌신하며 대한민국 임시정부 부통령을 역임하고, 해방 후 좌우합작운동과 남북협상에 참여하여 조국의 통일과 독립을 위해 노력했으나 한국 전쟁 중 납북되어 사망했다.
  • 대한민국 임시정부 - 3·1 운동
    3·1 운동은 1919년 일본의 무단 통치에 저항하여 시작된 한국의 독립운동으로, 민족대표 33인의 독립선언서 낭독을 시작으로 전국으로 확산되었으며, 일본의 무력 진압으로 많은 사상자를 냈지만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의 계기가 되었다.
  • 대한민국 임시정부 - 한인애국단
    한인애국단은 1931년 김구에 의해 결성되어 일본 요인 암살을 목표로 이봉창, 윤봉길 의거를 실행했으며, 1930년대 후반 공식 활동을 중단했다.
김학규 (1900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김학규
한글김학규
한자金學奎
가타카나キム・ハッキュ
로마자 표기Kim Hak-kyu
별명호: 백파
인물 정보
출생1900년 11월 24일, 평안남도 평원군
사망1967년 9월 20일, 서울특별시 마포구
국적대한민국
군사 경력
복무일제강점기
복무 기간1940년 ~ 1946년
최종 계급광복군 장군
부대한국 광복군
지휘광복군 제3지대
서훈 내역1962년 건국공로훈장 독립장
기타 이력
기타 이력한국독립당 동북특별위원회 위원장, 당수

2. 생애

1900년 평안남도 평원군에서 태어나 신흥무관학교를 졸업하고 만주에서 독립군으로 활동했다. 양세봉이 이끌던 조선혁명군 참모장을 맡아 국민정부의 지원을 얻기 위해 노력했으나, 양세봉이 암살되면서 어려움을 겪고 관내로 망명했다.[2] 1931년 조선민족혁명당에 입당했지만, 1935년 당수 김원봉과 결별했다.

1936년 중앙군관학교 루산 특별훈련반에서 군사훈련을 받았다. 1940년 한국광복군 창설에 참여하여 총사령부 부참모, 광복군 제3지대장 등을 역임하며 안후이성 부양 등지에서 항일 무장 투쟁을 전개했다. 1944년 중앙군관학교 제10분교에 "한광반"을 설립하여 독립군 간부 양성에 힘썼고, 1945년 미국 OSS와 협력하여 국내 진공 작전을 준비했다.[3]

종전 후에는 광복군 주상하이弁事処장으로서 교민 귀국을 지원했으며, 만주국군과 일본군 장교 출신들을 광복군 제3지대에 편입시키기도 했다.[3] 1946년 한국임시정부 주화대표단 동북총변사처 부처장 겸 한국독립당 동북특별위원회 집행위원장으로서 만주 지역에서 활동했다.[4] 1948년 요양에 있는 한인들을 천진으로 수송하고, 전차상륙함을 통해 인천으로 귀국하는 데 기여했다.[5]

귀국 후 김구의 남북통일 노선에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1949년 김구 암살 이후 안두희 관련 혐의로 15년형을 선고받고 서울형무소에 수감되었다가, 한국 전쟁 중 석방과 재수감을 반복했다.[3]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 석방되었으며,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받았다. 1967년 서울특별시 마포구 망원동 자택에서 사망하여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

2. 1. 생애 초기 및 중국 망명

1900년 평안남도 평원군에서 김기섭과 선우순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머니 선우순은 전남편 김순욱과의 사이에서 얻은 이부 형 김성범과 딸을 데리고 김기섭과 재혼하였다.[6] 1919년 펑톈성 류허현신흥무관학교를 졸업하고,[6] 서로군정서 제1지대본부 견습사관으로서 삼원보 일대에서 활동하였다.[7] 만주 류허현 삼원포 조선족진(三源浦朝鲜族镇)의 동명중학교에서 교사로 근무하기도 하였다.[6][7]

2. 2. 독립운동과 광복군 참여

1936년 난징에서 현익철, 양기탁 등과 함께 민족혁명당 비상대회를 열었으나, 공산주의자들이 분리되어 나가자 조선민족혁명당으로 이름을 바꾸었다.[7] 이후 민족혁명당을 탈당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합류하였다. 1939년 쓰촨성 기강에서 한국독립당 창당에 참여했다.[7]

1940년 한국 광복군이 창설되자 광복군 제3지대장에 임명되었다. 1941년 광복군 제3지대장으로서 안후이성 부양에서 활동했다. 1942년 10월, 임시정부 군사위원회에 들어가 제6분처를 설치하여 모병 활동을 펼쳤다. 지원자가 점차 늘어나 개별 교육 훈련이 어려워지자, 1944년 중앙군관학교 제10분교 간부 양성 클래스인 “한광반” 설립을 이끌어냈다.[3] 1945년, 미국의 OSS(전략사무국)와 협력하여 조선반도에 침투시킬 공작원을 양성했다.

종전 후에는 광복군 주상하이弁事処장에 임명되어 3만 명의 교민 귀국을 도왔다.

2. 2. 1. 만주 파견 활동

1946년 가을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화대표단의 지시를 받고 한국독립당 동북특별위원회 위원장에 임명되어 만주 지역으로 파견되었다.[8]

만주에서 옛 조선혁명당계열 한국인들을 재결집한 김학규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동북대표부를 한국독립당 동북특별위원회와 연계해 만주 지방의 한인 교민들을 규합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8] 김학규는 장연민주자위군(長延民主自衛軍)을 조직해 활동하게 된다.[8]

1949년 김학규와 장연민주자위군은 국공내전에서 장제스의 중국 국민정부와 중앙군(국민정부군)과 연합하여 반공주의활동을 전개해 나갔다.

국공내전에서 중국공산당이 승리하면서 김학규박찬익을 비롯한 주동 인물들은 한국으로 피신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 동북대표부와 장연민주자위군은 해체되었다.[8] 그 참가자들은 반혁명분자로 몰리게 된다.[8]

2. 3. 해방 이후

해방 이후 김학규는 광복군 주상하이(上海) 변사 처장에 임명되어 3만 명의 교민 귀국을 도왔다. 또한 신현준, 이주일, 박정희, 윤영구를 광복군 제3지대에 편입시켜 각각 평진대대장, 제1, 제2, 제3중대장으로 임명했다.[3] 1946년 가을, 한국임시정부 주화대표단 동북총변사처 부처장 겸 한국독립당 동북특별위원회 집행위원장으로서 동북 지역에서 이일태가 이끄는 장연구 민주자위군 설립 활동을 했다.[4]

1948년 4월, 국민당군의 열세가 짙어지자 난징에 있던 주화대표단 단장 박찬익을 방문하여 요양의 한인 간부 구출을 제안했다.[5] 이들은 중미항공회사에 10만달러를 지불하고 수송기 40대의 사용권을 얻어 한인 간부, 종교인, 교육자 등 약 2천 명을 2주에 걸쳐 요양에서 천진으로 수송했다.[5] 이후 미군정청 상하이 사무소의 신국권을 통해 서울 미군정청에 선박 파견을 요청, 전차상륙함을 타고 인천으로 귀국했다.[5]

귀국 후 김학규는 김구의 남북통일 노선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다. 1949년 6월 김구 암살 이후, 암살범 안두희의 한국독립당 입당을 주선한 혐의로 징역 15년형을 선고받고 서울형무소에 수감되었다. 한국 전쟁 중 서울 함락 당시, 전 광복군 간부 장교의 도움으로 후퇴했다는 설과, 조선인민군에 의해 해방되어 수원에 잠복해 있다가 체포되었다는 설이 있다.[3] 석방은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에 이루어졌다.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받았으며, 1967년 9월 서울 마포구 망원동 자택에서 사망하여 유해는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

2. 3. 1. 정치 활동과 투옥

1948년 1월 김구가 남북협상론으로 노선을 바꾸자 이에 반대하였다.[9]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앞으로 수립될 통일정부 요인의 자격으로 독립운동 경력을 기준으로 제시하자, 그는 공개적으로 너무 터무니없는 주장이라고 반박했다. 김준연김구를 정점으로 하는 남북협상파와 김규식을 정점으로 하는 좌우합작파를 모두 공산주의 노선과 비슷할 뿐 아니라 정부 수립에 크나큰 방해인물들로 단정했다.[10] 공산당김구에게 정치자금을 조달한다는 설이 돌자, 동아일보를 통해 김구김규식을 비난하는 성명을 발표했다.[10]

김준연한민당의 성명을 보고 한독당의 김학규는 분노하였다.[11] 김학규는 남북협상이 불가능하다며 임정 인사들을 설득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1949년 6월 26일 김구가 암살되자, 암살범 안두희한국독립당 입당을 주선한 혐의로 징역 15년형을 선고받았다.[9] 김구 암살 직후, 김학규는 안두희이승만을 타도한다는 내용의 혈서를 썼다고 주장하며, 안두희에게 배신당했다는 사실에 분노했다.[14] 이후 김학규는 안두희김구에게 소개해 이승만 암살을 도우려 했다는 혐의로 징역 15년형을 선고받았다.

1950년 한국 전쟁 당시, 광복군 출신 군인들의 배려로 부산으로 피신했다가, 휴전 후 서울에서 다시 복역했다.

2. 3. 2. 석방과 만년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 복권되어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독립장을 받았다. 1967년 9월 20일 서울특별시 마포구 망원동 자택에서 별세하여 사회장으로 장례를 치르고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9]

3. 논란

김학규는 김구 암살범 안두희한국독립당 입당을 주선했다는 혐의와 이승만 암살을 도우려 했다는 혐의로 징역 15년형을 선고받았다.[9] 김학규는 경교장에서 안두희가 이승만을 타도한다는 내용으로 썼다는 혈서를 태웠으나,[14] 이승만 정권은 김학규에게 징역 15년형을 선고했다.

열린우리당(현 더불어민주당) 의원 김희선은 김학규가 자신의 조부라고 주장하며 본관 및 출생년도 논란을 일으켰다.[15] 김희선은 자신의 본관을 '의성 김씨'로 소개했지만, 한 네티즌은 족보를 대조하여 김희선 의원이 김학규 장군과 혈연관계가 없다고 주장했다.[15] 동아일보는 안동 김씨 종친회 측에 문의한 결과 김학규의 이름을 족보에서 찾을 수 없었다고 보도했다.[9] 안동 김씨 측은 김학규의 '규(奎)'는 '별 규' 자로 안동 김씨 문중에서 쓰는 항렬자가 아니라고 설명했다.[9]

김학규의 유족 측은 김희선이 김학규의 친손녀가 아니라 이부형의 손녀라고 증언했다.[16] 김학규의 딸 김은순은 2004년 9월 24일 조선일보와의 인터뷰에서 김학규가 의성 김씨가 아니며, 그의 어머니가 안동 김씨 집안으로 재가하여 낳은 아들이라고 밝혔다.[16]

2005년 6월 국회 정무위원회는 김학규와 김희선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김희선이 김학규의 친손녀가 아닌 것으로 확인했다. 김학규는 1900년생으로 알려졌으나, 1936년 발간된 '의성 김씨 태천공파' 파보(派譜)와 1992년 제작된 '의성 김씨 대동보'에 따르면 김희선의 증조부 김순옥은 1897년 사망하여 김학규가 태어나기 전이었다.[17] 김학규의 맏며느리 전봉애는 시할머니(선우순)가 김성범을 데리고 안동 김씨 김기섭에게 시집가서 김학규를 낳았다고 증언했다.[17]

3. 1. 김구 암살 연루 의혹

1949년 6월 26일 김구 암살 직후, 암살범 안두희한국독립당 입당을 주선했다는 혐의로 징역 15년형을 선고받았다.[9] 김학규는 경교장에서 보좌진에게 안두희가 이승만을 타도한다는 내용으로 썼다는 혈서를 보여주며, 믿었던 안두희에게 배신당했다는 사실에 분해했다.[14]

김학규는 이 혈서를 불태웠으나,[14] 이승만 정권은 김학규가 안두희를 김구에게 소개해 이승만 암살을 도우려 했다는 정보를 입수, 그에게 징역 15년형을 선고했다.

3. 2. 본관 및 출생년도 논란

열린우리당(현 더불어민주당) 의원 김희선김학규가 자신의 조부라고 주장하며 본관 논란을 일으켰다.[15] 김희선은 자신의 본관을 '의성 김씨'로 소개했지만, 한 네티즌은 족보를 대조하여 김희선 의원이 김학규 장군과 혈연관계가 없다고 주장했다.[15]

김희선 의원이 김학규를 안동 김씨라고 주장했지만, 동아일보는 안동 김씨 종친회 측에 문의한 결과 김학규의 이름을 족보에서 찾을 수 없었다고 보도했다.[9] 안동 김씨 측은 김학규의 '규(奎)'는 '별 규' 자로 안동 김씨 문중에서 쓰는 항렬자가 아니라고 설명했다.[9]

김학규의 유족 측은 김희선이 김학규의 친손녀가 아니라 이부형의 손녀라고 증언했다.[16] 김학규의 딸 김은순은 2004년 9월 24일 조선일보와의 인터뷰에서 김학규가 의성 김씨가 아니며, 그의 어머니가 안동 김씨 집안으로 재가하여 낳은 아들이라고 밝혔다.[16]

2005년 6월 국회 정무위원회는 김학규와 김희선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김희선이 김학규의 친손녀가 아닌 것으로 확인했다.

김학규1900년생으로 알려졌으나, 1936년 발간된 '의성 김씨 태천공파' 파보(派譜)와 1992년 제작된 '의성 김씨 대동보'에 따르면 김희선의 증조부 김순옥은 1897년 사망하여 김학규 장군이 태어나기 전이었다.[17] 김학규의 맏며느리 전봉애는 시할머니(선우순)가 김성범을 데리고 안동 김씨 김기섭에게 시집가서 김학규 장군을 낳았다고 증언했다.[17]

4. 가족 관계

관계이름
아버지김기섭(金起燮)
어머니선우순(鮮于順)
배우자이름
본처김봉수
후처오광심


  • 본처 김봉수와의 사이
  • * 장남: 김일현 - 육군 대위, 전봉애(전준벽의 손녀)와 결혼
  • * 차남: 김일진(金日鎭) - 혼외자, 오광심의 호적에 입적됨
  • * 장녀: 김탄실
  • * 차녀: 김은순


인척으로 우리당 의원이자 항일여성독립운동기념사업회 회장을 지낸 김희선 (정치인)이 있다. 초기 김희선은 김학규의 손녀라고 주장하여 한나라당 당원들과 월간조선 등 보수 언론으로부터 비난을 받았다. 최종적으로 2006년 직계는 아니지만 혈연관계는 인정받았다.

참조

[1] 웹사이트 김학규(金學奎) http://encykorea.aks[...] 2022-08-22
[2] 웹사이트 今月の独立運動家-1994年8月の独立運動家 梁世奉 https://e-gonghun.mp[...] 功勲電子資料館 2024-09-24
[3] 웹사이트 「金学奎将軍」に温情施した朴大統領(''김학규장군'에 온정베푼 박대통령'') http://monthly.chosu[...] 월간조선 2016-05-14
[4] 뉴스 김학규, 해방 직후 만주서 활발한 활동(''김학규, 해방 직후 만주서 활발한 활동'') https://www.hankyung[...] 2005-06-24
[5] 논문 2009
[6] 뉴스 김학규 장군 38주기 추모식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5-09-20
[7] 웹인용 독립유공자 공훈록 - 김학규 http://narasarang.mp[...] 2009-04-10
[8] 뉴스 김학규, 해방 직후 만주서 활발한 활동 https://news.naver.c[...] 네이버 뉴스
[9] 뉴스 김희선 의원, 의성 김씨 본관 찾다 실패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4-08-17
[10] 서적 송건호 전집 13 한길사 2002
[11] 서적 송건호 전집 13 한길사 2002
[12] 기타
[13] 서적 송건호 전집 13 한길사 2002
[14] 뉴스 동아일보 1992-04-15
[15] 웹사이트 이승만을 통해 우리의 미래를 본다 http://www.freezonen[...] 프리존뉴스 2008-09-24
[16] 뉴스 김학규장군 의성김씨 아니다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04-09-20
[17] 뉴스 김희선의원 부친 만주국 경찰 보도 논란 http://www.seoul.co.[...] 서울신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